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256A - 세포 배양 장치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256A
KR20160070256A KR1020140175912A KR20140175912A KR20160070256A KR 20160070256 A KR20160070256 A KR 20160070256A KR 1020140175912 A KR1020140175912 A KR 1020140175912A KR 20140175912 A KR20140175912 A KR 20140175912A KR 20160070256 A KR20160070256 A KR 2016007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space
cell
module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규
장현진
이주희
최기혁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256A/ko
Publication of KR2016007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means providing thin layers or with multi-level t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including condition or time responsive control, e.g. automatically controlled fermentors
    • C12M1/38Temperature-respons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2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means providing susp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세포가 배양되는 배양 공간이 형성되는 세포 배양 모듈, 배양 공간으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 모듈, 배양 공간에 배양액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배양액 순환 모듈, 그리고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세포 배양 모듈이 수용되는 제1 공간, 배양액 공급 모듈이 수용되는 제2 공간 및 배양액 순환 모듈이 수용되는 제3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다량으로 자동 배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포 배양 장치{Cell Culture Apparatus}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한번에 다량의 세포를 자동으로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배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포 배양은 다세포 생물의 개체로부터 무균적으로 조직편을 떼내어 영양을 주고 용기 내에서 배양 및 증식시키는 것으로, 세포 배양을 위해서는 세포가 배양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양 챔버와 세포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배양액 및 각종 가스 등이 필요하다. 특히, 배양액 및 각종 가스 등은 배양 챔버에 주입되어 세포 배양에 사용된 후 세포 조직을 신선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적절한 주기로 교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세포 배양 장치에는 계속적인 배양액 및 각종 가스 등의 공급과 배출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양액의 교환을 위해서 피펫(pipet)을 이용하여 배양액을 흡입하여 배양 챔버에 주입하고 배출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세포의 유실 위험이 크며 배양액의 원활한 교환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양 챔버의 일측에 배양액 주입구를 형성시켜 배양액을 수동 또는 자동 시스템을 통해 일정액 주입하며, 배양 챔버의 타측에 배양액 배출구를 형성시켜 사용된 배양액을 수동 또는 자동 시스템을 통해 배출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은 사용자가 세포 배양 장치의 작동에 항상 관여해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작업 면적의 효율성이 떨어져서 대량으로 배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우주 환경에서는 세포 배양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되어야 하므로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량의 세포 배양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만 하고, 세포의 성장 과정을 관찰하는 것이 어려워 배양된 세포의 수거 시기를 정하는 것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87003호 (공개일 2008. 09. 2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포 배양 장치를 모듈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다량으로 자동 배양할 수 있는 세포 배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는 세포가 배양되는 배양 공간이 형성되는 세포 배양 모듈, 상기 배양 공간으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 모듈, 상기 배양 공간에 상기 배양액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배양액 순환 모듈, 그리고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수용되는 제1 공간,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이 수용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이 수용되는 제3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상기 제1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은 상기 제2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포 배양 모듈 및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이 안착되는 제2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이 안착되는 제3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격벽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내로 수용 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결합 가능한 제1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과 결합 가능한 제2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는 일면에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로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평 플레이트는 일면에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은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로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상기 배양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세포 배양기와, 상기 복수의 세포 배양기가 적층되는 복수의 세포 수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은 상기 배양액이 저장되는 복수의 배양액 저장기와, 복수의 수납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배양액 저장기를 수납하는 배양액 수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은 상기 배양 공간에 상기 배양액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배양 튜브와, 상기 배양 튜브로 유입된 배양액을 상기 복수의 세포 배양기로 전달하기 위한 포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 튜브는 제1 및 제2 배양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제1 배양 튜브와 상기 제2 배양 튜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양 튜브는 상기 포트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양 튜브는 상기 포트부의 타측에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은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 튜브로 유송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 그리고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 공간 내의 세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에 따르면, 세포 배양 장치를 모듈화하여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다량으로 자동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세포 배양 모듈과 배양액 공급 모듈을 카트리지 형태로 제작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필요 시 배양액 순환 모듈도 교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포트부를 이용하여 배양액을 N개의 세포 배양기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세포 배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세포에 배양액이 실시간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장기간 세포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약물 및 약품 처리용 백을 따로 만들지 않고 배양액 공급 모듈처럼 카트리지 형태로 제작하여 필요 시 배양액 순환 모듈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배양 공간이 큰 곳은 히터와 팬을 이용하여 강제적인 대류를 조성함으로써 하우징 내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버블 제거기를 이용하여 세포 배양 모듈에 버블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액 공급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포 배양 장치(1)는 하우징(100), 프레임(200), 세포 배양 모듈(300), 배양액 공급 모듈(400) 및 배양액 순환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포 배양 장치(1)에는 세포 배양에 필요한 배양액과 가스의 공급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 배양 공간과 연결되는 각종 밸브(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인 세포 배양 장치에 적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00)은 세포 배양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프레임(200)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기 위하여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200)은 하우징(100) 내에 수용되며, 세포 배양 모듈(300)이 수용되는 제1 공간, 배양액 공급 모듈(400)이 수용되는 제2 공간 및 배양액 순환 모듈(500)이 수용되는 제3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포 배양 모듈(300)은 제1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배양액 공급 모듈(400)은 제2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배양액 순환 모듈(500)도 교체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포 배양 모듈(300) 및 배양액 공급 모듈(400)은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어 세포나 배양액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고, 세포에 배양액을 실시간으로 공급하여 장기간 세포 배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액 공급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100)은 내측에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0, 120)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의 일면에 수평 방향으로 제1 가이드 레일(110)이 복수 개 설치되고,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의 제1 가이드 레일(110)에 대향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레일(120)이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200)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11, 212),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11, 2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211, 212)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221, 222, 223)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221, 222, 223)는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221), 제1 수평 플레이트(2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세포 배양 모듈(300) 및 배양액 순환 모듈(500)이 안착되는 제2 수평 플레이트(222)와, 제2 수평 플레이트(222)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양액 공급 모듈(400)이 안착되는 제3 수평 플레이트(2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00)은 제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221, 222)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격벽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격벽 플레이트(230)는 일측에 세포 배양 모듈(300)이 위치하고, 타측에 배양액 순환 모듈(5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231)이 형성되어 배양액 순환 모듈(500)을 통해 제공된 배양액이 세포 배양 모듈(300)의 배양 공간으로 유입되게 하거나 배양 공간에서 생성된 배양액이 배양액 순환 모듈(5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프레임(200)이 하우징(100) 내로 수용될 경우, 제1 수직 플레이트(211)는 제1 가이드 레일(110)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 가이드 레일(110)과 결합 가능한 제1 가이드 부재(211a)가 설치되고, 제2 수직 플레이트(212)는 제2 가이드 레일(120)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 가이드 레일(120)과 결합 가능한 제2 가이드 부재(212a)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211a, 212a)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110, 120)과 각각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하우징(100) 내로 프레임(200)이 용이하게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제2 수평 플레이트(222)는 일면에 제1 슬라이딩 레일(222a)이 형성되고, 세포 배양 모듈(300)은 제1 슬라이딩 레일(222a)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 슬라이딩 레일(222a)로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딩 부재(30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포 배양 모듈(300)이 제1 슬라이딩 레일(222a)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제3 수평 플레이트(223)는 일면에 제2 슬라이딩 레일(223a)이 형성되고, 배양액 공급 모듈(400)은 제2 슬라이딩 레일(223a)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 슬라이딩 레일(223a)로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딩 부재(40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수평 플레이트(223) 내로 배양액 공급 모듈(400)이 슬라이드 되어 프레임(200)으로부터 배양액 공급 모듈(400)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배양액의 교체가 가능하여 세포에 배양액을 실시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세포 배양 모듈(300)은 복수의 세포 배양기(310)와, 복수의 세포 배양기(310)가 적층되는 복수의 세포 수납기(320)를 포함한다.
세포 배양기(310)는 세포가 배양되는 일정한 부피의 배양 공간을 형성하며, 배양 공간에는 배양액이 수용된다. 세포 배양기(310)는 배양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세포 배양기(310)는 원기둥이나 타원형 형태일 수 있다. 세포 배양기(310)는 수용되는 배양액이 방출되는 배수 유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배수 유로를 통하여 세포의 증식에 사용된 배양액이 방출될 수 있다.
세포 수납기(320)는 복수의 세포 배양기(3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에는 손잡이(321)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입 또는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배양액 공급 모듈(400)은 배양액이 저장되는 복수의 배양액 저장기(410)와, 복수의 수납 공간이 구비되어 복수의 배양액 저장기(410)를 수납하는 배양액 수납기(420)를 포함한다. 배양액 저장기(410)는 세포 배양기(310)에 새로운 배양액을 공급하는데, 세포 배양기(310)에 새로운 배양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부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배양액 공급 모듈(400)은 약물이 저장되는 약물 저장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배양액 저장기(410)와 함께 배양액 수납기(420)에 수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약물 저장기를 포함한 약물 공급 모듈(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약물 공급 모듈은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어 배양액 순환 모듈(5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양액 순환 모듈(500)은 배양 튜브(510), 포트부(520) 및 펌프(530)를 포함한다.
배양 튜브(510)는 제1 및 제2 배양 튜브(512, 514)를 포함하여 배양액이 배양 공간에 유입되거나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제1 배양 튜브(512)는 일단이 배양액 저장기(410)와 연결되고 타단이 포트부(52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배양 튜브(514)는 일단이 포트부(520)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양액 유입구나 배양액 배출구(미도시)와 연결되어 배양액이 유동되게 할 수 있다.
포트부(520)는 배양 튜브(510)로 유입된 배양액을 복수의 세포 배양기(31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양 튜브(512)와 복수의 제2 배양 튜브(514)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포트부(520)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양 튜브(512)가 연결되고, 타측에 N개의 제2 배양 튜브(514)가 연결되어 제1 배양 튜브(512)로 유입된 배양액을 N개의 제2 배양 튜브(514)를 통해 N개의 세포 배양기(310)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세포 배양 장치(1)는 대용량의 세포 배양을 할 수 있게 된다.
펌프(530)는 배양액을 배양 튜브(510)로 유송하며, 동력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펌프(53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세포 배양 장치(1)는 배양 공간에 버블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수평 플레이트(221)의 하부나 격벽 플레이트(230)의 일측에 버블을 제거하는 버블 제거기(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외에 배양 공간으로 세포 배양에 필요한 가스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튜브나 이물질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유입구(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세포 배양 장치(1)는 제1 수평 플레이트(221)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00)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600), 하우징(100)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700)과, 제1 수평 플레이트(221)의 내측이나 격벽 플레이트(230)에 설치되어 배양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터(600)와 팬(700)을 구비하여 세포 배양 공간이 큰 곳에서는 강제적인 대류를 조성함으로써 하우징(1) 내의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카메라(70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세포를 관찰하지 않고도 세포 배양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세포 배양 과정을 직접 확인하는 과정이 줄어들기 때문에 세포나 배양액의 오염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세포 배양 장치
100: 하우징 200: 프레임
211: 제1 수직 플레이트 212: 제2 수직 플레이트
221: 제1 수평 플레이트 222: 제2 수평 플레이트
223: 제3 수평 플레이트 230: 격벽 플레이트
300: 세포 배양 모듈 400: 배양액 공급 모듈
500: 배양액 순환 모듈

Claims (14)

  1. 세포가 배양되는 배양 공간이 형성되는 세포 배양 모듈,
    상기 배양 공간으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 모듈,
    상기 배양 공간에 상기 배양액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배양액 순환 모듈, 그리고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이 수용되는 제1 공간,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이 수용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이 수용되는 제3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상기 제1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은,
    상기 제2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는 세포 배양 장치.
  3. 제 1 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수평 플레이트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1 수평 플레이트,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포 배양 모듈 및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이 안착되는 제2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이 안착되는 제3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4. 제 3 항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플레이트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격벽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5. 제 3 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 내로 수용 시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1 가이드 레일과 결합 가능한 제1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레일과 결합 가능한 제2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는 세포 배양 장치.
  6. 제 3 항에서,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는,
    일면에 제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1 슬라이딩 레일로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되는 세포 배양 장치.
  7. 제 3 항에서,
    상기 제3 수평 플레이트는,
    일면에 제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은,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제2 슬라이딩 레일로 슬라이드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되는 세포 배양 장치.
  8. 제 1 항에서,
    상기 세포 배양 모듈은,
    상기 배양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세포 배양기와, 상기 복수의 세포 배양기가 적층되는 복수의 세포 수납기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9. 제 1 항에서,
    상기 배양액 공급 모듈은,
    상기 배양액이 저장되는 복수의 배양액 저장기와, 복수의 수납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배양액 저장기를 수납하는 배양액 수납기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10. 제 9 항에서,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은,
    상기 배양 공간에 상기 배양액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는 배양 튜브와, 상기 배양 튜브로 유입된 배양액을 상기 복수의 세포 배양기로 전달하기 위한 포트부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11. 제 10 항에서,
    상기 배양 튜브는,
    제1 및 제2 배양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제1 배양 튜브와 상기 제2 배양 튜브를 연결하는 세포 배양 장치.
  12. 제 11 항에서,
    상기 제1 배양 튜브는,
    상기 포트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양 튜브는,
    상기 포트부의 타측에 복수 개가 연결되는 세포 배양 장치.
  13. 제 10 항에서,
    상기 배양액 순환 모듈은,
    상기 배양액을 상기 배양 튜브로 유송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14. 제 3 항에서,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 그리고
    상기 제1 수평 플레이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양 공간 내의 세포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세포 배양 장치.
KR1020140175912A 2014-12-09 2014-12-09 세포 배양 장치 KR20160070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912A KR20160070256A (ko) 2014-12-09 2014-12-09 세포 배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912A KR20160070256A (ko) 2014-12-09 2014-12-09 세포 배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56A true KR20160070256A (ko) 2016-06-20

Family

ID=5635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912A KR20160070256A (ko) 2014-12-09 2014-12-09 세포 배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2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4167A (zh) * 2017-11-15 2018-04-13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细胞自动扩增培养设备
WO2023080707A1 (ko) * 2021-11-08 2023-05-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부착세포용 바이오리액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003A (ko) 2006-01-17 2008-09-2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메디코 세포 배양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동 배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003A (ko) 2006-01-17 2008-09-2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메디코 세포 배양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동 배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4167A (zh) * 2017-11-15 2018-04-13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细胞自动扩增培养设备
CN107904167B (zh) * 2017-11-15 2023-06-06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细胞自动扩增培养设备
WO2023080707A1 (ko) * 2021-11-08 2023-05-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부착세포용 바이오리액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0370B (zh) 細胞培養裝置
KR200465385Y1 (ko) 식물 재배 장치
EP188203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 to cell culture modules
CA2407012A1 (en) Cell and tissue culture device with enhanced culture fluid flow
WO2012141055A1 (ja) 細胞培養装置、及び搬送装置
US88411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anding high density non-adherent cells
JP6293900B2 (ja) 培養装置、これを用いた培養方法及び細胞凝集塊の選別方法
KR102441836B1 (ko) 모듈형 세포배양장치
US11624048B2 (en) Switching valve and suction-discharge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784151A1 (en) Cell culture device, cell culture system and cell culture method
US5010014A (en) Perifusion apparatus for culturing living cells and perifusion culturing process
KR20160070256A (ko) 세포 배양 장치
JP5814595B2 (ja) 搬送装置、及び液体注入方法
DK2861713T3 (en) Cell culture method and system
JP2021529312A (ja) 1つまたは複数の標本の灌流および/または定温放置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保管ユニット、および保管庫組立体
KR102411446B1 (ko) 세포배양장치
JP2004524046A (ja) 温度調節を備えた細胞および組織培養装置
JP2016059319A (ja) 細胞培養装置
JP2013116093A (ja) 培養容器、自動培養装置、及び培地供給方法
WO2019157826A1 (zh) 生物片材培养装置和生物片材培养设备
CN112940934B (zh) 一种体外生命维持灌流培养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50723B1 (ko) 자동 배지 교체 시스템
CN215593081U (zh) 一种生物反应器及培养箱
KR101848678B1 (ko) 자동 용액 주입장치
CN112831417A (zh) 一种体外生命维持灌流培养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