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538A -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67538A KR20160067538A KR1020140173067A KR20140173067A KR20160067538A KR 20160067538 A KR20160067538 A KR 20160067538A KR 1020140173067 A KR1020140173067 A KR 1020140173067A KR 20140173067 A KR20140173067 A KR 20140173067A KR 20160067538 A KR20160067538 A KR 201600675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abinet
- rod
- pressing
- work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Landscapes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한 상부 케비닛과, 상기 상부 케비닛을 지지하는 하부 케비닛; 상기 상부 케비닛의 작업공간을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도어; 상기 상부 케비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비닛에는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발판부재를 이용하여 가압력을 전달하는 개방조작 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발을 이용한 누르는 가압력으로부터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과도한 힘과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발을 이용한 누르는 가압력으로부터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과도한 힘과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흄후드 캐비닛 하부에 보조 개방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도어의 개방조작을 한층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흄후드(Fume hood)는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장소나 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하는 여러 연구기관의 실험실에 비치되어 유해한 가스, 악취, 중기 등의 기체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쾌적한 실험실 작업환경을 유지하는 필수설비에 해당한다. 따라서 흄후드는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유해가스와의 접촉을 차단함은 물론, 이로 인해 연구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흄후드는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작업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도어가 상하로 개폐가능 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적절히 개방시킨후 작업 플레이트에 놓여진 실험기구를 이용하여 실험하고, 흄후드의 상측에는 배기덕트가 설치되어 내부의 작업공간 및 실험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 기체를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도어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놓인 각종 시험기구를 이용하여 시험을 할 때 발생되는 유해한 가스를 음압이 작용하는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강제 배기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이 실험실에 축적되거나 작업자에게 노출됨을 차단하여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흄후드에 설치된 도어는 폭발사고에도 충분히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방탄소재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만큼 그에 따른 중량이 상당하므로 닫혀진 도어를 초기 개방하는데 상당한 힘이 요구되며, 더 나아가 흄후드의 작업공간이 규모가 커질수록 그에 비례하여 상기 도어의 크기와 무게도 함께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위한 힘과 동작이 매우 커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흄후드 캐비닛 하부에 보조 개방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도어의 개방조작을 한층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는,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한 상부 케비닛과, 상기 상부 케비닛을 지지하는 하부 케비닛; 상기 상부 케비닛의 작업공간을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도어; 상기 상부 케비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비닛에는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발판부재를 이용하여 가압력을 전달하는 개방조작 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조작 유닛은 상기 하부 케비닛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발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절 운동하는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회동링크부재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가압용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케비닛에는 상기 가압용 로드의 직선 이동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안내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부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제2 링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용 로드는 상기 도어의 동일선상 하부에 위치하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와, 상기 제1 로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각하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로드부와, 상기 제2 로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각하는 아래쪽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로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용 로드의 상단에는 가압 충격완화를 위한 쿠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조작 유닛에는 상기 발판부재를 가압한 후 상기 회동링크부재 및 가압용 로드를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귀수단은 탄성스프링 또는 중량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일정거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전달하는 개방조작 유닛을 구성함으로써, 작업자는 발을 이용한 누르는 가압력으로부터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자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과도한 힘과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방조작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방조작 유닛에 복귀수단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방조작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방조작 유닛에 복귀수단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는 내부에 작업공간(101)을 형성한 상부 케비닛(110)과, 상기 상부 케비닛(110)을 지지하는 하부 케비닛(120)과, 상기 상부 케비닛(110)의 작업공간(101)을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도어(200)와, 상기 상부 케비닛 본체(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공간(10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300)와, 상기 도어(200)를 일정거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발판부재(430)을 이용하여 가압력을 전달하는 개방조작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 케비닛(110)은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내부에 작업공간(101)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공간(101)에는 일정 넓이를 가지는 평판형 작업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작업플레이트(13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케비닛(110)과 하부 케비닛(12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비닛(120)은 상기 상부 케비닛(110)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써, 내부에는 후술할 기방조작 유닛(4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 케비닛(110) 및 하부 케비닛(12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상부 케비닛(110)보다 하부 케비닛(120)의 폭 넓이가 좁은 단차진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2참조).
이는 상기 작업플레이트(130)의 전방 바닥면에 형성되는 흡입공(13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 케비닛(120)의 전면에는 상기 개방조작 유닛(400)의 발판부재(430)와, 가압용 로드(450)의 제2 로드부(452)가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가이드홀(121,1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발판부재(430)가 결합되는 가이드홀(121)은 상기 하부 케비닛(120)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부(452)가 결합되는 가이드홀(122)은 상기 하부 케비닛(12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케비닛(110)에는 후술할 도어(200)와 무게 평형을 이루어 일정한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운터 웨이트(150)가 설치된다.
즉, 카운터 웨이트(150)는 상기 도어(200)와 동일한 무게를 가지는 무게추(151)와, 상기 무게추(151)와 도어(2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152)과 상기 케이블(15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150)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도어(20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상부 케비닛(110)의 작업공간(101)을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케비닛(1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어(2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카운터 웨이터(15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도어(200)는 작업공간(20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200)의 하단에는 작업자가 상하방향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파지용 손잡이(21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덕트(300)는 상기 케비닛 본체(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공간(10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배기덕트(300)는 상기 작업공간(101) 및 실험실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개방조작 유닛(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방조작 유닛(400)은 상기 하부 케비닛(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폐쇄된 상태의 도어(200)를 일정거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개방조작 유닛(400)은 상기 도어(200)가 폐쇄된 초기, 작업자가 손잡이(210)를 잡고 도어(200)를 상방향으로 개방시키는데 있어 팔 힘을 사용하지 않고 기구적 작동 구성으로부터 초기 개방작용에 필요한 힘을 충분히 전달하여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조작 유닛(400)은 상기 하부 케비닛(1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20)과,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비닛(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발판부재(430)와, 상기 회전축(4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절 운동하는 회동링크부재(440)와, 상기 회동링크부재(440)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가압용 로드(45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링크부재(440)는 상기 발판부재(4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20)의 회동반경을 한층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가압용 로드(450)의 직선 이동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링크부재(440)는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41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링크부(441)와, 상기 제1 링크부(441)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제2 링크부(4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용 로드(450)는 상기 도어(200)의 동일선상 하부에 위치하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451)와, 상기 제1 로드부(451)의 선단으로부터 직각하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로드부(452)와, 상기 제2 로드부(452)의 선단으로부터 직각하는 아래쪽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로드부(453)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용 로드(450)는 상기 회동링크부재(4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200)를 일정거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용 로드(450)의 상단에는 가압 충격완화를 위한 쿠션부재(454)를 추가적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조작 유닛(400)은 상기 발판부재(430)를 가압하는 가압력으로부터 상기 회동링크부재(440)와 가압용 로드(450)가 각각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도어(20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재(430)를 누르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회동링크부재(440) 및 가압용 로드(450)는 자중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하강 이동하여 상기 발판부재(430)를 다시 가압할 수 있는 형태로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하부 케비닛(120)에는 상기 가압용 로드(450)의 직선 이동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안내 브라켓(460)이 설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조작 유닛(400)에는 상기 발판부재(430)를 가압한 후 상기 회동링크부재(440)와 가압용 로드(450)를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4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링크부재(440)에 설치되어 확연한 무게 차이를 발생시키는 중량추(471)를 설치하거나,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472)을 개재하여 탄력적으로 탄성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조작 유닛(400)의 작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개방조작 유닛(400)의 상기 발판부재(430)를 가압하게 되면, 회전축(420), 회동링크부재(440), 가압용 로드(450)가 순차적으로 연동하는 구조로 작동하여 가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예컨대, 작업자가 폐쇄된 상태의 도어(200)를 개방하고자 상기 발판부재(430)를 밟아서 가압하면, 상기 발판부재(430)에 연결된 회전축(4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20)의 반대편에 연결되는 회동링크부재(44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링크부재(440)의 제1 링크부(441)의 회동작용에 대하여 상기 제1 링크부(441)에 힌지연결 된 제2 링크부(442)는 상기 하부 케비닛(120)의 벽면을 따라 위쪽으로 상승하는 관절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링크부(442)의 상승 작용은 상기 제2 링크부(442)와 연결된 가압용 로드(450)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링크부재(442)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가압용 로드(450)는 상기 도어(200)를 밀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폐쇄된 상태의 도어(200)의 초기 개방이 상기 개방조작 유닛(400)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부재(43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회동링크부재(440)와 가압용 로드(450)의 자중 무게에 의해 아래쪽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중량추(472) 또는 탄성스프링(472) 구성에 의해 하강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링크부재(440)와 가압용 로드(450)의 하강 작용은 상기 회전축(420)을 다시 원래의 위치 즉, 상기 발판부재(430)를 위에서 아래로 밟을 수 있는 초기 상태로 역회전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도어(200)를 가압하여 개방시키는 가압용 로드(450)가 아래쪽으로 하강하더라도 상기 도어(200)는 카운터 웨이터(150)에 의해 무게 중심이 유지하게 되므로 하강하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따르면, 폐쇄된 상태의 도어(200)를 일정거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전달하는 개방조작 유닛(400)을 구성함으로써, 작업자는 발을 이용한 누르는 가압력으로부터 폐쇄된 상태의 도어(200)를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자는 도어(200)를 개방하기 위한 과도한 힘과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10 : 상부 케비닛
101 : 작업공간
120 : 하부 케비닛
200 : 도어
300 : 배기덕트
400 : 개방조작 유닛
410 : 고정부재
420 : 회전축
430 : 발판부재
440 : 회동링크부재
450 :가압용 로드
101 : 작업공간
120 : 하부 케비닛
200 : 도어
300 : 배기덕트
400 : 개방조작 유닛
410 : 고정부재
420 : 회전축
430 : 발판부재
440 : 회동링크부재
450 :가압용 로드
Claims (8)
-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한 상부 케비닛과, 상기 상부 케비닛을 지지하는 하부 케비닛;
상기 상부 케비닛의 작업공간을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도어;
상기 상부 케비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비닛에는 폐쇄된 상태의 도어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발판부재를 이용하여 가압력을 전달하는 개방조작 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조작 유닛은,
상기 하부 케비닛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 케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발판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절 운동하는 회동링크부재와,
상기 회동링크부재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가압용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비닛에는 상기 가압용 로드의 직선 이동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안내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부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제2 링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용 로드는,
상기 도어의 동일선상 하부에 위치하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로드부와,
상기 제1 로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각하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로드부와,
상기 제2 로드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각하는 아래쪽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 로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용 로드의 상단에는 가압 충격완화를 위한 쿠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조작 유닛에는 상기 발판부재를 가압한 후 상기 회동링크부재 및 가압용 로드를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탄성스프링 또는 중량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3067A KR101667659B1 (ko) | 2014-12-04 | 2014-12-04 |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3067A KR101667659B1 (ko) | 2014-12-04 | 2014-12-04 |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7538A true KR20160067538A (ko) | 2016-06-14 |
KR101667659B1 KR101667659B1 (ko) | 2016-10-20 |
Family
ID=5619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3067A KR101667659B1 (ko) | 2014-12-04 | 2014-12-04 |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65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32984A (zh) * | 2020-05-26 | 2020-09-08 | 嘉兴职业技术学院 | 一种新型实验室通风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286B1 (ko) * | 2006-04-03 | 2007-07-18 | 최진선 |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
KR100775622B1 (ko) * | 2006-09-01 | 2007-11-13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김치저장고 도어의 개폐구조 |
KR20130095545A (ko) * | 2012-02-20 | 2013-08-28 | 김풍세 | 음식물 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
KR101347217B1 (ko) * | 2013-05-21 | 2014-01-03 | (주)유나 | 흄후드 |
-
2014
- 2014-12-04 KR KR1020140173067A patent/KR1016676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286B1 (ko) * | 2006-04-03 | 2007-07-18 | 최진선 |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
KR100775622B1 (ko) * | 2006-09-01 | 2007-11-13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김치저장고 도어의 개폐구조 |
KR20130095545A (ko) * | 2012-02-20 | 2013-08-28 | 김풍세 | 음식물 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
KR101347217B1 (ko) * | 2013-05-21 | 2014-01-03 | (주)유나 | 흄후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32984A (zh) * | 2020-05-26 | 2020-09-08 | 嘉兴职业技术学院 | 一种新型实验室通风柜 |
CN111632984B (zh) * | 2020-05-26 | 2022-02-11 | 嘉兴职业技术学院 | 一种新型实验室通风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7659B1 (ko) | 2016-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14474B2 (en) | Accessible work cell | |
KR101667659B1 (ko) | 흄후드 도어 개방 보조장치 | |
KR101407547B1 (ko) | 흄후드의 도어 개폐량 조절장치 | |
JP5137004B2 (ja) | 電子用卓上機器 | |
US9983050B2 (en) | Housing for a laboratory instrument | |
JP6037785B2 (ja) | ヒュームフード | |
CN106466539B (zh) | 用于在工业抽吸设备的情形中的过滤器活门的封闭系统 | |
KR100740286B1 (ko) |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 |
US5382192A (en) | Damper control apparatus | |
CN204817425U (zh) | 一种环保型通风橱 | |
EP3554726B1 (en) | Fume cupboard provided with improved accessibility to the sash transmission system | |
JP6600789B2 (ja) | 引戸装置 | |
CN206972024U (zh) | 一种智能安全门防夹装置 | |
EP2669586A1 (en) | Suction hood | |
JP5609933B2 (ja) | ロボットシステム | |
KR102420107B1 (ko) | 흄후드 | |
CN108704234B (zh) | 一种连杆驱动开闭的消防沙箱 | |
JP6897948B2 (ja) | ヒュームフード | |
CN201880725U (zh) | 通风柜 | |
UA72799C2 (en) | Gripping device | |
EP3817858B1 (en) | Protecting safety screen for a fume hood and fume hood incorporating the screen and method of use | |
KR20040110083A (ko) | 이동식 오염제거용 챔버 | |
JP2009097193A (ja) | 開閉扉のストッパー装置及びヒュームフード | |
CN203459379U (zh) | 一种通风橱 | |
CN221134617U (zh) | 一种防撞焊接机器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