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356A -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 Google Patents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356A
KR20160069356A KR1020140175214A KR20140175214A KR20160069356A KR 20160069356 A KR20160069356 A KR 20160069356A KR 1020140175214 A KR1020140175214 A KR 1020140175214A KR 20140175214 A KR20140175214 A KR 20140175214A KR 20160069356 A KR20160069356 A KR 2016006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bee venom
frame
be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진
Original Assignee
한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진 filed Critical 한성진
Priority to KR102014017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356A/ko
Publication of KR2016006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소비가 수납되어 있는 벌통의 상부를 덮는 봉독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되어 있는 중앙에 벌통 내부에 있는 벌들이 거꾸로 매달릴 수 있는 그물망을 설치하고, 그물망의 하부에는 그물망에 매달린 벌에게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을 가하는 전극봉을 설치한 후, 그물망 상부에 유리판을 위치시켜 벌통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벌통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벌통 내부에서 봉독을 안정적이고 대량으로 채집할 수 있게 한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DEVICE FOR COLLECTING APITOXIN}
본 발명은 다수의 소비가 수납되어 있는 벌통의 상부를 덮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되어 있는 중앙에 벌통 내부에 있는 벌들이 거꾸로 매달릴 수 있는 그물망을 설치하고, 그물망의 하부에는 그물망에 매달린 벌에게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을 가하는 전극봉을 설치한 후, 그물망 상부에 유리판을 위치시켜 벌통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벌통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벌통 내부에서 봉독을 안정적이고 대량으로 채집할 수 있게 한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들이 쏘는 침 속에 포함되어 있는 봉독(BEE VENOM 또는 APITOXIN)은 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기 전부터 경험적 측면에서 질병의 치료효과가 인정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봉독의 주성분인 멜리틴(Melittin)은 염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세포손상을 막는 효과가 있고, 봉독의 다른 성분인 아파민(Apamin)은 부신선의 활동을 촉진하여 코티존(Cortisone)을 분비시키며 이러한 코티존은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그에 따라, 봉독은 류머티즘의 치료와 예방효과 뿐만 아니라, 좌골신경과 점액낭염 그리고 건염(腱炎)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 밖에도 혈액응고를 방지하는 효과와 근육을 풀어주며 혈압을 낮추고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키는 효과 등 다양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봉독을 양질의 상태로 채취하기 위해서는 오염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과 아울러, 각 벌에서 생산되는 양이 미미하기 때문에 벌들로부터 개별적으로 채취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현재까지는 다량의 봉독을 채취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6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벌들이 벌통으로 출입하는 입구인 벌통의 외부에 봉독 채집기를 설치함으로써, 벌통으로 들어가거나 나오기 위해 입구 앞으로 모이는 벌들로부터 봉독을 채취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벌통의 외부에 봉독 채집기를 설치할 경우 채집된 봉독이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으므로, 어렵게 채집한 봉독에 흙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게 되어 오염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짐은 물론, 비가 올 경우에는 봉독이 채집되어 있는 유리판에 비가 고이면서 봉독이 빗물에 쓸려 나갈 우려가 커지는 등 여러 문제점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이처럼 벌통의 입구 외부에 봉독 채집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아무리 크고 넓은 채집기를 설치하더라도, 벌이 모이는 영역이 벌통의 입구로 제한되기 때문에, 채집기 전체 중 아주 협소한 영역에서만 봉독의 채취가 가능하게 되므로, 봉독의 채집율과 수거율이 미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경우에는 봉독 채집기가 벌통의 입구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환경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수 밖에 없었는바, 애써 채집한 봉독이 오염되거나 쓸려나가서 못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독 채취기를 사람이 계속 관리하면서 보호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자의 노력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봉독 채집을 위해서는 벌이 멈추어 있어야 하므로, 벌통 밖을 날아다니는 벌을 모아서 봉독을 채집할 수 있는 마땅한 공간을 새로이 형성하기는 어려웠는바, 벌통 입구와 같이 외부 환경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채집한 봉독을 작업자가 수거할 때까지 안전하게 보호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봉독 채집수단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672호
본 발명은 관통되어 있는 중앙에 벌통 내부에 있는 벌들이 거꾸로 매달릴 수 있는 그물망을 설치하고, 그물망의 하부에는 그물망에 매달린 벌에게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을 가하는 전극봉을 설치한 후, 그물망 상부에 유리판을 위치시켜 벌통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벌통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벌통 내부에서 봉독을 안정적이고 대량으로 채집할 수 있게 한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봉독 채집을 위한 공간을 벌통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가로질러 덮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이 생성되는 전극봉; 상기 전극봉의 상부에 위치하여 벌통의 내측 상부에 벌들이 매달릴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격자 구조의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서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져 덮개 프레임을 밀폐시키며, 그 저면에 봉독이 채집되는 것을 볼 수 있는 투명한 유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그물망에는 그물망을 전극봉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망고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망고정부는, 상기 전극봉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지지하는 바(bar) 또는 끈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그물망을 묶어 고정시키는 매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 프레임의 모서리 하부에는 아래를 향하여 돌출된 지지턱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턱은 벌통의 내측 상부 모서리에 접하는 ‘ㄱ’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턱 사이의 공간은 봉독채집 후 그물망에 붙어 있는 벌들을 봉솔을 이용하여 쉽게 털어 낼 수 있는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벌통의 내부 공간에 채집된 봉독이 모일 수 있게 함으로써, 벌통 외부 환경에 영향 받지 않고 이물질이나 빗물에 오염되지 않은 양질의 봉독을 안정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벌통 입구(소문)에 설치하여 봉독을 채취하는 종래의 채집기는 소문을 통해 출입하는 한정된 일부 벌들에게서만 봉독을 채집할 수 있음에 반하여, 본 발명은 벌통 내부에 있는 모든 벌들에게서 양질의 봉독을 고르게 채집할 수 있어, 채집 효율을 2~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배면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봉독 채집을 위한 공간을 벌통의 내측 상부에 형성하는 덮개 프레임(100)과,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가로질러 덮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이 생성되는 전극봉(200)과, 상기 전극봉의 상부에 위치하여 벌통의 내측 상부에 벌들이 매달릴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격자 구조의 그물망(300)과,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서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져 덮개 프레임을 밀폐시키며 그 저면에 채집하려는 봉독이 누적되는 판형의 채집 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덮개 프레임(100)은, 다수의 소초(30)가 수납되어 있는 벌통(20)의 상부를 덮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빗물이 벌통인 소상이나 그 내부에 수납된 소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봉독 채집기(10)의 외부 틀 구조를 형성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덮개 프레임(100)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빈 공간에 상기 전극봉과 그물망 및 채집 플레이트가 적층되듯이 순차적으로 수납되어야 하는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프레임을 창틀처럼 사각형의 형태로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 프레임(100)의 모서리 하부에는 아래를 향하여 돌출된 지지턱(11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턱(110)은 벌통의 상부에 끼워지면서 벌통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덮개 프레임(100)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여 작은 외력에 의해 덮개 프레임(100)이 벌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턱(110)은 덮개 프레임(100)의 저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프레임(100)의 저면 모서리 측에만 일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턱(110)은 벌통의 내측 상부 모서리에서 두 개의 면에 모두 접할 수 있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턱(110)이 덮개 프레임의 저면 모서리 측면에만 형성될 경우, 봉독을 채집한 후 상기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벌을 빗자루 등의 봉솔로 털어낼 때 상기 지지턱에 걸리지 않고 소상 내부로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게 되어 봉독 채집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덮개 프레임의 저면에서 지지턱 사이의 공간은 봉독 채집 작업시에 벌이 빠지는 벌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턱(110)의 각 면에는 외부에서 끼워지는 연장바(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홀(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홀(120)에 연장바를 끼워 상기 지지턱(110)이 벌통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연장바에 걸리게 함으로써, 소초 상부와 덮개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적인 벌집의 경우 하나의 벌통(20)에 12개의 소초(30)가 수납되며, 봉독 채집기(10)를 덮은 상태에서는 소초 상부와 덮개 프레임 저면 사이에 약 1~2cm의 공간밖에 남지 않게 되므로 벌이 많을 경우 그 공간만으로는 많은 벌이 모이기 협소하게 되는바, 상기 연장홀(120)에 연장바를 끼우고 그 연장바가 벌통의 상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소초 상부와 덮개 프레임 저면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면서 보다 많은 벌로부터 봉독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극봉(200)은, 상기 덮개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빈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덮개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금속 재질의 봉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극봉(200)은 상기 그물망(300)에 매달린 상태로 벌통 내부의 천정에 매달려 있는 벌들에게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그물망에 벌들이 매달릴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봉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극봉(200)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210)가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통상적인 봉독 채집기와 동일하며, 이러한 전원공급부(210)의 + 단자와 - 단자를 통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어 알루미늄과 같은 도체로 이루어진 전극봉(200)에서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을 생성할 수 있게 됨은 벌통 외부의 입구 측에 설치되던 종래의 봉독 채집기와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그물망(300)은, 벌들이 매달릴 수 있는 얇은 선들이 촘촘한 격자구조를 형성하는 격자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봉(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그물망(300)은 벌통의 내측 상부에서 벌들이 매달릴 수 있는 수단으로 구비되어 벌통 내부의 천정에 벌들이 매달릴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300)은 덮개 프레임에 설치될 때 상기 전극봉에 접하게 되는바, 전극봉으로 흐르는 전류가 그물망으로도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도체성 재질로 형성되며, 대략 2~4mm 간격을 갖는 격자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물망에 매달린 상태에서 주변에 있는 전극봉으로 흐르는 미세한 전류에 의해 배출하는 봉독이 상기 채집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누적 저장되기 위해서는 상기 채집 플레이트와 그물망 사이의 간격이 가깝게 밀착되어 있어야 한다.
즉, 상기 그물망(300)이 일정부분에서 아래로 처져서 상기 채집 플레이트(400)와 그물망(30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게 될 경우에는 벌이 배출한 봉독이 상기 채집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고 아래로 떨어질 우려가 있게 된다. 상기 그물망(300)이 처져서 상기 전극봉(200) 아래로 늘어질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그물망(300)을 전극봉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망고정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망고정부로서,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전극봉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지지하는 바(bar) 또는 끈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그물망을 묶어 고정시키는 매듭부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즉,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망고정부(310)로서 상기 전극봉과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3개의 바 또는 끈을 설치하고, 이러한 3개의 바 또는 끈에 상기 전극봉과 그물망을 함께 묶어 매듭지음으로써 그물망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망고정부(310)를 이루는 3개의 바 또는 끈은 그물망 전체를 고르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망고정부(310)를 이르는 3개의 바 또는 끈에 전극봉과 그물망을 함께 묶는 매듭부의 개수를 상기 덮개 프레임의 크기 또는 그물망의 재질 등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하게 증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망고정부에 의해 그물망이 전극봉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상기 그물망 상부에 놓이는 채집 플레이트와 그물망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봉독의 채집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채집 플레이트(400)는, 상기 덮개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져 덮개 프레임을 밀폐시켜 벌통의 덮개를 형성하는 판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 플레이트(100)에 끼워지면서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 위치하여 벌들이 배출하는 봉독이 저면에 모이는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채집 플레이트(400)는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상태로 끼워지게 할 수도 있으나, 덮개 프레임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움직일 우려가 크지 않은바 단순히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놓여서 덮개 프레임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채집 플레이트(400)는 봉독이 채집된 상황을 외부에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덮개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유리로 이루어진 채집 플레이트(400)를 끼우고 벌통의 상부에 결합하여 봉독을 모은 후, 채집 플레이트의 저면에 모인 봉독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큐방과 같은 진공흡착기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덮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 저면에 묻어 있는 봉독을 긁어내는 등 수거함으로써, 이물질이나 빗물과 같은 외부환경에 영향 받지 않은 양질의 봉독을 채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를 이용하여 봉독을 채집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매듭부와 같은 망고정부(310)에 의해 그물망(300)을 전극봉(20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늘어지거나 처지지 않게 한 후, 덮개 프레임(10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채집 플레이트(400)를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덮개 프레임에 끼워진 채집 플레이트(400)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더라도 덮개 프레임(100)의 내측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채집 플레이트가 결합된 봉독 채집기(10)를 다수의 소초(30)가 수납되어 있는 벌통(20)의 상부에 덮개로 결합하게 된다.
이처럼 봉독 채집기를 덮개로 하여 벌통을 덮은 상태에서 벌통 내부에 있는 벌들 중 일부가 벌통 내부 천정에서 그물망(300)에 매달리게 된 후, 전극봉(200)으로 가해지는 자극에 의해 봉독을 배출하면, 배출된 봉독은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채집 플레이트(400)에 누적된 상태로 쌓이게 된다.
이때, 처음에는 적은 수의 벌들이 천정의 그물망에 매달려 봉독을 배출하지만, 이후에는 페로몬 효과로 인하여 벌통 내부있는 모든 벌들이 함께 매달려서 봉독을 배출하게 된다. 이 경우 벌통의 입구(소문)에 설치해서 외부로 나왔다 들어가는 일부 벌들에게만 봉독을 채집하던 종래의 봉독 채집기와는 달리, 채집 플레이트(400) 저면 전체에 걸쳐 봉독을 채집할 수 있게 되어 채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적인 봉독 채집과정처럼 약 15분 동안 전극봉으로 전기를 공급하면서 봉독을 채집한 후 다른 벌통으로 이동하여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며 봉독을 채집할 수 있게 된다.
봉독의 채집이 완료된 후에는, 봉독 채집기(10)를 벌통(20)에서 분리하고, 큐방과 같은 진공흡착기를 이용하여 유리판으로 이루어진 채집 플레이트(400)를 덮개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한 후, 채집 플레이트(400)의 저면에 묻어 있는 봉독을 긁어서 채집하게 된다.
이때, 15분 동안 봉독의 채집이 완료된 후에도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벌들은 빗자루 등의 봉솔을 이용하여 쓸어내면서 벌통속으로 떨어뜨려야 되는데, 상기 덮개 프레임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만 지지턱(110)이 구비되고, 지지턱 사이의 공간은 비어 있게 되는바, 그물망에서 쓸려나온 벌들이 벌통속으로 쉽게 떨어져 내리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봉독 채집기 20 - 벌통
30 - 소초
100 - 덮개 프레임 110 - 지지턱
120 - 연장홀
200 - 전극봉 210 - 전원공급부
300 - 그물망 310 - 망고정부
400 - 채집 플레이트

Claims (2)

  1. 내부가 비어 있는 틀 구조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봉독 채집을 위한 공간을 벌통의 내측 소초 상부에 형성하는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가로질러 덮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봉독 배출을 유도하는 자극이 생성되는 전극봉;
    상기 전극봉의 상부에 위치하여 벌통의 내측 상부에 벌들이 매달릴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격자 구조의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상부에서 상기 덮개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져 덮개 프레임을 밀폐시키며, 그 저면에 봉독이 채집되는 것을 볼 수 있는 투명한 유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프레임의 모서리 하부에는 아래를 향하여 돌출된 지지턱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턱은 벌통의 내측 상부 네모서리에 접하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턱이 없는 공간은 봉독 채집시 그물망에 붙어 있는 벌을 봉솔로 쉽게 떨쳐 낼 수 있어 벌을 상처 없이 털어내는 배출구를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KR1020140175214A 2014-12-08 2014-12-08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KR20160069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14A KR20160069356A (ko) 2014-12-08 2014-12-08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214A KR20160069356A (ko) 2014-12-08 2014-12-08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356A true KR20160069356A (ko) 2016-06-16

Family

ID=5635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214A KR20160069356A (ko) 2014-12-08 2014-12-08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3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2395A (zh) * 2016-08-30 2016-12-14 惠州学院 红火蚁取毒装置
CN114902980A (zh) * 2022-06-28 2022-08-16 深圳市蜜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刺激蜜蜂排毒的蜂毒提取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72B1 (ko) 2010-07-16 2010-12-23 (주)비센 봉독 채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672B1 (ko) 2010-07-16 2010-12-23 (주)비센 봉독 채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2395A (zh) * 2016-08-30 2016-12-14 惠州学院 红火蚁取毒装置
CN114902980A (zh) * 2022-06-28 2022-08-16 深圳市蜜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刺激蜜蜂排毒的蜂毒提取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488103U (zh) 一种用于大棚种植便于清理的捕蚊虫灯
KR20160069356A (ko) 오염물질 혼입을 막는 벌통 덮개형 봉독 채집기
KR20140055555A (ko)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CN211407266U (zh) 一种脉冲式电子取毒器
JP2012200063A (ja) 碍子メンテナンス補助具
US20170156303A1 (en) Insect trap
CN108967394A (zh) 一种石榴种植用害虫捕获诱杀装置
CN216452802U (zh) 一种防粘连的农业诱捕杀虫装置
WO2017193524A1 (zh) 一种杀虫灯电网清理方法及装置
KR101771578B1 (ko) 전기집진기의 나선형 방전극
JP3268466B2 (ja) 電気集塵装置
CN210675844U (zh) 便携式土壤动物筛捡装置
CN210130259U (zh) 一种太阳能熔蜡器
KR200480815Y1 (ko) 양봉용 수평 격왕판
US3914812A (en) Bee-hive
CN207430696U (zh) 一种茶叶加工用多层次茶叶筛选装置
CN213719497U (zh) 一种可拆卸清洗灭蚊灯
CN219844696U (zh) 一种茶叶种植用杀虫设备
KR101368341B1 (ko) 봉독채집방법
CN212606969U (zh) 一种中药饮片杀菌装置
CN214903301U (zh) 一种多功能灭蚊拍
CN213695393U (zh) 一种植物保护灭虫灯
CN212236335U (zh) 一种生活污水用处理装置
JP2004313161A (ja) プロポリス採集方法及びその器具
CN220589256U (zh) 一种人工湿地水处理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