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184A - Cap apparatus - Google Patents

Cap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184A
KR20160063184A KR1020140166898A KR20140166898A KR20160063184A KR 20160063184 A KR20160063184 A KR 20160063184A KR 1020140166898 A KR1020140166898 A KR 1020140166898A KR 20140166898 A KR20140166898 A KR 20140166898A KR 20160063184 A KR20160063184 A KR 20160063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erminal
cap
cap body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헌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184A/en
Publication of KR2016006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1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apparatus for applying electric current. The cap apparatus (20) for applying electric curr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n input terminal (12) installed in a block body (10) of a block for a vehicle. In the input terminal (12), a first bus bar (18) and a second bus bar (19) installed in the block body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cap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ditional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s bars (18,19). A cap body (22) forms a skeleton of the cap apparatus (20), and in a terminal settling space (34) formed in the cap body (22), a bridge terminal (36)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 sbar (19) is installed. A part of the bridge terminal (36) is shielded by a protection skirt (28) extended in the cap body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terminal (12) in the block for a vehicle and the electrically connected first and second bus bars (18,19) becomes safer.

Description

통전용 캡장치{Cap apparatus}[0001]

본 발명은 통전용 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럭에서 버스바 사이의 통전을 위한 추가적인 경로를 제공하여 대전류에서도 안정되게 차량용 블럭이 사용되도록 하는 통전용 캡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 cap for providing an additional path for energizing between bus bars in a car block so that a car block can be stably used even in a large current.

차량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블럭은 차량에 있는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분배하게 된다. 차량용 블럭에서 각각의 부하쪽으로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해 차량용 블럭에는 다수개의 퓨즈와 릴레이 등이 설치되는데, 차량용 블럭으로 공급된 전원을 퓨즈쪽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입력측의 입력단자에서 각각의 버스바로 전원이 분배된다.A vehicle block used in a vehicle is supplied with power from a battery or a generator in the vehicle. In order to distribute the power from the vehicle block to each load, a plurality of fuses and relays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block. In order to supply the power supplied to the vehicle block to the fuse, Lt; / RTI >

하지만, 대전류가 상기 입력단자를 통해 흐르면서 입력단자 자체의 저항에 의해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열에 의해 차량용 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의 합성수지가 녹거나 심한 경우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l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input terminal, a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input terminal itself, and when the synthetic resin of the body forming the skeleton of the vehicle block melts or is heated by the heat, fire occurs.

아래의 선행기술 문헌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순동으로 된 부시를 사용하여 버스바 사이를 추가로 연결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부시를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는 것이어서, 차량용 블럭의 부품수가 늘어나고 입력단자의 길이방향으로의 영역을 부시가 차지하게 되므로 차량용 블럭의 설계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bus bars are additionally connected using a bush which is made of a pure coppe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However, if the bush is used, a separate part is added. This increases the number of parts of the vehicle block and occupies the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termina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sign the vehicle block.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064776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477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 사이의 통전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단자를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전원단자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에 두어 차량용 블럭의 입력측에서의 통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for fixing a power terminal for connection to a power source by connecting terminals used for energizing between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ed to input terminals, So that energization at the input side of the vehicle block is smoothly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입력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 사이를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버스바에 전원단자를 밀착시키는 연결캡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고정걸이가 형성된 고정공이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 안착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버스바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버스바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어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단자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bus bar and a second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put terminal, A cap body having a fixing hole formed therein for fixing a fastener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input terminal; and a cap body mounted on the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on the cap body, And a bridge terminal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whos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상기 캡몸체는 반구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손잡이리브가 형성된다.The cap body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 knob rib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캡몸체의 하단 가장자리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브릿지 단자의 일부를 차폐하는 보호스컷트가 구비된다.And a protection ski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a lower edge of the cap body to shield a part of the bridge terminal.

상기 캡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를 둘러 플랜지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와 상기 손잡이리브에 걸쳐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걸림봉이 안착된다.A flange is formed around the bottom edge of the cap body. A latching groove is formed on the flange and the handle rib, and a latching bar formed on the block body is seated in the latching groove.

상기 연결브릿지는 상기 캡몸체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 안착되는데, 상기 단자안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버스바에 밀착되는 제1접촉부를 구비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캡몸체에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핑거와, 상기 단자몸체의 중간부분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제2버스바에 밀착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연결핑거가 구비되는 연장레그를 포함한다.Wherein the connection bridge is seated in a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in the cap body and includes a terminal body having a first contact portion loc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closely contacting the first bus bar, And an extension leg provided with a connection finger having a stationary finger fixed and fixed to the body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edge of the terminal body and closely contacting the second bus bar.

상기 연장레그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핑거가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연장레그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굴곡을 가지고 상기 연결핑거의 자유단부의 연장방향과 선단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버스바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걸어지는 걸이탄성부가 구비된다.
Wherein the connecting finger is formed in a cantilevered shape and the distal end of the extending leg has a plurality of bends and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finger ext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latching elastic portion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two bus bars.

본 발명에 의한 통전용 캡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the cap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통전용 캡장치는 전원측과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 사이를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입력단자에서의 열발생을 최소화하여 차량용 블럭에서의 화재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passive ca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nection terminal for further electrically connecting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ide and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heat generation at the input terminal is minimized, Generation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통전용 캡장치가 전원단자를 입력단자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도 담당하고, 이에 연결단자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부품조립을 위한 공정이 늘어나지 않게 되어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차량용 블럭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b capping unit functions to fasten and fix the power terminal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mounted thereon, the process for assembling the parts is not increased, thereby providing a relatively simple vehicle block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전용 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통전용 캡장치가 차량용 블럭의 입력단자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통전용 캡장치가 차량용 블럭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통전용 캡장치가 차량용 블럭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ap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direc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 c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n input terminal of a vehicle block.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 cap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block.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b cap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block and fix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용 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블럭몸체(10)(도 4참고)에는 입력단자(12)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단자(12)는 일반적으로 전원측, 즉 차량의 배터리나 발전기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이 입력되는 부분이다. 상기 입력단자(12)는 길이방향 중간부에 접촉단(13)이 있고, 상기 접촉단(13)의 양단으로 제1체결부(14)와 제2체결부(1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체결부(14)와 제2체결부(14')의 표면에는 나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5)는 나선형태로 만들어진 실제 나사부일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다수의 원형상의 돌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체결부(14')에는 고정너트(16)가 체결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버스바(19)가 상기 접촉단(13)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너트(16)의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2체결부(14')의 외면에도 나사부(15)가 형성되어야 하지만, 원형상의 돌기가 각각 제2체결부(14')의 외면과 고정너트(16)의 내면에 형성되어 서로 걸어지게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block body 10 (see FIG. 4) forming a skeleton of a vehicle block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12. The input terminal 12 is generally a portion to which a power source, that is, a power source transmitted from a battery or a generator of the vehicle, is input. The input terminal 12 has a contact end 13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4 and 14 'are connected to opposite ends of the contact end 13 in opposite directions . A threaded portion 15 is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4 '. The threaded portion 15 may be an actual threaded portion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ircular protrusions if necessary. A fixing nut 16 i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4 'so that the second bus bar 1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13. Of course, when the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nut 16, the threaded portion 15 should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4 '. However, the circular fastening portions 14' A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nut 16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블럭몸체(10)에는 제1버스바(18)와 제2버스바(19)가 설치된다. 상기 제1버스바(18)와 제2버스바(19)는 상기 블럭몸체(10)에 설치되는 퓨즈나 릴레이 등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버스바(18)나 제2버스바(19)는 예를 들면 퓨즈나 릴레이의 단자부분 일 수 있다.A first bus bar (18) and a second bus bar (19) are installed on the block body (10).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ar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fuse or a relay installed in the block body 10. For example,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may be terminal portions of, for example, a fuse or a relay.

본 발명의 캡장치(20)는 전원측에서 연장된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된 전원단자(52)(도 4참고)(일반적으로 링단자)를 상기 제1버스바(18)에 밀착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제1버스바(18)와 제2버스바(19)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cap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terminal 52 (see FIG. 4) (generally a ring terminal) provided at the tip of a cable extending from the power source 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us bar 18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to each other.

상기 캡장치(20)의 외관과 골격을 캡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캡몸체(22)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캡몸체(22)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는데, 하단 가장자리를 둘러서 플랜지(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3)는 대략 그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다.The cap body (2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cap unit (20). The cap body 22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The cap body 22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a flange 23 protrudes around the lower edge. The flange 23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상기 캡몸체(22)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손잡이리브(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리브(24)는 상기 캡몸체(22)의 회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손잡이리브(24)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캡몸체(22)의 외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캡몸체(22)가 대략 반구형상으로 되어 상기 캡몸체(22)의 정점에서 상기 손잡이리브(24)들이 서로 만난다. 상기 손잡이리브(24)의 반대쪽 단부들은 상기 플랜지(23)와 각각 만난다. A plurality of knob ribs 24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22. The handle rib (24)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p body (22). The knob ribs 24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22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embodiment, the cap body 22 has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and the knob ribs 24 meet with each other at apexes of the cap body 22. The opposite ends of the handle rib (24) meet with the flange (23), respectively.

상기 손잡이리브(24)들은 상기 캡몸체(22)의 외면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이고, 그 중 하나의 손잡이리브(24)와 플랜지(23)에 걸쳐서는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봉(50)(도 6참고)이 걸어진다.The knob ribs 24 protrude mos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body 22 and have an engagement groove 26 formed between one of the knob ribs 24 and the flange 23. The latching rods 50 (see Fig. 6) to be described below are hooked to the latching grooves 26. [

상기 캡몸체(2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서는 보호스컷트(28)가 있다. 상기 보호스컷트(28)는 아래에서 설명될 브릿지단자(36)의 일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호스컷트(28)는 상기 캡몸체(22)의 하단 가장자리 일측에서 대략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And a protective skirt 28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ap body 22. The protective skirt 28 serves to shield a part of the bridge terminal 3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protective skirt 28 protrudes from the lower edge of the cap body 22 in a substantially " a " shape.

상기 캡몸체(22)의 내부에는 고정공(3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30)은 상기 캡몸체(22)의 하면으로 개방된다. 상기 캡몸체(22)의 하면으로 개방된 고정공(30)의 내면에는 고정걸이(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걸이(32)는 상기 입력단자(12)의 나사부(15)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걸이(32)는 원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상기 나사부(15)를 타고 넘어 걸어진다. 물론 상기 고정걸이(32) 대신에 나사부가 상기 고정공(30)의 내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걸이(32) 대신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단자(12)의 나사부(15)와 체결될 수도 있다.A fixing hole 30 is formed in the cap body 22. The fixing hole 30 is op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body 2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30 op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body 22, a fixing hook 32 is formed. The fixing hook 32 is a portion that is hooked on the threaded portion 15 of the input terminal 12. The fixing hook 32 protrudes in a circular shape and is hooked over the threaded portion 15. Of course, a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30 instead of the fixing hook 32. That is, instead of the fixing hook 32, a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and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15 of the input terminal 12.

상기 캡몸체(22)의 일부와 상기 플랜지(23)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단자장착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장착공간(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브릿지단자(36)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장착공간(34)은 상기 캡몸체(22)의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플랜지(23)의 상부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핑거(40)의 통과를 위한 부분이 개방된다.A terminal mounting space 34 is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cap body 22 and the flange 23 vertically. The terminal mounting space 34 is provided with a bridge terminal 36 to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mounting space 34 is op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body 2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23 is opened for the passage of the fixing fing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단자장착공간(34)에는 브릿지단자(36)가 설치된다. 상기 브릿지단자(36)는 상기 제1버스바(18)와 제2버스바(19)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브릿지단자(36)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브릿지단자(36)에는 단자몸체(38)가 있다. 상기 단자몸체(38)는 대략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형상으로 상기 단자장착공간(34)의 입구에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자몸체(38)에서 상기 단자장착공간(34)의 입구에서 돌출된 표면은 제1접촉부(38')를 형성한다. 상기 제1접촉부(38')는 상기 제1버스바(18)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The terminal mounting space 34 is provided with a bridge terminal 36. The bridge terminal 36 perform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The bridge terminal 36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bridge terminal (36) has a terminal body (38). The terminal body 38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slightly protruded from the opening of the terminal mounting space 34. A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8 protruding from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mounting space 34 forms a first contact portion 38 '. The first contact portion 38 'is a portion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bus bar 18.

상기 단자몸체(38)의 양단에는 고정핑거(40)가 있다. 상기 고정핑거(40)는 도면에서 절곡된 형태로 되어 있으나, 상기 단자장착공간(34)에 장착하기 전에는 상기 단자몸체(38)의 일측 표면이 향하는 방향을 향해 길게 연장된다. 상기 단자장착공간(34)에 상기 브릿지단자(36)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23)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절곡되어 상기 플랜지(23)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브릿지단자(36)가 상기 캡몸체(2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At both ends of the terminal body 38, there are fixed fingers 40. The fixed finger 40 is bent in the drawing, but extends long toward a direction toward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8 before being mounted in the terminal mounting space 34. Is bent in a state of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23) in a state where the bridge terminal (36) is mounted on the terminal mounting space (34)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23). In this way, the bridge terminal 36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p body 22.

상기 단자몸체(38)의 일측 가장자리 중간부분에서 연장되어 연장레그(42)가 있다. 상기 연장레그(42)는 상기 단자몸체(38)의 표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레그(42)에는 관통부(44)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44)내에는 연결핑거(46)가 있다. 상기 연결핑거(46)는 원래 상기 연장레그(42)와 일체이나 상기 관통부(44)를 형성하면서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핑거(46)의 선단 일측 표면이 제2접촉부(46')로서 상기 제2버스바(19)의 표면에 밀착된다.And an extension leg 42 extending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of one side edge of the terminal body 38. The extension legs 42 extend in a direction generally orthogonal to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38. A penetrating portion 44 is formed in the extending leg 42 and a connecting finger 46 is provid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44. The connecting finger 4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ding leg 42 or formed into a cantilever shape while forming the penetrating portion 44. The surface of one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on finger 46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19 as the second contact portion 46 '.

한편, 상기 연장레그(42)의 선단에는 걸이탄성부(48)가 있다. 상기 걸이탄성부(48)의 선단은 상기 연결핑거(46)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탄성부(48)에는 제1굴곡(49)과 제2굴곡(49')이 형성된다. 이들 제1굴곡(49)과 제2굴곡(49')은 전체적으로 일종의 사인파와 같은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굴곡(49)과 제2굴곡(49')의 돌출방향은 서로 반대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연장레그(42)의 선단의 연장방향은 상기 연결핑거(46)의 반대방향으로 된다. 상기 걸이탄성부(48)의 제1굴곡(49)과 제2굴곡(49') 부분은 상기 보호스컷트(28)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연결핑거(46)의 선단도 상기 보호스컷트(28)보다 더 돌출된다.On the other hand, a hooking elastic portion 48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ding leg 42. The tip of the hooking elastic part (48)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finger (46). A first bend 49 and a second bend 49 'are formed in the hooking elastic part 48. The first bend 49 and the second bend 49 'are shaped like a sine wave as a whole. The protruding directions of the first bend 49 and the second bend 49 'are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extending leg 42 is opposite to that of the connecting finger 46. The first flexure 49 and the second flexure 49 'of the hook elastic portion 48 are more protruded than the protective skirt 28 and the tip of the connection finger 46 is also protruded from the protective skirt 28. [ (28).

상기 블럭몸체(10)의 일측에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걸림봉(5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봉(50)은 상기 캡몸체(22)가 상기 입력단자(12)에 대해 임의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6, a locking bar 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body 10. The latching rod 50 serves to prevent the cap body 22 from rotating arbitrarily with respect to the input terminal 12.

도면부호 52는 전원측에서 연장된 케이블의 선단에 있는 링단자이다. 상기 링단자(5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입력단자(12)의 제1체결부(14)가 관통하게 되고, 상기 링단자(52)는 상기 제1버스바(18)의 일측 표면에 본 발명의 캡장치(20)에 의해 밀착된다.Reference numeral 52 denotes a ring terminal at the tip of the cable extending from the power supply side. The first coupling part 14 of the input terminal 1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ing terminal 52 and the ring terminal 52 is connect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18 By the cap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캡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캡장치(20)는 차량용 블럭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전원이 제1버스바(18) 및 제2버스바(19) 사이에서 전달되도록 할 때, 상기 입력단자(12)와 역할분담을 하는 것이다.The cap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power is supplied between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at a portion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vehicle block, To share.

상기 블럭몸체(10)에는 상기 입력단자(12)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단자(12)에는 상기 제1버스바(18)와 제2버스바(19)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입력단자(12)의 제1체결부(14)쪽 접촉단(13)에 제1버스바(18)의 일측이 안착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12)의 제2체결부(14')쪽 접촉단(13)에는 제2버스바(19)가 고정너트(16)에 의해 접촉되어 있다. 상기 제2버스바(19)는 반드시 상기 고정너트(16)에 의해 접촉단(13)에 밀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입력단자(12)가 상기 블럭몸체(10)에 고정됨에 의해 상기 접촉단(13)에 제2버스바(19)가 밀착될 수 있다.The block body 10 is provided with the input terminal 12 and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2. One end of the first bus bar 18 is seated on the contact end 13 of the input terminal 12 on th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4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4 The second bus bar 19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13 by a fixing nut 16. The second bus bar 19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end 13 by means of the fixing nut 16 and the input terminal 12 is fixed to the block body 10, The second bus bar 19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us bar 13.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단자(12)에 상기 전원단자(52)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전원단자(5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상기 입력단자(12)가 관통하여 상기 제1버스바(18) 상에 상기 전원단자(52)가 안착되게 한다.In this state, the power terminal 52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2. That is, the input terminal 1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ower terminal 52, so that the power terminal 52 is seated on the first bus bar 18.

다음으로 상기 캡장치(20)를 상기 입력단자(12)의 제1체결부(14)에 장착시킨다. 상기 입력단자(12)의 제1체결부(14)를 상기 캡몸체(22)의 고정공(30)으로 삽입되게 한다. 상기 고정공(30)에 상기 제1체결부(14)가 삽입되면, 상기 나사부(15)에 상기 고정공(30)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걸이(32)가 걸어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걸이(32)가 나선형태가 아니므로 고정걸이(32)들이 상기 나사부(15)들을 타고 넘어 나사부(15)에 각각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몸체(22)의 고정공(30)으로 상기 제1체결부(14)에 일정 이상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브릿지단자(36)의 단자몸체(38)가 상기 전원단자(52)에 밀착된다. Next, the cap unit 20 is mounted 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 of the input terminal 12.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 of the input terminal 1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0 of the cap body 22. When the first fastening part 14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0, the fastening hook 3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30 is hooked on the screw part 15.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xing hooks 32 are not helical, the fixing hooks 32 ride over the threaded portions 15 and are hooked on the threaded portions 15, respectively. Such a state is well shown in FIG. The terminal body 38 of the bridge terminal 36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52 when the terminal body 38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4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with the fixing hole 30 of the cap body 22, do.

그리고, 상기 브릿지단자(36)의 연결핑거(46)가 상기 제2버스바(19)의 표면에 밀착된다. 즉, 상기 제2접촉부(46')가 상기 제2버스바(19)의 표면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제2버스바(19)는 상기 전원단자(52)가 장착되는 공간을 통해 볼 수 있도록 상기 블럭몸체(10)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버스바(19)가 노출된 상태는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The connection finger 46 of the bridge terminal 36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19. That is, the second contact portion 4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19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second bus bar 19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block body 10 so that the second bus bar 19 can be seen through the space in which the power terminal 52 is mounte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us bar 19 is exposed is well shown in FIGS. 5 and 6. FIG.

상기 연결핑거(46)가 상기 제2버스바(19)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탄성부(48)는 상기 제2버스바(19)의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탄성부(48)의 제2굴곡(49')이 상기 제2버스바(19)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안착되면서 제1버스바(19)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연결핑거(46)가 걸이탄성부(48)가 형성된 상기 연장레그(42)에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The hooking elastic part 48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second bus bar 19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finger 4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19 . Such a state is well shown in FIG. The second bend 49 'of the hooking elastic part 48 is hooked on the first bus bar 19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edge of the second bus bar 19. Such a structure is possible because the connecting finger 4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leg 42 in which the hooking elastic portion 48 is formed.

한편, 상기 캡장치(20)를 상기 입력단자(12)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캡몸체(22)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핑거(46)는 제2버스바(19)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걸이탄성부(48)는 상기 제2버스바(19)의 가장자리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데, 상기 제2버스바(19)의 해당되는 가장자리는 상기 걸이탄성부(48)가 지나가는 궤적에 맞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걸이탄성부(48)가 상기 제2버스바(19)의 가장자리에 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버스바(19)의 가장자리에 굴곡을 둘 수 있다.When the cap body 20 is mounted on the input terminal 12 and the cap body 22 is rotated, the connecting finger 46 is moved along the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19, The hooking elastic part 48 moves along the edge side of the second bus bar 19 so that the corresponding edge of the second bus bar 19 is aligned with the trajectory of the hooking elastic part 48 . The edge of the second bus bar 19 may be bent so that the latching elastic part 48 can be hooked to the edge of the second bus bar 19. [

상기 캡장치(20)의 회전은 상기 걸림봉(50)이 상기 캡몸체(22)의 걸림홈(26)에 안착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봉(50)이 상기 캡몸체(22)의 걸림홈(26)에 안착되면 상기 캡장치(20)가 일정 이하의 힘에서는 임의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캡장치(20)가 견고하게 상기 블럭몸체(10)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전원단자(52)를 상기 제1버스바(18)에 밀착시킨 상태가 잘 유지된다.The rotation of the cap device 20 is performed until the latching bar 50 is seated in the latching groove 26 of the cap body 22. When the latching rod 50 is seated in the latching groove 26 of the cap body 22, the capping device 20 does not move arbitrarily at a force below a certain level. Therefore, the state where the cap unit 20 is firmly mounted on the block body 10 is maintain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power terminal 5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us bar 18 is maintained.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버스바(18)와 제2버스바(19)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상기 입력단자(12)뿐만 아니라 상기 브릿지단자(36)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버스바(18)와 제2버스바(19) 사이에서 전류가 전달될 수 있는 용량이 커지므로 열발생이 줄어들게 된다.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is performed not only by the input terminal 12 but also by the bridge terminal 36. [ Therefore, since the capacity for transferring the electric current between the first bus bar 18 and the second bus bar 19 is increased, heat generation is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상기 보호스컷트(28)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보호스컷트(28)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이 캡몸체(22)가 블럭몸체(10)에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들어나지 않거나 주변의 부품과 절연거리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경우이다.
For reference, the protective skirt 28 is not necessarily formed. That is, the portion shielded by the protective skirt 28 may not come out to the outside when the cap body 22 is installed in the block body 10, or the insulation distance from the surrounding components can be sufficiently secured.

10: 블럭몸체 12: 입력단자
13: 접촉단 14: 제1체결부
14': 제2체결부 15: 나사부
16: 고정너트 18: 제1버스바
19: 제2버스바 20: 캡장치
22: 캡몸체 23: 플랜지
24: 손잡이리브 26: 걸림홈
28: 보호스컷트 30: 고정공
32: 고정걸이 34: 단자안착공간
36: 브릿지단자 38: 단자몸체
38': 제1접촉부 40: 고정핑거
42: 연장레그 44: 관통부
46: 연결핑거 46': 제2접촉부
48: 걸이탄성부 49: 제1굴곡
49': 제2굴곡
10: block body 12: input terminal
13: contact end 14: first fastening part
14 ': second fastening part 15: threaded part
16: a fixing nut 18: a first bus bar
19: second bus bar 20: cap device
22: cap body 23: flange
24: handle rib 26: latching groove
28: Protective skirt 30: Fixed ball
32: Retaining hook 34: Terminal seating space
36: bridge terminal 38: terminal body
38 ': first contact portion 40: fixed finger
42: extension leg 44:
46: connecting finger 46 ': second contact
48: hooking elastic part 49: first bend
49 ': second bend

Claims (6)

입력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 사이를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버스바에 전원단자를 밀착시키는 연결캡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고정걸이가 형성된 고정공이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 안착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버스바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버스바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어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단자를 포함하는 통전용 캡장치.
A connection cap device for furthe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bus bar and a second bus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input terminal and closely contacting a power terminal to the first bus bar,
A cap body having a fixing hole formed therein for fixing a fastener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input terminal;
And one end of the first bus ba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irst bus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us ba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bus ba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And a bridge terminal for connecting the bridg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는 반구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손잡이리브가 형성되는 통전용 캡장치.
The cap ca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 body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 knob rib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의 하단 가장자리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브릿지 단자의 일부를 차폐하는 보호스컷트가 구비되는 통전용 캡장치.

The cap cap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skir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edge of the cap body to shield a part of the bridg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를 둘러 플랜지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와 상기 손잡이리브에 걸쳐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걸림봉이 안착되는 통전용 캡장치.
4. The cap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flange is formed around the lower edge of the cap body, wherein a latching groove is formed over the flange and the handle rib, and a latching bar formed on the block body is seated in the latching groove,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릿지는 상기 캡몸체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에 안착되는데, 상기 단자안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버스바에 밀착되는 제1접촉부를 구비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캡몸체에 걸어져 고정되는 고정핑거와, 상기 단자몸체의 중간부분 가장자리에서 연장되고 제2버스바에 밀착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연결핑거가 구비되는 연장레그를 포함하는 통전용 캡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nection bridge is seated in a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in the cap body, and has a first contact portion position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us bar A connecting fing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erminal body and having a fixing finger fixed to the cap body and fixed to the cap body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us bar Wherein the extension legs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레그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핑거가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연장레그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굴곡을 가지고 상기 연결핑거의 자유단부의 연장방향과 선단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버스바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걸어지는 걸이탄성부가 구비되는 통전용 캡장치.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xtending leg has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the connecting finger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and a plurality of bends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extending leg, And a latching elastic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bus bar a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edge of the second bus bar.
KR1020140166898A 2014-11-26 2014-11-26 Cap apparatus KR201600631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98A KR20160063184A (en) 2014-11-26 2014-11-26 Ca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98A KR20160063184A (en) 2014-11-26 2014-11-26 Cap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84A true KR20160063184A (en) 2016-06-03

Family

ID=5619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898A KR20160063184A (en) 2014-11-26 2014-11-26 Cap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18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776A (en) 2008-12-05 2010-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rrent connec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current bo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776A (en) 2008-12-05 2010-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rrent connec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current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1752B2 (en) Module connector
US20140335743A1 (en) Round terminal fixation structure
KR101909398B1 (en) Plug
WO2013136618A1 (en) High-voltage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174759B2 (en) Plug connector with protective conductor bridge
US9972823B2 (en) Fusible link
US20130164957A1 (en) Power socke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11234588A (en) Assembly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KR20160063184A (en) Cap apparatus
JP623887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60122603A (en) Fuse
JP632759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60116425A (en) Terminal having fuse
US9124078B2 (en) Meter socket block assembly
KR102249090B1 (en) Mounting frame with PE-contact
JP6331412B2 (en) Insulating parts and conductive parts
KR20100039052A (en) Box
JP6575594B2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part protection member
KR101462663B1 (en) Box for car
JP591594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717743B2 (en) Basepan assembly for an electrical enclosure
KR20170002450U (en) Multi fuse
KR20170072753A (en) Joint apparatus
JP2017112008A (en) Terminal board
JP2017107658A (en) Penetrating terminal block and electrica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