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352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352A
KR20160060352A KR1020140162500A KR20140162500A KR20160060352A KR 20160060352 A KR20160060352 A KR 20160060352A KR 1020140162500 A KR1020140162500 A KR 1020140162500A KR 20140162500 A KR20140162500 A KR 20140162500A KR 20160060352 A KR20160060352 A KR 20160060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radiator
antenna
feed point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정진우
Original Assignee
대산전자(주)
이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전자(주), 이현석 filed Critical 대산전자(주)
Priority to KR102014016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0352A/ko
Publication of KR2016006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로서, 무선 단말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1 방사체; 상기 무선 단말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급전점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2 방사체; 및 상기 제 1 급전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급전되는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단말에 내장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PDA, MP3 등의 무선 단말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무선 단말의 디자인적 시각 효과를 위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금속 테두리를 적용한 무선 단말이 출시되었으나, 무선 단말의 금속 테두리로 인해 무선 단말 내부의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무선 단말의 금속 테두리를 잡는 경우 안테나 방사 성능의 저하가 더욱 크게 나타나 신호의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1072호(2003.07.1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금속 테두리를 갖는 무선 단말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로서, 무선 단말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1 방사체; 상기 무선 단말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급전점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2 방사체; 및 상기 제 1 급전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급전되는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로서, 무선 단말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1 방사체; 상기 무선 단말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급전점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2 방사체; 및 상기 제 1 급전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급전되는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PIFA Antenna: Planar Inverted-F Antenna)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급전부 및 상기 제 2 급전부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방사체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플링 급전 방식을 통해 급전되는 복수 개의 방사체와 이종 안테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각각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은 비용으로 다중 대역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로 하여금 디자인적 시각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무선 단말의 금속 테두리 일부를 방사체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 (PIFA : Planar Inverted-F Antenna) 등과 같은 이종 안테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선 단말의 금속 테두리로 인한 안테나 방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사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제 2 방사체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A-A'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S 파라미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1.56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2.47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5.63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방사체(1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제 2 방사체(11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접지면(102), 제 1 급전부(104), 제 2 급전부(106), 제 1 방사체(108), 제 2 방사체(110) 및 이종 안테나(112)를 포함한다.
접지면(102)은 무선 단말(15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150)이란 예를 들어, 휴대폰, PDA, MP3 등이 될 수 있다. 접지면(102)은 무선 단말(15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회로 소자들이 결합되는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접지면(102)은 예를 들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접지면(102)의 일 모서리 부분에는 제 1 급전부(04) 및 제 2 급전부(106)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기 위한 소정 크기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면(102)이 약 135mm * 70mm 의 크기를 갖는 경우 접지면(102)의 일 모서리 부분에는 약 20mm * 6mm 의 크기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급전부(104)는 제 1 방사체(108)를 커플링 급전시켜 제 1 방사체(108)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제 1 급전부(104)는 상기 홈부에 형성되어 접지면(102)과 인접할 수 있다. 제 1 급전부(104)는 제 1 급전점(104a)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접지면(102)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부(104)는 예를 들어, ㄱ자 형상의 라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 1 급전부(104)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급전부(104)는 예를 들어, 약 1mm의 선폭을 가질 수 있다.
제 2 급전부(106)는 제 2 방사체(110)를 커플링 급전시켜 제 2 방사체(110)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제 2 급전부(106)는 상기 홈부에 형성되어 접지면(102)과 인접할 수 있다. 제 2 급전부(106)는 제 2 급전점(106a)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급전점(106a) 및 제 2 급전부(106)는 제 1 급전점(104a) 및 제 1 급전부(104)와 각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급전부(106)는 접지면(102)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후술할 바와 같이 접지면(102)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접지면(10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급전부(106)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 2 급전부(106)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급전부(106)는 예를 들어, 약 15mm * 5mm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1 급전부(104) 및 제 2 급전부(106)는 그 크기, 선폭, 면적 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제 1 급전부(104) 및 제 2 급전부(106)에서의 주파수 통과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2.2 GHz 내지 2.5GHz 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 1 급전부(104)를 통해 원활하게 송수신되는 반면, 제 2 급전부(106)에서는 그 손실(loss) 정도가 심해지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1.5GHz 내지 1.6GHz 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 2 급전부(106)를 통해 원활하게 송수신되는 반면, 제 1 급전부(104)에서는 그 손실 정도가 심해지게 된다. 즉, 형상이 서로 다른 제 1 급전부(104) 및 제 2 급전부(106)는 통과시키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로서 각각 기능할 수 있다.
제 1 방사체(108)는 제 1 급전부(104)로부터 커플링 급전되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108)는 무선 단말(150)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사체(108)는 금속(metal) 재질로서, 무선 단말(15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디자인적 시각 효과를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제 1 방사체(108)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금속 테두리(108a)는 무선 단말(150)의 나머지 테두리를 둘러싸게 된다. 이때, 금속 테두리(108a)는 연결부(108b)에 의해 접지면(15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08b)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금속 테두리(108a)는 접지되며, 무선 단말(150) 테두리의 제 1 방사체(108)만이 안테나 장치(100)의 방사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제 1 방사체(108)는 제 1 급전부(104)로부터 커플링 급전되어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2.2 GHz 내지 2.5GHz 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제 1 방사체(108)의 연장 길이는 이들 주파수 대역에 대한 λ/4 일 수 있다. 제 1 방사체(108)로의 급전(feeding) 방식을 직접적인 전류 인가 방식이 아닌 커플링 급전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금속 프레임(metal frame)을 이용한 안테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손 영향(Hand Effect)에 의한 손실(loss)이 비교적 적으며 전자파 인체 흡수율(SAR : Specific Absorption Rate) 측면에서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손 영향은 무선 단말(15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금속 프레임, 즉 제 1 방사체(108)를 손으로 잡을 때 안테나 장치(100)의 신호 송수신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방사체(110)는 제 2 급전부(106)로부터 커플링 급전되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킨다. 제 2 방사체(110)는 접지면(102)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 2 급전부(10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방사체(110)는 제 2 급전부(106)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사체(110)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방사체(1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의 폭, 길이 등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슬릿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슬릿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방사체(110)는 제 2 급전부(106)로부터 커플링 급전되어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1.5GHz 내지 1.6GHz 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제 2 급전부(106)의 공진 주파수 대역은 제 2 급전부(106)에 형성되는 슬릿의 폭, 길이, 형상 등을 달리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급전부(104, 106)를 통해 복수 개의 방사체(108, 110) 각각을 커플링 급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중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부(104)의 길이(l1)는 제 2 급전부(106)의 길이(l2)보다 긴 반면, 제 1 급전부(104)의 폭(w1)은 제 2 급전부(106)의 폭(w2)보다 좁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급전부(104)와 제 2 급전부(106)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 간의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종(異種) 안테나(112)는 제 1 급전점(104a)과 연결되어, 제 1 급전점(104a)으로부터 급전되는 안테나이다. 이종 안테나(112)는 제 1 급전부(104)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제 1 급전부(104)와 함께 제 1 급전점(104a)을 공유할 수 있다. 이종 안테나(112)는 예를 들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종 안테나(11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종 안테나(112)는 예를 들어,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 또는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PIFA Antenna: Planar Inverted-F Antenna)가 될 수 있다. 이종 안테나(112)는 제 1 방사체(108) 및 제 2 방사체(110)의 커플링 급전 방식과 달리 제 1 급전점(104a)과 연결되어, 제 1 급전점(104a)으로부터 직접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종 안테나(112)가 커플링 급전 방식이 아닌 직접 급전 방식을 통해 전류를 인가받음으로써, 무선 단말(150)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 1 방사체(108)와의 신호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제 1 방사체(108)에서의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종 안테나(112)는 제 1 급전점(104a)로부터 급전되어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5.2 GHz 내지 5.8GHz 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방사체(108, 110) 및 이종 안테나(112)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의 A-A'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면(102), 제 1 급전부(104) 및 이종 안테나(112)는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급전부(106)는 접지면(102)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급전부(106)는 이격물(106b)을 통해 접지면(102)과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급전부(106)는 제 2 방사체(110)와 가까워지게 되고, 커플링 급전에 의한 신호 송수신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제 2 방사체(110)는 제 2 급전부(106)의 상측에서 제 2 급전부(106)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급전부(106)와 제 2 방사체(110) 사이에는 공기, 또는 공기와 유사한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가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에 있어서, S 파라미터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a는 S11 파라미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b는 S22 파라미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c는 S12 및 S21 파라미터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S11 파라미터의 변화를 살펴보면 2.455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 손실이 -14.915dB 로 나타났으며, 제 1 방사체(108)을 통해 2.455Hz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5.635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 손실이 -8.014dB 로 나타났으며, 이종 안테나(112)를 통해 5.635Hz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S22 파라미터의 변화를 살펴보면 1.565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 손실이 -9.188dB 로 나타났으며, 제 2 방사체(110)를 통해 1.565Hz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12 및 S21 파라미터의 변화를 살펴보면, 1.565Hz, 2.455Hz 및 5.635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 손실이 약 -13dB, -8dB, -7dB 로 각각 나타나, 안테나 장치(100)에서 이들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송수신이 원활하게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 개의 방사체(108, 110) 및 이종 안테나(112)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에 있어서, 1.565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제 1 급전점(104a) 및 제 1 급전부(104)를 통해 1.565Hz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가 일어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b)는 제 2 급전점(106a) 및 제 2 급전부(106)를 통해 1.565Hz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가 일어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점(104a) 및 제 1 급전부(104)를 통해 급전된 제 1 방사체(108)는 1.565G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11.46dB 의 반사 손실이 나타나는 반면, 제 2 급전점(106a) 및 제 2 급전부(106)를 통해 급전된 제 2 방사체(110)는 1.565G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1.195dB 의 반사 손실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급전부(104) 및 제 2 급전부(106)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여기서는 제 2 급전부(106)에서의 1.565GHz 주파수 대역 통과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에 있어서, 2.47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제 1 급전점(104a) 및 제 1 급전부(104)를 통해 2.47GHz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가 일어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b)는 제 2 급전점(106a) 및 제 2 급전부(106)를 통해 2.47GHz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가 일어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점(104a) 및 제 1 급전부(104)를 통해 급전된 제 1 방사체(108)는 2.47G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0.8946dB 의 반사 손실이 나타나는 반면, 제 2 급전점(106a) 및 제 2 급전부(106)를 통해 급전된 제 2 방사체(110)는 2.47G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10.49dB 의 반사 손실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급전부(104) 및 제 2 급전부(106)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여기서는 제 1 급전부(104)에서의 2.47GHz 주파수 대역 통과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에 있어서, 5.63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제 1 급전점(104a) 및 제 1 급전부(104)를 통해 5.63GHz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가 일어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b)는 제 2 급전점(106a) 및 제 2 급전부(106)를 통해 5.63GHz 주파수 대역에서 방사가 일어나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전점(104a)을 통해 급전된 이종 안테나(112)는 5.63G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1.509dB 의 반사 손실이 나타나는 반면 제 2 급전점(106a) 및 제 2 급전부(106)를 통해 급전된 제 2 방사체(110)는 5.63G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4.984dB 의 반사 손실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여기서는 이종 안테나(112)에서의 5.63GHz 주파수 대역 통과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안테나 장치
102 : 접지면
104 : 제 1 급전부
104a : 제 1 급전점
106 : 제 2 급전부
106a : 제 2 급전점
106b : 이격물
108 : 제 1 방사체
108a : 금속 테두리
108b : 연결부
110 : 제 2 방사체
110a : 슬릿
112 : 이종 안테나(모노폴 안테나 또는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
150 : 무선 단말

Claims (4)

  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로서,
    무선 단말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1 방사체;
    상기 무선 단말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급전점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2 방사체; 및
    상기 제 1 급전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급전되는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2.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로서,
    무선 단말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1 방사체;
    상기 무선 단말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급전점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급전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급전부를 통해 커플링 급전되는 제 2 방사체; 및
    상기 제 1 급전점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급전점으로부터 급전되는 평판형 역 에프 안테나(PIFA Antenna: Planar Inverted-F Antenna)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전부 및 상기 제 2 급전부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사체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이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KR1020140162500A 2014-11-20 2014-11-20 안테나 장치 KR20160060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500A KR20160060352A (ko) 2014-11-20 2014-11-20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500A KR20160060352A (ko) 2014-11-20 2014-11-20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352A true KR20160060352A (ko) 2016-05-30

Family

ID=5712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500A KR20160060352A (ko) 2014-11-20 2014-11-20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03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601A1 (en) * 2017-03-24 2018-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WO2021167211A1 (ko) * 2020-02-19 2021-08-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601A1 (en) * 2017-03-24 2018-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10439267B2 (en) 2017-03-24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WO2021167211A1 (ko) * 2020-02-19 2021-08-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0693B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US10186752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10511081B2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EP1569300B1 (en) Wireless device having antenna
FI121519B (fi) Suuntakuvioiltaan muokattava antenni
KR101171421B1 (ko)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US10090581B2 (en) Multiple antenna apparatus
CN108054491B (zh) 天线系统及移动终端
KR20050055032A (ko) 무선 장치 및 안테나 구조
WO2017031272A1 (en) External antenna for vehicle
KR20100113861A (ko)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TWI521789B (zh) 電子裝置
US20160315387A1 (en) Antenna
KR20110126488A (ko) 인공자기도체를 구비한 안테나
CN105322278A (zh) 具有连续金属框的天线及其电子设备
KR101584764B1 (ko) 다중 안테나
KR20160060352A (ko) 안테나 장치
US20050119024A1 (en) Wireless terminals
JP5700122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246973B1 (ko) 다중밴드 안테나
TW201508995A (zh) 超寬頻天線
KR101679925B1 (ko) 링크 라인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Picher et al. Multiband handset antennas by combining monopoles and intelligent ground planes
TWI539663B (zh) 手持式裝置
KR101456568B1 (ko)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