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313A - 두둑 평탄장치 - Google Patents

두둑 평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313A
KR20160064313A KR1020140167366A KR20140167366A KR20160064313A KR 20160064313 A KR20160064313 A KR 20160064313A KR 1020140167366 A KR1020140167366 A KR 1020140167366A KR 20140167366 A KR20140167366 A KR 20140167366A KR 20160064313 A KR20160064313 A KR 2016006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lat
adjusting member
fram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657B1 (ko
Inventor
이승기
김웅
전명진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6Adjustable ax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둑 평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비와 체결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구비하는 두둑 평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일 면에 무게를 받쳐주기 위하여 하부방향으로 캐스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타 면에 장비가 체결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조절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는 제2 조절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 간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조절부재; 상기 제1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1 평탄부재를 구비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제2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평탄부재를 구비하는 제2 블레이드; 하단부는 상기 제1 브라켓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조절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완충부재; 및 하단부는 상기 제2 브라켓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 조절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두둑 평탄장치 {flatness device}
본 발명은 두둑 평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토는 작물의 생육기간 중에 골 사이나 포기 사이의 흙을 포기 밑으로 긁어모아 주는 작업을 말한다. 배토는 작물 사이에 흙을 북돋아 주어 뿌리의 지지력을 강화시켜 동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배토는 고랑에 발생한 잡초를 매몰, 고사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배토는 일반적으로 트랙터 후미에 쟁기날로 형성된 배토 날을 이용하여 고랑을 만들고 있다. 즉, 배토는 배토 날을 트랙터로 끌고 다니면서 흙을 파내면, 파내진 흙은 배토 날의 경사면을 따라서 두둑(논이나 밭 가장자리에 경계를 이룰 수 있도록 두두룩하게 형성되는 상태)을 성형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공보 KR10-2010-0087498을 참조).
이러한, 두둑은 작물의 품종에 따라 높이, 넓이 및 평탄 정도를 다르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두둑의 높이, 넓이 및 평탄 작업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만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두둑의 평탄화 작업시에는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0-0087498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두둑을 형성시에 작업효율이 향상된 두둑 평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두둑 높이, 넓이 및 평탄 정도를 조절 가능한 두둑 평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둑 평탄장치는, 장비와 체결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구비하는 두둑 평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일 면에 무게를 받쳐주기 위하여 하부방향으로 캐스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타 면에 장비가 체결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조절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는 제2 조절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 간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조절부재; 상기 제1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1 평탄부재를 구비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제2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평탄부재를 구비하는 제2 블레이드; 하단부는 상기 제1 브라켓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조절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완충부재; 및 하단부는 상기 제2 브라켓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 조절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갠트리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는 일면으로 각각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는 외주 면에 조절 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또한, 제1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1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 홈에 고정핀이 삽입된다.
또한, 제1 완충부재는 제1 돌출부의 상면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2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 홈에 고정핀이 삽입된다.
또한, 제1 브라켓 내측 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제1 평탄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켓 내측 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제2 평탄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평탄부재와 제2 평탄부재의 표면 상면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는 평탄작업시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두둑 평탄장치는, 두둑을 형성시에 작업효율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과 평탄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두둑의 넓이와 평탄 정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부재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두둑의 높이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두둑의 높이가 서로 다른 곳에서도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고랑 길의 양측을 작업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캐스터를 사용함으로써, 배토의 형태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둑 평탄장치의 실사진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두둑 평탄장치의 간략한 사용예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제1 평탄부재가 펼쳐진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완충기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둑 평탄장치의 실사진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두둑 평탄장치의 간략한 사용예시도, 도 3은 도 2에 대한 제1 평탄부재가 펼쳐진 예시도, 및 도 4는 도 2에 대한 완충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둑 평탄장치(1)는, 프레임(12)의 중앙부 일 면에 무게를 받쳐주기 위하여 하부방향으로 캐스터(16)가 형성된 지지부(14)와 상기 프레임(12)의 중앙부 타 면에 장비가 체결되도록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 수평프레임(12); 상기 프레임(12)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조절부재(21)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2)의 타측 단부에는 제2 조절부재(23)가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조절부재(21)와 제2 조절부재(23) 간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조절부재(20); 상기 제1 조절부재(21)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1 브라켓(31)과 상기 제1 브라켓(31)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1 평탄부재(33)를 구비하는 제1 블레이드(30); 상기 제2 조절부재(23)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2 브라켓(41)과 상기 제2 브라켓(41)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평탄부재(43)를 구비하는 제2 블레이드(40); 하단부는 상기 제1 브라켓(31)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조절부재(21)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완충부재(60); 및 하단부는 상기 제2 브라켓(41)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 조절부재(23)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완충부재(70)를 포함한다.
수평프레임(10)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프레임(12)과 프레임(12)의 중앙 일면에 형성된 지지부(14)와 프레임(12)의 중앙 타면에 형성된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레임(12)은 조절부재(20), 제1 블레이드(30), 제2 블레이드(40), 제1 완충부재(60) 및 제2 완충부재(70) 등을 지지한다. 프레임(12)은 강성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프레임(12)은 정사각형, 다각형, 원형 및 곡선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프레임(12)의 외주 면에 지지부(14)가 형성되고, 지지부(14)에 대응하여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지지부(14)는 두둑 평탄장치(1)가 한쪽 방향으로 쏠리는 상태를 방지한다. 지지부(14)는 체결부(미도시)가 장비에 체결시 무게중심을 받쳐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지지부(14)는 프레임(12)의 중앙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14) 상단부는 프레임(14)의 중앙에 체결된다. 지지부(14) 하단부는 캐스터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부(14)는 고랑의 좁은 길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캐스터(16)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체결부(미도시)는 장비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체결부는 컨바이어 및 경운기 등의 다양한 장비에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체결부는 강성을 갖도록 넓은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체결부의 형태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조절부재(20)는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배치된 제1 조절부재(21)와 프레임의 타측단부에 배치된 제2 조절부재(23)를 포함한다.
조절부재(20)는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갠트리구조로 형성된다. 즉, 조절부재(20)는 수평프레임(10)에 대하여 상하좌우로 거리를 조절한다. 조절부재(20)는 프레임(12)을 따라 제1 조절부재(21)와 제2 조절부재(23)를 각각 조절한다. 조절부재(20)는 제1 조절부재(21)와 제2 조절부재(23) 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즉, 조절부재(20)는 고랑의 폭에 따른 거리를 조절한다. 조절부재(20)는 고랑의 높이에 따라 제1 조절부재(21)와 제2 조절부재(23)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조절부재(20)는 수평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1 조절부재(21)와 제2 조절부재(23)를 조절한다.
제1 조절부재(21)는 고랑의 폭에 따라 제1 블레이드(30)와 제2 블레이드(40)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제1 조절부재(21)는 지지부(14)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면서 고랑 폭의 간격을 조절한다. 제1 조절부재(21)는 수평프레임(1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체결된다.
제1 조절부재(21)는 수평프레임(10)에 대하여 갠트리 구조로 체결된다. 즉, 제1 조절부재(21)는 프레임(12)에 대하여 교차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조절부재(21)는 프레임(12)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조절부재(21)는 프레임(12)에 대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이송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1 조절부재(21)의 하단부는 제1 블레이드(30)가 연결된다. 제1 조절부재(21)와 제1 블레이드(30)는 힌지형태로 연결된다.
제1 조절부재(21)의 일면으로는 제1 돌출부(25)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25)는 제1 완충부재(6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돌출부(25)는 삽입 홈이 형성된다. 삽입 홈은 제1 완충부재(60)의 중간 부위가 삽입된다. 삽입 홈은 제1 완충부재(60)가 충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돌출부(25)는 제1 완충부재(60)가 지면으로부터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2 조절부재(23)는 고랑의 폭에 따라 제1 블레이드(30)와 제2 블레이드(4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제2 조절부재(23)는 제1 조절부재(21)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면서 고랑 폭의 간격을 조절한다. 제2 조절부재(23)는 수평프레임(1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체결된다.
제2 조절부재(23)는 수평프레임(10)에 대하여 갠트리 구조로 체결된다. 즉, 제2 조절부재(23)는 프레임(12)에 대하여 교차하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2 조절부재(23)는 프레임(12)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제2 조절부재(23)는 프레임(12)에 대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이송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2 조절부재(23) 하단부는 제2 블레이드(40)가 연결된다. 제2 조절부재(23)와 제2 블레이드(40)는 힌지형태로 연결된다.
제2 조절부재(23) 일면으로는 제2 돌출부(27)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27)는 제2 완충부재(7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돌출부(23)는 제2 완충부재(70)가 지면으로부터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 블레이드(30)는 고랑 지의 두둑 형상을 평탄하게 한다. 제1 블레이드(30)는 제1 완충부재(60)의 가압을 두둑 형상에 전달한다. 제1 블레이드(30)는 지면과 접촉하여 평탄면을 만드는 제1 브라켓(31)과 제1 브라켓(31)에서 연장되어 평탄면을 생성하는 제1 평탄부재(33)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31)은 제1 완충부재(60)의 가압으로 지면에 평탄면을 생성한다. 제1 브라켓(31)은 평면을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제1 브라켓(31)의 형태를 직사각형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1 브라켓(31)은 내부에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 브라켓(31)은 제1 평탄부재(33)가 삽입되도록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제1 브라켓(31)은 제1 조절부재(21)와 제1 완충부재(60)가 힌지형태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브라켓(30)은 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브라켓(30)이 평탄 작업으로 인해 제1 평탄부재(3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브라켓(30)은 제1 평탄부재(33)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 브라켓(30)은 제1 평탄부재(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이탈방지 부재(35)가 형성된다. 제1 이탈방지 부재(35)는 제1 브라켓(31)의 상면에서 제1 평탄부재(33)를 고정한다. 즉, 제1 이탈방지 부재(35)는 제1 평탄부재(33)와 제1 브라켓(3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이탈방지 부재(35)는 제1 브라켓(3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이탈방지 부재(35)는 제1 브라켓(31)의 상면에서 제1 브라켓(31)의 하면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1 이탈방지 부재(35)는 제1 브라켓(31)과 제1 평탄부재(3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제1 평탄부재(33)는 고랑 지를 평탄하게 한다. 제1 평탄부재(33)는 제1 브라켓(31)에서 연장되어 평탄면적을 넓게 한다. 즉, 제1 평탄부재(33)는 고랑 지폭에 따라 평탄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평탄부재(33)는 가이드 홈(미도시)을 따라 제1 브라켓(31)에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제1 평탄부재(33)는 표면에 손잡이(50)가 형성된다. 제1 평탄부재(33)는 제1 브라켓(31)에서 연장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50)가 형성된다.
제2 블레이드(40)는 고랑 지의 두둑 형상을 평탄하게 한다. 제2 블레이드(40)는 제1 완충부재(70)의 가압을 두둑 형상에 전달한다. 제2 블레이드(40)는 제2 완충부재(70)을 이용하여 제1 블레이드(30)의 높이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제2 블레이드(40)는 지면과 접촉하여 평탄면을 생성하는 제2 브라켓(41)과 제2 브라켓(41)에서 연장되어 평탄면을 생성하는 제2 평탄부재(43)를 포함한다.
제2 브라켓(41)은 제2 완충부재(70)의 가압으로 지면에 평탄면을 생성한다. 이때, 제2 브라켓(41)은 제1 브라켓(31)과 동일한 지면의 각도를 형성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브라켓(41)은 평면을 갖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제2 브라켓(41)의 형태를 직사각형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제2 브라켓(41)은 내부에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 브라켓(41)은 제2 평탄부재(43)가 삽입되도록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제2 브라켓(41)은 제2 조절부재(23)와 제2 완충부재(70)가 힌지형태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2 브라켓(40)은 강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브라켓(40)이 평탄 작업으로 인해 제2 평탄부재(43)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브라켓(40)은 제2 평탄부재(43)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브라켓(40)은 제2 평탄부재(4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이탈방지 부재(45)가 형성된다. 제2 이탈방지 부재(45)는 제2 브라켓(41)의 상면에서 제2 평탄부재(43)를 고정한다. 즉, 제2 이탈방지 부재(45)는 제2 평탄부재(43)와 제2 브라켓(4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이탈방지 부재(45)는 제2 브라켓(4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2 이탈방지 부재(45)는 제2 브라켓(41)의 상면에서 제2 브라켓(41)의 하면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2 이탈방지 부재(45)는 제2 브라켓(41)과 제2 평탄부재(4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제2 평탄부재(43)는 고랑 지의 두둑 형상을 평탄하게 한다. 제2 평탄부재(43)는 제2 브라켓(41)에서 연장되어 평탄면적을 넓게 한다. 즉, 제2 평탄부재(43)는 고랑 지폭에 따라 평탄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평탄부재(43)는 가이드 홈(미도시)을 따라 제2 브라켓(41)에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제1 평탄부재(43)는 표면에 손잡이(50)가 형성된다. 제2 평탄부재(43)는 제2 브라켓(41)에서 연장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50)가 형성된다.
제1 완충부재(60)는 제1 블레이드(30)를 가압한다. 즉, 제1 완충부재(60)는 제1 브라켓(31)과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완충부재(60)는 제1 브라켓(31)과 제1 돌출부(25)를 연결해주는 제1 연결바(65); 제1 브라켓(31)에 가압을 전달하는 제1 스프링(61) 및 제1 돌출부(25)의 상단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스프링(63)을 포함한다.
제1 연결바(65)는 제1 브라켓(31)을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연결바는 제1 브라켓(31)과 제1 평탄부재(33)를 고랑 지면에 접하여 장비가 이동시 평탄작업이 진행된다.
제1 연결바(65)의 하단부는 제1 브라켓(31)에 체결된다. 제1 연결바(65)와 제1 브라켓(31)은 힌지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제1 연결바(65)는 제1 브라켓(31)과 고랑지 지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제1 연결바(65)는 제1 돌출부(25)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즉, 제1 연결바(65)는 제1 돌출부(25)에 형성된 삽입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제1 연결바(65)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절홈이 형성된다. 제1 연결바(65)의 하단부는 제1 스프링(61)이 배치되고, 제1 연결바(65)의 상단부는 제2 스프링(63)이 배치된다. 이때, 제1 스프링(61)과 제2 스프링(63)은 조절홈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즉, 제1 스프링(61)과 제2 스프링(63)은 제1 연결바(65)에 연결되어 조절홈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탄성력을 조절한다.
제1 스프링(61)은 평탄화 작업시 발생 된 충격을 흡수한다. 제1 스프링(61)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브라켓(31)과 고랑 지면의 가압 정도를 조절한다. 또한, 제1 스프링(6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돌출된 면을 지나가면서 평탄하도록 한다. 즉, 평탄 작업시에 제1 블레이드(30)가 돌출된 곳을 지나가면서 연속적으로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제2 스프링(63)은 평탄화 작업시 발생 된 충격을 흡수한다. 제2 스프링(63)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조절부재(60)의 충격을 흡수한다. 즉, 제2 스프링(61)은 제1 연결바(65)에서 전달된 충격을 제1 조절부재(21), 수평프레임(10) 및 장비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완충부재는(70)는 제2 블레이드(40)를 가압한다. 즉, 제2 완충부재(70)는 제2 브라켓(41)과 고랑 지면에 접하도록 한다. 제2 완충부재(70)는 제2 브라켓(41)과 제2 돌출부(27)를 연결해주는 제2 연결바(75); 제2 브라켓(41)에 가압을 전달하는 제3 스프링(71) 및 제2 돌출부(27)의 상단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4 스프링(73)을 포함한다.
제2 연결바(75)는 제2 브라켓(41)을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연결바(75)는 제2 브라켓(41)과 제2 평탄부재(43)를 고랑 지면에 접하여 장비가 이동시 평탄작업이 진행된다. 즉, 제2 브라켓(41)과 제1 브라켓(31)은 고랑 지면에 평탄면을 형성한다.
제2 연결바(75) 하단부는 제2 브라켓(41)에 체결된다. 제2 연결바(75)와 제2 브라켓(41)은 힌지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제2 연결바(75)는 제2 브라켓(41)과 고랑 지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제2 연결바(75)는 제2 돌출부(27)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즉, 제2 연결바(75)는 제2 돌출부(27)에 형성된 삽입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제2 연결바(75)는 외주 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조절홈이 형성된다. 제2 연결바(75)의 하단부는 제3 스프링(71)이 배치되고, 제2 연결바(75)의 상단부는 제4 스프링(73)이 배치된다. 이때, 제3 스프링(71)과 제4 스프링(73)은 조절홈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즉, 제3 스프링(71)과 제4 스프링(73)은 제2 연결바(75)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조절한다.
제3 스프링(71)은 평탄화 작업시 발생 된 충격을 흡수한다. 제3 스프링(71)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브라켓(41)과 고랑 지면의 가압 정도를 조절한다. 또한, 제3 스프링(7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돌출된 면을 지나가면서 평탄하도록 한다. 즉, 평탄 작업시에 제2 블레이드(40)가 돌출된 곳을 지나가면서 연속적으로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제4 스프링(73)은 평탄화 작업시 발생 된 충격을 흡수한다. 제4 스프링(73)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조절부재(23)의 충격을 흡수한다. 즉, 제4 스프링(71)은 제2 연결바(75)에서 전달된 충격을 제2 조절부재(23), 수평프레임(10) 및 장비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일부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1: 두둑 평탄장치 10: 수평프레임
12: 프레임 14: 지지부
16: 캐스터 20: 조절부재
21: 제1 조절부재 23: 제2 조절부재
30: 제1 블레이드 31: 제1 브라켓
33: 제1 평탄부재 35: 이탈방지 부재
40: 제2 블레이드 41: 제1 브라켓
43: 제1 평탄부재 45: 이탈방지 부재
50: 손잡이 60: 제1 완충부재
61: 제1 스프링 63: 제2 스프링
65: 제1 연결바 70: 제2 완충부재
71: 제3 스프링 73: 제4 스프링
75: 제2 연결바

Claims (9)

  1. 장비와 체결되고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구비하는 두둑 평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일 면에 무게를 받쳐주기 위하여 하부방향으로 캐스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타 면에 장비가 체결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된 수평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는 제1 조절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는 제2 조절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 간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조절부재;
    상기 제1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1 평탄부재를 구비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제2 조절부재의 하단부에 힌지형태로 체결된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2 평탄부재를 구비하는 제2 블레이드;
    하단부는 상기 제1 브라켓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1 조절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완충부재; 및
    하단부는 상기 제2 브라켓 상면으로부터 힌지형태를 갖도록 체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2 조절부재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두둑 평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갠트리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평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는 일면으로 각각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평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는 외주 면에 조절 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평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1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 홈에 고정핀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평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제1 돌출부의 상면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2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절 홈에 고정핀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평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내측 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제1 평탄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켓 내측 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제2 평탄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평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탄부재와 제2 평탄부재의 표면 상면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평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는 평탄작업시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두둑 평탄장치.
KR1020140167366A 2014-11-27 2014-11-27 두둑 평탄장치 KR10170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366A KR101707657B1 (ko) 2014-11-27 2014-11-27 두둑 평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366A KR101707657B1 (ko) 2014-11-27 2014-11-27 두둑 평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313A true KR20160064313A (ko) 2016-06-08
KR101707657B1 KR101707657B1 (ko) 2017-02-17

Family

ID=5619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366A KR101707657B1 (ko) 2014-11-27 2014-11-27 두둑 평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088B1 (ko) 2018-07-16 2019-11-07 김성민 두둑 다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316B1 (ko) 2021-11-11 2022-09-02 임수환 플라우에 장착하는 두둑평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0Y1 (ko) * 2004-04-02 2004-06-24 박기혁 트랙터용 경작장치
KR100896255B1 (ko) * 2008-01-17 2009-05-08 김동수 트랙터용 두둑 다지기
KR20100087498A (ko) 2009-01-28 2010-08-05 백남준 트랙터 부착형 복토기
KR20110082739A (ko) * 2010-01-12 2011-07-20 박병철 승용농기계를 이용한 농경지 평탄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0Y1 (ko) * 2004-04-02 2004-06-24 박기혁 트랙터용 경작장치
KR100896255B1 (ko) * 2008-01-17 2009-05-08 김동수 트랙터용 두둑 다지기
KR20100087498A (ko) 2009-01-28 2010-08-05 백남준 트랙터 부착형 복토기
KR20110082739A (ko) * 2010-01-12 2011-07-20 박병철 승용농기계를 이용한 농경지 평탄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088B1 (ko) 2018-07-16 2019-11-07 김성민 두둑 다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57B1 (ko) 201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6107023A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с устройством обратного прикатывания
US7721815B2 (en) Cushion standard shield system
KR101254462B1 (ko) 씨앗필름 포설장치 및 그 포설장치를 이용한 씨앗필름 포설방법
KR101707657B1 (ko) 두둑 평탄장치
EP1026322A1 (en) Vibrating compactor with adjustable vibration-damped handle
CN105163574A (zh) 带状耕作系统
US8047498B1 (en) Support stand device for rebar bender
US6481923B1 (en) Concrete paving machine
US20170284045A1 (en) Plow assembly with cushioning attachment
EP1190614A3 (en) An implement for treating a soil surface
ES2644364T3 (es) Sistema de carriles extensibles para cajones con un dispositivo de inclinación ajustable
KR20150043619A (ko) 두둑형성용 배토기
US9848538B2 (en) Top surface mover and method of use
JP5678932B2 (ja) 畝成形装置
KR102019871B1 (ko) 트랙터용 써레
JP2014033636A5 (ko)
KR200356631Y1 (ko) 두둑 성형 및 비닐 피복장치가 결합된 트랙터용 로타리
KR20110082739A (ko) 승용농기계를 이용한 농경지 평탄화 장치
US73140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mulching, and leveling soil beds for planting
JP6309920B2 (ja) 長いもの種芋用の畝立てマルチ装置
US20100316444A1 (en) Road maintenance method and vehicle
KR101324634B1 (ko) 행거의 높이조절 가능한 이물질낙하방지 레일장치
US10316480B2 (en) Adjustable snow plow
KR102197765B1 (ko) 도상 교체 차량용 스크레이퍼 장치
CN207332737U (zh) 一种可调节的爬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