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955A - Mobile Device with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with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955A
KR20160061955A KR1020160063556A KR20160063556A KR20160061955A KR 20160061955 A KR20160061955 A KR 20160061955A KR 1020160063556 A KR1020160063556 A KR 1020160063556A KR 20160063556 A KR20160063556 A KR 20160063556A KR 20160061955 A KR20160061955 A KR 20160061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device
module
transmit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8679B1 (en
Inventor
박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전스
Priority to KR102016006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67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9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6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527
    • H04M1/7258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driving module for input and output of braille and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micro driving modu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driving module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ly displaying information a mobile device receives and continuously inputting information into the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micro driving module. The micro driving module includes: a display module (11) which has multiple stimulation elements (P) which are capable of representing braille; a control module (21) which controls the information display of the display module (11); a connection module (12) to input information into the control module (21) and output the information of the control module (21); a connector device (13)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2) and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mobile device; and a communication jack (14)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device (13) via a cable (C), thereby being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information delivered to multiple electrode elements (111) is continuously delivered by a determined unit.

Description

점자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마이크로 구동 모듈 및 이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with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drive module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characters and a mobile device connected thereto,

본 발명은 점자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마이크로 구동 모듈 및 이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로 수신되는 정보가 연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기기로 정보를 연속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구동 모듈 및 이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drive module for input and output of Braille characters and a mobile device connected thereto,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ly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by a mobile device and continuously inputt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A micro drive module and a mobile device connected thereto.

모바일 기기는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단문 서비스와 같은 문자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문자는 모바일 기기의 키 조합으로 만들어지고 단문 형태로 전송이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종류 또는 제조업자에 따라 키의 배치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문자의 조합 형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not only for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for transmission of characters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The characters are made up of key combinations of mobile devices and can be sent in short form. Depending on the type of mobile device or the manufacturer, the arrangement of the key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combination of character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시각장애인의 경우 키에 배치된 문자는 점자 형태로 표시되고 점자로 표시된 키의 조합에 의하여 만들어진 단문이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수신이 된 단문은 시각 장애인이 읽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수신이 된 단문을 읽을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요구된다.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letters arranged in the key are displayed in braille and short sentence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keys indicated by braille can be transmitted. However, the received short sentences have a problem that the blind can not read them. Therefore, a separate means for reading the received short sentence is required.

시각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6-0008106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횡단보도 부근에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신호 발생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상기 선행기술은 렌즈계를 통해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물체의 외곽선데이터를 추출하는 외곽선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외곽선 데이터로부터 물체가 원형을 띠고 있는지 막대형의 형태를 띠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형태 검출부와, 원형의 형태가 소정 개수 인지를 확인하여 정지블록 여부를 판단하는 정지블록 검출부와, 막대형의 형태가 소정 개수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진행블록 여부를 판단하는 진행블록 검출부를 포함하는 유도블록 검출부와, 상기 유도블록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값에 따라 각종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 출력부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Prior art relating to a mobi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08106 'Walking guida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the visually impaired, mobile phone and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aving a walking guidance fun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his prior art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signal generator for the visually impaired does not operate in the vicinity of the crosswalk. For this purpose, the prior art includes a camera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of a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a lens system, an outlin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outline data of the object from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camera unit, A shap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object is in a circular shape or a bar shape from the data, a stop block detect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is a block shape by confirming whether the shape is a predetermined number, And a control output unit for controlling various output units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inductive block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have.

시각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2-0041866호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문자 등을 점자로 입력하여 송신 가능하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 등을 점자로 인식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편이 기능들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부품들이 내장되는 휴대폰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와,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각종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와,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문자 편집 및 송수신 조작을 위한 조작 패드부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에서 키패드부를 구성하는 각 버튼의 표면에 숫자 및 점자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패드부를 구성하는 각 버튼에 해당 마크 및 점자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백면에 점자 형태의 진동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바이브레이터를 장착하여 각 버튼의 점자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 및 송신하는 동시에 수신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표면을 통하여 울리는 점자 형태의 진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mobile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Patent No. < RTI ID = 0.0 > No. 2012-0041866 < / RTI > The prior art relates to a mobile pho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inputting a character or the like as braill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text message and recognizing the received text message as braille, A touch screen type displa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ody part, a keypad part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for inputting various numbers and characters, and an operation pad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for character editing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A plurality of buttons for forming numbers and Braille characters on the surface of each button constituting the keypad unit in the mobile ph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forming braille and braille characters on each button constituting the operation pad unit and outputting braille- Equipped with a vibrator, using the braille of each button to input characters and songs It discloses a mobile phone for the disabled, which can recognize the received symbols at the same time the vibration of the braille type ringing through the display surface.

시각 장애인용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2-0057200호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키입력에 따라 음향 정보를 시각장애인들에게 제공하여 시각장애인들도 일반인들처럼 일상생활의 편리함과 아울러 안락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본체 하부면에 장착되어 각종 부품으로 동작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배터리의 레벨을 검출하는 배터리 레벨 검출기와, 상기 본체 상부면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키가 설치된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음향 발생부로 구성된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mobile de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Patent No. 2002-0057200, 'Mobile ph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prior art provides a visual handicapped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by providing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key input so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pursue comfort with daily life as well as ordinary people. A battery level detector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detecting a level of the batter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arious parts, A keypad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key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esired key, and an acoustic generator for outputting a user's sound through a speak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upon key input of the keypad Discloses a mobile ph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휴대폰은 소리를 이용하거나 각각의 키보드의 진동을 이용하여 문자의 수신 또는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소리의 전달은 제한적인 정보만을 전달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그리고 각각의 키보드의 진동은 정확한 정보 전달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Background Art [0002] A cellular phone disclosed in the prior art uses a method of using a sound or using a vibration of each keyboard so that a character is received or an alarm is generated. The transmission of sound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 only transmit limited information, and the vibration of each keyboar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accurate information.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2006-0008106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rior Art 1: Patent Publication No. 2006-0008106 A Walking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the visually impaired, a mobile phone and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walk guidance func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2012-0041866호 시각 장애인용 휴대폰Prior Art 2: Patent Patent No. 2012-0041866 No. Mobile ph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로 수신되거나 전송되는 정보를 점자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구동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 drive module that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nd enables information received or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to be brail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로 수신되거나 전송되는 정보를 점자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구동 모듈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a microdrive module, which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so that information received or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can be braill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이크로 구동 모듈은 점자를 나타낼 수 있는 다수 개의 자극 소자를 가진 표시 모듈; 표시 모듈의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제어 모듈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제어 모듈로부터 정보의 출력을 위한 연결 모듈; 연결 모듈에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와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 및 커넥터 장치와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는 통신 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전극 소자로 전달되는 정보는 정해진 단위로 연속적으로 전달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 drive module comprises: a display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timulating elements capable of representing braill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of the display module; A connection module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module and for outputt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A connector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to enable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mobile device; And a communication jack connected to the connector device by a cable and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wherei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elements is continuously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unit.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모듈은 정해진 시간 단위로 전달된 정보를 저장하여 선택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모듈은 표시 모듈을 통하여 일정 단위의 정보를 연속적으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can continuously receive information of a certain unit through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모듈은 음성 정보를 정해진 시간 단위로 저장하는 통화 저장 영역을 가진 메모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memory having a call storage area for storing voic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모듈은 음성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유닛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further comprises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voice information into character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는 수신된 정보를 점자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 장치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입력된 점자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구동 모듈; 및 마이크로 구동모듈과 칩 또는 프로그램 형태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device includes a micro driver module that converts received information into Braille, continuously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a display devic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nverts the input Braill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icro drive module in chip or program form.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기는 별도의 구동 모듈을 모바일 기기에 연결시키고 구동 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인지하는 것에 의하여 정보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정보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음성 정보가 문자 정보로 저장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한편 문자 정보가 음성 정보로 변환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각 장애인에 대한 정보 전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기존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의 확장성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mobil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separate drive module to a mobile device and stores or recognize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rive modu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transfer and enable reproduction of information as needed . Further,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voice information is stored as character information and transmitted, while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voic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existing mobile device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expan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결이 된 구동 모듈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구동 모듈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연결이 된 상태에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구동 모듈로 전달되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연결이 된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송이 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 drive modul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A illustrates an exemplary process in which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a drive module in a state where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nd the process is transmitted to the drive module.
FIG. 3B illustrates an exemplary process of inputt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in a state that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연결이 된 구동 모듈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 drive modul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은 점자를 나타낼 수 있는 다수 개의 자극 소자(P)를 가진 표시 모듈(11); 표시 모듈(11)의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21); 제어 모듈(21)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제어 모듈(21)로부터 정보의 출력을 위한 연결 모듈(12); 연결 모듈(12)에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와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13); 및 커넥터 장치(13)와 케이블(C)에 의하여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는 통신 잭(14)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전극 소자(111)로 전달되는 정보는 정해진 단위로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1 and 2, a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1 having a plurality of stimulating elements P capable of displaying braille characters; A control module (21) for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of the display module (11); A connection module 12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module 21 and for outputt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21; A connector device (1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2) to enable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mobile device; And a communication jack 14 connected to the connector device 13 by a cable C and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elements 111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unit have.

마이크로 구동 모듈(10)은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연결될 수 있고 모바일 기기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기기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로 구동 모듈(10)은 정보가 점자 형태로 인식되도록 변환하고 그리고 점자 형태로 입력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icro drive module 10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for example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and may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or may transmit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The micro drive module 10 converts the information to be recognized in a braille form and converts the input signal in the form of braille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transmit to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구동 모듈(10)은 일반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거나 시각 장애인용 모바일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마이크로 구동 모듈(10)은 모바일 기기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The micro drive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general mobile device or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lternatively, the micro drive module 10 may be embedded within the mobile device.

표시 모듈(11)은 점자가 인식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시각 장애인이 전송된 정보를 점자로 인식하여 전송된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 모듈(11)은 시각 장애인이 점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1)은 수신된 신호가 인지되도록 하는 수신 유닛(R)과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신 유닛(T)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유닛(R) 및 송신 유닛(T)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체(R1, R2, T1, T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1 is formed so that the braille can be recognized, and includes a device for allowing the blind person to recognize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s braille and to read the transmitted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odule 11 may include a device for allowing the visually impaired to input Braille information. The display module 11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R for allowing the received signal to be recognized and a transmitting unit T for enabling input of information. The receiving unit R and the transmitting unit T may each include at least one unit piece R1, R2, T1, T2.

수신 단위체(R1, R2)는 각각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자극 소자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자는 여섯 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므로 각각의 수신 단위체는 여섯 개의 자극 소자(P)를 가질 수 있다. 여섯 개의 자극 소자(P)는 서로 분리되어 인식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자극 소자(P)가 감지되는 위치에 따라 시각 장애인에게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가 인지될 수 있다. 자극 소자(P)의 수 또는 배치는 현재의 점자 체계에 따른 것으로 점자 체계가 달라지면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receiving units R1 and R2 may each have a magnetic pole element capable of displaying Braille characters. In general, since the braille consists of six projections, each receiving unit may have six stimulating elements (P). The six stimulating elements P are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the type of characters input to the blind can be recogniz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stimulating element P is sensed. It is clear that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the stimulating elements P depends on the current braille system and can be arranged differently when the braille system is changed.

자극 소자(P)에 전달되는 자극은 예를 들어 전기 자극, 열 자극, 진동 자극 또는 압력 자극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자극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자극 소자(P)에 전달되는 자극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어 모듈(2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The stimulu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ng element P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stimulus, a thermal stimulus, a vibration stimulus or a pressure stimulu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kind of the stimulus. The stimulu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ng element P can be predetermined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21 described below.

전송 단위체(T1. T2)는 수신 단위체(R1, R1)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송 단위체(T1, T2)는 시각 장애인이 입력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자극 소자(P)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전송 단위체(T1, T2)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구동 모듈(10)에 적용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T1, T2) may have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receiving unit (R1, R1). The transmission units T1 and T2 correspond to the means for input by the visually impaired, so that the transmission units T1 and T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espective stimulating elements P ar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The transmission units T1 and T2 having various structures can be applied to the micro driving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송 유닛(T) 또는 수신 유닛(R)은 적어도 하나의 전송 단위체(T1, T2) 또는 수신 단위체(R1, R2)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단위체(R1, R2)에 연속적으로 자극이 전달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자극이 전달된다는 것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수신 단위체(R1, R2)에 차례대로 자극이 전달되거나 또는 하나의 단위체(R1, R2)에 다수 개의 자극이 일정 시간 간격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자극이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적으로 전달되는 자극의 단위는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또는 하나의 단어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자극이 전달되는 것은 제어 모듈(2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T or the reception unit R may have at least one transmission unit T 1 or T 2 or a reception unit R 1 or 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imulus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R1, R2). The continuous transmission of the stimulus means that a stimulus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R 1 or R 2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 plurality of stimuli are transmitted to one unit R 1 or R 2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ich means that the stimulus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he unit of stimulus delivered continuously may be, for example, a character or a word. The continuous transmission of the stimulus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21.

연결 모듈(12)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를 감지하거나 구동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모듈(12)은 커넥터 장치(13)에 연결될 수 있는 체결 몸체(131)를 가질 수 있고 체결 몸체(131)의 내부에 신호 처리 장치와 같은 것이 내장될 수 있다. 연결 모듈(12)은 구동 모듈(10)이 모바일 기기와 같은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모듈(12)은 구동 모듈(10)의 소켓과 유사한 기능을 하며 관련된 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odule 12 may be installed to sense a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device M or to proces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device. The connection module 12 may have a fastening body 131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device 13 and may incorporate a signal processing device or the like inside the fastening body 131. The connection module 12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hardware or software that allow the drive module 10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The connection module 12 therefore functions similarly to the socket of the drive module 10 and can include associated devices and software.

연결 모듈(12)에 커넥터 장치(13)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3)는 데이터의 전송의 가능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연결 모듈(12)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131)와 케이블이 고정되는 몸체(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단자(131)와 몸체(132)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커넥터 장치(13)의 다른 쪽 끝에 모바일 기기(M)와 체결되는 통신 잭(14)이 형성될 수 있다. 통신 잭(14)은 연결 몸체(141)의 내부에 형성된 모바일 기기(M)가 외부 장치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device 13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2. The connector 13 may have any structure capable of transferring data and may consist of a connecting terminal 131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odule 12 and a body 132 to which the cable is fixed. The connection terminal 131 and the body 13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 communication jack 14 to be fastened to the mobile device M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device 13. [ The communication jack 14 may include various hardware or software that allows the mobile device M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body 141 to recognize as an external device.

연결 모듈(12), 커넥터 장치(13) 및 통신 잭(14)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통신 케이블(C)도 동일하다. The connection module 12, the connector device 13 and the communication jack 14 can be any form known in the art and the communication cable C is the same.

구동 모듈(10)은 휴대에 편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모바일 기기(M)에 연결되거나 모바일 기기(M)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 모듈(10)은 스위치를 가질 수 있고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구동 모듈(10)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M)에 통신 신호가 수신이 되는 경우 구동 모듈(10)이 작동되도록 만들 수 있다. 구동 모듈(10)은 이를 위하여 진동 또는 소리 신호와 같은 경보 장치를 가질 수 있다. The drive module 10 can be made in a portable structure and can be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mobile device M as needed. The drive module 10 may have a switch and be activated by the mobile device. Specifically, when the use of the mobile device is required, the switch of the drive module 10 may be operated, or the drive module 10 may be operated when a communica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mobile device M. The drive module 10 may have an alarm, such as a vibration or sound signal, for this purpose.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10)에서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The process of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driving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구동 모듈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illustrates an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M)는 커넥터 장치(13)를 통하여 구동 모듈과 연결될 수 있고 구동 모듈로부터 모바일 기기로 전달되는 신호 또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구동 모듈로 전달되는 신호는 신호 처리기(22)에 의하여 각각의 기기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신호 처리기(22)는 제어 모듈(21)에 포함되거나 커넥터 장치(13)에 포함될 수 있다. 2, the mobile device M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via the connector device 13, and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odule to the mobile device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driving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or 22, Which can be processed by each device. The signal processor 22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module 21 or included in the connector device 13.

제어 모듈(21)은 전체 장치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1),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212), 데이터를 정해진 단위로 묶기 위한 패킷 형성 유닛(213) 및 표시 모듈에 전달되는 자극을 결정하기 위한 자극 형성 유닛(2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21 includes a microprocessor 211 for controlling the entire apparatus, a memory 212 for storing information, a packet forming unit 213 for bundling the data into a predetermined unit, and a stimulus transmitted to the display module And a stimulus-generating unit 214 for generating a stimulus.

마이크로프로세서(211)에 구동 모듈 전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고 프로그램은 구동 모듈의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212)는 통화 저장 영역과 기본 저장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화 저장 영역은 현재 통화가 되고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이 되고 기본 저장 영역은 예를 들어 날짜별로 통화된 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메모리(212)는 구동 모듈의 작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12)에 통화 저장 영역이 설정되는 이유는 필요에 따라 통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또는 일정 시간 내의 통화 내용을 바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화는 음성 또는 문자를 이용한 정보 교환을 의미하고 일정 시간이란 예를 들어 특정한 상대방 또는 가장 최근의 통화가 이루어진 시간을 의미한다.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rive module may be installed in the microprocessor 211 and the program may have an appropriate algorithm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 of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212 may comprise a call storage area and a basic storage area. The call storage area is an area in which information currently being used for communication is stored. In the basic storage area, for example, the contents of conversation may be stored by date. On the other hand, the memory 212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The reason why the call storage area is set in the memory 212 is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reproduce the contents of the call whose call state is maintained as required 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all refers to the exchange of information using voice or text, and the term " time " means, for example, the time when a particular party or the most recent call was made.

통화 저장 영역은 시각 장애인의 경우 정보 전달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경우 또는 점자를 통한 정보 전달에 지연이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통화 저장 영역에 상대방의 정보 전달 내용의 전달된 순서에 따라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구동 모듈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순번 키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저장된 내용이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대방이 전달하는 내용이 시간 순서에 따라 역순으로 저장이 되고 특정 순간에 전달된 정보의 재생이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 모듈(21)은 상대방에게 통화가 지연된다는 문자 또는 음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사용자는 순번 키를 작동시켜 상대방이 전달한 통화 내용을 다시 재생시켜 내용을 인지하고 다시 현재 통화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통화 저장 영역은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현재 통화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 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내용이 기본 저장 영역으로 이동이 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The call storage area is intended for the case where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may not be able to communicate clearly or if there is a delay in transferring information through the braille. The stored contents can be stored in the communication storage area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in which the other party's information delivery contents are transmitted, and the stored contents can be reproduced, for example, by operating the order number key installed in the proper position of the driving module. For example, the contents delivered by the other party in the current call may be stor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time order, and the playback 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t a specific moment may be requir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call.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21 generates a character or voi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 is delayed to the other party, and the user operates the order key to reproduce the content of the call delivered by the other party so as to recognize the content and return to the current call state have. The call storage area is an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urrent communication contents,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ents can be moved to the basic storage area or deleted.

통화 저장 영역에서 저장되는 방식, 제어 모듈(21)에 의하여 저장된 내용이 재생되는 방식, 상대방에게 통화 지연을 인지시키는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메모리가 될 수 있다. The method of storing the contents stored by the control module 21, and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call delay to the other party may be variously perform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memory may also be any memory known in the art, such as, for example, flash memory.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달된 정보 또는 데이터는 패킷 형태로 만들어져 표시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패킷은 예를 들어 문자 단위, 단어 단위 또는 문장 단위로 만들어질 수 있고 패킷 형성 유닛(213)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패킷 형성 유닛(213)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패킷 형태로 만들 수 있다. 패킷은 자극 소자에 전달되는 정보의 크기 및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만약 단어 단위로 패킷이 만들어진다면 하나의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달되고 다시 일정 시간이 경과된 다음 연결되는 단어에 해당하는 신호가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r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may be transmitted in a packet form to a display device. The packet may be made, for example, by character unit, word unit or sentence unit, and may be formed by the packet forming unit 213. The packet forming unit 213 may form the information transferred from the mobile device M into a packet form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The packet determines the size and time interval of the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stimulus element. If a packet is formed on a word-by-word basis, one packe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nected word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자극 형성 유닛(214)은 자극 소자에 전달되는 자극의 형태 및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자극은 예를 들어 열, 압력 또는 진동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크기는 열 발생에 의한 온도 변화, 압력의 크기 또는 진동의 세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자극 소자에 전달되는 자극의 종류 및 크기는 자극 형성 유닛(214)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추가로 자극 형성 유닛(214)은 자극의 지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자극의 종류 또는 크기는 미리 결정되거나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21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The stimulus-generating unit 214 is for determining the type and size of the stimulus that is transmitted to the stimulus element. The stimulus may be, for example, heat, pressure or vibration, and the size may be a temperature change due to heat generation, a magnitude of the pressure or an intensity of the vibration. The type and size of the stimulation to be delivered to the stimulation element may be determined by the stimulation forming unit 214. [ In addition, stimulus-forming unit 214 may determine the duration of the stimulus. The type or size of the stimulu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or transmitted information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microprocessor 211.

제어 모듈(21)에 의하여 결정된 자극은 정보 형태로 표시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timulus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21 may be conveyed to the display module in the form of information.

표시 모듈(11)은 자극이 전달되는 순서를 결정하는 배열 유닛(221) 및 배열 유닛(221)에서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자극이 표시되는 자극 소자가 배치된 표시 창(2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1 may comprise an arrangement unit 221 for determining the order in which the stimuli are delivered and a display window 222 in which the stimulating elements for displaying the stimuli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determined by the arrangement unit 221.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창(222)에 다수 개의 단위체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다수 개의 단위체에 자극이 전달되는 순서 및 시간 간격이 결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패킷 형태의 정보가 전달되는 크기, 지연 시간 및 순서가 결정되어야 한다. 배열 유닛(221)은 단위체에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열 유닛은 2개의 단위체에 동시에 일정 크기의 패킷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unit bodies may be formed in the display window 222, the order and time interval of delivering the stimulus to the plurality of unit bodies must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size, delay time, and order in which packet type information is transmitted must be determined. The array unit 221 can determine the manner in which information is passed to the unit. For example, the array unit can allow a packet of a predetermined size to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wo unit bodies.

배열 유닛(221)에 의하여 패킷의 전달 순서 및 전달 간격이 결정되면 정보는 표시 창(222)에 형성된 자극 소자에 전달되어 시각 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sequence and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packets are determined by the array unit 221,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imulus elements formed on the display window 222 so that the blind can recognize the packets.

제시된 실시 예는 외부에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와 관련되지만 정보를 입력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것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정보가 구동 모듈에서 만들어져 모바일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ase where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information inputted and outputted to the outside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by th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driving module.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연결이 된 상태에서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구동 모듈로 전달되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3A illustrates an exemplary process in which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a drive module in a state where the dri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nd the process is transmitted to the drive module.

도 3a를 참조하면, 시각 장애인이 휴대한 모바일 기기로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모듈에서 외부에서 정보가 입력되었다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P31).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로 문자 정보가 전송되면 신호가 구동 모듈로 입력이 되고 이에 따라 구동 모듈은 문자 정보가 휴대폰으로 입력되고 그에 따라 작동이 된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바일 기기로 전달된 신호는 구동 모듈로 전송이 되고(P32) 구동 모듈은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지 또는 문자 정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P33). 만약 음성 정보에 해당한다면(NO) 문자 형태로 변환을 시킬 수 있다(P34). 다만 음성 정보의 경우 곧바로 시각 장애인에게 전달될 수 있거나 음성 정보 그 자체가 저장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변환 과정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information can be input to a mobile device carried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a signal indicating that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outside in the driving module can be generated (P31). For example, when charact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mobile device, a signal is input to the driving module, and accordingly, the driving module can generate a signal that character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phone and is operated accordingly.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module (P32),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iving module corresponds to the voice information or the character information (P33). If it corresponds to voice information (NO), it can be converted into a character form (P34). However,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or the voice information itself may be stored, so that a separate conversion process may not be required.

문자 정보에 해당한다면(YES) 패킷 형태로 변환이 되어 배열이 될 수 있다(P35). 또한 음성 정보가 만약 변환이 되었다면 패킷 형태로 변환이 되어 배열이 될 수 있다(P35). 변화된 패킷은 위에서 설명이 된 통화 저장 영역에 저장이 되는(P36) 한편 자극 소자로 전달이 될 수 있다. 자극 소자로 전달되기 전에 먼저 자극의 종류 또는 크기와 같은 자극 형태가 결정되어야 한다(P37). 자극 형태가 결정되면 사용자에게 정보가 자극 소자로 전달된다는 초기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P38). 초기 신호는 예를 들어 전송된 정보를 문장 단위로 저장하고 문장의 처음이 전달된다는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문장 단위로 또는 전체 통화의 완결을 위한 종결 신호가 표시 창으로 전송될 수 있다. If it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YES), it is converted into a packet form and can be arranged (P35). In addition, if the speech information is converted, it can be converted into a packet form and arranged (P35). The changed packet can be delivered to the stimulus element, which is stored in the call storage area described above (P36).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stimulator, the type of stimulus, such as the type or size of the stimulus, must be determined (P37). Once the stimulus type is determined, an initial signal can be sent to the user tha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timulus element (P38). The initial signal may be, for example, a signal that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stored in sentence units and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is delivered. On the other hand, a termination signal can be sent to the display window on a sentence-by-sentence basis or for completion of the entire call.

초기 신호가 전송(P38)이 된 이후 패킷은 미리 정해진 순서 및 시간 간격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 창의 자극 소자로 전송될 수 있다(P39). 연속적이라는 것은 만약 2개의 자극 소자 단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2개의 자극 소자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자극이 전달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자극이 다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송된 정보가 완전히 전달이 되면 다시 신호 입력(P31)이 될 때까지 구동 모듈은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After the initial signal has been transmitted (P38), the packet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stimulus elements of the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and time interval (P39). Continuous means that the stimulation is delivered to two stimulation element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two stimulation element units are formed and then the stimulation is transmitted again or sequential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is way, whe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device is completely transferred, the driving module remains in the standby state until the signal input P31 is reached agai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이 모바일 기기에 연결이 된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송이 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3B illustrates an exemplary process of inputt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device in a state that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도 3b를 참조하면, 구동 모듈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시켜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고 다시 모바일 기기에서 상대한 모바일 기기 또는 다른 정보 전달 기기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초기 값이 설정되어야 한다(S31). 초기 값의 설정(S31)이란 구동 모듈이 정보 입력 단계가 되고 이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초기 값의 설정은 정보 입력의 단위 및 방식의 처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값이 설정되면 정보 입력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구동 모듈의 자극 소자를 통하여 또는 다른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이 될 수 있다(S32). 다른 입력 수단이란 예를 들어 마이크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의미한다. 정보가 입력이 되면 먼저 바로 전송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가 확인된다(S33). 전송이 가능하지 않는 상태는 예를 들어 전송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정보가 입력이 되고 이에 대한 처리가 선행이 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전송이 가능한 상태라면(YES) 문자 정보와 같은 경우 패킷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S34). 패킷 형태는 위에서 설명된 패킷 형성 유닛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만약 외부로부터 정보가 입력이 되고 먼저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면 외부 신호의 입력을 알리는 센서가 작동될 수 있다(S331). 그리고 입력된 정보는 저장이 되고(S332) 시간 지연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사용자 또는 제어 모듈에 알린다(S333). 이후 먼저 처리가 되어야 할 정보 처리가 완료되면 입력된 정보가 패킷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S34). 입력된 정보가 문자 정보인 경우 필요에 따라 음성으로 변환되어(S36) 모바일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음성 변환은 모바일 기기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구동 모듈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될 수 있다. 패킷이 형성되면 모바일 기기로 송신이 될 수 있고(S37) 모바일 기기에서 관련 정보는 요청된 기기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driving module, and an initial value is set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or the othe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in the mobile device (S31). The setting of the initial value (S31) includes that the driving module becomes the information inputting step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device. The setting of the initial value may include a processing method of information input unit and method. When the initial value is set, information can be input and input through the stimulation element of the driving module or through another input means (S32). The other input means means an input device such as a microphone,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is input,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s immediately available (S33). A state in which transmission is not possible refers to, for example, tha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outside in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the process for the transmission is to be performed in advance. If it is possible to transmit (YES),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packet in the case of character information (S34). The packet type can be made by the packet forming unit described above. If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process should be performed first, a sensor informing input of an external signal may be operated (S331). Then,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S332) and the user or the control module is informed that a time delay has occurred (S333).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o be processed first is completed, the inputted information can be formed into a packet (S34). If the input information is character information, it can be converted into voice as required (S36)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Voice conversion can be done in a mobile device or in a drive module and related applications can be used. When a packet is formed, the packe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S37), and rela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requested device again in the mobile device.

도 3a 및 도 3b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고 그리고 필요가 정보가 구동 모듈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A and 3B is illustrative, and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information in various ways, and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inputted through the driving module.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은 연속성이 있는 점자 출력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점자가 인식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가 시각장애인에게 편리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자와 음성을 점자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통하여 구동 모듈의 기능이 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은 GPS 위치 정보 또는 통신망을 통한 맵 데이터(Map Data)를 활용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길을 안내하는 다양한 장치의 연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은 칩으로 제조되어 모바일 기기에 내장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일반 모바일 기기의 기능 확장 및 구동 모듈 칩의 내장만으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기기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various information to be conveniently delivered to the visually impaired by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braille through continuous Braille output.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function of the driving module can be easily expand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ftware that can represent characters and voice in braille.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various devices for guiding the road to the blind can be easily interlocked by utiliz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r the map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f necessary, the driv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s a chip and embedded in a mobile device. In such a case, the function expansion of general mobile devices and the built-in driving module chip can be used as a mobile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기는 별도의 구동 모듈을 모바일 기기에 연결시키고 구동 모듈에서 수신된 정보를 저장 또는 인지하는 것에 의하여 정보 전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정보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음성 정보가 문자 정보로 저장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한편 문자 정보가 음성 정보로 변환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각 장애인에 대한 정보 전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기존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의 확장성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mobil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separate drive module to a mobile device and stores or recognize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rive modu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transfer and enable reproduction of information as needed . Further,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voice information is stored as character information and transmitted, while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voic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hereby improving the ability to transmit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existing mobile device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expanded.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구동 모듈 11: 표시 모둘
12: 연결 모듈 13: 커넥터 장치
14: 통신 잭
21: 제어 모듈 22: 신호 처리기
111: 전극 소자 131: 체결 몸체
211:마이크로프로세서 212: 메모리
213: 자극 형성 유닛 214: 자극 형성 유닛
221: 배열 유닛 222: 표시 창
R: 수신 유닛 T: 송신 유닛
R1, R2, T1. T2: 단위체
10: drive module 11: display module
12: connection module 13: connector device
14: Communication jack
21: control module 22: signal processor
111: electrode element 131: fastening body
211: Microprocessor 212: Memory
213: Stimulation unit 214: Stimulation unit
221: array unit 222: display window
R: Receiving unit T: Transmitting unit
R1, R2, T1. T2: unit

Claims (1)

모바일 기기와 연결 가능하고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점자로 표시하는 마이크로 구동 모듈에 있어서,
점자를 나타낼 수 있는 다수 개의 자극 소자(P)를 가진 표시 모듈(11);
표시 모듈(11)의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21);
제어 모듈(21)에 대한 정보의 입력 및 제어 모듈(21)로부터 정보의 출력을 위한 연결 모듈(12);
연결 모듈(12)에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와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13); 및
커넥터 장치(13)와 케이블(C)에 의하여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는 통신 잭(14)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전극 소자(111)로 전달되는 정보는 정해진 단위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면서 휴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마이크로 구동 모듈.

1. A micro drive module for connecting to a mobile device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in braille,
A display module (11) having a plurality of stimulating elements (P) capable of representing braille;
A control module (21) for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of the display module (11);
A connection module 12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module 21 and for outputt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21;
A connector device (1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2) to enable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mobile device; And
And a communication jack (14) connected to the connector device (13) by a cable (C) and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elements (111) is continuously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unit and is portable.

KR1020160063556A 2016-05-24 2016-05-24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KR1018586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556A KR101858679B1 (en) 2016-05-24 2016-05-24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556A KR101858679B1 (en) 2016-05-24 2016-05-24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73A Division KR20140118944A (en) 2014-08-20 2014-08-20 Mobile Device with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55A true KR20160061955A (en) 2016-06-01
KR101858679B1 KR101858679B1 (en) 2018-05-16

Family

ID=5613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556A KR101858679B1 (en) 2016-05-24 2016-05-24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6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61B1 (en) * 2018-07-02 2019-05-07 이단경 Braille input and output system for mobi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106A (en) 2004-07-23 2006-01-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guiding a blind person and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to guide a blind person
KR20120041866A (en) 2010-10-22 2012-05-03 이경배 Mobile phone for users who are blin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9259A (en) * 1999-08-30 2001-03-16 Kenwood Corp Information radio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106A (en) 2004-07-23 2006-01-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Apparatus for guiding a blind person and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to guide a blind person
KR20120041866A (en) 2010-10-22 2012-05-03 이경배 Mobile phone for users who are bli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761B1 (en) * 2018-07-02 2019-05-07 이단경 Braille input and output system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679B1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48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from a communication device
JPH1051349A (en)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90105531A (en) The method and divice which tell the recognized document image by camera sensor
JP201714765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0068882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CN107302744A (en) Mobile terminal, guiding terminal, signal search are indicated and bootstrap technique
KR20080040783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cording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5219768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58679B1 (en)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KR101017421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KR20140018715A (en) Mobile device with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KR101226928B1 (en) Smart doorbell system
TW201629924A (en) Visual assistant system and wear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1720762B1 (en) Home-network system for Disabled
WO20080615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navigational instructions to a user
WO2017034273A1 (en) Belongings recogni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KR20140118944A (en) Mobile Device with Micro-Actuator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KR102521821B1 (en) Unmanned terminal controller for a blind person
KR20130131511A (en) Guide apparatus for blind person
KR101695953B1 (en) Beacon speaker for guidance for blind person and method thereof
KR101155530B1 (en) Wireless braille sign board and walking guide system for the blind using the same
CN103179274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oods on mobile terminal
KR20140118532A (en) Mobile terminal loss prevention system
KR102032196B1 (en) Hybrid watch for recognizing braille
KR20220129078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