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551A -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 Google Patents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551A
KR20160061551A KR1020140163675A KR20140163675A KR20160061551A KR 20160061551 A KR20160061551 A KR 20160061551A KR 1020140163675 A KR1020140163675 A KR 1020140163675A KR 20140163675 A KR20140163675 A KR 20140163675A KR 20160061551 A KR20160061551 A KR 2016006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am
adjusting
heigh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589B1 (ko
Inventor
이중화
노영채
Original Assignee
빌트원 주식회사
영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트원 주식회사, 영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빌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5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램 또는 경전철이 주행하는 트램 레일을 설치 시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는 콘크리트도상에 형성된 레일안착홈에서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로서, 상기 레일의 하부를 받치고 양측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높이조절공과, 하부로 돌출된 좌우조절부를 포함하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높이조절공에 세워진 형태로 나사체결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좌우조절부에 가로방향으로 나사체결되고, 양단이 상기 레일안착홈의 측벽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좌우위치를 조정하는 좌우조절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위치조절 및 캔트의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a assembling apparatus for elastomers type tram track skeleton}
본 발명은 트램 또는 경전철이 주행하는 트램 레일의 설치 시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여 트램궤도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램은 도로상의 일부에 부설한 레일 위를 주행하는 전차이다.
이 트램은 대치할 수 있는 버스에 등장으로 많이 쇠퇴하였으나, 최근에는 차량의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과 도심지로의 인구 집중화로 인해 교통체증이 없어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으며, 대량의 인원을 수송할 수 있는 트램의 설치가 다시 논의되고 있다.
한편, 트램은 주행하기 위해 도로에 레일을 부설해야하는 데, 도로의 일부분을 굴토하여 지반을 다지고, 다진 지반에 노반을 형성한 뒤, 노반의 상부에 레일이 부설된 콘크리트도상을 형성하는 형태로 레일을 부설하였다.
이러한 트램궤도의 구조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31745호(2012.4.6 공고)에 개시된 바가 있다.
지반을 다지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노반; 상기 노반 위에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세워지는 것으로서, 상부에 2개의 레일이 설치되는 가로대, 그리고 상기 가로대의 양단에 결합되어 가로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가로대결합체; 상기 가로대의 상부 양측에 2줄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노면트램의 바퀴가 활주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레일을 양측에서 밀착하여 레일을 상기 가로대결합체의 가로대에 고정하는 레일브래킷으로 구성되는 레일결합체; 그리고 상기 노반 위에 상기 레일결합체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궤도슬래브; 상기 노반에 두 레일의 중심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매설되어 세워지는 중심봉을 포함 하고, 상기 가로대결합체는, 가로대의 측면 중간부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심봉이 삽입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가로대에 결합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중심봉홀더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로대결합체가 상기 중심봉에 결합되어 상기 노반 위에 세워지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트램궤도는 레일을 콘크리트도상에 매립하여 견고한 트램궤도를 형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트램궤도는 레일이 가로대에 고정되기 때문에 레일의 미세한 위치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레일의 위치 조절 시 한 쌍의 레일의 위치가 모두 변경되어 레일의 위치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곡선구간에서 캔트의 설정 시 레일의 밑부분에 괴임목 등을 괴이거나 탄성체의 두께를 변경하는 등의 레일의 위치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부자재의 추가로 인한 트램궤도의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일의 위치 및 캔트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는 콘크리트도상에 형성된 레일안착홈에서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립하기 위한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로서, 상기 레일의 하부를 받치고 양측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높이조절공과, 하부로 돌출된 좌우조절부를 포함하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높이조절공에 세워진 형태로 나사체결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좌우조절부에 가로방향으로 나사체결되고, 양단이 상기 레일안착홈의 측벽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좌우위치를 조정하는 좌우조절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상기 레일의 하단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레일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레일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조절대는 상기 좌우조절대에 나사체결되어 회전 시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메인조절봉, 상기 메인조절봉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조절봉의 양측 단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레일안착홈의 양 측벽에 각각 지지되는 측벽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지지봉은 상기 측벽지지봉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안착홈의 측벽에 지지되며, 상기 측벽지지봉이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지지봉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메인조절봉에서 상기 측벽지지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봉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을 지지하는 받침플레이트에 높이조절부재 및 좌우조절대가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레일의 위치를 미세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를 통해 받침플레이트의 양측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레일의 캔트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캔트의 설정 시 추가 부자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트램궤도의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레일 각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 레일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가 설치된 트램궤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를 레일안착홈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의 좌우조절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트램은 트램 뿐만 아니라 경전철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는 콘크리트도상(20)에 형성된 레일안착홈(23)에서 레일(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레일안착홈(23)에는 탄성체가 주입되어 레일(30)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는 받침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받침플레이트(110)는 레일(30)의 하단 부분을 받쳐 레일(3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받침플레이트(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플레이트(110)는 레일(30)의 하단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받침플레이트(110)의 상면 중앙에 레일(30)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30)은 트램이 주행할 수 있도록 그루브홈(31)이 형성된 그루브드 레일(grooved rail)일 수 있다.
그리고, 받침플레이트(110)는 높이조절공(111) 및 좌우조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공(111)은 받침플레이트(110)의 상하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하기에 설명될 높이조절부재(130)가 설치되는 구멍으로서, 받침플레이트(110)의 양측 단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공(111)은 받침플레이트(110)의 상하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공(111)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플레이트(110)의 양측 단 부분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공(111)은 받침플레이트(110)의 대각선의 방향으로 양측 단 부분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거나, 받침플레이트(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하나 씩 총 네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좌우조절부(113)는 받침플레이트(11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좌우조절부(113)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1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113a)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플레이트(110)의 레일(30)의 안착된 양측으로는 받침플레이트(110)를 상하로 관통하는 편설치공(115)이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플레이트(110)는 레일고정편(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레일고정편(117)은 받침플레이트(110)에 안착된 레일(30)을 받침플레이트(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레일고정편(117)은 레일(30)의 양측 단을 지지하는 형태로 받침플레이트(110)에 레일(30)이 고정되도록 받침플레이트(110)에 서로 대향 되도록 한 쌍이 결합될 수 있으며, 레일고정편(117)은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7a)가 형성되어 돌출부(117a)가 레일(30)의 하단부를 상부에서 가압하는 형태로 받침플레이트(110)에 레일(3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고정편(117)은 편설치공(115)과 레일고정편(117)을 관통하는 볼트(118)에 너트(119)를 체결하는 형태로 받침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레일(30)을 고정하고, 너트(119)를 볼트(118)에서 분리 시 받침플레이트(110)에서 분리되어 레일(3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레일고정편(117)과 너트(119)의 사이에는 너트(119)를 볼트(118)에 체결 시 레일고정편(117)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위해 복수 개의 와셔(119a)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레일고정편(117)의 하부에는 톱니형상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받침플레이트(110)에서 레일고정편(117)이 안착되는 부분에도 레일고정편(117)의 돌기와 맞물리는 톱니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맞물리는 돌기에 위치에 따라 레일고정편(117)이 받침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10)에 볼트(118)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편설치공(115)은 레일고정편(117)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장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는 높이조절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높이조절부재(130)는 받침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11)에 각각 끼워져 레일안착홈(23)의 바닥에서 받침플레이트(110)에 높이를 조절하는 형태로 레일안착홈(23)에서의 레일(30)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재(130)는 원기둥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높이조절공(111)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재(130)의 상단 부분에는 높이조절부재(1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머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높이조절부재(130)는 세워진 형태로 높이조절공(111)을 관통하여 높이조절공(111)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높이조절부재(130)의 하단이 레일안착홈(23)의 바닥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머리부(131)를 파지하여 높이조절부재(130)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부재(130)가 높이조절공(111)에 나사체결됨으로 인해 회전방향에 따라 받침플레이트(110)가 레일안착홈(23)에서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여 레일(30)의 높낮이 즉,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받침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위치된 높이조절부재(130)의 회전량을 달리하여 곡선구간에서의 캔트(cant)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는 좌우조절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좌우조절대(150)는 받침플레이트(110)의 좌우조절부(113)에 형성된 관통공(113a)에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레일안착홈(23)에서의 레일(30)의 좌우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좌우조절대(150)는 메인조절봉(151)과 측벽지지봉(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조절봉(151)은 좌우조절부(113)의 관통공(113a)에 관통하는 형태로 끼워져 관통공(113a)에 나사체결되도록 원통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에는 관통공(113a)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조절봉(151)은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조절봉(151)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조절봉(151)의 양단에는 메인조절봉(151)을 좌우조절부(113)에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가 끼워지는 다각 형상의 공구끼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벽지지봉(153)은 원기둥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조절봉(151)의 양단에서 출몰하여 레일안착홈(23)의 양측 벽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지지봉(153)은 원기둥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메인조절봉(151)의 양단에 끼워져 메인조절봉(15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지지봉(153)의 끝단에는 측벽지지봉(153)이 레일안착홈(23)의 측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15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측벽지지봉(153)에서 지지판(155)이 결합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메인조절봉(151)에서 측벽지지봉(153)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가 끼워지는 다각 형상의 공구끼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조절대(150)는 봉위치고정부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봉위치고정부재(157)는 메인조절봉(151)에서 측벽지지봉(153)이 돌출되어 위치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봉위치고정부재(157)는 측벽지지봉(153)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끼워져 메인조절봉(151)에 양단에 지지되는 너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너트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더블너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는 방진패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진패드(170)는 레일(30)과 받침플레이트(110)의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30)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방진패드(17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예컨대,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우레탄, 합성수지 등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트램궤도 시공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레일(30)이 설치되는 트램궤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반(10)에 철근(21)을 배근하고, 배근된 철근(21)의 선형을 확인한 뒤, 콘크리트피니셔 장비를 이용하여 임의의 형상의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도상(20)을 형성한다.
이때, 콘크리트도상(20)은 레일(30)이 안착되는 레일안착홈(23)을 갖는 단면으로 형성한다.
한편, 콘크리트도상(20)이 양생되면, 레일(3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를 복수 개 이격시켜 결합한 후 레일안착홈(23)에 레일(30)을 안착시킨다.
여기서, 레일(30)에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를 결합할 때에는 받침플레이트(110)에서 너트(119)를 풀어 레일고정편을 분리한 뒤 받침플레이트(110)의 중앙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레일고정편의 돌출부(117a)가 레일(30)의 하단 부분을 지지하도록 레일(30)의 상부에서 레일고정편을 안착시킨 후 받침플레이트(110)의 하부에서 편설치공(115)을 관통하도록 볼트(118)를 꽂아 너트(119)로 체결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한편, 레일안착홈(23)에 레일(30)이 안착되면 레일안착홈(23)에서 레일(30)의 위치를 조절한다.
여기서, 레일(30)의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먼저, 높이조절부재(130)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부재(130)의 하단이 레일안착홈(23)의 바닥에 지지된 상태이고, 높이조절부재(130)는 받침플레이트(110)에 나사체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높이조절부재(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받침플레이트(11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레일(3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또한, 트램궤도의 곡선구간에서 캔트(cant)를 조절할 경우에는 받침플레이트(110)의 양측부분에 결합된 높이조절부재(130)의 높낮이가 서로 달라지도록 양측 높이조절부재(130)의 회전량을 달리하여 조절한다.
그리고, 레일(30)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측벽지지봉(153)이 돌출되어 지지판(155)이 레일안착홈(23)의 측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메인조절봉(151)의 양측에 위치된 측벽지지봉(153)을 회전시킨다.
이때, 측벽지지봉(153)은 메인조절봉(151)의 내주면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측벽지지봉(153)은 측벽지지봉(153)의 회전 방향에 따라 메인조절봉(151)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측벽에 지지되거나 측벽에서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155)이 측벽에 지지되면 측벽지지봉(153)에 결합된 봉위치고정부재(157)를 회전시켜 측벽지지봉(153)이 메인조절봉(151)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시킨다.
그리고, 메인조절봉(151)을 회전시켜 받침플레이트(110)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메인조절봉(151)은 양 측단이 레일안착홈(23)의 측벽에 고정된 상태이고, 받침플레이트(110)에 나사체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메인조절봉(151)의 회전 시 상대적으로 받침플레이트(110)가 메인조절봉(151)을 따라 이동하여 레일(30)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렇게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에 의해 레일(30)의 위치가 조절되면, 레일(30)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층(40)을 형성하도록 레일안착홈(23)에 탄성체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트램궤도의 시공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는 높이조절부재(130) 및 좌우조절대(150)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레일(30)의 위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쉽고 빠르게 레일(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체결에 의해 레일(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레일(3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재(130)를 통해 받침플레이트(110)의 양측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레일(30)의 캔트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캔트의 설정 시 추가 부자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트램궤도의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레일 각각에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100)가 설치되어 보다 정확한 레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110: 받침플레이트
111: 높이조절공 113: 좌우조절부
113a: 관통공 115: 편설치공
117: 레일고정편 117a: 돌출부
118: 볼트 119: 너트
119a: 와셔 130: 높이조절부재
131: 머리부 150: 좌우조절대
151: 메인조절봉 153: 지지봉
155: 지지판 157: 봉위치고정부재
170: 방진패드
10: 노반 20: 콘크리트도상
21: 철근 23: 레일안착홈
30: 레일 40: 탄성층

Claims (6)

  1. 콘크리트도상에 형성된 레일안착홈에서 레일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립하기 위한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로서,
    상기 레일의 하부를 받치고 양측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높이조절공과, 하부로 돌출된 좌우조절부를 포함하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높이조절공에 세워진 형태로 나사체결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좌우조절부에 가로방향으로 나사체결되고, 양단이 상기 레일안착홈의 측벽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좌우위치를 조정하는 좌우조절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는
    상기 레일의 하단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레일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레일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조절대는
    상기 좌우조절대에 나사체결되어 회전 시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메인조절봉,
    상기 메인조절봉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조절봉의 양측 단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레일안착홈의 양 측벽에 각각 지지되는 측벽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지지봉은
    상기 측벽지지봉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안착홈의 측벽에 지지되며, 상기 측벽지지봉이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지지봉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메인조절봉에서 상기 측벽지지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봉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KR1020140163675A 2014-11-21 2014-11-21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KR10167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75A KR101678589B1 (ko) 2014-11-21 2014-11-21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75A KR101678589B1 (ko) 2014-11-21 2014-11-21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551A true KR20160061551A (ko) 2016-06-01
KR101678589B1 KR101678589B1 (ko) 2016-11-23

Family

ID=5613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675A KR101678589B1 (ko) 2014-11-21 2014-11-21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66590A (zh) * 2023-10-17 2024-06-11 中铁五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大飞机高速试验滑轨预埋锚固件定位安装的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89B1 (ko) * 2019-07-16 2021-06-11 (주)백상엔지니어링 위치조정이 가능한 고속용 예인수조 전차레일 고정 장치
KR102181472B1 (ko) 2020-01-07 2020-11-23 진우산전 주식회사 트램 혼용차로에서의 도로면 안전장치
KR102424544B1 (ko) 2020-03-18 2022-07-22 박정근 다중레일자켓 트램궤도의 설치구조
KR20220106401A (ko)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이알에스 노면트램용 레일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노면트램의 보수방법
KR102509161B1 (ko) 2021-07-16 2023-03-10 박정근 노면트램용 레일의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9B1 (ko) * 2009-09-02 2010-03-18 주식회사 이알에스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20140008164A (ko) * 2012-07-11 2014-01-21 (주)엘더스티앤엘 궤도 받침대
KR101439527B1 (ko) * 2012-08-20 2014-09-15 영중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도상의 궤광 설치용 레일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79B1 (ko) * 2009-09-02 2010-03-18 주식회사 이알에스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20140008164A (ko) * 2012-07-11 2014-01-21 (주)엘더스티앤엘 궤도 받침대
KR101439527B1 (ko) * 2012-08-20 2014-09-15 영중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도상의 궤광 설치용 레일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66590A (zh) * 2023-10-17 2024-06-11 中铁五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大飞机高速试验滑轨预埋锚固件定位安装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589B1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589B1 (ko) 탄성체 전용 트램 궤광조립대
KR101434911B1 (ko) 매립형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의 선형설정을 위한 레일 조립대
RU2017141370A (ru) Участок безбалластной колеи направля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а, и безбалластная колея, сформированная из множества таких участков
US8210444B2 (en) Direct fixation track-mounting assembly
CN207468994U (zh) 用于形成轨道固定装置的系统和轨道固定装置
ITRM930355A1 (it) Traversina per sistema di transito con motore a induzione lineare.
KR101678587B1 (ko) 베이스플레이트용 궤광조립대
KR102424544B1 (ko) 다중레일자켓 트램궤도의 설치구조
KR101252650B1 (ko) 자기부상열차용 레일 및 자기부상열차용 레일 설치방법
WO2006111589A1 (es) Sistema de vías de ferrocarril en placa hormigonada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del mismo
JP5894675B2 (ja) 車両線路
KR20140072317A (ko) 원터치식 발리스 취부대
EP3235951B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KR20160044224A (ko) 보조레일 조립형 모노레일 지주홀더 및 이를 이용한 모노레일 주행 시스템
KR101705142B1 (ko) 철도 선로 운행 중 도상 개량 시공장치
KR101402662B1 (ko) 보조레일 조립형 모노레일 지주홀더
KR20170002829A (ko) 철도공사용 궤간조절 및 절연장치
EP2598695B1 (de) Betontragplatte einer tragkonstruktion mit elastischer schienenbefestigung
KR200449359Y1 (ko) 자전거 수직거치장치
JP2010216096A (ja) 自動沈下補正まくらぎ
CN203755098U (zh) 无砟轨道工具轨法施工用轨道精调装置
KR20170075480A (ko)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KR101926264B1 (ko) 철도침목블록 설치구조장치
WO2000000700A1 (en) Rail fix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tramway, subway and railway tacks
KR101258535B1 (ko) 철도분기기 조절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