KR20160070999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999A
KR20160070999A KR1020140178147A KR20140178147A KR20160070999A KR 20160070999 A KR20160070999 A KR 20160070999A KR 1020140178147 A KR1020140178147 A KR 1020140178147A KR 20140178147 A KR20140178147 A KR 20140178147A KR 20160070999 A KR20160070999 A KR 2016007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button
hinge
rotatio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석
채한석
신성용
홍장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999A/ko
Priority to EP14200428.2A priority patent/EP2891942B1/en
Priority to US14/588,012 priority patent/US9552023B2/en
Priority to CN201510004025.3A priority patent/CN104767844B/zh
Publication of KR2016007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6Forming the passage for the winding stem through the case; Divided winding 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6Fastening the case to the brace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체 케이스; 일측이 상기 본체 케이스 측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감지한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입력부 하우징;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입력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 하우징에 실장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용두버튼을 이용한 입력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WEARAB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에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단말기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의 편의성과 사용범위를 넓히기 위해 선글라스 타입, 와치 타입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와치타입은 손목에 착용하여 통상의 시계와 같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에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 케이스; 일측이 상기 본체 케이스 측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감지한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입력부 하우징;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입력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 하우징에 실장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사이 입력부 하우징은 일측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홀에 삽입되며 삽입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튼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측으로 연장된 카메라 커넥터; 및 상기 카메라 커넥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키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은, 일단은 상기 카메라 커넥터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키하우징의 외측을 감으며 나선형으로 감기며 타단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하며 N극 자석과 S극 자석이 원판둘레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 원판; 및 상기 마그넷 원판의 회전시 상기 S극 자석과 상기 N극 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에서 감지한 자기변화를 기초로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회전각도 및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하우징은 삽입방향으로 가압시 본체 케이스로 인입되며, 상기 입력부 하우징이 본체 케이스로 인입시 푸시입력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푸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감지부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이고, 상기 입력부 하우징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택트 스위치를 눌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버튼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에서 신체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푸시 감지부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일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 돌기; 및 상기 버튼홀의 내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제1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홈의 크기는 상기 걸림돌기보다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삽입방향으로 더 크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움직임을 따라 상기 제1 걸림홈의 내측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홈과 인접하여 상기 버튼홀에 형성된 제2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2 걸림홈 사이에 돌출된 부분의 높이는 상기 걸림홈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 걸림홈에 위치하는지 상기 제2 걸림홈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걸림돌기가 제2 걸림홈에 위치한 것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시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메탈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삽입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메탈돔을 가압하는 커버버튼; 상기 메탈돔이 가압되면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스위치; 및 일단은 상기 버튼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입력부 하우징을 통해 상기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 스위치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하는 버튼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N극 자석과 S극 자석이 둘레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커버버튼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버튼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 원판; 및 상기 마그넷 원판의 회전시 상기 S극 자석과 상기 N극 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에서 감지한 자기변화를 기초로 상기 커버버튼의 회전각도 및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삽입되며, 회전 및 소정 범위 내에서 삽입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한 보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버튼은,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보조 버튼의 삽입방향을 감지하는 푸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버튼의 회전을 상기 회전 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고, 상기 푸시 감지부가 상기 보조 버튼이 삽입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양측에 양 단부가 삽입된 한 쌍의 힌지축; 및 일측에 상기 힌지축과 체결되는 힌지후크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후크는,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이 개방된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밴드의 연장방향과 90°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후크의 입구는 상기 안착부 쪽에 인접할수록 좁아지다가 상기 안착부에서 다시 넓어지도록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의 중심과 상기 안착부의 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후크의 내측면에 전도성 물질이 노출되며, 상기 힌지축의 양 단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힌지후크가 상기 힌지축과 체결되면 상기 접속부 사이이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힌지후크가 체결된 것을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힌지후크의 안착부 표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힌지후크의 바깥쪽면으로는 노출되지 않는 보강몰드와, 상기 밴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저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힌지축과 제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힌지축의 일단부와 연결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힌지축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축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힌지축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2 힌지축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용두버튼을 이용한 입력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두버튼에 카메라를 실장하여 본체에 실장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손쉽게 밴드를 교체할 수 있어, 기분에 따라 또는 요도에 따라 밴드를 교체할 수 있고, 밴드를 교체시 그 용도를 파악하여 적정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용두버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용두버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용두버튼의 회전감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용두버튼을 본체 케이스에 고정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용두버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용두버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밴드부분의 힌지후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힌지후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힌지후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힌지후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힌지후크와 힌지축의 결합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힌지축과 메인기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힌지축과 메인기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 (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143, 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145, 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125)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실장되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양단에 결합하는 밴드(102)로 구성된다.
본체(101)는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전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부는 제1 케이스(101a)와 제2 케이스(101b)의 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기판이 실장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1), 근접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 및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전장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버클(buckle; 102a)이 구비될 수 있다. 버클(102a)은 본체(101)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한 한 쌍의 밴드의 단부를 연결하여 밴드 및 본체(101)와 함께 링형상을 형성한다. 버클(102a)을 이용하여 한 쌍의 밴드를 분리하고, 버클(102a)을 체결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이동 단말기(100)를 고정한다.
본체의 측면에 돌출된 용두버튼(200)은 사용자 입력부의 일 예로 용두버튼(200)을 회전시키거나 눌러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돌출된 형태도 가능하나, 사각형의 본체를 갖는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튀어나오지 않은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두버튼(200)은 원통형의 입력부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입력부 하우징(210)의 일측이 본체(101)에 형성된 버튼홀에 삽입된다. 버튼홀에 삽입되는 방향은 용두 하우징(210)의 원통 중심축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원통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상기 용두버튼(200)이 회전한다.
입력부 하우징(210)의 버튼홀에 삽입된 부분은 본체(101) 케이스의 내부 전장부에 위치하게 된다.
입력부 하우징(210)의 카메라 모듈(121)을 구비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21)이 실장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21) 안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 안착부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121)은 입력부 하우징(2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카메라 커넥터(240)는 카메라 모듈(121)에서 입력된 영상정보를 전달하거나, 카메라 모듈(121)의 줌인, 줌아웃 또는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신호선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커넥터(240)는 입력부 하우징(210)이 회전하면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전장부에 고정된 메인기판(185)과의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바,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을 이용하여 메인기판(185)과 연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카메라 커넥터(240)에 결합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은 메인기판(185)에 연결된다.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은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감긴다.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은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바,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시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이 감긴 정도(횟수)가 변화될 수 있다.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은 연성재질의 절연필름 위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여 구현하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경성 기판과 각 경성 기판의 연결부위를 연성재질로 구성하여 관절형태로 꺽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이 감기는 릴(reel)로서 역할을 하도록 입력부 하우징(210)의 일측과 결합하는 원통형의 키하우징(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키하우징(220)이 입력부 하우징(210)에 고정되도록 키 브라켓(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하우징(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1) 케이스의 버튼홀에 삽입되는 부분은 본체(101)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으며, 버튼홀은 직경이 작은 부분의 크기에 상응한 크기를 갖는다. 카메라 모듈(121)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 전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윈도우(2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택트 스위치(230)는 용두버튼(200)의 푸시입력을 감지하는 푸시 감지부의 일예로, 입력부 하우징(210)의 단부에 위치한다. 입력부 하우징(210)이 버튼홀에 삽입된 방향으로 입력부 하우징(210)이 가압되면, 택트 스위치(230)가 눌리면서 푸시신호를 생성한다.
푸시신호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입력부 하우징(210)의 단부에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230) 이외에 포고핀, 돔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서, 사용자가 왼팔에 착용한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을 누를 때, 오른손이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용두버튼(200)을 누르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타측을 도 5와 같이 지지해야 한다. 이때, 타측에 터치센서(125)를 구비하면, 터치센서(125)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동시에 용두버튼(200)이 눌려진 경우에만 택트 스위치(230)가 눌려진 신호를 유효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착용한 팔의 손등으로 용두버튼(200)을 눌러서 의도하지 않은 푸시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용두버튼(200)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터치센서(125)를 이용하여 유효하지 않은 푸시입력과 유효한 푸시입력을 구분할 수 있다.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250, 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250, 255)는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 여부, 회전 횟수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고,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 여부, 회전 횟수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감지부(250, 255)가 입력부 하우징(21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확대하거나, 음향출력부(152)의 소리를 증가시키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축소하거나 소리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의 길이를 고려하여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250, 25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하우징(220)의 단부에 위치하는 마그넷 원판(251), 톱니원판(253)또는 복수개의 날개(256)를 갖는 날개(256) 회전판(2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원판(251), 톱니원판(253)또는 회전판(255)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의 회전 감지부(250, 255)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회전 감지부(250, 255)로서 마그넷 원판(251)과 자기센서(261)를 도시하고 있다. 마그넷 원판(251)은 N극 자석(251a)과 S극 자석(251b)이 교번적으로 마그넷 원판(251)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마그넷 원판(251)의 회전시 S극 자석(251b)과 N극 자석(251a)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며, 자기센서(261)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다. 도면과 같이 N극 자석(251a) 4개와 S극 자석(251b) 4개가 교번적으로 배치되면, S극 자석(251b)과 N극 자석(251a)의 위치가 바뀔 때마다 45°씩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석(251a, 251b)의 개수를 더 늘리면 더 미세한 각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 원판(251)에 인접하여 S극 자석(251b) 또는 N극의 자석(251a)을 구비하면, 마그넷 원판(251)의 N극 자석(251a)또는 S극 자석(251b)이 인접할 경우 마그넷 원판(251)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자석간의 인력보다 큰 힘을 가하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넷 원판(25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정도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다.
도 7은 톱니원판(253)과 근접센서(263) 또는 스위치(265)를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톱니원판(253)의 둘레에 요철(254)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254)을 향해 적외선과 같은 전자기파를 사출하여 원판의 요철(254)을 감지하는 근접센서(263)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요철(254)은 단차가 형성된 형태보다 중심으로부터 거리변화가 연속적인 값을 갖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연속적인 형태의 요철(254)를 이용하면 근접센서(263)에서 감지하는 거리변화가 연속적으로 나타나서 더 정확한 용두버튼(20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개의 돌출부와 12개의 요입부를 구비한 톱니 원판은 근접센서(263)에서 거리의 변화를 감지하여 거리가 제일 먼 상태(요입부가 인접한 상태)에서 제일 가까운 상태(돌출부가 인접한 상태)가 될 때까지 각도변화는 15°가 된다. 근접센서(263)는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에 따른 톱니원판(253)의 요철(254)까지의 거리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 각도 및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요철(254)의 제1 방향 경사(254a)와 제2 방향 경사(254b)가 상이한 경우 회전 방향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b)와 같이 근접센서(263) 대신 요철(254)에 일단부는 요철(254)에 닿고 타단부는 힌지 결합하는 바를 포함하는 스위치(265)를 이용할 수 있다. 요철(254)의 높이에 따라 상기 바의 일단부가 걸렸다가 요철(254)단부와 분리되는 동작의 반복을 타단부에서 감지하여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은 키하우징(220)에 결합한 날개(256)를 갖는 회전판과 수광부와 발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부와 발광부(267) 사이에 날개(256)가 위치하여 발광부(267)에서 사출한 빛을 차폐하면 수광부(268)는 발광부(267)에서 사출한 빛을 감지하지 못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256)가 위치하지 않으면, 수광부(268)는 발광부(267)에서 사출한 빛을 감지한다.
수광부(268)에서 빛의 감지 여부에 따라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으며, 날개(256)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더 미세한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을 본체(101) 케이스에 고정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용두버튼(200)을 사용자 입력부(123)로 이용할 때에는 용두버튼(200)은 사용자가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눌리고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 택트 스위치(230)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힘으로 원래 위치로 복원 가능하며, 입력부 하우징(210)이 버튼홀에서 이탈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홀의 내측 둘레에 제1 걸림홈(216)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택트 스위치(230)를 가압하기 위해 용두버튼(200)이 버튼홀에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걸림홈(216)은 삽입방향으로 걸림돌기(215)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입력부 하우징(210)에 실장된 카메라 모듈(121)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 하우징(210)이 삽입방향으로 움직이면 사진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삽입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제2 걸림홈(217)은 제1 걸림홈(216)과 인접하여 제1 걸림홈(216) 보다 바깥쪽에 형성하고, 제1 걸림홈(216)과 제2 걸림홈(217)을 구분하는 돌출부의 높이(b)는 제1 걸림홈(216) 및 제2 걸림홈(217)의 깊이(a)보다 얕다.
사용자가 힘을 가해 입력부 하우징(210)을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걸림돌기(215)가 제1 걸림홈(216)에서 제2 걸림홈(217)으로 이동한다. 제2 걸림홈(217)의 삽입방향의 폭은 걸림돌기(215)의 크기에 상응하며, 삽입방향으로 움직임을 제한한다. 회전은 카메라 모듈(121)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허용할 수 있다.
걸림돌기(215)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걸림돌기(215)가 제2 걸림홈(217)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 하우징(210)을 잡아당겨 걸림돌기(215)가 제2 걸림홈(217)에 위치하면 카메라 모듈(121)이 활성화되면서, 용두버튼(200)의 눌러서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은 제한할 수 있다.
걸림돌기(215)가 제2 걸림홈(217)에 위치하는 경우, 즉 카메라 모듈(121)이 활성화된 후에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을 회전 감지부(250, 255)에서 감지하더라도 카메라 모듈(121)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전술한 회전에 의한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 모듈(121)이 활성화 된 경우 용두버튼(200)을 푸시하거나 회전하면 카메라 모듈(121)의 위치가 바뀌어 촬영이 불가능하게 되어 용두버튼(200)을 사용자 입력부(123)로 사용이 제한된다.
카메라 모듈(12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카메라 모듈(121)의 줌인 줌아웃 또는 촬영 등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123)가 필요하여 보조버튼(2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조버튼(270)은 입력부 하우징(210)의 타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보조버튼(270)은 메탈돔(273), 커버버튼(271), 버튼 스위치(274) 및 버튼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으로 구성된다. 메탈돔(273)은 입력부 하우징(210)의 타단부에 위치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돔형상의 부재로서, 돔의 상면을 누르면 형상이 변화하며 눌리나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힘이 제거되면 원래 돔 형상으로 돌아온다.
커버버튼(271)은 입력부 하우징(210)의 타단에 입력부 하우징(210)의 삽입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버버튼(271)을 누르면 커버버튼(271)의 내측에서 입력부 하우징(210)을 향해 돌출된 액추에이터(272)가 메탈돔(273)을 가압하고 힘이 제거되면 메탈돔(273)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버튼(271)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온다.
버튼스위치는 메탈돔(273)이 눌리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버튼스위치(274)에서 생성된 신호는 버튼 케이블을 통해 본체(101)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185)으로 전달된다. 버튼 케이블(275)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21)의 신호를 전달하는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245)을 통해 메인기판(185)과 연결될 수 있다.
커버버튼(271)은 입력부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버튼(271)에 결합된 마그넷 원판(278)은 전술한 마그넷 원판(251)과 같이 S극 자석과 N극 자석이 마그넷 원판 둘레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커버버튼(271) 회전시 마그넷 원판(278) 또한 같이 회전되며, 마그넷 원판(278)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기센서(2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자기센서(235)와 같이 마그넷 원판(278)의 일측에 위치하여 자기센서(235)에 근접하는 자석의 극이 변화함에 따른 자기변화를 감지하여 메인기판(185)으로 전달한다.
카메라 모듈(121)로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부 하우징(210)을 인출하지 않은 상태로, 커버버튼(271)과 입력부 하우징(210)을 이용하여 2단계 푸시입력이 가능하다. 1단계로 커버버튼(271)을 눌러 메탈돔(273)을 가압하면 제1 푸시입력으로 인지하고, 2단계로 더 힘을 가하여 용두버튼(200)이 택트 스위치(230)를 가압하면 제2 푸시입력으로 인지한다.
제1 푸시입력에 대해서는 “OK”로 인지하고 제2 푸시입력에 대해서는 홈화면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푸시입력과 제2 푸시입력을 장시간 유지하면 다른 입력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푸시입력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특정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제2 푸시입력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전원을 차단하고 종료할 수 있다.
푸시입력 뿐만 아니라, 커버버튼(271)의 회전과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을 다른 회전입력으로 인지하여 커버버튼(271)의 회전시 제1 회전입력으로 입력부 하우징(210)의 회전시 제2 회전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1 회전입력에 대해서는 줌인 줌안웃으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제2 회전입력에 대해서는 화면을 상하로 이동하는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1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보조버튼(280)이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조버튼(280)은 전술한 입력부 하우징(210)과 같이 본체(101)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하고, 직선 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푸시입력과 회전입력을 받을 수 있다.
즉, 보조버튼(280)이 눌려 직선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푸시 감지부(283)가 푸시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보조버튼(280)이 회전하면 회전 감지부286)가 회전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12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버튼(280)의 푸시입력에 대해서는 카메라 모듈(121)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보조버튼(280)의 회전입력에 대해서는 카메라 모듈(121)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줌인(zoom-in) 및 줌아웃(zoom-out)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밴드(102)부분의 힌지후크(103)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01)에 결합하는 한 쌍의 밴드(102)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102)는 힌지후크(103)를 이용하여 본체(101)에 결합한다.
힌지후크(103)는 링형상의 안착부(1033)와 안착부(1033)의 일측이 개방된 입구(1031)를 포함하고, 개방된 부분의 위치는 밴드(102)의 연장 방향에 대해 α°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본체(101)의 양측에는 힌지후크(103)가 걸릴 수 있도록 힌지후크(103)의 내측 지름에 상응하는 크기의 힌지축(104)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104)의 너비는 밴드(102)의 너비에 상응한다.
본체(101)의 힌지축(104)이 결합된 부분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다. 즉, 측면에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 돌출부(101')가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101')에 의해 힌지후크(103)가 힌지축(10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힌지후크(103)의 개방된 부분과 밴드(102)와의 각도(α°)는 90 °보다 작으며, 본체(101) 측면에 돌출된 부분(101')의 크기 및 각도와 본체(10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체(101)가 큰 경우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시 본체(101)와 밴드(102)가 이루는 각이 작아지며, 본체(101)가 작은 경우 본체(101)와 밴드(102)가 이루는 각이 180°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본체(101)의 크기가 큰 경우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101)와 밴드(102)가 이탈되지 않도록 α°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힌지축(104)에서 힌지후크(103)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13과 같이 본체(101)의 측면에 돌출된 돌출부(1034)가 힌지후크(103)의 입구(1031)의 반대편에 위치하지 않도록 밴드(102)와 본체(101)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힌지축(104)을 중심으로 밴드(102)를 회전시킨 후에 분리한다.
힌지축(104)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힌지후크(103)의 내측에 전도성 물질(1035)이 도포될 수 있다. 즉, 힌지축(104)과 힌지후크(103)를 통해 밴드(102)에 실장된 부품과 본체(101)에 실장된 제어부가 연결되어 밴드(102)에 실장된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과 같이 밴드(102)부분에 플렉서블 기판(1026)이 실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기판(1026)과 힌지후크(103)의 전도성 물질(1035)이 전기적으로 연결(1036)된다. 플렉서블 기판(1026)은 밴드(102)의 휨을 감지하는 휨감지 센서(1028)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휨감지 센서(1028)를 이용하여 밴드(102)가 휘어짐을 감지하면 착용한 것으로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휨감지 센서(1028) 이외에 밴드(102) 부분에 안테나, 마이크, 스피커 등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힌지후크(103)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힌지후크(103)가 힌지축(104)에서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4와 같이 입구(1031)가 안착부(1033) 쪽에 인접 할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도록 돌출부(1034)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1031)의 초입부분의 너비(b)는 좁아지다가 (a) 다시 안착부(1033)에서 넓어진다(d). 돌출부(1034)가 위치하는 부분의 너비(a)가 가장 좁아져 사용자가 억지로 안착부(1033)에 힌지축(104)이 인입되도록 힘을 가하는 경우에 힌지축(104)이 돌출부(1034) 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힌지후크(103)의 사시도로서, 돌출부(1034)는 연속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마찰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 밴드(102)의 너비방향으로 복수 개를 이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힌지후크(10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돌출부(1034) 대신, 입구(1031)의 중심과 안착부(1033)의 중심이 동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중심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안착부(1033)에서 입구(1031)를 통해 힌지축(104)이 인출되기 위해서는 2방향의 힘이 연속적으로 작용해야 하는바,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힌지후크(103)와 힌지축(104)의 결합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104)과 힌지후크(10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축(104)은 메인기판(185)과 플렉서블 기판(18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18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04)의 양단은 본체(101) 케이스 내측으로 연장되고, 힌지축(104)의 양 단부에서 연장된 접속부(1043)와 메인기판(185) 사이를 C클립(1045)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한편, 힌지축(104)에 결합하는 힌지후크(103)에 저항을 연결하여 힌지축(104) 양단의 저항변화를 감지하여 밴드(102)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밴드(10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힌지후크(103)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강몰드(1037)와 내부저항(1039)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1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힌지후크(103)의 안착부(1033)에는 전도성 물질이 노출되고,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몰드(1037)를 이용할 수 있다. 보강몰드(1037)는 밴드(102) 내측에 위치하는 저항과 연결할 뿐만 아니라 힌지후크(103)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저항(1039)은 저항이 큰 물질을 이용하며, 밴드(102)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저항값을 갖는 내부저항(1039)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힌지축(104)에 결합한 밴드(102)가 어떤 종류의 밴드(102)인지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땀의 흡수를 방지하는 실리콘 재질의 밴드(102)인 경우 스포츠용 밴드(102)로서 운동 시에 도움을 주는 심박수 측정기, 거리 측정기, 속도 측정기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가죽 밴드(102)나 메탈 밴드(102)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시계화면으로 전환하고, idle상태에서는 항상 시계화면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힌지축(104)과 메인기판(18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밴드(10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04)은 2개로 분할 될 수 있다. 2개로 분할된 힌지축(104)의 한 쪽은 메인기판(185)과 접속부(1043)를 통해 연결되나 한 쌍의 힌지축(104) 사이는 연결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단절된 상태이다. 즉, 한 쌍의 접속부(1043) 사이는 단락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힌지후크(103)를 힌지축(104)에 걸면, 한 쌍의 힌지축(104)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밴드(102)가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힌지축(104)을 구분하는 분리부(1042)가 위치할 수 있도록 힌지후크(103)는 분리부(1042)에 상응하는 위치에 슬릿을 형성하여 2개의 힌지후크(103)로 나눌 수 있다.
2개의 힌지후크(103)는 보강프레임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축(104)에 결합하면, 한 쌍의 힌지축(104)은 보강몰드(1037)과 내부저항(1039)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102)의 종류에 따라 내부저항(1039) 값이 다르므로 접속부(1043) 사이의 저항값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의 용두버튼(200)을 이용한 입력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두버튼(200)에 카메라 모듈(121)을 실장하여 본체(101)에 실장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손쉽게 밴드(102)를 교체할 수 있어, 기분에 따라 또는 요도에 따라 밴드(102)를 교체할 수 있고, 밴드(102)를 교체시 그 용도를 파악하여 적정 기능을 실행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01: 본체
102: 밴드 102a: 버클
103: 힌지후크 104: 힌지축
121: 카메라 모듈 125: 터치센서
151: 디스플레이부 185: 메인기판
200: 용두버튼 210: 입력부 하우징
211: 카메라 윈도우 220: 키하우징
225: 키브라켓 230: 택트 스위치
240: 카메라 커넥터 245: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
250, 255: 회전 감지부 251: 마그넷 원판
261: 자기센서 270: 보조 입력부
271: 커버버튼 1037: 보강몰드
1039: 내부저항 1034: 돌출부

Claims (20)

  1. 본체 케이스;
    일측이 상기 본체 케이스 측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감지한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입력부 하우징;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입력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 하우징에 실장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이 입력부 하우징은
    일측이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홀에 삽입되며 삽입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버튼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측으로 연장된 카메라 커넥터; 및
    상기 카메라 커넥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키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은,
    일단은 상기 카메라 커넥터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키하우징의 외측을 감으며 나선형으로 감기며 타단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하며 N극 자석과 S극 자석이 원판둘레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 원판; 및
    상기 마그넷 원판의 회전시 상기 S극 자석과 상기 N극 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에서 감지한 자기변화를 기초로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회전각도 및 횟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하우징은 삽입방향으로 가압시 본체 케이스로 인입되며,
    상기 입력부 하우징이 본체 케이스로 인입시 푸시입력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푸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감지부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택트 스위치이고,
    상기 입력부 하우징을 상기 삽입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택트 스위치를 눌러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버튼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에서 신체 접촉이 감지된 경우 상기 푸시 감지부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일측 둘레에 형성된 걸림 돌기; 및
    상기 버튼홀의 내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된 제1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홈의 크기는 상기 걸림돌기보다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삽입방향으로 더 크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움직임을 따라 상기 제1 걸림홈의 내측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홈과 인접하여 상기 버튼홀에 형성된 제2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2 걸림홈 사이에 돌출된 부분의 높이는 상기 걸림홈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 걸림홈에 위치하는지 상기 제2 걸림홈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걸림돌기가 제2 걸림홈에 위치한 것을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시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메탈돔;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입력부 하우징의 삽입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메탈돔을 가압하는 커버버튼;
    상기 메탈돔이 가압되면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스위치; 및
    일단은 상기 버튼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입력부 하우징을 통해 상기 카메라 플렉서블 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 스위치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하는 버튼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N극 자석과 S극 자석이 둘레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커버버튼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버튼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마그넷 원판; 및
    상기 마그넷 원판의 회전시 상기 S극 자석과 상기 N극 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에서 감지한 자기변화를 기초로 상기 커버버튼의 회전각도 및 횟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삽입되며, 회전 및 소정 범위 내에서 삽입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한 보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버튼은,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보조 버튼의 삽입방향을 감지하는 푸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버튼의 회전을 상기 회전 감지부가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고,
    상기 푸시 감지부가 상기 보조 버튼이 삽입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에 양측에 양 단부가 삽입된 한 쌍의 힌지축; 및
    일측에 상기 힌지축과 체결되는 힌지후크를 포함하는 한 쌍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후크는,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측이 개방된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밴드의 연장방향과 90°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후크의 입구는 상기 안착부 쪽에 인접할수록 좁아지다가 상기 안착부에서 다시 넓어지도록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중심과 상기 안착부의 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전도성 물질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후크의 내측면에 전도성 물질이 노출되며,
    상기 힌지축의 양 단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힌지후크가 상기 힌지축과 체결되면 상기 접속부 사이이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힌지후크가 체결된 것을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힌지후크의 안착부 표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힌지후크의 바깥쪽면으로는 노출되지 않는 보강몰드와,
    상기 밴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저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힌지축과 제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힌지축의 일단부와 연결된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힌지축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2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축의 타단부와 상기 제2 힌지축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2 힌지축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178147A 2014-01-02 2014-12-11 이동 단말기 KR20160070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47A KR20160070999A (ko) 2014-12-11 2014-12-11 이동 단말기
EP14200428.2A EP2891942B1 (en) 2014-01-02 2014-12-29 Wearable terminal
US14/588,012 US9552023B2 (en) 2014-01-02 2014-12-31 Wearable terminal including user input unit with camera module
CN201510004025.3A CN104767844B (zh) 2014-01-02 2015-01-04 可佩戴的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47A KR20160070999A (ko) 2014-12-11 2014-12-1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99A true KR20160070999A (ko) 2016-06-21

Family

ID=5635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147A KR20160070999A (ko) 2014-01-02 2014-12-1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9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1100A1 (fr) * 2022-02-22 2023-08-2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de commande horlo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1100A1 (fr) * 2022-02-22 2023-08-2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Dispositif de commande horlo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1942B1 (en) Wearable terminal
US9979426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US9729688B2 (en) Mobile terminal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102451371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KR10164966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6089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54903A (ko)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US9967378B2 (en) Mobile terminal
US10497171B2 (en)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50081169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36231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557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141793A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7368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US20180288201A1 (en) Mobile terminal
KR102206457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62864A (ko) 스마트 와치
KR2017002801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70999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50080705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101667737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