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834A -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834A
KR20160067834A KR1020167005803A KR20167005803A KR20160067834A KR 20160067834 A KR20160067834 A KR 20160067834A KR 1020167005803 A KR1020167005803 A KR 1020167005803A KR 20167005803 A KR20167005803 A KR 20167005803A KR 20160067834 A KR20160067834 A KR 20160067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ic acid
reference value
exhaust gas
amoun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124B1 (ko
Inventor
원준희
최남일
김재성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6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71Regulation of absorbents or adsorbents, e.g. purging
    • F01N3/0885Regeneration of deteriorated absorbents or adsorbents, e.g. desulfurization of NOx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5General auxiliary catalysts, e.g.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main catalyst
    • F01N3/106Auxiliary oxidation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8Control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e.g. dosing of reduc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generation or reactivation, e.g. of cataly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04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4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418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using integration or an accumulated value within an elapsed peri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4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422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measuring the elapsed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8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0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1N2900/102Travelling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2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젤내연기관에서 연료가 연소될 때에 배기가스가 생성되고, 그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의해 정화되는데, 배기가스가 정화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구비된 촉매장치(DOC & SCR)에 황산화물(SOx)이 생성되어 적층 되는데, 이러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of Exhaust After treatment device for elimination of sulfur}
본 발명은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중에 촉매장치(DOC & SCR)에 황산화물(SOx)이 생성되어 적층 되는데, 이러한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연료를 사용하는 디젤내연기관에서 연료가 연소될 때에 배기가스가 생성된다. 배기가스에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의 가스 상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가 이용된다.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는 촉매 장치가 이용된다. 촉매장치는 선택적 촉매 장치(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와 디젤산화촉매장치(DOC: Diesel Oxidation Catalyst)를 포함한다.
SCR은 유전체 장벽 방전(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를 이용하여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질소(NO)를 질소산화물(NO2)로 산화시킨 후에, 요소수용액을 첨가하여 질소산화물(NO2)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DOC는 배기가스의 탄화수소화합물(HC)과 일산화탄소(CO)가 무해한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산화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다른 한편으로, 촉매장치(DOC & SRC)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화 반응의 일부는 바람직하지 않은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고, 실제로 촉매의 효과에 역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촉매장치에서는 황산화물이 생성되고 적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이산화황(SO2)은 삼산화황(SO3)으로 산화되고, 삼산화황(SO3)은 수증기와 결합하여 기체상태의 황산(H2SO4)을 형성할 수 있다. 황산 증기는 다른 수증기와 결합하여, 엔진으로부터의 총 입자상미립자(PM) 배출을 평가할 때 미립자로서 검출되는 황산 입자를 발생시킨다. 황산화물은 촉매장치의 산화 활동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황산화물을 적절하게 제거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에 황산화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기술로는 섭씨 600도 이상의 고온 환경을 조성하면 탈황 과정이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촉매장치 에서 섭씨 600도 이상의 고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연료를 그만큼 많이 분사시켜야 하므로 연료낭비가 심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황 또는 황산화물 성분은 촉매 종류 및 황산화물 형태에 따라 촉매에 흡착 및 탈착되는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특정한 온도환경에서는 특정한 황성분이 제거되지만, 다른 특성의 황성분은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촉매장치를 재생할 때에 획일적인 재생제어로는 황산화물을 제거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8-0021123호(2008.03.06.)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0-0116898호(2010.11.02.)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6-0054423호(2006.05.22.)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6-0002178호(2006.01.0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에 연료를 주입하여 탈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고온 환경을 구현할 때에, 촉매장치에 흡착된 황 또는 황산화물 종류에 따라 재생주기와 탈착되는 조건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황산화물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가동시간, 엔진연료소비량, 차량운행거리 및 황산화물 발생량 중에 하나 이상의 차량의 운행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은 운행정보를 적산하여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 및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저온제어를 지령하는 제 1 처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고온제어를 지령하는 제 2 처리부; 상기 제 1 처리부로부터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1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을 제거하고, 상기 제 2 처리부의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황산화물 제거운전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처리부는 저온제어 지령을 발생한 후 상기 메모리부의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고온제어 지령을 발생한 후 상기 메모리부의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의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할 때 상기 메모리부의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도 함께 초기화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황산화물 제거운전부에서 제1온도 조건은 섭씨 400도 이상이고, 제2온도 조건은 섭씨 600도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고온제어 지령을 발생하는 수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제어부로부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고, 상기 메모리부의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과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는 것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1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암모늄((NH4)2SO4)이고, 상기 제2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구리(CuSO4)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입력부로부터 엔진가동시간, 엔진연료소비량, 차량운행거리 및 황산화물 발생량 중에 하나 이상의 차량의 운행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운행정보를 적산하여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 및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생성하는 적산단계; 상기 적산단계로부터 적산된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저온제어를 지령하는 제1지령단계; 상기 적산단계로부터 적산된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고온제어를 지령하는 제2지령단계; 상기 제1지령단계로부터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1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제1제거단계; 상기 제2지령단계로부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제2제거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한 후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초기화 되는 단계; 상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한 후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초기화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초기화 될 때에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도 함께 초기화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엔진가동시간인 경우 상기 제 2기준값은 상기 제 1기준값의 1.5배 이상 20배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일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엔진연료소비량인 경우 상기 제 2기준값은 제 1기준값의 1.5배 이상 10배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차량운행거리인 경우 상기 제 2기준값은 제 1기준값의 1.5배 이상 5배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황산화물 발생량(140)인 경우 상기 제 1기준값은 DOC 황산화물 저장량이거나 제1황산화물 저장량이며, 제2기준값은 제2황산화물 저장량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제1온도 조건은 섭씨 400도 이상이고, 상기 제2온도 조건은 섭씨 600도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고온제어 지령을 발생시키는 수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제어부로부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고,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과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은, 상기 제1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암모늄((NH4)2SO4)이고, 상기 제2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구리(CuSO4)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및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에서 연료가 어느 정도로 소모되었는지에 대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입력받고, 소량 기준값(224)과 대량 기준값(22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소량 기준값(22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료량 처리부(222); 및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대량 기준값(22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연료량 처리부(226);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연료량 처리부(222)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연료량 처리부(226)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차량의 운행거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거리 기준값(234)과 장거리 기준값(238)이 설정되며,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거리 기준값(23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거리 처리부(232); 및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거리 기준값(23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거리 처리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거리 처리부(232)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거리 처리부(236)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과 제1, 제2 황산화물 량 기준값(266a, 266b)이 설정되고, 황산화물 발생량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142)를 입력받아 DOC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SCR에서 발생되는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1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a); 상기 제1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1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a)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상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상기 SCR에서 발생되는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2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b); 및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2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b)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와 상기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에 적산된 각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에 적산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에서 연료가 어느 정도로 소모되었는지에 대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입력받고, 소량 기준값(224)과 대량 기준값(228)이 설정되고,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소량 기준값(22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료량 처리부(222); 및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대량 기준값(22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연료량 처리부(226);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1연료량 처리부(222)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2연료량 처리부(226)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차량의 운행거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거리 기준값(234)과 장거리 기준값(238)이 설정되고,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거리 기준값(23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거리 처리부(232); 및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거리 기준값(23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거리 처리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1거리 처리부(232)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2거리 처리부(236)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과 제1, 제2 황산화물 량 기준값(266a, 266b)이 설정되고,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 황산화물 발생량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142)를 입력받아 DOC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SCR에서 발생되는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1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a); 상기 제1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1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a)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상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상기 SCR에서 발생되는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2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b); 및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2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b)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와 상기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에 적산된 각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에 적산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에서 연료가 어느 정도로 소모되었는지에 대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입력받고, 소량 기준값(224)과 대량 기준값(228)이 설정되고, 차량의 운행거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거리 기준값(234)과 장거리 기준값(23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소량 기준값(22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료량 처리부(222);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대량 기준값(22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연료량 처리부(226);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거리 기준값(23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거리 처리부(232); 및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거리 기준값(23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거리 처리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1연료량 처리부(222)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와 상기 제1거리 처리부(232)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2연료량 처리부(226)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와 상기 제2거리 처리부(236)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에서 연료가 어느 정도로 소모되었는지에 대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입력받고, 소량 기준값(224)과 대량 기준값(228)이 설정되고,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과 제1, 제2 황산화물 량 기준값(266a, 266b)이 설정되고,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소량 기준값(22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료량 처리부(222);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대량 기준값(22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연료량 처리부(226); 황산화물 발생량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142)를 입력받아 DOC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SCR에서 발생되는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1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a); 상기 제1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1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a)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상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상기 SCR에서 발생되는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2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b); 및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2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b)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1연료량 처리부(222)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와 상기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에 적산된 각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2연료량 처리부(226)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에 적산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차량의 운행거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거리 기준값(234)과 장거리 기준값(238)이 설정되고,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과 제1, 제2 황산화물 량 기준값(266a, 266b)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거리 기준값(23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거리 처리부(232);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거리 기준값(23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거리 처리부(236); 황산화물 발생량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142)를 입력받아 DOC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SCR에서 발생되는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1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a); 상기 제1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1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a)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상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상기 SCR에서 발생되는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2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b); 및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2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b)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1거리 처리부(232)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와 상기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에 적산된 각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2거리 처리부(236)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에 적산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시간 기준값(214)과 장기간 기준값(21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에서 연료가 어느 정도로 소모되었는지에 대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입력받고, 소량 기준값(224)과 대량 기준값(228)이 설정되고, 차량의 운행거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거리 기준값(234)과 장거리 기준값(238)이 설정되며,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과 제1, 제2 황산화물 량 기준값(266a, 266b)이 설정되고,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시간 처리부(212); 상기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시간 처리부(216);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소량 기준값(22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료량 처리부(222);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대량 기준값(22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연료량 처리부(226);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거리 기준값(23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거리 처리부(232);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거리 기준값(23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거리 처리부(236); 황산화물 발생량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142)를 입력받아 DOC에서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황산화물 량 기준 값(256)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SCR에서 발생되는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1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a); 상기 제1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1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1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a)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 상기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입력받으며, 상기 SCR 입구 배기가스 온도(144)를 입력받아 상기 SCR에서 발생되는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연산하는 제2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6b); 및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을 적산하고, 적산된 상기 제2황산화물의 저장량이 상기 제2황산화물 량 기준 값(266b)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1연료량 처리부(222)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와 상기 제1거리 처리부(232)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와 상기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에 적산된 각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시간 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와 상기 제2연료량 처리부(226)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와 상기 제2거리 처리부(236)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에 적산된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에서 연료가 어느 정도로 소모되었는지에 대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입력받고, 소량 기준값(224)과 대량 기준값(228)이 설정되며, 차량의 운행거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입력받고, 단거리 기준값(234)과 장거리 기준값(238)이 설정되며,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소량 기준값(22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료량 처리부(222); 상기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대량 기준값(22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연료량 처리부(226);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단거리 기준값(234)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거리 처리부(232); 및 상기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적산하고 적산된 값이 상기 장거리 기준값(238)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며, 도달되었을 때에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거리 처리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1연료량 처리부(222)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하며, 상기 제1거리 처리부(232)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고, 상기 제2연료량 처리부(226)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2거리 처리부(236)에 적산된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를 초기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시간 처리부(216)가 초기화될 때에 상기 제1시간 처리부(212)가 함께 초기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장시간 기준값(218)이 상기 단시간 기준값(214)에 비교하여 1.5배 내지 20배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연료량 처리부(226)가 초기화될 때에 상기 제1연료량 처리부(222)가 함께 초기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대량 기준값(228)이 상기 소량 기준값(224)에 비교하여 1.5배 내지 10배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2 거리 처리부(236)가 초기화될 때에 상기 제1거리 처리부(232)가 함께 초기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장거리 기준값(238)이 상기 단거리 기준값(234)에 비교하여 1.5배 내지 5배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2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가 초기화될 때에 상기 황산화물 처리부(258)과 상기 제1 황산화물 처리부(268a)가 함께 초기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저온제어지령에 의해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할 때에 구현되는 온도는 섭씨 400도 내지 섭씨 550도이고, 상기 고온제어지령에 의해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할 때에 구현되는 온도는 섭씨 600도 내지 섭씨 750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저온제어지령 또는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된 이후에, 실제로 구현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구현할 때에 유효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유효온도가 구현되는 동안의 시간을 누적하여 누적된 시간이 설정된 유효시간 보다 긴 시간인 경우에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성공으로 판단하는 황산화물 제거 평가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유효시간은 5분 내지 30분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저온제어지령 또는 상기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된 이후에,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에, 황산화물 제거 작동을 멈추고, 황산화물 제거 작동 실패를 시각 또는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메시지를 표출하도록 하는 모니터링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실패인 경우에, 수동으로 황산화물 제거 작동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제어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연료 및 엔진오일에서 기인한 황(Sulfur)성분이 황산화물 형태로 촉매에 흡착되어 성능저하를 발생시키고, 촉매종류 및 황산화물 형태별로 촉매에 흡착되는 비율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은 황산화물의 형태별로 서로 다른 특성이 있더라도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이원화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황산화물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환산화물이 촉매에 따라 흡착 및 탈착되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엔진가동시간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엔진 연료소비량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차량 운행거리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황산화물 발생량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입력부
110: 엔진가동시간 120: 엔진연료소비량
130: 차량운행거리 140: 황산화물 발생량
142: DOC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 144: SCR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
200: 메모리부
210: 시간 연산처리부 212: 제1 시간처리부
214: 단시간 기준값 216: 제2 시간처리부
218: 장시간 기준값
220: 연료량 연산처리부 222: 제1 연료량 처리부
224: 소량 기준값 226: 제2 연료량 처리부
228: 대량 기준값
230: 거리 연산처리부 232: 제1 거리처리부
234: 단거리 기준값 236: 제2 거리처리부
238: 장거리 기준값
240: 황산화물 량 연산처리부 250: DOC 연산처리부
252: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 256: 황산화물 량 기준값
258: 황산화물 량 처리부
260: SCR 연산처리부
261a, 262a: 제1, 제2 황산화물 흡착 특성
261b, 262b: 제1, 제2 황산화물 탈착 특성
264a, 264b: 제1, 제2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
266a, 266b: 제1, 제2 황산화물 량 기준값
268a, 268b: 제1, 제2 황산화물 량 처리부
270: 수동제어부
310, 320: 제1, 제2 처리부
410: 황산화물 제거 평가부 420: 모니터링부
500: 황산화물 제거운전부 510: 종료
520: 배기가스 온도제어부
521: 저온제어부 522: 고온제어부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제시는 수치 값은 발명이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되는 값으로 이러한 수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밝힌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재생작용을 수행할 때에 황 성분에 따라 황산화물이 흡착/탈착되는 특성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환산화물이 촉매에 따라 흡착 및 탈착되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1의 (a)그래프는 황산화물 흡착/탈착 특성의 일반적인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온도를 의미하고, 왼쪽 세로축은 무게 변화(%)를 나타내며, 오른쪽 세로축은 황산화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즉, 도 1의(a)에서 살펴보면 온도가 상승할수록 무게변화 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에서 황산화물이 흡착된 상태에서 탈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황산화물은 특정한 온도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1 온도구간과 제2온도구간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제1온도구간은 대략 섭씨 400도 내지 섭씨 550도이고, 제2온도구간은 대략 섭씨 600도 내지 섭씨 750도이다. 이는 특정한 온도구간에서 황산화물이 더욱 활발하게 탈착됨을 의미한다.
도 1의 (b), (c)는 황산화물 중에서 어느 특정한 화합물이 제거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1의 (b)그래프를 살펴보면, 제1황산화물의 흡착/탈착의 특성을 보인 것으로 대략 제1온도구간에서 황 농도가 많은 량으로 활발하게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황산화물은 제1온도구간에서 많은 량의 황산화물이 탈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황산화물은 황산암모늄((NH4)2SO4)의 황산화물이다.
한편, 도 1의 (c)그래프를 살펴보면, 제2황산화물의 흡착/탈착의 특성을 보인 것으로 대략 제2온도구간에서 황 농도가 많은 량으로 활발하게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2황산화물은 제2온도구간에서 많은 량의 황산화물이 탈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황산화물에 비교하여 흡착 및 탈착되는 황산화물의 량은 상대적으로 적은 량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2황산화물은 황산구리(CuSO4)의 황산화물이다.
즉, 종래에서처럼 획일적으로 어느 특정한 한 가지의 온도환경에 맞춰서 촉매장치를 재생하게 되면, 일부 황산화물은 제거될지라도 다른 황산화물은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높은 온도에 맞춰서 촉매장치를 재생하게 되면, 대부분의 황산화물은 제거될 수 있지만, 고온의 온도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량의 연료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황산화물의 성분에 따라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재생을 실시하는 주기와 재생을 실시할 때에 구현되는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엔진가동시간(110), 엔진연료소비량(120), 차량운행거리(130) 및 황산화물 발생량(14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는 입력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각 정보에 대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온도환경을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가동시간(110), 엔진연료소비량(120), 차량운행거리(130) 및 황산화물 발생량(140) 중에 어느 하나의 정보 또는 2개 이상의 정보를 수집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 및 온도환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엔진가동시간(110), 엔진연료소비량(120), 차량운행거리(130) 및 황산화물 발생량(140)에 대한 정보로써 각각 시간연산, 연료량 연산, 거리연산 및 황산화물 량 연산을 수행하고, 각 연산 결과에 따라 제1처리부(310) 또는 제2처리부(320)에서 재생주기를 설정하고, 재생온도를 설정하게 된다.
제1 처리부(310)는 제2처리부(320)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저온(T-L)에서 재생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고, 재생주기를 짧게 단 재생주기(Short Term DeSOx)를 설정하게 된다.
제2 처리부(320)는 제1처리부(310)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고온(T-H)에서 재생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고, 재생주기를 길게 장 재생주기(Long term DeSox)설정하게 된다.
제1, 제2처리부(310, 320)에서 설정된 재생환경정보(재생주기, 재생온도)는 황산화물 제거 평가부(410)에 제공된다.
황산화물 제거 평가부(4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저온(T-L)와 고온(T-H)가 설정되어 있지만, 실질 적으로 건설기계(차량)에서는 부하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온도제어는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할 수 있고, 이로써 약간의 변동(Oscillation)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변동 폭이 커서 설정온도 보다 낮게 재생온도가 구현되는 경우에는 제대로 황산화물 제거(DeSOx)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저온(T-L)와 고온각각에 대하여 최소 유효온도 기준을 가질 수 있다. 황산화물 제거 평가부(410)에서는 현재 제어되고 있는 배기가스 온도(SCR 입구 온도)가 최소 유효온도보다 큰 경우에 대해서만 시간 누적을 수행하고, 이 누적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황산화물 제거(DeSOx) 작용을 수행한 유효시간보다 크면 황산화물 제거(DeSOx) 작용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배기가스 온도상승을 종료한다. 황산화물 제거(DeSOx) 작용을 수행한 유효시간은 5분~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제로 황산화물 제거 작용에 소요된 유효시간은 5분 보다 커야만 황산화물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유효시간이 5분미만이면 황산화물 제거를 이루기에는 불충분한 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유효시간은 30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유효시간이 너무 길면 황산화물 제거가 충분히 진행되었음에도 추가적으로 연료를 계속 분사하는 것이므로 연료 낭비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황산화물 제거 평가부(410)이 후에, 모니터링부(420)로 진행된다.
모니터링부(420)는 지속적(permanent)인 황산화물 제거 작동을 방지하고, 특정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에만 황산화물 제거 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특정한 조건은 엔진가동시간(110), 엔진연료소비랑(120), 차량 운행거리(130) 및 황산화물 발생량(142)의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4가지 정보 중에 어느 하나 정보 또는 복수의 정보가 설정된 값에 도달되었을 때를 의미한다.
상술한 4가지 정보는 각각 비교대상 값(각각의 기준값 참조)을 설정하고, 어느 특정한 정보가 해당 비교대상 값을 초과하였음에도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을 때는 황산화물 제거 작동을 멈추고 운전자에게 황산화물 제거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알린다. 예를 들면, 시각 또는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메시지를 표출하는 것이다. 즉,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계기판에 실패를 알릴 수 있는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황산화물 제거 작용이 실패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동으로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촉매장치 재생을 수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수동제어부(270)에 배치된 매뉴얼 스위치(manual Switch)를 작동시키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수동제어부(270)는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수동으로 황산화물 제거 작동을 개시할 수 있게 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상술한 4가지 정보 중에 어느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어 저온(T-L)와 고온(T-H) 중에 어느 온도환경이든 어느 하나의 온도환경에서 촉매장치의 재생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하나의 조건이 추가로 충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나중에 조건이 충족되더라도 이미 촉매장치의 재생이 진행 중이므로 연달아서 새롭게 촉매장치 재생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촉매장치 재생이 연달아 수행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저온(T-L)와 고온(T-H) 중에 어느 온도환경이든 어느 하나의 온도환경에서 촉매장치 재생을 작동을 끝나고 나서 휴지시간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휴지시간은 선행된 촉매장치재생 작동부터 다음 촉매장치 재생 작동까지의 시간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휴지시간이 경과된 후에 새롭게 촉매장치 재생 작동을 시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만, 어떠한 알 수 없는 이유에 의하여 황산화물의 농도가 너무 높게 검출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촉매장치 재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제2처리부(310, 320)에서 설정된 재생환경정보(재생주기, 재생온도)는 황산화물 제거 평가부(410)을 경유하거나 직접 황산화물 제거운전부(500)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황산화물 제거운전부(500)은 앞서서 설정된 재생환경정보에 의해 실질적으로 황산화 제거를 위하여 촉매장치를 재생하도록 지령을 내리는 것이다. 만약, 황산화물 제거 운전을 실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종료(510)된다.
상술한 재생환경정보는 단 재생주기(Short Term DeSOx)와 장 재생주기(Long term DeSox)에 의해 설정되어 촉매장치를 재생할 시점이 정해지고, 단 재생주기에 도달한 시점이면 저온환경에서 촉매장치 재생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장 재생주기에 도달한 시점이면 고온환경에서 촉매장치 재생을 수행한다.
배기가스 온도제어부(520)는 상술한 황산화물 제거운전부(500)에서 내려진 지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재생환경정보가 저온(T-L)정보를 포함한 지령이라면 촉매장치재생을 수행할 때에 저온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적절한 연료량이 분사되도록 저온제어부(521)에서 저온제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재생환경정보가 고온(T-H)정보를 포함한 지령이라면 촉매장치재생을 수행할 때에 고온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적합한 상대적으로 많은 연료량이 분사되도록 고온제어부(522)에서 고온제어 되는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엔진가동시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환경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엔진가동시간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엔진가동시간(110)은 엔진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가동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엔진가동시간(110)의 정보는 시간연산처리부(210)에 제공되고, 시간연산처리부(210)에서는 단시간 가동시간과 장시간 가동시간을 각각 적산하여 비교판단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시간연산처리부(210)는 제1 시간처리부(212)와 제2 시간처리부(216)을 포함한다. 제1시간처리부(212)에는 단시간 기준값(214)이 설정되고, 제2 시간처리부(216)에는 장시간 기준값(218)이 설정된다.
장시간 기준값(218)은 단시간 기준값(214)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단시간 기준값(214)에 비교하여 장시간 기준값(218)은 1.5배 내지 20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시간 기준값(214)은 저온환경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온(T-L)인 제1온도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황산화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장시간 기준값(218)은 고온환경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T-L)인 제2온도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황산화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즉, 제2온도구간보다 상대적으로 황산화물의 량이 많은 제1온도구간에서 좀 더 빈번하게 촉매장치 재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단시간 기준값(214)에 비교하여 장시간 기준값(218)을 1.5배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제2온도구간에서 활성화되는 황산화물을 주기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제2온도구간은 제1온도구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황산화물이 발생하지만, 황산화물이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경우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적정한 시기에 적절하게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단시간 기준값(214)에 비교하여 장시간 기준값(218)을 20배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온도구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제2온도구간의 온도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료 분사량이 많아지는데, 20배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2온도구간이 빈번하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하게 연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시간 기준값(214)을 150hr으로 설정하고, 장시간 기준값(218)을 500hr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엔진가동시간(110)에 대한 가동시간 정보가 제1, 제2 시간처리부(212, 216)에 지속적으로 적산된다. 이후, 적산된 가동시간 정보가 단시간 기준값(214)으로 설정된 150hr에 도달하면 제1처리부(310)에 저온제어지령이 내려진다. 이때에서 가동시간 정보는 계속 적산되며 장시간 기준값(218)으로 설정된 500hr에 도달하면 제2처리부(320)에서 고온제어지령이 내려진다.
한편,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된 직후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저온(T-L)제어 지령은 무시될 수 있다. 무시되는 이유는 고온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1시간처리부(212)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은 초기화된다. 마찬가지로, 고온(T-H)에 따른 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제2시간처리부(216)에 적산된 엔진가동시간은 초기화된다. 또한, 제2시간처리부(216)의 엔진가동시간이 초기화될 때에 제1시간처리부(212)의 엔진가동시간도 함께 초기화 될 수 있고,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하, 도 4을 참조하여 엔진연료소비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환경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엔진 연료소비량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엔진연료소비량(120)은 엔진이 어느 정도의 연료가 소모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엔진연료소비량(120)의 정보는 연료량 연산처리부(220)에 제공되고, 연료량 연산처리부(220)에서는 소량 소비량과 대량 소비량을 각각 적산하여 비교판단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연료량 연산처리부(220)는 제1 연료량 처리부(222)와 제2 연료량 처리부(226)을 포함한다. 제1 연료량 처리부(222)에는 소량 기준값(224)이 설정되고, 제2 연료량 처리부(226)에는 대량 기준값(228)이 설정된다.
대량 기준값(228)은 소량 기준값(224)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대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소량 기준값(224)에 비교하여 대량 기준값(228)은 1.5배 내지 10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소량 기준값(224)은 저온환경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온(T-L)인 제1온도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황산화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대량 기준값(228)은 고온환경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T-L)인 제2온도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황산화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즉, 제2온도구간보다 상대적으로 황산화물의 량이 많은 제1온도구간에서 좀 더 빈번하게 촉매장치 재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소량 기준값(224)에 비교하여 대량 기준값(228)을 1.5배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제2온도구간에서 활성화되는 황산화물을 주기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제2온도구간은 제1온도구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황산화물이 발생하지만, 황산화물이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경우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적정한 시기에 적절하게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소량 기준값(224)에 비교하여 대량 기준값(228)을 10배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온도구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제2온도구간의 온도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료 분사량이 많아지는데, 10배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2온도구간이 빈번하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하게 연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량 기준값(224)을 2000L으로 설정하고, 대량 기준값(228)을 10000L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엔진연료소비량(120)에 대한 연료소모 정보가 제1, 제2 연료량 처리부(222, 226)에 지속적으로 적산된다. 이후, 적산된 연료소모 정보가 소량 기준값(224)으로 설정된 2000L에 도달하면 제1처리부(310)에 저온제어지령이 내려진다. 이때에서 연료소모 정보는 계속 적산되며, 대량 기준값(228)으로 설정된 10000L에 도달하면 제2처리부(320)에서 고온제어지령이 내려진다.
한편,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된 직후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저온(T-L)제어 지령은 무시될 수 있다. 무시되는 이유는 고온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1 연료량 처리부(222)에 적산된 엔진 연료소모 량 정보는 초기화된다. 마찬가지로, 고온(T-H)에 따른 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제2 연료량 처리부(226)에 적산된 엔진연료소모량 정보는 초기화된다. 또한, 제2연료량 처리부(226)의 엔진가동시간이 초기화될 때에 제1 연료량 처리부(222)의 엔진 연료소모 량도 함께 초기화 될 수 있고,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차량 운행거리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환경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차량 운행거리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운행거리(130)은 차량이 어느 정도의 주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차량운행거리(130)의 정보는 거리 연산처리부(230)에 제공되고, 거리 연산처리부(230)에서는 단거리와 장거리을 각각 적산하여 비교판단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거리 연산처리부(230)는 제1거리처리부(232)와 제2거리처리부(236)을 포함한다. 제1거리처리부(232)에는 단거리 기준값(234)이 설정되고, 제2거리처리부(236)에는 장거리 기준값(238)이 설정된다.
장거리 기준값(238)은 단거리 기준값(234)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단거리 기준값(234)에 비교하여 장거리 기준값(238)은 1.5배 내지 5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단거리 기준값(234)은 저온환경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온(T-L)인 제1온도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황산화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장거리 기준값(238)은 고온환경에서 황산화물 제거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T-L)인 제2온도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황산화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즉, 제2온도구간보다 상대적으로 황산화물의 량이 많은 제1온도구간에서 좀 더 빈번하게 촉매장치 재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단거리 기준값(234)에 비교하여 장거리 기준값(238)을 1.5배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제2온도구간에서 활성화되는 황산화물을 주기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제2온도구간은 제1온도구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황산화물이 발생하지만, 황산화물이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경우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적정한 시기에 적절하게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단거리 기준값(234)에 비교하여 장거리 기준값(238)을 5배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온도구간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제2온도구간의 온도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연료 분사량이 많아지는데, 5배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제2온도구간이 빈번하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하게 연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거리 기준값(234)을 5000km으로 설정하고, 장거리 기준값(238)을 25000km으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차량운행거리(130)에 대한 주행거리 정보가 제1, 제2거리처리부(232, 236)에 지속적으로 적산된다. 이후, 적산된 주행거리 정보가 단거리 기준값(234)으로 설정된 5000km에 도달하면 제1처리부(310)에 저온제어지령이 내려진다. 이때에서 주행거리 정보는 계속 적산되며 장거리 기준값(238)으로 설정된 25000km에 도달하면 제2처리부(320)에서 고온제어지령이 내려진다.
한편,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된 직후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저온(T-L)제어 지령은 무시될 수 있다. 무시되는 이유는 고온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1거리처리부(232)에 적산된 엔진 주행거리 정보는 초기화된다. 마찬가지로, 고온(T-H)에 따른 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제2거리처리부(236)에 적산된 엔진주행거리 정보는 초기화된다. 또한, 제2거리처리부(236)의 엔진가동시간이 초기화될 때에 제1거리처리부(232)의 엔진 주행거리 량도 함께 초기화 될 수 있고,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황산화물 발생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환경정보를 설정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서 황산화물 발생량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촉매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설정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황산화물 발생량(140)은 황산화물 량이 어느 정도의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황산화물 발생량(140)의 정보는 황산화물 량 연산처리부(240)에 제공되고, 황산화물 량 연산처리부(240)에서는 촉매의 형태에 따라 각각 적산하여 비교판단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황산화물 량 연산처리부(240)는 DOC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142)와 SCR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144)를 참조하여 황산화물이 어느 정도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로써 실제 제거되어야할 황산화물이 어느 정도인지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황산화물 량 연산처리부(240)에는 DOC 연산처리부(250)와 SCR 연산처리부(260)를 포함한다.
DOC 연산처리부(250)는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를 포함하고, 황산화물 량 기준값(256)이 설정된다.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는 황산화물 발생량(140)에서 수집된 황산화물 발생량 정보와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142)를 근거하여 DOC에서 황산화물이 어느 정도 저장되는지를 계산하는 것이다. 즉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에 따라 황산화물이 자연적으로 탈착되어 제거되거나 흡착되어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DOC 입구 배기가스 온도 정보를 참조하는 것이다.
이후, DOC 연산처리부(250)에서 계산된 황산화물 량의 정보는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에 제공된다.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는 DOC 연산처리부(250)에서 제공되는 황산화물 량이 적산되고, 황산화물 량 기준값(256)과 비교판단 한다.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는 적산된 황산화물 량이 황산화물 기준값(256)에 도달되면 도달하면 제1처리부(310)에 저온제어지령을 내려진다. 그리고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는 저온제어 지령을 발생한 후에 적산되었던 황산화물 량 적산 정보가 초기화된다. 상술한 황산화물 기준값(256)은 실시예로서 20g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는 적산되는 황산화물 량이 20g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달하였을 때에, 황적산화물 량 정보를 초기화하고, 저온제어 지령을 내리는 것이다.
저온제어 지령이 내려지면, 상술한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와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에 각각 적산된 황산화물 량 정보는 초기화 된다.
SCR 연산처리부(260)는 황산화물 발생량(140)과 SCR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144)와 DOC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에서 계산된 황산화물 량의 정보를 근거하여 제1, 제2황산화물 량을 연산한다. SCR 연산처리부(260)는 제1황산화물의 양과 제2황산화물의 양을 각각 연산하는 것이다.
제1황산화물의 양은 제1황산화물 흡착특성(261a)과 제1황산화물 흡착특성(261b)과 상술한 황산화물 발생량(140)과 SCR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144)와 DOC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에서 계산된 황산화물 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연산하게 된다. 이는 제1황산화물 량은 온도환경과 원래 존재하던 제1황산화물 량에 따라 변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1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4a)는 제1황산화물 량 기준값(266a)을 참조하게 된다. 상술한 제1 황산화물 기준값(266a)은 실시예로서 25g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는 적산되는 제1 황산화물 량이 25g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달하였을 때에, 제1 황적산화물 량 정보를 초기화하고, 저온제어 지령을 내리는 것이다.
저온제어 지령이 내려지면, 상술한 제1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4a)와 제1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에 각각 적산된 제1황산화물 량 정보는 초기화 된다.
마찬가지로, 제2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4b)는 제2황산화물의 량을 연산하는 것이다. 제2 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4b)는 제2황산화물 흡착특성(262a)과 제2황산화물 흡착특성(262b)과 상술한 황산화물 발생량(140)과 SCR입구 배기가스 온도정보(144)와 DOC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에서 계산된 황산화물 량의 정보를 수집하여 연산하게 된다. 이는 제2황산화물 량은 온도환경과 원래 존재하던 제2황산화물 량에 따라 변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2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4b)는 제2황산화물 량 기준값(266b)을 참조하게 된다. 상술한 제2 황산화물 기준값(266b)은 실시예로서 10g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는 적산되는 제2 황산화물 량이 10g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달하였을 때에, 제2 황적산화물 량 정보를 초기화하고, 고온(T-H)에 따른 지령을 내리는 것이다.
저온제어 지령이 내려지면, 상술한 제2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4b)와 제2황산화물 량 처리부(268b)에 각각 적산된 제2황산화물 량 정보는 초기화 된다.
한편, 고온제어지령이 발생된 직후에 저온제어지령이 발생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저온(T-L)제어 지령은 무시될 수 있다. 무시되는 이유는 고온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고온(T-H)에 따른 제어지령이 발생되면,
상술한 DOC 황산화물 저장량 연산부(252)와 황산화물 량 처리부(258)에 각각 적산된 황산화물 량 정보는 초기화되고, 제1황산화물 저장량 처리부(264a)와 제1황산화물 량 처리부(268a)에 각각 적산된 제1황산화물 량 정보도 함께 초기화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온 환경이 조성되어 황산화물 제거 작동이 수행될 때에,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흡착/탈착이 활성화되는 황산화물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연료 및 엔진오일에서 기인한 황(Sulfur)성분이 황산화물 형태로 촉매에 흡착되어 성능저하를 발생시키고, 촉매종류 및 황산화물 형태별로 촉매에 흡착되는 비율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황산화물의 형태별로 서로 다른 특성이 있더라도 배기가스후처리장치의 재생주기와 재생온도를 이원화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황산화물 대부분을 제거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 제거되는 황산화물의 성분은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제거되는 황산화물의 성분에 비교하여 그 량이 작으므로, 고온을 구현하는 주기를 길게 설정하고, 저온을 구현하는 주기를 빈번하게 설정함으로써 황산화물을 제거시킬 때에서 소모되는 연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온을 구현하였을 때에는 저온에 기인하는 제어주기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소모되는 연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를 재생할 때에 촉매장치에서 황산화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엔진가동시간(110), 엔진연료소비량(120), 차량운행거리(130) 및 황산화물 발생량(140) 중에 하나 이상의 차량의 운행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100);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 받은 운행정보를 적산하여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 및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00);
    상기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저온제어를 지령하는 제 1 처리부(310);
    상기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고온제어를 지령하는 제 2 처리부(320); 및
    상기 제 1 처리부(310)로부터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1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을 제거하고, 상기 제 2 처리부(320)의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황산화물 제거운전부(500);
    를 포함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저온제어 지령을 발생한 후 상기 메모리부의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고온제어 지령을 발생한 후 상기 메모리부의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의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할 때 상기 메모리부의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도 함께 초기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물 제거운전부(500)에서 제1온도 조건은 섭씨 400도 이상이고, 제2온도 조건은 섭씨 600도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고온제어 지령을 발생하는 수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제어부로부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고, 상기 메모리부의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과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암모늄((NH4)2SO4)이고, 상기 제2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구리(CuSO4)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8. 입력부(100)로부터 엔진가동시간(110), 엔진연료소비량(120) 및 차량운행거리(130), 황산화물 발생량(140) 중에 하나 이상의 차량의 운행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단계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운행정보를 적산하여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 및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생성하는 적산단계;
    상기 적산단계로부터 적산된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1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저온제어를 지령하는 제1지령단계;
    상기 적산단계로부터 적산된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상기 제 2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는 고온제어를 지령하는 제2지령단계;
    상기 제1지령단계로부터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1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제1제거단계;
    상기 제2지령단계로부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제2제거단계;
    를 포함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제어 지령이 발생한 후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초기화 되는 단계;
    상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한 후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초기화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이 초기화 될 때에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도 함께 초기화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엔진가동시간(110)인 경우 상기 제 2기준값은 상기 제 1기준값의 1.5배 이상 20배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엔진연료소비량(120)인 경우 상기 제 2기준값은 제 1기준값의 1.5배 이상 10배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차량운행거리(130)인 경우 상기 제 2기준값은 제 1기준값의 1.5배 이상 5배 이하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운행정보가 황산화물 발생량(140)인 경우 상기 제 1기준값은 DOC 황산화물 저장량이거나 제1황산화물 저장량이며, 제2기준값은 제2황산화물 저장량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 조건은 섭씨 400도 이상이고, 상기 제2온도 조건은 섭씨 600도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은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작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7. 제 8항에 있어서,
    고온제어 지령을 발생시키는 수동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제어부로부터 고온제어 지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2온도 조건으로 촉매장치를 가열하여 제1황산화물과 제2황산화물을 제거하고, 상기 제1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과 제2황산화물 처리용 운행정보 값을 초기화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암모늄((NH4)2SO4)이고, 상기 제2황산화물의 주성분은 황산구리(CuSO4)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KR1020167005803A 2013-09-05 2014-09-05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81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85 2013-09-05
KR20130106585 2013-09-05
PCT/KR2014/008389 WO2015034314A1 (ko) 2013-09-05 2014-09-05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834A true KR20160067834A (ko) 2016-06-14
KR102181124B1 KR102181124B1 (ko) 2020-11-20

Family

ID=5262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803A KR102181124B1 (ko) 2013-09-05 2014-09-05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86635A1 (ko)
EP (1) EP3043037B1 (ko)
KR (1) KR102181124B1 (ko)
CN (1) CN105518262B (ko)
WO (1) WO2015034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7236B (zh) * 2016-01-25 2018-07-13 亮风台(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多模态输入进行交互的方法和设备
JP6806025B2 (ja) * 2017-10-11 2020-1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制御装置
CN114645758A (zh) * 2021-04-30 2022-06-2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Lnt脱硫控制方法和装置、车辆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178A (ko) 2004-07-01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분해촉매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 동시저감 시스템
KR20060054423A (ko) 2003-08-05 2006-05-22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Scr 필터를 이용하는 배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1123A (ko) 2005-06-21 2008-03-06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1차 및 2차 촉매작용으로 nox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144645A (ja) * 2006-12-08 2008-06-26 Mazda Motor Corp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00116898A (ko) 2009-04-23 2010-11-02 주식회사 부경엠텍 디젤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KR20120011563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및 이 제어방법
KR20120054853A (ko) * 2010-11-22 201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산화촉매의 탈황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5773B1 (en) * 1998-07-07 2001-03-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83453B2 (ja) * 2002-03-29 2008-04-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NOx浄化システム及びその触媒劣化回復方法
JP4415648B2 (ja) * 2003-11-05 2010-02-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サルファパージ制御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090063901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셜 플로우 필터의 재생시기 판단방법
EP2918806B1 (en) * 2009-05-18 2016-11-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xhaust purification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12014000573T5 (de) * 2013-02-16 2015-11-26 Cummins, Inc. Syste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ten Entschwefelung von Nachbehandlungskomponente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423A (ko) 2003-08-05 2006-05-22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Scr 필터를 이용하는 배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2178A (ko) 2004-07-01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분해촉매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 동시저감 시스템
KR20080021123A (ko) 2005-06-21 2008-03-06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1차 및 2차 촉매작용으로 nox를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144645A (ja) * 2006-12-08 2008-06-26 Mazda Motor Corp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00116898A (ko) 2009-04-23 2010-11-02 주식회사 부경엠텍 디젤내연기관용 매연저감장치
KR20120011563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및 이 제어방법
KR20120054853A (ko) * 2010-11-22 201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산화촉매의 탈황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18262A (zh) 2016-04-20
EP3043037A1 (en) 2016-07-13
KR102181124B1 (ko) 2020-11-20
CN105518262B (zh) 2018-02-13
EP3043037B1 (en) 2018-08-29
US20160186635A1 (en) 2016-06-30
WO2015034314A1 (ko) 2015-03-12
EP3043037A4 (en) 2017-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725B1 (ko) Scr 시스템 및 그것의 반응기 재생 제어방법
US8910466B2 (en)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with diagnostic delay
KR101684502B1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및 배기 가스 정화 방법
JP6305128B2 (ja) リーンノックストラップの脱硫装置および方法
JP2014202126A (ja) 排ガス後処理装置におけるNOx吸蔵還元型触媒の劣化判定方法
CN109751105B (zh) 带有正扰动的下流式选择性催化还原稳态氨逸出检测
KR20160067834A (ko) 황산화물 제거를 위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90101034A1 (en) Method for desulfurization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devices
US8763373B2 (en) System for purifying exhaust ga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939186B (zh) 用于调节车辆中的废气催化器的再生频率的方法和装置
KR101836293B1 (ko) 질소산화물 흡장 환원 촉매의 탈황 장치 및 탈황 방법
CN109072748A (zh) 确定车辆催化转化器的氮氧化物-存储能力的方法和装置
CN114592955A (zh) 确定scr载体硫中毒的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JP2018087542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534699B1 (ko)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의 탈황 장치 및 탈황 방법
US20170362989A1 (en) Nitrogen oxide pur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76030A (ko) 유해물질 흡장촉매의 유해물질 탈착 방법
JP2018087544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20240151171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system
US9371763B2 (en) Method of operating a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to prevent quenching during regeneration
JP2012017731A (ja) 排気ガス後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440666B1 (ko) 배기가스 처리 방법
KR101317412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490932B1 (ko)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KR101241208B1 (ko)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