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708A -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708A
KR20160068708A KR1020160062694A KR20160062694A KR20160068708A KR 20160068708 A KR20160068708 A KR 20160068708A KR 1020160062694 A KR1020160062694 A KR 1020160062694A KR 20160062694 A KR20160062694 A KR 20160062694A KR 20160068708 A KR20160068708 A KR 2016006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handle
cut
fold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다혜
Original Assignee
강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다혜 filed Critical 강다혜
Priority to KR102016006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708A/ko
Publication of KR2016006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05Pocket or folding 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4Guards or sheaths for scissors, e.g. combined with manicuring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절단부에는 각각의 경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의 회동하는 면을 향해 각각의 손잡이가 회전하여 접철되고,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중 칼날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Scissors can using handle to scissors protecter}
본 발명은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절단부에는 각각의 경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의 회동하는 면을 향해 각각의 손잡이가 회전하여 접철되고,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중 칼날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가위는 매우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온 공작도구이다.
종래에는 여러 학년의 교과과정 중 미술관련 수업에 가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구용 가위들은 여러 무늬로 피절단체를 자를 수 있도록 고안된 것들도 있는데 이를 테면 물결무늬, 지그재그무늬 등등이 있으며, 대다수의 학생들은 교과 준비물로 가위를 구비하고 여러 종류의 가위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가위는 일측에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과 보관에 유의해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가위의 칼날이 형성된 부분을 보호하는 가위집을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러 차례 가위집에서 가위를 빼낸 후 사용하고 나면 쉽게 가위집을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10-0132653에서는 내삽홈이 구비된 가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내삽홈이 구비된 가위는 절단날과 손잡이를 포함한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의 외측에는 상기 절단날(10)을 펼쳤을 경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삽홈(30)을 포함한다.
내삽홈이 구비된 가위는 일반적으로 가위의 회동을 위해 절단날(10)을 교차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두개의 절단날(10)이 각각 회전하여 내삽홈(30)에 삽입되는 구조인데,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날(10)의 날카로운 부분 중 일부가 내삽홈(30)으로 삽입되지 않기때문에 보관 중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절단날(10)을 내삽홈(30) 내부로 삽입하여 보관한다해도, 상기 절단날(10)이 임의로 회전하여 날카로운 부분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가 없기 때문에 쉽게 절단날(10)이 내삽홈(30) 내부에서 자리를 이탈하므로 이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점들이 도출된 바,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별도의 가위집이 필요하지 않은 가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각각의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절단부에는 각각의 경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의 회동하는 면을 향해 각각의 손잡이가 회전하여 접철되고,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중 칼날에 의해 상해를 입지않도록 하는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에는 가위날이 형성된 절단부와, 타측에는 상기 절단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두개의 가위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서로 대칭인 형태로 결합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손잡이부가 절단부의 작동면 방향으로 접철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손잡이부 사이의 절단부 외측면에 경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가위날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위날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위날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끝단 외측면에 상기 손잡이부가 절단부의 작동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경첩부, 및 상기 경첩부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부부터 회전부까지 포함하여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통공이 형성된 가위자루, 상기 나사통공으로 삽입되며 삽입정도에 따라 상기 수용홈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와 연결부의 인출입거리를 조절하는 조임나사, 상기 가위자루에서 더 연장되며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절단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가위날 외측면 방향으로 접철되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수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에 따르면, 각각의 손잡이부가 절단부의 회동하는 면을 향해 회전하여 덮어지므로 가위의 부피를 줄여 휴대하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홈 내부로 고정부부터 회전부까지 삽입한 후 조임나사로 수용홈을 단단히 가압하여 가위를 사용할 때는 손잡이부가 접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날개부가 더 돌출되므로 손잡이부가 절단부의 회동하는 면을 향해 회전하여 덮어질 때 설단부의 선단까지 모두 덮어지므로 가위날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종래기술인 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의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인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는 일측에는 가위날(110)이 형성된 절단부(100)와, 타측에는 상기 절단부(100)와 결합되는 손잡이부(200)가 형성된 두개의 가위부재가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서로 대칭인 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는 각각의 손잡이부(200)가 절단부(100)의 작동면 방향으로 접철되므로 손잡이부(200)가 절단부(100)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의도치 않은 상해를 입히지 않게된다.
참고로 상기 각각의 절단부(100)와 손잡이부(200)를 포함하는 두개의 가위부재는 서로 대칭이므로 하나의 가위부재에 대해 설명하더라도 이는 대칭이되는 또 하나의 가위부재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를 설명하기 위해 지시하는 방향에 대해 기술하자면, 내측은 상기 대칭이 되는 가위부재가 회전축(300)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접하게 되는 방향 즉 회전축(30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며, 외측은 반대로 상기 회전축(300)의 양단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의 구성요소와 바람직한 사용 실시예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소개한 후 함께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절단부(100)는 가위날(110), 및 상기 회전축(300)을 기준으로 상기 가위날(11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위날(1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00)의 선단부터 길이방향으로 날카롭게 형성된다.
상기 가위날(110)은 일반적인 가위에도 적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가위날(110)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부(121), 상기 고정부(121)의 끝단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첩부(122) 및 상기 경첩부(122)와 연결되는 회전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21)는 상기 가위날(11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부(2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1)가 손잡이부(200)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121)의 끝단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첩부(122) 및 경첩부(122)와 연결되는 회전부(123)는 손잡이부(200)에 삽입된 채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각각의 가위날(110)은 임의로 회동하지 않고, 이로써 사용자가 가위질을 할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경첩부(122)는 상기 고정부(121)의 끝단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경첩부(122)가 고정부(121)의 끝단 외측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손잡이부(200)에 단지 회전부(123)만 삽입되고 경첩부(122)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경첩부(122)에 의해 각각의 손잡이부(200)가 절단부(100)가 회동하는 면의 방향으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부(123)는 상기 경첩부(122)에 의해 상기 고정부(121)와 연결된다.
상기 회전부(123)는 상기 회전축(300)과 수평이 되는 방향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수용홈(124)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태로 일정 깊이로만 함몰형성된다.
한편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200)는 가위자루(210), 조임나사(220), 및 파지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부(200)는 상기 절단부(10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날개부(2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가위자루(210)는 상기 고정부(121)부터 회전부(123)까지 포함하여 삽입되는 삽입홈(211), 및 상기 수용홈(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통공(212)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211)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23)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경첩부(122) 및 고정부(12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23)의 끝단부터 삽입홈(211)으로 밀어 넣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1)까지 삽입되면, 삽입홈(211)의 제한된 내부공간으로 인해 경첩부(122)는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는 가위날(110)이 고정된 상태로 가위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회전시켜 절단부(100)와 겹쳐지도록 접고 싶을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1)와 경첩부(122)를 삽입홈(211) 밖으로 빼내면 경첩부(122)에 의해 손잡이부(200)가 절단부(100)의 회동하는 면을 향해 접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부(200)를 절단부(100)의 회동하는 면방향으로 접철할 때 사용자가 회전부(123)의 전체가 빠져버리면 손잡이부(200)와 절단부(100)가 완전히 분리되어 다시 조립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상기 회전부(123)를 가위자루(210)와 분리되지 않도록 나사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가위자루(210)에는 회전축(300)의 양단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123)의 수용홈(124) 위치에 맞춰 나사통공(21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조임나사(220)는 상기 나사통공(212)으로 삽입되며 삽입정도에 따라 상기 수용홈(124)을 가압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조임나사(22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통공(21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조임나사(220)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으로 회전시켜 나사결합시키는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나사(220)는 나사머리를 제외하고 적어도 나사통공(212)의 높이와 상기 수용홈(124)의 높이를 합친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임나사(220)의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먼저 사용자는 수용홈(124)을 상기 나사통공(212)에 맞추도록 회전부(123)를 삽입홈(211)에 삽입하고 조임나사(220)를 상기 나사통공(212)에 삽입한다. 상기 조임나사(220)가 상기 나사통공(212)의 하단을 통과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24)의 내부에 조임나사(220)의 하단이 접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조임나사(220)는 상기 회전부(123)를 포함한 절단부(100)가 단지 수용홈(124)의 길이 내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제한하는 걸림턱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임나사(220)를 살짝 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나사(220)의 하단과 수용홈(124)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발생하므로 조임나사(220)의 가압이 풀리게 되되 아직 조임나사(220)가 수용홈(124)의 양단에 걸리도록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절단부(100)가 회동하는 면 방향으로 접고자 할때 손쉽게 경첩부(122)를 상기 삽입홈(211)에서 빼낸 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단부(10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위자루(210)의 끝단에는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30)는 일반적으로 가위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구성요소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파지부(230)의 끝단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0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날개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240)는 상기 절단부(100)의 외측면 방향으로 접철되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수단(241)이 부착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40)는 각각의 손잡이부(200)가 절단부(100)의 회동하는 면 방향으로 접철되었을 때 날카로운 가위날(11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날개부(240)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는 결합수단(24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똑딱이 단추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결합수단(241)을 서로 결합하면 손잡이부(200)가 손잡이부(200)가 절단부(100)의 회동하는 면 방향으로 접철된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자는 가위를 사용한 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100: 절단부 110: 가위날
120: 삽입부 121: 고정부
122: 경첩부 123: 회전부
124: 수용홈
200: 손잡이부 210: 가위자루
211: 삽입홈 212: 나사통공
220: 조임나사 230: 파지부
240: 날개부 241: 결합수단
300: 회전축

Claims (4)

  1. 일측에는 가위날이 형성된 절단부와, 타측에는 상기 절단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두개의 가위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서로 대칭인 형태로 결합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손잡이부가 절단부의 작동면 방향으로 접철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손잡이부 사이의 절단부 외측면에 경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가위날; 및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가위날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위날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끝단 외측면에 상기 손잡이부가 절단부의 작동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경첩부; 및
    상기 경첩부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고정부부터 회전부까지 포함하여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수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통공이 형성된 가위자루;
    상기 나사통공으로 삽입되며 삽입정도에 따라 상기 수용홈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와 연결부의 인출입거리를 조절하는 조임나사;
    상기 가위자루에서 더 연장되며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절단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가위날 외측면 방향으로 접철되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결합수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KR1020160062694A 2016-05-23 2016-05-23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KR20160068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94A KR20160068708A (ko) 2016-05-23 2016-05-23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94A KR20160068708A (ko) 2016-05-23 2016-05-23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08A true KR20160068708A (ko) 2016-06-15

Family

ID=5613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694A KR20160068708A (ko) 2016-05-23 2016-05-23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0397A (zh) * 2019-06-21 2022-01-18 跨大西洋销售欧洲有限责任公司 制造成对剪刀的方法和至少两对剪刀的组合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0397A (zh) * 2019-06-21 2022-01-18 跨大西洋销售欧洲有限责任公司 制造成对剪刀的方法和至少两对剪刀的组合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707B1 (ko) 회전형 면도기
FI108621B (fi) Työkalu, jossa on sisäänvedettävät pihtileuat
JP6430411B2 (ja) パウチストップを有する試料回収デバイス
US20060052818A1 (en) Surgical clamp and cutting blade
JPH0580238B2 (ko)
US20200373745A1 (en) Armored cable stripping tool for cutting the armor in two places
US4525928A (en) Blade opening scabbard for folding knife
WO2017188984A1 (en) Utility knife with blade guide to separate detachable blade segments from a multi-point utility blade
CA3026808C (en) Multi-function fishing tool
JP5745837B2 (ja) 処置具
US20090293284A1 (en) Cutting tool with multiple scissors tools
US5036591A (en) Utility knife
US6457238B1 (en) Eating utensil
US4461080A (en) Eviscerating and survival tool
KR20160068708A (ko) 손잡이가 가위집 역할을 하는 가위
CA2765278A1 (en) Blade snap-off holder
US20220016797A1 (en) Safety Knife
US6722044B2 (en) Sheet material cutting tool
EP3360491A1 (en) Assembly tool for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s and kit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CN213430423U (zh) 经皮双通道内镜手术刀装置
JP5592527B1 (ja) 遠隔把持道具用先端具
JPS6114997Y2 (ko)
CN106923876A (zh) 组织闭合装置及包括该组织闭合装置的医疗器械
CN215603730U (zh) 一种美容工具钳
JP3428982B1 (ja) 開梱用切開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