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345A -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345A
KR20160066345A KR1020140170598A KR20140170598A KR20160066345A KR 20160066345 A KR20160066345 A KR 20160066345A KR 1020140170598 A KR1020140170598 A KR 1020140170598A KR 20140170598 A KR20140170598 A KR 20140170598A KR 20160066345 A KR20160066345 A KR 20160066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307B1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07B1/ko
Priority to CN201510727165.3A priority patent/CN105657784B/zh
Publication of KR2016006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모듈들이 통합된 콤보 칩을 이용하여 차량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며, 시구간을 달리 하여 각 통신 모듈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에서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 통신부; 차량에서 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통신부; 및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하면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시구간들 사이에 위치하는 갭구간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of vehicle}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은 블루투스(BT; Bluetooth) 핸즈프리(Handsfree)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기 위하여 각 통신을 위한 두개의 칩(Chip)과 두개의 안테나(Antenna)를 별도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종래 차량용 AVN 시스템은 BT와 WiFi가 서로 독립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 안정적이며, 블루투스 연결 동작(Paging Scan)시 WiFi에도 지속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칩 구조로 인해 차량용 AVN 시스템을 생산함에 있어서 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7111호는 복수개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AVN 헤드 유닛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AVN 헤드 유닛은 블루투스 통신과 CAN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모듈들이 통합된 콤보 칩(Combo Chip)을 이용하여 차량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며, 시구간을 달리 하여 각 통신 모듈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서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 통신부; 상기 차량에서 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통신부; 및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하면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시구간들 사이에 위치하는 갭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하나의 칩(Chip)에 통합되어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와이파이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 탑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두개의 장치들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로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할 때 상기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통신 우선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간 크기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상기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상기 기준 구간의 크기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장치와 통신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구간들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에서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구간들 사이에 위치하는 갭구간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갭구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과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 통합된 칩 및 상기 칩에 연결된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며,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와이파이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은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구간들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두개의 장치들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로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할 때 상기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상기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상기 기준 구간의 크기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장치와 통신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모듈들이 통합된 콤보 칩을 이용하여 차량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며, 시구간을 달리 하여 각 통신 모듈이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차량용 Bluetooth & WiFi 기능을 Android Platform과 유사하게 구현하여 동등 효과를 낼 수 있으며, S/W 수정으로 BT-Wifi Combo Module의 단점을 극복해낼 수 있다.
둘째, 원가 절감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시구간을 달리 하여 각 통신 모듈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BT(BlueTooth)-WiFi 콤보 칩(Combo Chip)에 대하여 제안하며, 이와 더불어 이 콤보 칩에서의 BT와 WiFi 간 자원 공유 개선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발명에 다르면, 차량용 Bluetooth Handsfree & WiFi combo chip 사용시 1 chip 1 Antenna 사용으로 인한 Bluetooth & WiFi Coex 문제를 해결하여 기존 2 chip 2 Antenna 비교시 원가 절감 효과 ? 동일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콤보 칩 세트(120)는 BT/WiFi Combo Chipset으로서, BT 통신 모듈과 WiFi 통신 모듈이 통합된 콤보 칩(122)으로 하나의 BT/WiFi Antenna(121)를 통해 외부 device(110)와 무선 통신을 한다.
이때 콤보 칩(122)은 BT를 이용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110)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을 수행하며, WiFi를 이용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110)와 SDIO(Secure Digital Input/Output) 통신을 수행한다.
콤보 칩(122)은 BCM4339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칩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콤보 칩(1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F(Band Pass Filter; 210), BCM89071(220), 26MHz CLK(Crystal)(230) 및 32,768KHz CLK : LPO(OSC)(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콤보 칩 세트(120)는 하나의 안테나(121)를 이용하기 때문에 동일 주파수 대역(2.4G)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수신 RF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AVN 시스템을 생산할 경우 기존보다 상당한 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기능(BT, WiFi)이 외부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서 1개의 안테나를 공유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Bluetooth로 연결 시도를 하는 중에 WiFi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기존 WiFi 연결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Bluetooth 연결 시도시(Paging Scan)에 중간 중간 Gap을 넣도록 S/W를 수정함으로써 Bluetooth 연결 시도시에도 WiFi 연결을 가능케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은 AVN 시스템(310), 제1 외부 단말(External Device)(320) 및 제2 외부 단말(110)을 포함한다.
AVN 시스템(310)은 콤보 칩 세트(11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콤보 칩 세트(110)를 이용하여 제1 외부 단말(320) 및 제2 외부 단말(330)과 통신한다.
AVN 시스템(310)은 어플리케이션(APP) 영역(311), 안드로이드(Android) S/W F/W 영역(312), OS 영역(313) 및 CPU(314)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영역(311)은 CPU(314)의 제어에 따라 자바 어플리케이션(JAVA Application)을 이용하여 AV, 텔레매틱스(Telematics), BT, 음성인식, 내비게이션(Navi) 등을 제어한다.
안드로이드 S/W F/W 영역(312)은 오토모티브(Automotive) API, 안드로이드 API, 오토모티브 프레임워크(Automotive Framework),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오토모티브 라이브러리(Automotive Libraries),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등을 포함한다.
오토모티브 라이브러리는 마이컴(Micom) I/F, 텔레칩스(Telechips) AVN 요소 기술 등을 포함한다.
OS 영역(313)은 HAL, 리눅스(Linux) OS/커널(Kernel), EV 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EV Board Device Driver), D-오디오 특정 디바이스 드라이버(D-Audio Specific Device Driver) 등을 포함한다.
CPU(314)는 텔레칩스 TCC8931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외부 단말(320)은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AVN 시스템(3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웹 서버로 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외부 단말(33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AVN 시스템(3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 3의 일 형태에 따르면, AVN 시스템(31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제2 외부 단말(330)과 연결이 이루어져 전화 기능(Bluetooth Hands Free)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WiFi 접속이 이루어져 WiFi를 이용하여 제1 외부 단말(320)과 연결이 이루어져 사운드 하운드(Sound Hound) 및 앱 다운로드(App Download)가 가능하다.
AVN 시스템(31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제2 외부 단말(330)과 블루투스 핸즈프리(Bluetooth Handsfree)가 가능해질 경우 제2 외부 단말(330)로부터 전화번호부 등을 다운로드받거나 핸즈프리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VN 시스템(310)은 제2 외부 단말(330)에 저장된 MP3 파일 등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AVN 시스템(310)은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제1 외부 단말(320)과 연결될 경우, AVN 시스템(310)에서 사운드 하운드 기능을 제공하거나, 제1 외부 단말(320)로부터 안드로이드 앱을 다운로드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참고할 점은 상기에서 말하는 WiFi는 Handsfree가 연결된 모바일 단말에서의 WiFi 및 그외 WiFi 연결을 모두 포함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시구간을 달리 하여 각 통신 모듈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통상 베이스라인(Baseline) 즉 원 풀 페이징 사이클(One Full Paging Cycle)의 페이지 타임아웃(Page Time Out)은 2.56초(Sec)이다.
그리고 원 풀 페이징 사이클의 복수번 단순 반복(Simple Repetition of One Full Paging Cycle)을 고려할 때, 예컨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풀 페이징 사이클의 4차례 단순 반복을 고려하면 토탈 페이지 타임아웃은 10.24초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하는 원 풀 페이징 사이클(510)과 후행하는 원 풀 페이징 사이클(520) 사이에 갭(Gap; 530)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 S/W를 보면 H/U에서의 휴대폰으로 블루투스 연결 시도 최적화 time(10,000ms) 사이에 gap을 두어 WiFi 무선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렇게 S/W를 변경하면 휴대폰에서의 동일한 Bluetooth & WiFi 연결 동작을 Automotive system(차량용 Android System )에서도 구현하여 1개의 chip 및 antenna로 동등한 Bluetooth & WiFi 무선 연결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할 경우, S/W 개선 전에서의 page time out를 길게 하거나, 이를 쪼개어도 bluetooth connection 쪽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3 및 도 6을 참조한다.
먼저 AVN 시스템(310)이 지정된 페이지 스캔(ON-DEMAND PAGE SCAN)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지정된 페이지 스캔이 요청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VN 시스템(310)이 페이지 스캔(PAGE SCAN)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NORMLA STANDBY)한다(S650).
반면 지정된 페이지 스캔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AVN 시스템(310)이 제2 외부 단말(1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시구간이 도래하면 페이징 모드에 진입(PERSIST PAGING MODE)하여 지정된 페이지 스캔 기능을 수행(ENABLE ON-DEMAND PAGE SCAN)한다(S620). 이때 AVN 시스템(310)은 2,500ms동안 지정된 페이지 스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AVN 시스템(310)은 제2 외부 단말(1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외부 단말(320)과 연결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제1 외부 단말(320)과 연결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되면, AVN 시스템(310)이 제2 외부 단말(110)과 더불어 제1 외부 단말(3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시구간 이후의 갭구간이 도래하면 페이징 모드에 진입하여 지정된 페이지 스캔 기능을 수행한다(S640).
반면 제1 외부 단말(320)과 연결이 요청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VN 시스템(310)은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후 AVN 시스템(310)이 페이지 스캔 사이클 즉 제2 외부 단말(110)과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시구간동안 페이지 스캔 기능을 수행하는 사이클이 4번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REPEAT THIS CYCLE FOR 4 TIMES)한다(S660).
페이지 스캔 사이클이 4번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AVN 시스템(310)이 기능 종료된다. 반면 페이지 스캔 사이클이 4번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AVN 시스템(310)이 S61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한편 외부 기기에 Bluetooth & Wifi가 동시 연결을 요청하였을 경우 WiFi 같은 경우 Bluetooth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므로 1 antenna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결 실패에 대한 Re-try가 default로 추가 구현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제1 데이터 통신부, 제2 데이터 통신부, 데이터 통신 제어부, 전원부 및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다.
전원부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가 차량용 AVN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차량용 배터리와 MCU(또는 ECU)에 의해 구현 가능할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와 주제어부는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차량에서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제1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차량에서 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제2 무선 통신으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통신부와 제2 데이터 통신부는 하나의 칩(Chip)에 통합되어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하면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시구간들 사이에 위치하는 갭구간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통신 우선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우선순위 결정부는 두개의 장치들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할 때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가 통신 우선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제1 무선 통신으로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제2 무선 통신으로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구간 크기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간 크기 판단부는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가 구간 크기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제어부는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장치와 통신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구간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구간을 의미한다. 보통 서로 다른 두 단말 간 데이터 통신 수행시 일 단말이 타 단말에게 REQUEST 신호를 송신하고 타 단말로부터 RESPONSE 신호가 수신되면 비로소 타 단말로 데이터를 담은 신호를 전송한다. 그런데 갭구간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갭구간의 크기와 기준 구간의 크기를 비교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것인지 아니면 통신 연결만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 통신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데이터 통신부가 차량에서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데이터 통신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 사이에 위치하는 갭구간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갭구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데이터 통신부가 차량에서 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통신부와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제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과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 통합된 칩 및 이 칩에 연결된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통신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통신 우선순위 결정부가 두개의 장치들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할 때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 간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데이터 통신부가 구동되기 전에, 구간 크기 결정부가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간 크기 결정부에 의해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데이터 통신부가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반면 구간 크기 결정부에 의해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데이터 통신부가 제2 장치와 통신 연결을 유지한다.
구간 크기 결정부의 상기한 단계는 제2 데이터 통신부가 구동되기 전(즉 제2 데이터 통신부가 제2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2 장치와 통신 연결을 유지하기 전)에만 수행된다면 충분하며, 그 이전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차량에서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데이터 통신부;
    상기 차량에서 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통신부; 및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하면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시구간들 사이에 위치하는 갭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하나의 칩(Chip)에 통합되어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두개의 장치들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로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할 때 상기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통신 우선순위 결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간 크기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상기 기준 구간의 크기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갭구간의 크기가 상기 기준 구간의 크기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장치와 통신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8. 미리 정해진 시구간들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시구간들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에서 제1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구간들 사이에 위치하는 갭구간이 도래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갭구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서 제2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과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 통합된 칩 및 상기 칩에 연결된 하나의 안테나를 공통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하며,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은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두개의 장치들이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로 상기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할 때 상기 서로 다른 무선 통신들 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며, 상기 제2 장치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KR1020140170598A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79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98A KR102279307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1510727165.3A CN105657784B (zh) 2014-12-02 2015-10-30 车辆用数据通信控制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98A KR102279307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45A true KR20160066345A (ko) 2016-06-10
KR102279307B1 KR102279307B1 (ko) 2021-07-21

Family

ID=5619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98A KR102279307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9307B1 (ko)
CN (1) CN10565778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575A (ko) *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75319A1 (en) * 2011-04-26 2012-11-01 Bemini Hennadige Janath Peiris Concurrent transmission of wi-fi and bluetooth signals
CN102830634A (zh) * 2012-08-24 2012-12-19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功能集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6998B2 (ja) * 2000-07-06 2003-11-17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575A (ko) *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75319A1 (en) * 2011-04-26 2012-11-01 Bemini Hennadige Janath Peiris Concurrent transmission of wi-fi and bluetooth signals
CN102830634A (zh) * 2012-08-24 2012-12-19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功能集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7784A (zh) 2016-06-08
CN105657784B (zh) 2019-04-09
KR102279307B1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2055B2 (en) Hardware event priority sensitive programmable transmit wait-window for virtual GPIO finite state machine
US8724476B2 (en) Wireless LAN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168966A1 (en) Optimal latency packetizer finite state machine for messaging and input/output transfer interfaces
US202200953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US9648155B2 (en) Mobile terminal, onboard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EP3790325B1 (en) Bluetooth - ultra wideband synchronization
CN113676269B (zh) 电子设备的数据传输方法及其介质和电子设备
CN112803961A (zh) 用于管理多种通信方案共存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9037270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verage compensation method thereof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US10535914B2 (en) Antenna device
US20190073327A1 (en) Ultra-short rffe datagrams for latency sensitive radio frequency front-end
US118004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 thereof
CN203301529U (zh) 车载音频装置
KR102501760B1 (ko)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4037025A1 (zh) 无线通信电路、蓝牙通信切换方法和电子设备
JP2023535508A (ja) 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102279307B1 (ko) 차량용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093491A1 (zh) 一种车内应用流转的方法及终端
CN110830476B (zh) 一种安卓车载影音系统的音频源切换控制方法
CN111857494A (zh) 实现虚拟车机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60131722A (ko) 텔레매틱스 장치
CN216214081U (zh) 车载tbox天线装置
CN111052846A (zh) 进行作为无线电通信的一部分的先听后说操作的电子设备及其方法
CN105406895A (zh) 一种基于WiFi的无线智能车载终端
CN116112909A (zh) 资源分配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