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714A -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학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학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714A
KR20160070714A KR1020150175354A KR20150175354A KR20160070714A KR 20160070714 A KR20160070714 A KR 20160070714A KR 1020150175354 A KR1020150175354 A KR 1020150175354A KR 20150175354 A KR20150175354 A KR 20150175354A KR 20160070714 A KR20160070714 A KR 2016007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sheet
layer
emi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241B1 (ko
Inventor
오사무 코누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7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2Laminating of sheets, panels or inserts, e.g. stiffeners, by wrapping in at least one outer layer, or inserting into a preformed pock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및 적층 광학 시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액정 표시 장치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면 발광 모듈,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광편향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학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Light deflection diffusion sheet, stacked light deflection diffusion sheet, stacked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 및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광학 시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박형화, 소형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이 요망되는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또는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FT-LCD) 등이 개발되었고, 이들 중 색 재현성이 우수하고 박형인 액정 표시 장치가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 중 PDP 및 FED는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으나, 액정표시장치는 그 자체로는 발광체가 아니기 때문에, 보조적으로 보조광원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조사하되, 화면 전체를 균일하게 조사해야 한다는 요구에 부응하도록, 엣지(edge)형 또는 직하형이라고 불리는 면광원의 구조를 가진다.
본 개시는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손실을 감소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가 향상된 휘도와 시야각을 갖도록 하는 광학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면 발광 모듈;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광편향층;을 포함한다.
상기 면 발광 모듈은 엣지(edge)형 면 발광 모듈 또는 직하형 면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편향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편향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를 결합시키는 접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층은, 상기 광편향층과 접합되는 점착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와 결합되며, 복수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하는 광확산형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면 발광 모듈;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제1 베이스 시트;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1 광편향층;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제1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베이스 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된 제2 광편향층;을 포함한다.
상기 면 발광 모듈은 엣지(edge)형 면 발광 모듈 또는 직하형 면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폭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1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편향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편향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를 결합시키는 접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층은, 상기 광편향층과 접합되는 점착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와 결합되며, 복수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하는 광확산형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편향 확산 시트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및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광편향 확산 시트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광편향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및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에 있어서, 제1 베이스 시트;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1 광편향층;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제1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베이스 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된 제2 광편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폭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1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제2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는 광확산층과 광편향층을 포함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손실을 감소시킨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시트는 프리즘 패턴 및 반사 편광 시트를 포함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와 시야각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광편향 확산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편향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의 단면도(도 2의 Ⅲ-Ⅲ'단면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편향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의 단면도(도 2의 Ⅲ-Ⅲ'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광편향 확산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광편향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의 분해 단면도(도 5a의 VIA-VIA' 단면도이다.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의 분해 단면도(도 5b의 VIB-VIB'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의 단면도(도 5a에서 VIA-VIA'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층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1)는 액정 패널(10), 백라이트로 기능하는 면 발광 모듈(20) 및 적층 광학 시트(60)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10)은 액정 셀(10A) 및 액정 셀(10A)의 상하 외면에 형성된 흡수 편광 시트(14, 15)를 포함한다.
액정 셀(10A)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투명 기판(12, 13)과 한 쌍의 투명 기판(12, 13) 사이에 액정이 봉입되어 형성된 액정층(11)을 포함한다. 한 쌍의 투명 기판(12, 13)에는 각각 투명 전극(미도시) 또는 배향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 전극간에 표시 데이터에 근거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액정층(11A)의 액정이 배향될 수 있다.
액정 셀(10A)의 상하 외면에는 각각 S편광과 P편광 중 한쪽의 편광을 흡수하고 다른 쪽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흡수 편광 시트(14, 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정 셀(10A)과 흡수 편광 시트(14, 15) 사이에는 위상차 시트(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면 발광 모듈(20)은 광원(21), 광원(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22), 도광판(22)의 하부에 배치되는 광반사 시트(23)를 포함한다.
광원(21)은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광원 램프 또는 면광원 램프, CCFL 또는 LED 등 다양한 광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광판(22)은 광원(21)에서 발생된 빛을 도광판(22) 내부로 안내하여, 광반사 시트(23)의 전면에 빛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직하형 광원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광반사 시트(23)는 광원(21)에서 방출되어 도광판(22)에 의해 안내된 빛을 반사시켜 도광판(22)의 외부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적층 광학 시트(60)는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층 광학 시트(60)는 광편향 확산 시트(30), 광편향 확산 시트(30) 상에 배치된 반사 편광 시트(50) 및 광편향 확산 시트(30)와 반사 편광 시트(50)를 결합시키는 접합층(41)을 포함한다.
광편향 확산 시트(30)는 광편향 기능과 광확산 기능을 갖는 광학 시트이다.
반사 편광 시트(50)는 액정 패널(10)의 하부에 형성된 흡수 편광 시트(14)로 흡수되는 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즉, 반사 편광 시트(50)는 흡수 편광 시트(14)로 흡수될 편광을 미리 면 발광 모듈(2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 편광 시트(50)에 의해 면 발광 모듈(20) 측으로 반사된 빛은 다시 도광판(22) 내에서 전반사를 반복할 수 있다. 전반사 과정에서 일부 빛은 흡수 편광 시트(14)를 투과하는 편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편광 시트(14)로 흡수되는 편광의 양이 감소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반사 편광 시트(50)는 생략될 수 있다.
광편향 확산 시트(30)와 반사 편광 시트(50)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포함하는 접합층(41)을 통해 결합되어, 일체화된 적층 광학 시트(60)를 형성할 수 있다. 일체화된 적층 광학 시트(60)는 시트의 휨을 억제할 수 있고, 시트의 취급성을 향상시켜 액정 표시 장치(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층 광학 시트(60)와 액정 패널(10)은 접합층(44)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에서의 광편향 확산 시트(30)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편향 확산 시트(30)는 광편향 확산 시트(30)의 액정 패널(10)측 면에 출사광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프리즘 패턴(32P)을 포함한다. 프리즘 패턴(32P)은 액정 표시 장치(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L1)을 가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의 길이방향은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수평 방향의 시야각과 수직 방향의 시야각 중에서 수평 방향의 시야각이 보다 중요한 특성이다. 프리즘 패턴(32P)의 능선(L1)을 액정 표시 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시야각을 효과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패턴(32P)의 능선방향은 액정 표시 장치(1)의 용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편향 확산 시트(30X)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60X)의 단면도(도 2의 Ⅲ-Ⅲ' 단면도)이다. 적층 광학 시트(60X)는 도 1의 적층 광학 시트(60)의 일 실시예이다. 적층 광학 시트(60X)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광편향 확산 시트(30X)는 베이스 시트(31), 베이스 시트(31)의 하면에 형성된 광확산층(33X) 및 베이스 시트(31)의 상면에 형성된 광편향층(32)을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31)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의 물질로 형성되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베이스 시트(31)는 50~30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확산층(33X)은 베이스 시트(31)의 하면 즉, 베이스 시트(31)의 면 발광 모듈(20) 측 면에 형성된다. 광확산층(33X)은 평탄한 베이스부(33B) 및 베이스부(33B) 아래에 형성되어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조면(R1)을 갖는 광확산부(33P)를 포함한다.
광확산부(33P)는 20~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33B)는 5~1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면 발광 모듈(20)의 광원(21)으로부터 방출된 후, 도광판(22)을 통과하여 광확산층(33X)로 입사된 빛은 광확산층(33X)의 조면(R1)에 의해 확산 및 산란될 수 있다. 광확산층(33X)은 빛을 확산 및 산란시켜 광편향층(32)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편향층(32)은 베이스 시트(31)의 상면 즉, 베이스 시트(31)의 액정 패널(10) 측 면에 형성된다. 광편향층(32)은 평탄한 베이스부(32B) 및 베이스부(32B) 위에 형성되어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프리즘 패턴(32P)을 포함한다.
프리즘 패턴(32P)은 20~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리즘 패턴(32P)의 꼭지각은 90°±5°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32B)는 5~1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편향층(32)은 광확산층(33X)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액정 패널(10)의 평면에 집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확산층(33X) 및 광편향층(32)은 아크릴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광편향층(32)의 복수의 프리즘 패턴(32P) 상에는 각 능선(L1)을 서로 연결하는 접합층(41)이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리즘 패턴(32P)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리즘 패턴(32P)과 접합층(41)에 의해 둘러 쌓인 공기부(A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부(A1)에는 접합층(41)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리즘 패턴(32P)의 각 면에서 출사되는 빛은 접합층(41)에 의해 굴절되지 않고, 빛의 진행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접합층(41)은 광편향 확산 시트(30X)와 반사 편광 시트(50)를 결합하여, 일체화된 적층 광학 시트(60X)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액정 텔레비전 등의 용도에서,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는 2900cd/㎡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cd/㎡ 이상이 될 수 있다.
액정 텔레비전 등의 용도에서, 액정 표시 장치(1)의 수평 시야각 및 수직 시야각은 모두 52°이상이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이상이 될 수 있다.
수평 시야각 및 수직 시야각은 중심 휘도가 1/2이 되는 각도가 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와 시야각을 적합화하기 위해서, 광확산층(33X)의 광확산부(33P)의 헤이즈 값은 5~70%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가 될 수 있다.
광편향 확산 시트(30X)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베이스 시트(31)를 준비하고, 베이스 시트(31)의 상면 즉, 액정 패널(10) 측 면에 경화성 수지와 용매를 포함한 수지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1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 시트(31)의 하면 즉, 면 발광 모듈(20) 측 면에 경화성 수지와 용매를 포함한 수지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2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한다.
다음, 제1 미경화 수지층 및 제2 미경화 수지층 중의 용매를 건조하여 제거한다.
다음, 프리즘 패턴(32P)의 반전 패턴을 갖는 제1 몰드를 이용하여 제1 미경화 수지층에 패턴을 형성하고, 조면(R1)의 반전 패턴을 갖는 제2 몰드를 이용하여 제2 미경화 수지층에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 열경화 또는 광경화를 이용하여 제1 미경화 수지층 및 제2 미경화 수지층을 경화하여 광편향층(32) 및 광확산층(33X)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광편향 확산 시트(30X)를 제조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따른 광편향 확산 시트(30X)의 제조방법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통해 각각의 층을 결합시키는 기술에 비해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1)의 광학 손실을 저감하고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와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의 저비용화 및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편향 확산 시트(30Y)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60Y)의 단면도(도 2의 Ⅲ-Ⅲ' 단면도)이다. 적층 광학 시트(60Y)는 도 1의 적층 광학 시트(60)의 일 실시예이다. 적층 광학 시트(60Y)는 도 1에 도시된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광편향 확산 시트(30Y)는 베이스 시트(31), 베이스 시트(31)의 하면에 형성된 광확산층(33Y) 및 베이스 시트(31)의 상면에 형성된 광편향층(32)을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31) 및 광편향층(32)은 전술한 도 3a의 베이스 시트(31) 및 광편향층(32)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확산층(33Y)은 베이스 시트(31)의 하면 즉, 베이스 시트(31)의 면 발광 모듈(20) 측 면에 형성된다. 광확산층(33Y)은 투광성 수지층(33M) 및 투광성 수지층(33M) 내에 형성된 복수의 광산란 비드(B1)를 포함한다.
면 발광 모듈(20)의 광원(21)으로부터 방출된 후, 도광판(22)을 통과하여 광확산층(33Y)로 입사된 빛은 광확산층(33Y)의 광산란 비드(B1)에 의해 확산 및 산란될 수 있다. 광확산층(33Y)은 빛을 확산 및 산란시켜 광편향층(32)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산란 비드(B1)는 아크릴 수지 또는 스티렌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층(33Y)은 20~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산란 비드(B1)는 0.1~50μ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B1) 각각의 직경은 균일할 수도 있고,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B1)의 직경 및 분포 밀도 등은 구현하고자 하는 헤이즈 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와 시야각을 적합화하기 위해서, 광확산층(33Y)의 헤이즈 값은 5~70%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가 될 수 있다.
광편향 확산 시트(30Y)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베이스 시트(31)를 준비하고, 베이스 시트(31)의 상면 즉, 액정 패널(10) 측 면에 경화성 수지와 용매를 포함한 수지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1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한다. 또한, 베이스 시트(31)의 하면 즉, 면 발광 모듈(20) 측 면에 경화성 수지, 복수의 광산란 비드(B1) 및 용매를 포함한 수지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2 미경화 수지층을 형성한다.
다음, 제1 미경화 수지층 및 제2 미경화 수지층 중의 용매를 건조하여 제거한다.
다음, 프리즘 패턴(32P)의 반전 패턴을 갖는 몰드를 이용하여 제1 미경화 수지층에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 열경화 또는 광경화를 이용하여 제1 미경화 수지층 및 제2 미경화 수지층을 경화하여 광편향층(32) 및 광확산층(33Y)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광편향 확산 시트(30Y)를 제조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따른 광편향 확산 시트(30Y)의 제조방법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통해 각각의 층을 결합시키는 기술에 비해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1)의 광학 손실을 저감하고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와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의 저비용화 및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2)는 액정 패널(10), 백라이트로 기능하는 면 발광 모듈(20) 및 적층 광학 시트(100)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은 전술한 도 1의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층 광학 시트(100)는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층 광학 시트(100)는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 상에 배치된 반사 편광 시트(50) 및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와 반사 편광 시트(50)를 결합시키는 접합층(42)을 포함한다.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 는 광편향 기능과 광확산 기능을 갖는 광학 시트이다.
반사 편광 시트(50)는 액정 패널(10)의 하부에 형성된 흡수 편광 시트(14)로 흡수되는 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즉, 반사 편광 시트(50)는 흡수 편광 시트(14)로 흡수될 편광을 미리 면 발광 모듈(2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 편광 시트(50)에 의해 면 발광 모듈(20) 측으로 반사된 빛은 다시 도광판(22) 내에서 전반사를 반복할 수 있다. 전반사 과정에서 일부 빛은 흡수 편광 시트(14)를 투과하는 편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편광 시트(14)로 흡수되는 편광의 양이 감소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반사 편광 시트(50)는 생략될 수 있다.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와 반사 편광 시트(50)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포함하는 접합층(43)을 통해 결합되어, 일체화된 적층 광학 시트(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일체화된 적층 광학 시트(100)는 시트의 휨을 억제할 수 있고, 시트의 취급성을 향상시켜 액정 표시 장치(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에서의 광편향 확산 시트(70)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에서의 광편향 시트(80)의 평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광편향 확산 시트(70)는 광편향 확산 시트(70)의 액정 패널(10)측 면에 출사광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1 프리즘 패턴(72P)을 포함한다. 제1 프리즘 패턴(72P)은 액정 표시 장치(2)의 폭방향과 평행한 능선(L2)을 가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2)의 폭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광편향 시트(80)는 광편향 시트(80)의 액정 패널(10)측 면에 출사광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2 프리즘 패턴(82P)을 포함한다. 제2 프리즘 패턴(82P)은 액정 표시 장치(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L3)을 가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2)의 길이방향은 X축 방향을 의미한다.
광편향 확산 시트(70)의 제1 프리즘 패턴(72P)의 능선(L2)방향과 광편향 시트(80)의 제2 프리즘 패턴(82P)의 능선(L3)방향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광편향 확산 시트(70)와 광편향 시트(80)의 광편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휘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2) 화면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시야각을 적합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수평 방향의 시야각과 수직 방향의 시야각 중에서 수평 방향의 시야각이 보다 중요한 특성이다. 따라서, 광편향 확산 시트(70)와 광편향 시트(80) 중에서 액정 패널(10)측에 배치된 광편향 시트(80)의 제2 프리즘 패턴(82P)의 능선(L3)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시야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 광편향 확산 시트(70)와 광편향 시트(80)의 제1 및 제2 프리즘 패턴(72P, 82P)의 능선(L2, L3) 방향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X)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100X)의 분해 단면도(도 5a의 VIA-VIA' 단면도이고,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X)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100X)의 단면도(도 5b의 VIB-VIB' 단면도이다. 적층 광학 시트(100X)는 도 4의 적층 광학 시트(100)의 일 실시예이다. 적층 광학 시트(100X)는 도 4에 도시된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적층 광학 시트(100X)는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X), 반사 편광 시트(50) 및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X)와 반사 편광 시트(50)를 결합시키는 접합층(43)을 포함한다.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X)는 광편향 확산 시트(70X), 광편향 시트(80) 및 광편향 확산 시트(70X)와 광편향 시트(80)를 결합시키는 접합층(42)을 포함한다.
광편향 확산 시트(70X)는 제1 베이스 시트(71), 제1 베이스 시트(71)의 하면에 형성된 광확산층(73X) 및 제1 베이스 시트(7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광편향층(72)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 시트(71)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의 물질로 형성되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베이스 시트(71)는 50~30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확산층(73X)은 제1 베이스 시트(71)의 하면 즉, 제1 베이스 시트(71)의 면 발광 모듈(20) 측 면에 형성된다. 광확산층(73X)은 평탄한 베이스부(73B) 및 베이스부(73B) 아래에 형성되어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조면(R2)을 갖는 광확산부(73P)를 포함한다.
광확산부(73P)는 20~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73B)는 5~1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면 발광 모듈(20)의 광원(21)으로부터 방출된 후, 도광판(22)을 통과하여 광확산층(73X)로 입사된 빛은 광확산층(73X)의 조면(R2)에 의해 확산 및 산란될 수 있다. 광확산층(73X)은 빛을 확산 및 산란시켜 제1 광편향층(72)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광편향층(72)은 제1 베이스 시트(71)의 상면 즉, 제1 베이스 시트(71)의 액정 패널(10) 측 면에 형성된다. 제1 광편향층(72)은 평탄한 베이스부(72B) 및 베이스부(32B) 위에 형성되어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1 프리즘 패턴(72P)을 포함한다.
제1 프리즘 패턴(72P)은 20~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프리즘 패턴(72P)의 꼭지각은 90°±5°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72B)는 5~1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확산층(73X) 및 제1 광편향층(72)은 아크릴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편향층(72)의 복수의 제1 프리즘 패턴(72P) 상에는 각 능선(L2)을 서로 연결하는 접합층(42)이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프리즘 패턴(72P)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프리즘 패턴(72P)과 접합층(42)에 의해 둘러 쌓인 공기부(A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부(A2)에는 접합층(42)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프리즘 패턴(72P)의 각 면에서 출사되는 빛은 접합층(42)에 의해 굴절되지 않고, 빛의 진행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접합층(42)은 광편향 확산 시트(70X)와 광편향 시트(80)를 결합하여, 일체화된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X)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액정 텔레비전 등의 용도에서, 액정 표시 장치(2)의 휘도는 2900cd/㎡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cd/㎡ 이상이 될 수 있다.
액정 텔레비전 등의 용도에서, 액정 표시 장치(2)의 수평 시야각 및 수직 시야각은 모두 52°이상이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이상이 될 수 있다.
수평 시야각 및 수직 시야각은 중심 휘도가 1/2이 되는 각도가 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2)의 휘도와 시야각을 적합화하기 위해서, 광확산층(73X)의 광확산부(73P)의 헤이즈 값은 5~70%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가 될 수 있다.
광편향 확산 시트(70X)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광편향 확산 시트(30X)의 제조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광편향 시트(80)는 광편향 확산 시트(70X)의 액정 패널(10) 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광편향 시트(80)는 제2 베이스 시트(81) 및 제2 베이스 시트(81)의 상면에 형성된 제2 광편향층(82)을 포함한다.
제2 베이스 시트(81)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의 물질로 형성되며,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베이스 시트(81)는 50~30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광편향층(82)은 제2 베이스 시트(81)의 상면 즉, 제2 베이스 시트(81)의 액정 패널(10) 측 면에 형성된다. 제2 광편향층(82)은 평탄한 베이스부(82B) 및 베이스부(82B) 위에 형성되어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2 프리즘 패턴(82P)을 포함한다.
제2 프리즘 패턴(82P)은 20~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프리즘 패턴(82P)의 꼭지각은 90°±5°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82B)는 5~1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광편향층(82)은 아크릴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편향층(82)의 복수의 제2 프리즘 패턴(82P) 상에는 각 능선(L3)을 서로 연결하는 접합층(43)이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2 프리즘 패턴(82P)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2 프리즘 패턴(82P)과 접합층(43)에 의해 둘러 쌓인 공기부(A3)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부(A3)에는 접합층(43)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프리즘 패턴(82P)의 각 면에서 출사되는 빛은 접합층(43)에 의해 굴절되지 않고, 빛의 진행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접합층(43)은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X)와 반사 편광 시트(50)를 결합하여, 일체화된 적층 광학 시트(100X)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Y)를 포함하는 적층 광학 시트(100Y)의 단면도(도 5a에서 VIA-VIA' 단면도이다. 적층 광학 시트(100Y)는 도 4의 적층 광학 시트(100)의 일 실시예이다. 적층 광학 시트(100Y)는 도 4에 도시된 액정 패널(10) 및 면 발광 모듈(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층 광학 시트(100Y)는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Y), 반사 편광 시트(50) 및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Y)와 반사 편광 시트(50)를 결합시키는 접합층(43)을 포함한다. 반사 편광 시트(50) 및 접합층(43)은 전술한 도 6a 및 도 6b의 반사 편광 시트(50) 및 접합층(43)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90Y)는 광편향 확산 시트(70Y), 광편향 시트(80) 및 광편향 확산 시트(70Y)와 광편향 시트(80)를 결합시키는 접합층(42)을 포함한다. 광편향 시트(80) 및 접합층(42)은 전술한 도 6a 및 도 6b의 광편향 시트(80) 및 접합층(42)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편향 확산 시트(70Y)는 제1 베이스 시트(71), 제1 베이스 시트(71)의 하면에 형성된 광확산층(73Y) 및 제1 베이스 시트(7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광편향층(72)을 포함한다. 제1 베이스 시트(71) 및 제1 광편향층(72)은 전술한 도 6a 및 도 6b의 제1 베이스 시트(71) 및 제1 광편향층(72)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확산층(73Y)은 베이스 시트(71)의 하면 즉, 베이스 시트(71)의 면 발광 모듈(20) 측 면에 형성된다. 광확산층(73Y)은 투광성 수지층(73M) 및 투광성 수지층(73M) 내에 형성된 복수의 광산란 비드(B2)를 포함한다.
면 발광 모듈(20)의 광원(21)으로부터 방출된 후, 도광판(22)을 통과하여 광확산층(73Y)로 입사된 빛은 광확산층(73Y)의 광산란 비드(B2)에 의해 확산 및 산란될 수 있다. 광확산층(73Y)은 빛을 확산 및 산란시켜 제1 광편향층(72)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산란 비드(B2)는 아크릴 수지 또는 스티렌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확산층(73Y)은 20~5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산란 비드(B2)는 0.1~50μm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B2) 각각의 직경은 균일할 수도 있고,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B2)의 직경 및 분포 밀도 등은 구현하고자 하는 헤이즈 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2)의 휘도와 시야각을 적합화하기 위해서, 광확산층(73Y)의 헤이즈 값은 5~70%가 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가 될 수 있다.
광편향 확산 시트(70Y)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광편향 확산 시트(30Y)의 제조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따른 적층 광학 시트(100X, 100Y)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을 통해 각각의 층을 결합시키는 기술에 비해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1)의 광학 손실을 저감하고 액정 표시 장치(2)의 휘도와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2)의 저비용화 및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층(40)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접합층(41, 42, 43)은 도 8의 접합층(40)이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접합층(40)은 베이스층(40X), 베이스층(40X)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40Z) 및 베이스층(40X)의 타면에 형성된 광확산형 접착부(40Y)를 포함한다. 베이스층(40X)의 일면은 베이스층(40X)의 면 발광 모듈(20) 측 면이 될 수 있으며, 베이스층(40X)의 타면은 베이스층(40X)의 액정 패널(10) 측 면이 될 수 있다.
베이스층(40X)은 PET(Polyethylene phthalate) 등의 투광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40Z)에는 프리즘 패턴이 접합될 수 있다. 프리즘 패턴의 오목한 부분이 접착제 등에 의해 채워지게 되면, 프리즘 패턴에 의한 빛의 굴절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휘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점착층(40Z)의 두께는 수 μm가 될 수 있으며, 프리즘 패턴의 일부만이 점착층(40Z)과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즘 패턴의 오목한 부분 즉, 공기부는 점착층(40Z)에 의해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
점착층(40Z)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형 접착부(40Y)는 투광성 점착층(40M) 및 복수의 광산란 비드(40B)를 포함한다.
투광성 점착층(40M)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산란 비드(40B)의 직경은 1μm ~ 4 μm 가 될 수 있다. 광산란 비드(40B)의 직경은 균일할 수도 있으며, 균일하지 않고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광산란 비드(40B)는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산화 지르코늄(zirconium oxide, ZrO2), 산화 주석(tin oxide), 산화 인듐(indium oxide), 산화 카드뮴(cadmium oxide), 산화 안티모니(antimony oxide) 등의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산란 비드(40B)는 실리콘게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의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산란 비드(40B)는 복수개의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산란 비드(40B)의 굴절률은 1.30 ~ 1.70이 될 수 있으며, 광산란 비드(40B)와 투광성 점착층(40M)의 굴절률 차이는 0.01 ~ 0.13 이 될 수 있다.
광확산형 접착부(40Y)에서 광산란 비드(40B)의 함유량은 0.3 ~ 50 wt% 가 될 수 있다.
접합층(40)의 면 발광 모듈(20) 측 면, 즉, 점착층(40Z)으로 입사된 빛은 베이스층(40X)을 통과하여 광확산형 접착부(40Y)로 입사된다. 광확산형 접착부(40Y)로 입사된 빛은 광산란 비드(40B)에 의해 확산 및 산란되어 접합층(40)의 액정 패널(10) 측 면으로 출사될 수 있다.
접합층(40)은 서로 인접한 시트를 서로 접합시킬 수 있으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의 휨을 억제하고, 시트의 취급성을 향상시켜 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휘도 및 시야각 등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 액정 표시 장치 10 … 액정 패널
10A … 액정 셀 11 … 액정층
12, 13 … 투명 기판 14, 15 … 흡수 편광 시트
20 … 면 발광 모듈 21 … 광원
22 … 도광판 23 … 광반사 시트
30, 30X, 30Y … 광편향 확산 시트 31 … 베이스 시트
32 … 광편향층 32B, 33B … 베이스부
32P … 프리즘 패턴 33, 33X, 33Y … 광확산층
33P … 광확산부 33M … 투광성 수지층
B1 … 광산란 비드 40, 41, 42, 43, 44 … 접합층
40X … 베이스층 40Y … 광확산형 접착부
40Z … 점착층 40B … 광산란 비드
40M … 투광성 점착층 A1, A2, A3 … 공기부
50 … 반사 편광 시트 60, 60X, 60Y … 적층 광학 시트
70, 70X,70Y … 광편향 확산 시트 71 … 제1 베이스 시트
72 … 제1 광편향층 72B, 73B … 베이스부
72P … 제1 프리즘 패턴 73, 73X, 73Y … 광확산층
73P … 광확산부 73M … 투광성 수지층
80 … 광편향 시트 81 … 제2 베이스 시트
82 … 제2 광편향층 82B … 베이스부
82P … 제2 프리즘 패턴 90, 90X, 90Y …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100, 100X, 100Y … 적층 광학 시트 B2 … 광산란 비드
L1, L2, L3 … 능선 R1, R2 … 조면

Claims (20)

  1.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면 발광 모듈;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광편향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 발광 모듈은 엣지(edge)형 면 발광 모듈 또는 직하형 면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조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를 결합시키는 접합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은,
    상기 광편향층과 접합되는 점착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와 결합되며, 복수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하는 광확산형 접착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면 발광 모듈;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제1 베이스 시트;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1 광편향층;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제1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베이스 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된 제2 광편향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면 발광 모듈은 엣지(edge)형 면 발광 모듈 또는 직하형 면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폭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1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조면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빛을 확산 및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편향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편향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를 결합시키는 접합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층은,
    상기 광편향층과 접합되는 점착층; 및
    상기 반사 편광 시트와 결합되며, 복수의 광산란 비드를 포함하는 광확산형 접착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및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광편향 확산 시트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광편향층;을 포함하는 광편향 확산 시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하는 광편향 확산 시트.
  19.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갖는 액정 패널 및 면 발광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에 있어서,
    제1 베이스 시트;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면 발광 모듈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면 발광 모듈로부터 입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층;
    상기 제1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제1 광편향층;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제1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된 제2 베이스 시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시트의 상기 액정 패널 측 면에 형성된 제2 광편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폭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1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편향층은 상기 액정 패널의 상기 길이방향과 평행한 능선을 갖는 제2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제2 광편향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빛의 일 편광을 상기 면 발광 모듈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편광 시트;를 더 포함하는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KR1020150175354A 2014-12-10 2015-12-09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학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2445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9629 2014-12-10
JPJP-P-2014-249629 2014-12-10
JPJP-P-2015-214513 2015-10-30
JP2015214513A JP2016114935A (ja) 2014-12-10 2015-10-30 光偏向拡散シート、積層光偏向拡散シート、積層光学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714A true KR20160070714A (ko) 2016-06-20
KR102445241B1 KR102445241B1 (ko) 2022-09-20

Family

ID=5614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354A KR102445241B1 (ko) 2014-12-10 2015-12-09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학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75522B2 (ko)
JP (1) JP2016114935A (ko)
KR (1) KR102445241B1 (ko)
CN (1) CN10700356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0958B2 (en) 2017-10-1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deflector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890697B2 (en) 2017-06-23 2021-01-12 Samsung Display Co., Ltd. Composite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62614B2 (en) 2017-10-18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deflector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8265B2 (en) * 2016-03-21 2020-04-14 Ubright Optronics Corporation Optical assembly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CN108303822A (zh) * 2018-01-23 2018-07-20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显示装置及液晶电视
KR102071472B1 (ko) * 2018-06-28 2020-01-30 주식회사 엘엠에스 미니 led 또는 마이크로 led 백라이트 유닛용 광학 필름
US11953778B2 (en) 2019-02-25 2024-04-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light intensity in a display system
US11808957B2 (en) * 2019-02-25 2023-11-0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light intensity in a display system
US11327205B2 (en) * 2019-07-29 2022-05-10 Viavi Solutions Inc. Encapsulated diffuser
KR20210112558A (ko) * 2020-03-05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752856B (zh) * 2021-03-30 2022-01-11 弘勝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膜之結構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4679A1 (en) * 2003-05-16 2004-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stacking surface structured optical films
KR20070091519A (ko) * 2006-03-06 2007-09-11 익스플로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직하광식 및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용 광산란 필름
US20090296022A1 (en) * 2008-05-28 2009-12-03 Junghoon Lee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026019A (ko) * 2012-08-24 2014-03-05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면광원 장치용 광학시트
KR20140029423A (ko) * 2011-04-04 2014-03-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물
KR20140071737A (ko) * 2012-12-04 2014-06-12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복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4633A (ja) 1999-12-15 2001-06-29 Nitto Denko Corp 偏光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3172931A (ja) 2001-09-28 2003-06-20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589470B (en) 2001-10-04 2004-06-01 Mitsubishi Rayon Co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guide therefor
KR20060016518A (ko)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07316403A (ja) * 2006-05-26 2007-12-06 Goyo Paper Working Co Ltd 液晶テレビ用レンズ状拡散シート
CN101512393B (zh) * 2006-09-11 2010-12-01 三菱丽阳株式会社 透镜片、面光源装置以及液晶显示装置
WO2008140084A1 (ja) 2007-05-14 2008-11-20 Mitsubishi Rayon Co., Ltd. 液晶表示装置、面光源装置及びプリズムシート、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8310267A (ja) * 2007-06-18 2008-12-25 Daio Paper Corp 光拡散性粘着シート
US8497953B2 (en) * 2007-08-28 2013-07-30 Dic Corporation Prism sheet,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prism sheet
JP2009053623A (ja) 2007-08-29 2009-03-12 Toppa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336039B1 (ko) * 2008-06-26 201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0107902A (ja) * 2008-10-31 2010-05-13 Nippon Zeon Co Ltd 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CN102460231B (zh) * 2009-06-02 2016-05-18 3M创新有限公司 光重新定向膜和使用此膜的显示器
US20110024928A1 (en) * 2009-07-31 2011-02-03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Patterned volume diffuser elements
KR20120085755A (ko) * 2009-09-04 2012-08-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 필름과 그 제조 방법, 광확산성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71077A (ko) 2010-12-22 2012-07-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조명 기구 및 엘이디 조명 기구의 작동 방법
CN102977806B (zh) * 2011-09-07 2016-01-2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导光液态胶及其应用之触控显示设备
JP2013226265A (ja) 2012-04-26 2013-11-07 Maruhon Industry Co Ltd パチンコ機
KR101321718B1 (ko) * 2012-06-25 2013-10-28 주식회사 엘엠에스 서로 다른 두께의 광학시트를 가지는 광학시트 모듈
JP2014224963A (ja) 2012-09-13 2014-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082095A (ja) 2012-10-16 2014-05-08 Mitsubishi Rayon Co Ltd 導光体および面光源装置
KR20140066919A (ko) 2012-11-23 2014-06-03 주식회사 이너스텍 클라우드 서버와 외부 장치 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4679A1 (en) * 2003-05-16 2004-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stacking surface structured optical films
KR20070091519A (ko) * 2006-03-06 2007-09-11 익스플로잇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직하광식 및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용 광산란 필름
US20090296022A1 (en) * 2008-05-28 2009-12-03 Junghoon Lee Optical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40029423A (ko) * 2011-04-04 2014-03-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물
KR20140026019A (ko) * 2012-08-24 2014-03-05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면광원 장치용 광학시트
KR20140071737A (ko) * 2012-12-04 2014-06-12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복합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0697B2 (en) 2017-06-23 2021-01-12 Samsung Display Co., Ltd. Composite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90958B2 (en) 2017-10-1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deflector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62614B2 (en) 2017-10-18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deflector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14935A (ja) 2016-06-23
US10175522B2 (en) 2019-01-08
KR102445241B1 (ko) 2022-09-20
US20170329160A1 (en) 2017-11-16
CN107003565A (zh) 2017-08-01
CN107003565B (zh)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241B1 (ko)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편향 확산 시트, 적층 광학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2482891B1 (ko) 복합 광학 시트,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698975B2 (en) Prism sheet,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of
US10222537B2 (en) Display device with edge light guide
TW201734602A (zh) 背光模組以及顯示裝置
US11320696B2 (en) Backlight module, display, and mobile terminal
WO2018126746A1 (zh) 背光模组、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0359668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WO2018120850A1 (zh) 背光模块
US20190204684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061556A (ko) 표시패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패널 표시장치
KR20160082789A (ko) 표시 장치
US8118469B2 (en) Surface illumina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10955602B2 (en) Reflective polarizer module having light recycling improving sheet, and back light unit having same
KR1017184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2198712A (zh) 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KR10210120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0743A (ko) 광학 필름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589443B1 (ko) 복합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69365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20503A1 (zh) 液晶显示设备及其棱镜片
KR2019012085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06710B1 (ko) 복합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US11953782B2 (en) Display panel including composite sheet
TWI838939B (zh) 包含複合片的顯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