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240A -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240A
KR20160070240A KR1020140175766A KR20140175766A KR20160070240A KR 20160070240 A KR20160070240 A KR 20160070240A KR 1020140175766 A KR1020140175766 A KR 1020140175766A KR 20140175766 A KR20140175766 A KR 20140175766A KR 20160070240 A KR20160070240 A KR 20160070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data
region
wiring
wi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252B1 (ko
Inventor
정준기
정광철
김일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252B1/ko
Priority to US14/690,130 priority patent/US9728150B2/en
Publication of KR20160070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66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with the matrix divided into s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1Arrangement of scan or data electrode driver circuits at the periphery of a panel not inherent to a split 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Geome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게이트 배선,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품질이 보장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tystal Display, LCD),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Electric field)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외부의 광원으로부터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신호를 얻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표시장치로서, 행렬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유기 발광 소자(OLED)들을 전압 구동(Voltage Programming) 혹은 전류 구동(Current Programming)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방식에는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이 있다. 수동 매트릭스 방식은 양극과 음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데 비해, 능동 매트릭스 방식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각 산화 인듐 주석(indium thn oxide, ITO) 화소 전극에 연결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커패시터 용량에 의해 유지된 전압에 따라 구동하는 방식이다.
한편, 상술한 표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표시 패널에 가로로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 및 세로로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는 영역에 화소가 형성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게이트 구동부의 실장 영역을 최소화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휘도 편차의 발생이 방지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게이트 구동부의 실장 영역을 최소화하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휘도 편차의 발생이 방지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게이트 배선,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일단은,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의 일단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저항값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저항값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동일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서 복수의 상기 데이터 배선과 교차되며, 복수의 상기 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게이트 배선,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복수의 상기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복수의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일단은, 상기 복수의 제2 게이트 배선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으로 제공되는 상기 게이트 신호는,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저항값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저항값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동일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서 복수의 상기 데이터 배선과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중 하나의 외곽 영역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배치되는 영역보다 작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제어부는, 프레임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메모리는, 복수의 상기 화소에 상기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온 레벨의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복수의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적어도 하나와,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에 온 레벨의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온 레벨의 상기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는 복수의 상기 화소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게이트 구동부의 실장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휘도 편차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C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Ⅰ-Ⅰ’ 구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지 않은 표시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3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3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3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나타나는 휘도 편차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1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1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1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게이트 배선 구조를 사용하는 표시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게이트 배선 구조를 사용하는 표시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표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각 화소와 프레임 영상 데이터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신호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데이터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0)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G1~Gn), 다수의 데이터 배선(D1~Dm) 및 다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게이트 배선(G1~Gn)은 각각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고, 다수의 데이터 배선(D1~Dm)은 각각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수의 게이트 배선(G1~Gn)과 다수의 데이터 배선(D1~Dm)의 교차부에는 하나의 화소(PX)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화소(PX)가 전류 기입형 화소인 경우에 데이터 신호는 전류일 수 있고, 전압 기입형 화소인 경우에 데이터 신호를 전압일 수 있다. 다수의 게이트 배선(G1~Gn) 및 다수의 데이터 배선(D1~Dm)의 표시부(110)상에서의 배치에 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PX)가 원색 중 하나의 색상을 고유하게 표시하거나 각 화소(PX)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원색을 표시하게 하여, 이들 원색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들 수 있다. 이 때, 시간적 합으로 색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한 화소(PX)에서 시간적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 색상이 번갈아 표시되어서 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적 합으로 색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가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배열될 수 있으며, 또는 세 화소가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
신호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각종 신호들을 제공받아,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제어부(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영상 데이터(DAT1)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CONT2), 제2 영상 데이터(DAT2)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DAT1)는 표시부(110)의 화소(PX) 각각의 휘도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어 1024(=210), 256(=28) 또는 64(=26)개의 계조(gray)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신호 제어부(200)에 전달되는 입력 제어 신호의 예로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 하고 다른 종류의 신호가 더 입력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는 신호 제어부(200)에서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부(300)로 전달되는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는 스캔 개시 신호, 클록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신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CONT2)는 신호 제어부(200)에서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신호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입력 제1 영상 데이터(DAT1)를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영상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상 데이터(DAT1)에 대하여 휘도 보상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제2 영상 데이터(DAT2)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과정이 수반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을 통해 표시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표시부(110)의 각 화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게이트 배선(G1~G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배선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300)는 도 1에서 비표시부(120)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집적회로(IC)로써 접촉 패드(미도시)를 통하여 비표시부(120) 상에 실장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형태로 표시 패널(1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400)는 게이트 구동부(300)는 집적회로(IC)로써 접촉 패드(미도시)를 통하여 비표시부(120) 상에 실장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형태로 표시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0)는 표시부(1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 외곽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0)가 표시부(110)의 일 모서리 외곽 영역에만 배치되는 경우, 표시부(110)를 구성하는 나머지 모서리의 외곽에 별도의 게이트 구동부(300) 또는 데이터 구동부(400)의 실장을 위한 영역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비표시부(120)가 차지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한 표시부(110)의 게이트 배선(G1~Gn) 및 데이터 배선(D1~Dm)의 배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2가 참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10)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제1 게이트 배선(GL1), 제2 게이트 배선(GL2), 서브 게이트 배선(SGL), 데이터 배선(DL) 및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표시부(110)상의 임의의 선인 영역 경계선(111)을 기준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영역 경계선(111)은 직선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곡선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직선이 이어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영역 경계선(111)은 표시부(110)를 이등분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임의의 비율로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배선(D1~Dm)은 화소(PX)와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부(400)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화소(PX)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10)의 상측 모서리를 통하여서 제공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배선(GL1) 및 제2 게이트 배선(GL2)은 게이트 구동부(300)로부터 제공받은 게이트 신호를 화소(PX)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1 게이트 배선(GL1) 및 제2 게이트 배선(GL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110)상에서의 배치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배선(GL1)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배선(GL1)은, 제1 영역에서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영역에서는 전체적으로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영역에 형성되는 제1 게이트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어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제3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브 게이트 배선(SGL) 및 제2 게이트 배선(GL2)과 함께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인 C를 확대하여 도시한 C'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영역의 일부분인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A'를 참조하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게이트 배선(GL1)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화소(PX)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배선(DL) 및 제1 게이트 배선(GL1)은 각각 화소(PX)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배선(GL1)으로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10)의 상측 모서리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신호 역시 표시부(110)의 상측 모서리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으므로, 표시부(110)의 상측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외곽으로는 별도의 배선,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0)가 배치될 필요가 없어 비표시부(120)의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 배선(GL1)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걸쳐 형성하여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과,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을 동시에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구조에 대한 이점은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표시부(110)의 상측 모서리를 통하여만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제1 게이트 배선(GL1)이 통과하는 제1 영역의 모든 영역 및 제2 영역의 좌측 상단 영역은 게이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나, 제1 게이트 배선이 통과할 수 없는 제2 영역의 좌측 하단 영역으로 게이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서브 게이트 배선(SGL) 및 제2 게이트 배선(GL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배선(GL2)은 제2 영역에서 제1 게이트 배선(GL1)이 통과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배선(GL2)은 전체적으로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게이트 배선(GL2)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어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제3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의 상측 모서리를 통하여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를 제2 게이트 배선(GL2)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서브 게이트 배선(SGL)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게이트 배선(SGL)은 제2 영역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게이트 배선(GL2)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게이트 배선(SGL)의 일단은, 제2 게이트 배선(GL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브 게이트 배선(SGL)은 제공받은 게이트 신호를 제2 게이트 배선(GL2)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의 일부 영역인 B영역을 확대한 B'를 참조하면, 데이터 배선(DL)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게이트 배선(SGL)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게이트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어 연결되면서 전체적으로 제3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게이트 배선(SGL)은 데이터 배선(DL)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데이터 배선(DL)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화소(PX)와 연결되지는 않을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 및 제2 게이트 배선(GL2)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화소(PX)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화소(PX)는 데이터 배선(DL)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제2 게이트 배선(GL2)을 통하여 게이트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영역 경계선(111)은 서로 인접하는 제1 게이트 배선(GL1)의 저항값 및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서브 게이트 배선(SGL)의 저항값이 동일하게 측정되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서로 인접하는 제1 게이트 배선(GL1)의 저항값 및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서브 게이트 배선(SGL)의 저항값이 동일할수록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면의 영역별 휘도 편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항값이 차이가 나더라도, 서로 인접하는 제1 게이트 배선(GL1)의 총 길이와,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서브 게이트 배선(SGL)의 총 길이가 동일한 지점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영역 경계선(111)을 결정하는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설명은 도 6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게이트 배선(GL2), 서브 게이트 배선(SGL) 및 데이터 배선(DL)의 연결 구조 및 층간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3 및 도 4가 참조된다.
도 3은 도 2의 C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의 C 영역은 제2 게이트 배선과 서브 게이트 배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부의 제2 영역의 하단부의 일부 영역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게이트 배선(SGL)과 제2 게이트 배선(GL2)은 컨택홀(CH)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게이트 배선(SGL)은, 입력받은 게이트 신호를 컨택홀을 통하여 제2 게이트 배선(GL2)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Ⅰ-Ⅰ’ 구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게이트 배선(GL2), 서브 게이트 배선(SGL) 및 데이터 배선(DL)은 기판(60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601) 상부에는 기판(601) 및 기판(601)상에 생성되는 각종 배선의 보호를 위한 제1 절연층(6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602) 상부로는 제2 게이트 배선(GL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게이트 배선(GL2)과 데이터 배선(DL)은 사이에 제2 절연층(60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서브 게이트 배선(SGL)은, 사이에 제2 절연층(603)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절연층(603)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컨택홀(CH)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지 않은 표시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부분을 제외하면, 도 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도 2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부분을 설명하고 나머지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10)는 도 2에 도시된 제1 게이트 배선(GL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모든 게이트 배선(GL2,GL3)이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110)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서브 게이트 배선(S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서브 게이트 배선(S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3 게이트 배선(GL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게이트 배선(SGL)이 형성되는 영역의 일부 영역인 E는 도 2의 B영역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서브 게이트 배선(SGL)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일부 영역인 D는, 도 2의 A 영역과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게이트 배선(SGL)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의 일부 영역인 D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D’를 참조하면 E 영역과는 달리 서브 게이트 배선(SGL)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E 영역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게이트 배선(GL2)에 가장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3 게이트 배선(GL3)중 하나의 저항값 및 커패시턴스값과, 제3 게이트 배선(GL3)에 가장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게이트 배선(GL2) 및 이와 연결된 서브 게이트 배선(SGL)의 저항값 및 커패시턴스값은 큰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등, 표시 장치(1000)의 표시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6, 도 7, 도 4 및 도dd가 참조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3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3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3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나타나는 휘도 편차의 개략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하는 제2 게이트 배선(GL2) 및 제3 게이트 배선간(GL3)에는 저항값과 커패시턴스값의 차이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저항값 및 커패시턴스 값에 의하여 계산되는 RC딜레이값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게이트 배선(GL2)에 의하여 게이트 신호를 제공받는 화소들이 위치한 제2 게이트 배선 영역(112)과, 제3 게이트 배선(GL3)에 의하여 게이트 신호를 제공받는 화소들이 위치한 제3 게이트 배선 영역(111)의 경계에서는 휘도 편차가 시인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제2 게이트 배선 영역(112)과 제3 게이트 배선 영역(111) 내에서는 저항값, 커패시턴스 값 및 RC 딜레이 값의 변화가 점진적이므로, 휘도 편차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게이트 배선(GL1)을 포함하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10)는, 이러한 표시 휘도 편차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10, 도 11 및 도 12가 참조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1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저항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1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제1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과, 제2 게이트 배선 및 서브 게이트 배선의 RC딜레이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하는 제1 게이트 배선(GL1) 및 제2 게이트 배선(GL2)간에 저항값과 커패시턴의 차이가 급격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RC딜레이값 역시 점진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휘도 편차는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제1 게이트 배선(GL1)의 저항값 및 제2 게이트 배선(GL2)과 서브 게이트 배선(SGL)의 저항값이 동일하게 측정되는 지점으로 영역 경계선(111)을 설정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부의 게이트 배선 구조를 사용하는 표시 패널의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표시부의 게이트 배선 구조를 사용하는 표시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표시부(110)의 게이트 배선들의 배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표시부(110)의 게이트 배선들의 배치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게이트 구동부(300)가 차지하는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게이트 구동부(300)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집적 회로(미도시) 또는 스테이지(미도시)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300)는 표시부(110)의 우측 상단 모서리의 외곽 영역에 한하여 배치되는 데 반해, 도 14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300)는, 표시부(110) 상단 모서리의 모든 외곽 영역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300)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부(300)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000)를 제작하는 데 비하여, 제작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을 구동하는 데 필요한 게이트 신호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거나, 게이트 신호의 펄스 하나의 주기를 증가시켜 표시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15 및 도 16이 참조된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표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표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표시부(110)는 모두 행의 방향으로 4개의 라인, 열의 방향으로 8개의 라인을 갖는 총 32개의 화소(PX11~PX48)로 구성된다. 32개의 화소(PX11~PX48)의 개수는 예시적인 도시로써, 이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표시부(110)는 많은 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32개의 모든 화소(PX11~PX48)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배선(D1~D8)의 개수는 8개이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게이트 배선(G1~G7)의 개수는 7개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32개의 모든 화소(PX11~PX48)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 배선의 개수는 8개(D1~D8)로 도 1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게이트 배선(G1~G11)의 개수는 11개로 도 15에 도시된 표시부(110)보다 더 많은 수의 게이트 배선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부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2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부분을 제외하면, 도 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도 2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부분을 설명하고 나머지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데이터 배선(DL) 및 서브 게이트 배선(SGL)이 모두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나, 도 2와는 달리 데이터 배선(DL) 3개마다 서브 게이트 배선(SGL)이 1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3 방향의 기울기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서브 게이트 배선(SGL) 1개마다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의 숫자는 변경될 수 있으며, 규칙적인 배치가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부분을 제외하면, 도 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도 1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부분을 설명하고, 나머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를 참조하면, 신호 제어부(200)는 프레임 메모리(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제1 영상 데이터(DAT1)를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프레임 메모리(210)는, 영상 처리되어 출력되는 제2 영상 데이터(DAT2)를 각 화소로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정렬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15가 다시 참조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사용되던 일반적인 게이트 배선은 가로로 복수 개 배치되므로, 화소의 첫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행 단위로 순서대로 데이터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5를 참조하면, 종래 사용되던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게이트 배선(G1)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면, 1열 내지 5열의 데이터 배선(D1~D5)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따라서 1행 1열 내지 1행 5열 화소(PX11~PX15)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두번째 게이트 배선(G2)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면, 1열 내지 6열의 데이터 배선(D1~D6)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따라서 2행 1열 내지 2행 5열 화소(PX21~PX25) 및 1행 6열 화소(PX16)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번째 게이트 배선(G3)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면, 1열 내지 7열의 데이터 배선(D1~D7)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따라서 3행 1열 내지 3행 5열 화소(PX31~PX35), 2행 6열 화소(PX26) 및 1행 7열 화소(PX17)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네번째 게이트 배선(G4)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면, 1열 내지 8열의 데이터 배선(D1~D8)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따라서 4행 1열 내지 4행 5열 화소(PX41~PX45), 3행 6열 화소(PX36), 2행 7열 화소(PX27) 및 1행 8열 화소(PX18)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섯번째 게이트 배선(G5)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면, 6열 내지 8열의 데이터 배선(D6~D8)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따라서 4행 6열 화소(PX46), 3행 7열 화소(PX37) 및 2행 8열 화소(PX28)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여섯번째 게이트 배선(G6)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면, 7열 및 8열의 데이터 배선(D7,D8)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따라서 4행 7열 화소(PX47) 및 3행 8열 화소(PX38)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곱번째 게이트 배선(G7)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면, 8열의 데이터 배선(D8)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따라서 4행 8열 화소(PX48) 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프레임 메모리(210)는 데이터 구동부(400)로 제공되는 제2 영상 데이터(DAT2)의 데이터의 기입 순서로써, 첫번째로 1행 1열 내지 1행 5열 화소(PX11~PX15)의 계조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으로 2행 1열 내지 2행 5열 화소(PX21~PX25) 및 1행 6열 화소(PX16)의 계조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으로 3행 1열 내지 3행 5열 화소(PX31~PX35), 2행 6열 화소(PX26) 및 1행 7열 화소(PX17)의 계조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으로 4행 1열 내지 4행 5열 화소(PX41~PX45), 3행 6열 화소(PX36), 2행 7열 화소(PX27) 및 1행 8열 화소(PX18)의 계조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으로 4행 6열 화소(PX46), 3행 7열 화소(PX37) 및 2행 8열 화소(PX28)의 계조 정보를 포함하고, 다음으로 4행 7열 화소(PX47) 및 3행 8열 화소(PX38), 다음으로 4행 8열 화소(PX48)의 계조 정보를 포함하는 순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게이트 배선(G1~G7) 또는 데이터 배선(D1~D8)의 배치 구조에 따라서 다른 순서로 데이터를 기입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110)에 배치되는 게이트 배선(G1~G7)의 구조에 따라 일부 게이트 신호는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게이트 배선(G1)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될 때, 1열 1행 내지 1열 6행 화소(PX11~PX16)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1열 내지 5열의 데이터 배선(D1~D5)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다섯번째 게이트 배선(G5)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를 동시에 제공한다면, 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는 4행 6열 화소(PX46), 3행 7열 화소(PX37) 및 2행 8열 화소(PX28)에 제공되므로, 6열 내지 8열의 데이터 배선(D6~D8)에도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 배선이 없이 효율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게이트 배선(G2)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될 때, 2열 1행 내지 2열 5행 화소(PX21~PX25) 및 1열 6행 화소(PX16)에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므로, 1열 내지 6열의 데이터 배선(D1~D6)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여섯번재 게이트 배선(G6)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를 동시에 제공한다면, 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는 4행 7열 화소(PX47) 및 3행 8열 화소(PX38)에 제공되므로, 7열 및 8열의 데이터 배선(D7, D8)에도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네번째 게이트 배선(G4)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4열 1행 내지 4열 5행 화소(PX41~PX45), 3열 6행 화소(PX36), 2열 7행 화소(PX27) 및 1열 8행 화소(PX18)에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므로, 1열 내지 8열의 데이터 배선(D1~D8) 전부에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어, 다른 게이트 배선에 동시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제공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즉, 게이트 구동부(300)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하나의 게이트 배선에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시 패널
110: 표시부
120: 비표시부
200: 신호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데이터 구동부

Claims (21)

  1.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게이트 배선;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인 표시 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일단은,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표시 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저항값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저항값과 동일한 표시 패널.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길이와 동일한 표시 패널.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동일 층에 형성되는 표시 패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패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서 복수의 상기 데이터 배선과 교차되며, 복수의 상기 화소와 연결되는 표시 패널.
  9.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게이트 배선,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 반복되며 상기 제3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복수의 상기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복수의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인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게이트 배선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일단은, 상기 복수의 제2 게이트 배선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으로 제공되는 상기 게이트 신호는,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저항값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저항값과 동일한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하나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게이트 배선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하나 및 이와 연결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의 총 길이와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되,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데이터 배선과 동일 층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제2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서 복수의 상기 데이터 배선과 교차되는 표시 장치.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중 하나의 외곽 영역에 모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배치되는 영역보다 작은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프레임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메모리는, 복수의 상기 화소에 상기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정렬시키는 표시 장치.
  2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어느 하나에 온 레벨의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복수의 상기 제1 게이트 배선 중 적어도 하나와, 복수의 상기 제2 게이트 배선 중 적어도 하나에 동시에 온 레벨의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온 레벨의 상기 게이트 신호가 제공되는 복수의 상기 화소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 표시 장치.
KR1020140175766A 2014-12-09 2014-12-09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263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66A KR102263252B1 (ko) 2014-12-09 2014-12-09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US14/690,130 US9728150B2 (en) 2014-12-09 2015-04-17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66A KR102263252B1 (ko) 2014-12-09 2014-12-09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240A true KR20160070240A (ko) 2016-06-20
KR102263252B1 KR102263252B1 (ko) 2021-06-10

Family

ID=5609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66A KR102263252B1 (ko) 2014-12-09 2014-12-09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28150B2 (ko)
KR (1) KR102263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3943B (zh) * 2016-10-26 2019-09-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以及驱动方法
US11282474B1 (en) * 2019-01-15 2022-03-22 Rockwell Colli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region displays
WO2021184300A1 (zh) * 2020-03-19 2021-09-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812A (ko) * 2003-12-24 2005-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08980A (ko) * 2006-07-20 2008-01-2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화상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120004119A (ko) * 2010-07-06 2012-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8021A (ja) * 2001-09-28 2003-04-11 Hitachi Ltd 表示装置
KR100739284B1 (ko) 2006-05-16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30129009A (ko) * 2012-05-18 2013-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36368B1 (ko) 2012-07-11 2019-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20152B1 (ko) 2014-03-13 2021-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812A (ko) * 2003-12-24 2005-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08980A (ko) * 2006-07-20 2008-01-2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화상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120004119A (ko) * 2010-07-06 2012-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3633A1 (en) 2016-06-09
KR102263252B1 (ko) 2021-06-10
US9728150B2 (en)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0592B2 (en) Pixel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0629109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EP2506238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same
US9671535B2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US8330711B2 (en) Display device
KR10259675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94775B1 (ko) 영상 처리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US1089663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2455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877342B2 (en) Display device
US20190043892A1 (en) Display device
KR102263252B1 (ko)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10213286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153381B1 (ko) 표시장치
US8896635B2 (en) Display device
US8994635B2 (en) Display device
KR10074197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901339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3255903A (ja) 表示装置
KR102460861B1 (ko) 멀티 타입의 빅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324672B2 (ja) 表示装置
US11929039B2 (en) Display device
KR1023069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4392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대형 액정 표시장치
KR101447257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