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861A -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 Google Patents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861A
KR20100113861A KR1020090032386A KR20090032386A KR20100113861A KR 20100113861 A KR20100113861 A KR 20100113861A KR 1020090032386 A KR1020090032386 A KR 1020090032386A KR 20090032386 A KR20090032386 A KR 20090032386A KR 20100113861 A KR20100113861 A KR 20100113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ground
antenna
coupling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208B1 (ko
Inventor
김병남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PCT/KR2009/0019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19999A1/ko
Priority to CN2009801587265A priority patent/CN102396110A/zh
Priority to KR1020090032386A priority patent/KR101103208B1/ko
Priority to US13/264,680 priority patent/US20120032870A1/en
Publication of KR2010011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2RF wavebands combined with non-RF wavebands, e.g. infrared or op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도전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종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RF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진행파가 발생하고 충분한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개시된 안테나에 따르면, 낮은 프로파일 특성을 가지면서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핸드 이펙트 및 헤드 이펙트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주파수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안테나, 커플링

Description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Broad Band Antenna of Which the Radiator End Point is Shorted Using Coupling Matching}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을 지원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면서도,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상용화된 824~894 MHz 대역의 CDMA 서비스와, 1750~1870 MHz 대역의 PCS 서비스, 일본에서 상용화된 832~925 MHz 대역의 CDMA 서비스, 미국에서 상용화된 1850~1990 MHz 대역의 PCS 서비스, 유럽, 중국 등에 상용화된 880~960 MHz 대역의 GSM 서비스 및 유럽 일부 지역에서 상용화된 1710~1880 MHz 대역의 DCS 서비스 등의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가운데 필요에 따라 다중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외에도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랜, GPS 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복합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다중 대역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단말기에는 원하는 둘 이상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안테 나가 사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로는 헬리컬 안테나(helical antenna)와 평면 역F 안테나(Planar InvertedF Antenna: PIFA)가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헬리컬 안테나는 단말기 상단에 고정된 외장형 안테나로서 모노폴 안테나와 함께 사용된다. 헬리컬 안테나와 모노폴 안테나가 병용되는 형태는 안테나를 단말기 본체로부터 인출(extended)하면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고, 삽입(Retracted)하면
Figure 112009022484946-PAT00001
/4 헬리컬 안테나로 동작한다. 이러한 안테나는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무지향성으로 인해 전자파 인체 유해기준인 SAR 특성이 좋지 않다. 또한, 헬리컬 안테나는 단말기의 외부에 돌출된 모양으로 구성되므로, 단말기의 미적외관 및 휴대기능에 적합한 외관 설계가 어려운데, 이에 대한 내장형의 구조는 아직 연구된 바 없다.
그리고, 역F 안테나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낮은 프로파일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 안테나이다. 역F 안테나는 상기 방사부에 유기된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체 빔 중 접지면측으로 향하는 빔이 재유기되어 인체에 향하는 빔을 감쇠시켜 SAR 특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방사부 방향으로 유기되는 빔을 강화시키는 지향성을 가지며, 직사각형인 평판형 방사부의길이가 절반으로 감소된 직사각형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로서 작동하게 되어 낮은 프로파일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역F 안테나는 인체방향으로 빔의 세기를 감쇠시키며 인체 바깥 방햐으로 빔의 세기를 강하게 해주는 지향성을 갖는 방사 특성을 가지므로 헬리컬 안테 나와 비교하였을 때 전자파 흡수율이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역F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폭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평면 역-F 안테나의 협대역 특성은 다중 대역 특성을 가지도록 안테나를 설계할 때 큰 장애 요소가 되었다.
또한, 기존의 평면 역-F 안테나는 핸드 이펙트 또는 헤드 이펙트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쉽게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낮은 프로파일 특성을 가지면서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플링에 의한 매칭을 이용하여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 이펙트 및 헤드 이펙트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주파수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은 안테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도전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종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RF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진행파가 발생하고 충분한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임피던스 매칭/급전부로 동작하며, 상기 임피던스 매칭/급전부에서 발생하는 커플링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이 수 행된다.
상기 제1 도전 부재가 연결되는 접지 및 상기 제3 도전 부재의 종단이 연결되는 접지는 공통 접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3 도전 부재의 길이에 의해 방사 주파수가 설정되며 제1 도전 부재 및 제3 도전 부재의 전기적 길이는 약
Figure 112009022484946-PAT00002
/2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안테나는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른 대역의 방사체로 동작하는 제4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도전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종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RF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에는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오픈 스터브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오픈 스터브들의 폭 및 길이는 균일하게 설정되 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낮은 프로파일 특성을 가지면서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핸드 이펙트 및 헤드 이펙트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주파수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안테나는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100),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102) 및 제1 도전 부재(100)로부터 연장되는 제3 도전 부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와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100) 및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102)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도전 부재(100) 및 제2 도전 부재(102)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도전 부재(100) 및 제2 도전 부재(102)는 임피던스 매칭/급전부(130)로 동작한다.
임피던스 매칭/급전부(130)는 임피던스 매칭 및 커플링 급전 동작을 수행한다. 임피던스 매칭/급전부(130)인 제1 도전 부재(100) 및 제2 도전 부재(102) 사이에는 진행파가 발생하며, 제2 도전 부재(102)에서 제1 도전 부재(100)로의 커플링 급전이 이루어진다.
임피던스 매칭/급전부(130)에서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려면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102) 사이에 충분한 커플링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제1 도전 부재(100) 및 제2 도전 부재(102)는 소정 길이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긴 길이를 확보할 때 보다 큰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도전 부재(104)는 커플링 매칭과 연관된 제1 도전 부재(100)로부터 연장되며 제3 도전 부재(104)는 방사체로서 동작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로 동작하는 제3 도전 부재(104)의 종단은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제3 도전 부재(104)는 루프 방사체로 동작한다. 안테나의 방사 주파수는 제1 도전 부재(100) 및 제3 도전 부재(104)의 길이에 의해 정해지며, 루프 방사체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 주파수의 약
Figure 112009022484946-PAT00003
/2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이 단락된 루프 방사체를 사용하면서 커플링 매칭 및 급전이 이루어질 경우 핸드 이펙트 및 헤드 이펙트에 우수한 특성을 보이면서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도전 부재(100)는 기판(200)에 형성된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도전 부재(102)는 급전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도전 부 재(104)의 종단이 연결되는 접지는 제1 도전 부재(100)가 연결되는 접지와 공통 접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의 도시된 안테나의 제1 도전 부재(100), 제2 도전 부재(102) 및 제3 도전 부재(104)는 안테나 캐리어상에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300),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302), 제1 도전 부재(300)로부터 연장되며 종단이 단락되는 제3 도전 부재(304),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오픈 스터브들(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임피던스 매칭 /급전부(330)로 동작하는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로부터 다수의 오픈 스터브들이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 사이에 돌출되는 구조가 상이하다.
도 3 및 도 4에는 오픈 스터브들(310)의 형태가 직사각형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의 오픈 스터브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의 길이가 길게 설정될 때 보다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며, 이는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 사이의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킬 때 보다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는 경우 이외에도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 사이의 거리를 짧게 설정할 때에도 제1 도전 부재와 제2 도전 부재의 거리가 긴 경우에 비해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서,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에서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들(310)은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의 전기적 길이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한정된 길이에서 보다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로부터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돌출되며, 전체적으로 빗살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오픈 스터브들(310)이 서로 맞물리도록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로부터 돌출될 경우,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어 커플링 매칭 시 보다 큰 캐패시턴스 값을 확보하게 되며, 보다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다수의 오픈 스터블들이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맞물리는 구조는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의 전기적 길이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 사이의 거리를 줄어들게 함으로써 보다 긴 전기적 길이 및 보다 큰 캐패시턴스 성분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사이즈에서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하다.
제3 도전 부재(304)는 커플링 매칭과 연관된 제1 도전 부재(300)로부터 연장되며 제3 도전 부재(304)는 방사체로서 동작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로 동작하는 제3 도전 부재(304)의 종단은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제3 도전 부재(104)는 루프 방사체로 동작한다. 안테나의 방사 주파수는 제1 도전 부재(300) 및 도 3 도전 부재(304)의 전기적 길이에 의해 정해지며, 루프 방사체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 주파수의 약
Figure 112009022484946-PAT00004
/2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500),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502), 제1 도전 부재(500)로부터 연장되는 제3 도전 부재(504), 제1 도전 부재(500)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제1 오픈 스터브들(510) 및 제2 도전 부재(502)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제2 오픈 스터브들(5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02)로부터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510, 512)의 형태가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도전 부재(300) 및 제2 도전 부재(302)로부터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들(310)의 폭 및 길이는 동일하였다. 즉, 제2 실시예에서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들(310)은 균일하게 형성되었으나, 제3 실시예에서 오픈 스터브들(510, 512)은 균일하지 않게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도전 부재(500)로부터 돌출되는 제1 오픈 스터브들(510)은 길이가 길어지다가 다시 줄어드는 구조이며, 제2 도전 부재(502)로부터 돌출되는 제2 오픈 스터브들(512)은 폭이 커지면서 길어지다가 다시 폭이 좁아지면서 짧아지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02)로부터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들의 폭 및 길이를 변화시킬 경우 커플링을 위한 캐패시턴스 값이 다변화된다. 제1 도전 부재(500) 및 제2 도전 부재(502) 사이의 캐패시턴스 값이 다변화될 경우 보다 광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오픈 스터브들(510, 512)의 변화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며,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오픈 스터브들(510, 512)의 폭 및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오픈 스터브가 길이는 변화되지 않고 폭만 변화되도록 디자인할 수도 있으며, 제1 오픈 스터브와 제2 오픈 스터브 중 어느 하나만 폭 또는 길이가 변화되도록 디자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700),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 부재(702), 제1 도전 부재(700)로부터 연장되는 제3 도전 부재(704), 제1 도전 부재(700) 및 제 2 도전 부재(702)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오픈 스터브들(710) 및 제1 도전 부재(700)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도전 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4 도전 부재(750)를 더 포함하며, 제4 도전 부재(720)는 제2 방사체로서 동작한다. 도 7에서, 제4 도전 부재(750)는 제1 도전 부재(700)와 인접해있으며, 제1 도전 부재(700)로부터 커플링 급전을 받는다. 물론, 제4 도전 부재(720)는 제2 도전 부재(702)와 인접하여 제2 도전 부재(702)로부터 커플링 급전을 받아 RF 신호를 방사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제2 방사체로 동작하는 제4 도전 부재(750)는 제1 방사체로 동작하는 제3 도전 부재(704)에 비해 고주파 대역에서 RF 신호를 방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1 GHz의 로우밴드에서는 방사체 종단이 접지된 제 3 도전부재에 의해 공진 대역이 형성되며, 이때, 제 1 도전 부재와 제 2 도전부재의 커플링에 의해 광대역 특성을 가진다. 2 GHz 대역의 하이밴드에서는 제 3 도전부재의 체배 공진과 제4 도전 부재에서 발생하는 공진이 결합되어 이중 공진의 형태로 발 생하여 광대역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의 종단이 접지된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S11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도전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종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RF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진행파가 발생하고 충분한 커플링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는 임피던스 매칭/급전부로 동작하며, 상기 임피던스 매칭/급전부에서 발생하는 커플링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가 연결되는 접지 및 상기 제3 도전 부재의 종단이 연결되는 접지는 공통 접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3 도전 부재의 길이에 의해 방사 주파수가 설정되며 제1 도전 부재 및 제3 도전 부재의 전기적 길이는 약
    Figure 112009022484946-PAT00005
    /2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른 대역의 방사체로 동작하는 제4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6.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 부재;
    급전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도전 부재; 및
    상기 제1 도전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종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RF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제3 도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에는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 부재 사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오픈 스터브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부재 및 제2 도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오픈 스터브들은 서로 맞물리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스터브들의 폭 및 길이는 균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스터브들의 폭 및 길이는 부분적으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10. 제6항에 있어서,
    접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른 대역의 방사체로 동작하는 제4 도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KR1020090032386A 2009-04-14 2009-04-14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KR101103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925 WO2010119999A1 (ko) 2009-04-14 2009-04-14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CN2009801587265A CN102396110A (zh) 2009-04-14 2009-04-14 具有端点短路的辐射体的使用耦合匹配的宽带天线
KR1020090032386A KR101103208B1 (ko) 2009-04-14 2009-04-14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US13/264,680 US20120032870A1 (en) 2009-04-14 2009-04-14 Broadband antenna using coupling matching with short-circuited end of radi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86A KR101103208B1 (ko) 2009-04-14 2009-04-14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61A true KR20100113861A (ko) 2010-10-22
KR101103208B1 KR101103208B1 (ko) 2012-01-05

Family

ID=4298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386A KR101103208B1 (ko) 2009-04-14 2009-04-14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32870A1 (ko)
KR (1) KR101103208B1 (ko)
CN (1) CN102396110A (ko)
WO (1) WO201011999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151B1 (ko) * 2013-07-22 2014-09-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용 광대역 안테나
KR101481890B1 (ko) * 2012-04-20 2015-01-12 애플 인크. 가변 분산 용량을 갖는 안테나
KR20180006671A (ko) * 2016-07-11 2018-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연장체를 구비한 통신 장치
KR20230091753A (ko) *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오성전자 이중 대역 pcb 패턴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9998A1 (ko) * 2009-04-14 2010-10-21 (주)에이스안테나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TWI442632B (zh) 2011-04-14 2014-06-21 Acer Inc 行動通訊裝置及其天線結構
TWI514678B (zh) * 2013-01-29 2015-12-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無線通訊裝置的雙頻天線
TW201517380A (zh) * 2013-10-21 2015-05-01 Fih Hong Kong Ltd 無線通訊裝置
WO2015085594A1 (zh) * 2013-12-13 2015-06-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发送器
CN104471790B (zh) * 2014-04-24 2017-12-15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天线、天线系统和通信装置
CN109411883B (zh) * 2017-08-15 2021-10-08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天线结构
WO2019183798A1 (zh) * 2018-03-27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
CN109742511B (zh) * 2018-12-14 2021-01-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通讯终端及其天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621B2 (ja) * 1996-06-19 2000-1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US6107967A (en) * 1998-07-28 2000-08-22 Wireless Access, Inc. Billboard antenna
JP3468201B2 (ja) * 2000-03-30 2003-1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複共振の周波数調整設定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アンテナを備えた通信装置
GB2403069B8 (en) * 2003-06-16 2008-07-17 Antenova Ltd Hybrid antenna using parasiting excitation of conducting antennas by dielectric antennas
JP2006197254A (ja) 2005-01-13 2006-07-27 Sakae Riken Kogyo Co Ltd 自動車用アンテナ
EP2095464A4 (en) * 2006-11-16 2012-10-24 Galtronics Ltd COMPACT ANTENNA
WO2010119998A1 (ko) * 2009-04-14 2010-10-21 (주)에이스안테나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KR101044615B1 (ko) * 2009-04-27 2011-06-2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기적인 루프 형태의 신호선을 이용하는 광대역 안테나
KR101126463B1 (ko) * 2009-04-28 2012-03-2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Sar 및 hac 특성 개선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안테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890B1 (ko) * 2012-04-20 2015-01-12 애플 인크. 가변 분산 용량을 갖는 안테나
US9041619B2 (en) 2012-04-20 2015-05-26 Apple Inc. Antenna with variable distributed capacitance
KR101438151B1 (ko) * 2013-07-22 2014-09-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용 광대역 안테나
KR20180006671A (ko) * 2016-07-11 2018-0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접지연장체를 구비한 통신 장치
KR20230091753A (ko) *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오성전자 이중 대역 pcb 패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208B1 (ko) 2012-01-05
CN102396110A (zh) 2012-03-28
WO2010119999A1 (ko) 2010-10-21
US20120032870A1 (en)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208B1 (ko) 방사체 종단이 단락된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KR101171421B1 (ko) 커플링 매칭을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KR100985476B1 (ko)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KR100980218B1 (ko) 다중 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을 지원하는 내장형 안테나
KR100981883B1 (ko) 지연파 구조를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101120864B1 (ko) 개선된 임피던스 매칭을 지원하는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101044615B1 (ko) 전기적인 루프 형태의 신호선을 이용하는 광대역 안테나
KR101129976B1 (ko) 급전 패치가 기판상에 결합된 광대역 임피던스 매칭을 지원하는 내장형 안테나
KR20090126001A (ko) 휴대용 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KR100735356B1 (ko) 커플링 패턴을 구비한 광대역 안테나
KR101130024B1 (ko) 광대역 임피던스 매칭을 지원하는 내장형 안테나
KR101090114B1 (ko)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100099076A (ko)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KR101081397B1 (ko) 이중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Floc'h et al. Design of multiband and wideband antennas with printed dipole
KR20110120154A (ko)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KR20110040127A (ko) 커플링을 이용한 광대역 임피던스 매칭 안테나
KR101172229B1 (ko) 루프 전자기 결합을 이용한 광대역 내장형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29

Effective date: 20111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