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241A - 메일 단자 핀구조 - Google Patents

메일 단자 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241A
KR20160067241A KR1020140171885A KR20140171885A KR20160067241A KR 20160067241 A KR20160067241 A KR 20160067241A KR 1020140171885 A KR1020140171885 A KR 1020140171885A KR 20140171885 A KR20140171885 A KR 20140171885A KR 20160067241 A KR20160067241 A KR 20160067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wire
positioning
terminal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요승
하치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7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7241A/ko
Publication of KR2016006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일 단자 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가 구비되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판면 일부가 절개 형성된 노치홈이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메일 단자 핀구조{PIN STRUCTURE OF MALE TERMINAL}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일 단자의 핀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형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상보적인 암형 전기 단자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 조립체를 수납하는 절연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특히,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는 진동을 받거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과의 진동 공진에 의해 가끔 증폭된다. 차량의 전체 수명 기간 동안 암형 단자에 속한 단자 표면과 수형 단자에 속한 단자 표면 간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 단자들에 있어서, 전기적 접촉 성능을 저감시키지 않고 그러한 수형/암형 단자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또한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함으로써 와이어에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 연결부(10)와, 와이어 연결부(10)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20)와, 위치 결정부(20)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30)로 이루어진다.
와이어 연결부(10)는 일측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어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와이어의 둘레를 압착할 수 있도록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20)는 와이어 연결부(10)의 일단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밴딩된 형태로 형성된다.
접속부(30)는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피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위치 결정부(20)보다 작은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단부는 뾰족하게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접속부(30)와 위치 결정부(20)의 연결을 위하여 접속부(30)와 위치 결정부(20) 사이에는 연결부(40)가 구비되는데, 연결부(40)는 위치 결정부(20)의 일단부에서 접속부(30)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과 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부(40)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그 상면과 하면이 위치 결정부(20)에서 접속부(30)로 갈수록 각각 하향 및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위치 결정부(20)와 접속부(3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40)의 양측에는 절개홈(41)이 절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에 있어서는,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결합시에 접속부(30)가 휘어지거나 혹은 부러짐으로 인하여 조립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상호 체결시에 메일 단자에 구비된 접속부가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노치홈을 가공함으로써 단자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단자가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메일 단자 핀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가 구비되는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판면 일부가 절개 형성된 노치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노치홈은 상기 위치 결정부의 측면과 상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치홈은 상기 위치 결정부에 형성된 절개면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속부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 측으로 근접할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상기 접속부의 상면에는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상호 체결시에 메일 단자에 구비된 접속부가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치홈을 가공함으로써 단자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단자가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메일 단자 핀구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메일 단자 핀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는,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100)와, 와이어 연결부(100)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200)와, 위치 결정부(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300)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위치 결정부(200)와 접속부(300) 사이에는 연결부(400)가 구비되고, 연결부(400)가 구비되는 위치 결정부(200)에는 위치 결정부(200)의 판면 일부가 절개 형성된 노치홈(2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이어 연결부(100)는 메일 단자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일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어 그 내면에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안착된 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압착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연결부(100)는 와이어의 피복이 제거된 도체 영역을 압착하는 도체 압착부재(110)와,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도록 도체 압착부재(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피복 압착부재(미도시)로 구성된다.
메일 단자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 되는 도체 압착부재(110)의 폭은 피복 압착부재(미도시)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체 압착부재(110)가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도체 영역이 와이어의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보다 직경이 작으므로 피복 압착부재(120)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메일 단자에 연결되는 와이어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이 되는 피복 압착부재(미도시)의 폭은 도체 압착부재(1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피복 압착부재(미도시)가 외측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도체 영역이 와이어의 피복이 제거되지 않은 영역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도체 압착부재(110)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연결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내면에 안착되면 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는 형태로 외형이 변형된 후에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전이 가능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결정부(200)는 와이어 연결부(100)의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서 그 종단면은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200)에는 그 판면 일부가 절개된 노치홈(21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노치홈(210)은 위치 결정부(200)의 측면과 상면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치 결정부(200)의 측면과 상면 일부에 형성됨으로써 노치홈(210)은 연결부(400)에 형성된 절개면(4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노치홈(210)이 위치 결정부(200)에 형성된 절개면(4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결합시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단자가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노치홈(210)이 절개면(410)과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속부(30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접속부(300)와 연결부(400)의 경계 영역에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일정 정도 단자가 휘어진 후에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 단자가 부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접속부(300)는 실질적으로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판상의 부재로서 연결부(100)나 혹은 위치 결정부(200)보다는 작은 폭과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위치 결정부(200)와 접속부(300) 사이에는 접속부(300)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별도의 연결부(4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접속부(300)로 인하여 접속부(300)를 기준으로 접속부(300)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위치 결정부(200)와 접속부(300)의 연결이 구조적으로 더욱 보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결부(400)는 접속부(300)에서 위치 결정부(200) 측으로 근접할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400)와 접촉되는 접속부(300)의 상면에는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310)가 구비되어 있다.
연장부재(310)는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체결시에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는 깊이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부(400)가 손상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밀어 넣을 경우에 접속부(30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연장부재(310)가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면 결합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삽입 동작을 멈춤으로써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연결부(400)가 접촉됨을 방지하여 연결부(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 단자 핀구조는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하여 상호 체결시에 메일 단자에 구비된 접속부가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에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노치홈을 가공함으로써 단자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단자가 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와이어 연결부 110 : 도체 압착부재
200 : 위치 결정부 210 : 노치홈
300 : 접속부 400 : 연결부
410 : 절개면

Claims (5)

  1.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100)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100)에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일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위치 결정부(200)와;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메일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300)를 포함한 메일 단자 핀구조로서,
    상기 위치 결정부(200)와 상기 접속부(300) 사이에는 연결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400)가 구비되는 상기 위치 결정부(200)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판면 일부가 절개 형성된 노치홈(2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210)은 상기 위치 결정부(200)의 측면과 상면 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210)은 상기 연결부(400)에 형성된 절개면(4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접속부(300)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200) 측으로 근접할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도록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0)와 접촉되는 상기 접속부(300)의 상면에는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3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단자 핀구조.
KR1020140171885A 2014-12-03 2014-12-03 메일 단자 핀구조 KR20160067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885A KR20160067241A (ko) 2014-12-03 2014-12-03 메일 단자 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1885A KR20160067241A (ko) 2014-12-03 2014-12-03 메일 단자 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241A true KR20160067241A (ko) 2016-06-14

Family

ID=5619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885A KR20160067241A (ko) 2014-12-03 2014-12-03 메일 단자 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72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2902B2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US8758068B2 (en) Contact spring for plug connector socket
KR100359465B1 (ko) 전기터미날
CN108933336B (zh) 免剥皮电线连接器用端子
US9083091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for solderless connection of parts to electrical contact holes
JP2014510371A (ja) 環状の弾性的接点形成手段を有する高電流挿入型コネクタ
JP2929416B2 (ja) 接続端子の切断・圧着装置
US20180138600A1 (en) Terminal and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CN208489426U (zh) 防止端子折弯损伤的idc连接器
JP2018041549A (ja) 圧着端子
JP2020187895A (ja) 圧接端子、端子付き電線、及び、コネクタ
KR101301625B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KR20160067241A (ko) 메일 단자 핀구조
CN105048139A (zh) 电线用连接器
JP6330845B2 (ja) 電線用コネクタ
KR20150054089A (ko) 커넥터
KR101723042B1 (ko) 메일 단자 핀구조
US20200161786A1 (en) Female terminal
JP2006172738A5 (ko)
US20130130564A1 (en) Crimped terminal
JP2020135998A (ja) コネクタ
JP6796619B2 (ja)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JPH1069929A (ja) 電気コネクタ
US11677167B2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terminal crimping device
JP201903646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