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088B1 - 두둑 다짐장치 - Google Patents

두둑 다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088B1
KR102042088B1 KR1020180082411A KR20180082411A KR102042088B1 KR 102042088 B1 KR102042088 B1 KR 102042088B1 KR 1020180082411 A KR1020180082411 A KR 1020180082411A KR 20180082411 A KR20180082411 A KR 20180082411A KR 102042088 B1 KR102042088 B1 KR 10204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ion
auxiliary
support body
mounting un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102018008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01B35/28Rotating tools; Mounting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01B29/02Rollers with smooth surfa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관리기의 전방에 설치하는 장착유닛; 상기 장착유닛과 결합하되 다짐 롤러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유닛; 상기 조절유닛과 결합하되 두둑의 상부를 누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짐 롤러;를 포함하는 두둑 다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두둑의 상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다짐작업을 진행하여 농작물의 모종 및 씨앗의 발아율 및 생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두둑의 넓이 및 높이에 따라서 좌우 및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다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두둑 다짐장치{Device compacting of ridge}
본 발명은 두둑 다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둑의 상부를 눌러서 농작물의 발아율 및 생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두둑 다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씨앗 또는 모종을 두둑에 심은 후 토양(흙)과 접촉량을 확대하고 수분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 두둑의 상부를 눌러주는 다짐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호미 또는 손으로 두둑을 눌러주고 있으나, 이는 균일한 압력 및 깊이로 눌러주지 못하므로 농작물의 생장환경을 저해하고 두둑의 흙을 고랑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이때 고랑으로 떨어진 흙을 다시 퍼올려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가중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농업용 관리기의 일측에 다짐 롤러를 설치하여 두둑의 다짐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는 두둑의 간격 및 높이에 따라서 균일한 다짐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두둑의 간격 및 높이에 따라서 다짐 롤러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3990호(2004.06.24) 한국등록특허 제10-0896255호(2009.05.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7498호(2010.08.05)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9929호(2011.08.10) 한국등록특허 제10-1424745호(2014.08.0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4313호(2016.06.08) 한국등록특허 제10-1760454호(2017.07.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농업용 관리기의 이동과 함께 두둑의 상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서 다짐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두둑 다짐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둑의 넓이 및 높이에 따라서 좌우 및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두둑 다짐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둑 다짐장치(100)는,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에 설치하는 장착유닛(110); 상기 장착유닛(110)과 결합하되 다짐 롤러(130)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유닛(120); 상기 조절유닛(120)과 결합하되 두둑(A)의 상부를 압착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짐 롤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유닛(110)은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에 설치하는 결합구(111); 상기 결합구(111)의 전방에 형성하는 본체(112); 상기 본체(112)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구(113); 상기 본체(112)의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동구(113)와 나사 결합하는 높이 조절구(11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절유닛(120)은 상기 장착유닛(110)의 이동구(113)와 결합하는 지지몸체(121); 상기 지지몸체(121)의 양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22); 상기 보조몸체(122)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다짐 롤러(130)와 결합하는 연동몸체(123); 상기 보조몸체(122)와 연동몸체(123)의 사이에 형성하는 각도 조절구(124); 상기 보조몸체(122)와 각도 조절구(124)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2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이동구(113)와 지지몸체(121)의 중간에 형성하는 회전축(121b); 상기 지지몸체(121)의 중간 일측에 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각도 조절공(121c); 상기 이동구(113)의 일측에 상기 각도 조절공(121c)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2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121)의 양측에 상기 보조몸체(122)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형성하는 중심축(12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몸체(121)의 양측에 상기 보조몸체(122)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이동공(121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몸체(122)와 연동몸체(123)의 사이에 회동축(123a);을 형성하고, 상기 각도 조절구(124)의 하부는 상기 연동몸체(123)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둑의 상부를 일정한 압력으로 다짐작업을 진행하여 농작물의 모종 및 씨앗의 발아율 및 생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두둑의 넓이 및 높이에 따라서 좌우 및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다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짐 롤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짐 롤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에 설치하는 장착유닛(110); 상기 장착유닛(110)과 결합하되 다짐 롤러(130)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유닛(120); 상기 조절유닛(120)과 결합하되 두둑(A)의 상부를 누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짐 롤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유닛(110)은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에 설치하여 두둑(A)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다짐 롤러(130)의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장착유닛(1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에 설치하는 결합구(111); 상기 결합구(111)의 전방에 형성하는 본체(112); 상기 본체(112)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구(113); 상기 본체(112)의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동구(113)와 나사 결합하는 높이 조절구(114);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결합구(111)는 볼트 또는 클램프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에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구(111)는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 형상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2)는 상기 이동구(113)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113)는 상기 높이 조절구(114)와 나사 결합한 상태로 상기 높이 조절구(114)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높이 조절구(114)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구(113)와 나사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유닛(120)은 두둑(A)의 높이 및 넓이에 따라서 상기 다짐 롤러(130)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조절유닛(120)은 상기 장착유닛(110)의 이동구(113)와 결합하는 지지몸체(121); 상기 지지몸체(121)의 양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22); 상기 보조몸체(122)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다짐 롤러(130)와 결합하는 연동몸체(123); 상기 보조몸체(122)와 연동몸체(123)의 사이에 형성하는 각도 조절구(124); 상기 보조몸체(122)와 각도 조절구(124)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125);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121)는 상기 장착유닛(110)의 이동구(113)와 결합하여 상기 높이 조절구(114)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다짐 롤러(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113)와 지지몸체(121)의 중간에 회전축(121b)을 형성하여 두둑(A)의 높이 및 수평상태에 따라서 상기 지지몸체(121) 및 다짐 롤러(130)의 양측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몸체(121)의 중간 일측에 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각도 조절공(121c); 상기 이동구(113)의 일측에 상기 각도 조절공(121c)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21d);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지몸체(121)가 상기 회전축(121b)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도 조절공(121c)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고정구(121d)는 회전상태의 상기 지지몸체(121)를 고정시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1d)는 볼트 등과 같이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몸체(122)는 두둑(A)의 높이 및 넓이에 따라서 상기 다짐 롤러(1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121)의 양측에 상기 보조몸체(122)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형성하는 중심축(122a);을 포함하여 상기 보조몸체(122) 및 다짐 롤러(130)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121)의 양측에 호 형상을 갖는 각도 유도공(121a); 상기 보조몸체(122)의 일측에 상기 각도 유도공(121a)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구(122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보조몸체(122)가 상기 중심축(122a)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도 조절공(121c)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고정구(122b)는 회전상태의 상기 보조몸체(122)를 고정시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2b)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121)의 양측에 상기 보조몸체(122)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이동공(121e);을 포함하여 두둑(A)의 넓이에 따라서 상기 보조몸체(122) 및 다짐 롤러(13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몸체(123)는 하부에 상기 다짐 롤러(130)를 설치하며, 상기 보조몸체(122)와 연동몸체(123)의 사이에 회동축(123a);을 형성하여 상기 다짐 롤러(130)가 두둑(A)의 상부를 눌러서 다짐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특히 상기 각도 조절구(124)는 상기 연동몸체(123)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다짐 롤러(130)의 두둑(A)의 상부를 눌러서 다짐작업을 진행할 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구(124)의 하부는 상기 연동몸체(123)와 나사 결합하여 작업자가 회전시켜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동몸체(123)와 다짐 롤러(130)를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체(125)는 상기 다짐 롤러(130)가 두둑(A)의 상부를 누르면서 이동하여 다짐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돌 또는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 상부로 이동한 후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5)는 스프링 또는 쇽업쇼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짐 롤러(130)는 두둑(A)의 상부를 누르면서 회전 및 이동하여 다짐작업을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다짐 롤러(13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외경에 다양한 재질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짐 롤러(130)는 회전할 수 있도록 양측에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가 비어 있거나 채워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업용 관리기(10)의 전방에 설치하여 이동과 동시에 두둑(A)의 상부를 상기 다짐 롤러(130)가 누르면서 원활한 다짐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농업용 관리기
100: 본 발명 두둑 다짐장치
110: 장착유닛 111: 결합구
112: 본체 113: 이동구
114: 높이 조절구
120: 조절유닛 121: 지지몸체
121a: 각도 유도공 121b: 회전축
121c: 각도 조절공 121d: 고정구
121e: 이동공 122: 보조몸체
122a: 중심축 122b: 고정구
123: 연동몸체 123a: 회동축
124: 각도 조절구 125: 탄성체
130: 다짐 롤러
A: 두둑 B: 고랑

Claims (7)

  1. 농업용 관리기의 전방에 설치하는 장착유닛; 상기 장착유닛과 결합하되 다짐 롤러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유닛; 상기 조절유닛과 결합하되 두둑의 상부를 누르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짐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장착유닛의 이동구와 결합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에 형성하는 보조몸체; 상기 보조몸체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다짐 롤러와 결합하는 연동몸체; 상기 보조몸체와 연동몸체의 사이에 형성하는 각도 조절구; 상기 보조몸체와 각도 조절구의 사이에 형성하는 탄성체;로 구성하고, 상기 보조몸체와 연동몸체의 사이에 회동축;을 형성하며, 상기 각도 조절구의 하부는 상기 연동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다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농업용 관리기의 전방에 설치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전방에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구; 상기 본체의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동구와 나사 결합하는 높이 조절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다짐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와 지지몸체의 중간에 형성하는 회전축; 상기 지지몸체의 중간 일측에 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각도 조절공; 상기 이동구의 일측에 상기 각도 조절공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다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에 상기 보조몸체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형성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다짐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에 상기 보조몸체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이동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둑 다짐장치.
  7. 삭제
KR1020180082411A 2018-07-16 2018-07-16 두둑 다짐장치 KR102042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11A KR102042088B1 (ko) 2018-07-16 2018-07-16 두둑 다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11A KR102042088B1 (ko) 2018-07-16 2018-07-16 두둑 다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088B1 true KR102042088B1 (ko) 2019-11-07

Family

ID=6857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411A KR102042088B1 (ko) 2018-07-16 2018-07-16 두둑 다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08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A (ja) * 1994-06-22 1996-01-0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畦塗装置
KR200353990Y1 (ko) 2004-04-02 2004-06-24 박기혁 트랙터용 경작장치
KR100896255B1 (ko) 2008-01-17 2009-05-08 김동수 트랙터용 두둑 다지기
KR20100087498A (ko) 2009-01-28 2010-08-05 백남준 트랙터 부착형 복토기
KR20110089929A (ko) 2010-02-02 2011-08-10 김시서 견인용 흙 다짐장치
KR101424745B1 (ko) 2013-10-23 2014-08-01 이호진 경운기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KR20150045215A (ko) * 2013-10-18 2015-04-28 한재헌 트랙터용 파종기의 다짐롤러 완충구조
KR20160064313A (ko) 2014-11-27 2016-06-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둑 평탄장치
KR200482035Y1 (ko) * 2016-09-07 2016-12-07 김유경 관리기용 땅 다짐장치
KR101760454B1 (ko) 2016-03-24 2017-07-21 변가옥 밭두둑 피복용 비닐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고정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A (ja) * 1994-06-22 1996-01-0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畦塗装置
KR200353990Y1 (ko) 2004-04-02 2004-06-24 박기혁 트랙터용 경작장치
KR100896255B1 (ko) 2008-01-17 2009-05-08 김동수 트랙터용 두둑 다지기
KR20100087498A (ko) 2009-01-28 2010-08-05 백남준 트랙터 부착형 복토기
KR20110089929A (ko) 2010-02-02 2011-08-10 김시서 견인용 흙 다짐장치
KR20150045215A (ko) * 2013-10-18 2015-04-28 한재헌 트랙터용 파종기의 다짐롤러 완충구조
KR101424745B1 (ko) 2013-10-23 2014-08-01 이호진 경운기용 두둑 성형 및 다짐장치
KR20160064313A (ko) 2014-11-27 2016-06-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둑 평탄장치
KR101760454B1 (ko) 2016-03-24 2017-07-21 변가옥 밭두둑 피복용 비닐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고정방법
KR200482035Y1 (ko) * 2016-09-07 2016-12-07 김유경 관리기용 땅 다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3725B (zh) 一种新型宽苗带智能调控等深播种装置
RU91248U1 (ru) Зернотуковая сеялка прямого сева
KR100433265B1 (ko) 비닐피복 파종기
CN214014925U (zh) 一种保护性耕作苗床整理深松施肥装置
KR102042088B1 (ko) 두둑 다짐장치
CN109121498A (zh) 一种远志专用旋播机
US5934208A (en) Depth control structure for seed drills
RU197076U1 (ru) Посевная секция для посев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CN113366950A (zh) 一种蔬菜种植用土壤压实装置及实施方法
KR102257364B1 (ko)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CN113243153A (zh) 免耕播种机秸秆压埋固定装置
RU186296U1 (ru) Орудие для основ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200350394Y1 (ko) 트랙터 부착형 작판 정지기의 로터리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0030747A (ko) 트랙터 부착형 로터리 겸용 작판 정지기
CN106612654B (zh) 用于泥土的分道机
US11653585B2 (en) Implement variable downforce control
CN212013555U (zh) 一种精量穴播施肥一体机
KR100549811B1 (ko) 트랙터 부착형 작판 정지기의 로터리 높낮이 조절장치
CN217116844U (zh) 免耕播种机秸秆压埋固定装置
KR200350393Y1 (ko) 트랙터 부착형 로터리 겸용 작판 정지기
RU2310301C1 (ru) Способ аэрации почв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808140C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RU207104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KR200182584Y1 (ko) 트랙터용 배토기의 보조장치
RU206457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