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84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841A
KR20160059841A KR1020140161892A KR20140161892A KR20160059841A KR 20160059841 A KR20160059841 A KR 20160059841A KR 1020140161892 A KR1020140161892 A KR 1020140161892A KR 20140161892 A KR20140161892 A KR 20140161892A KR 20160059841 A KR20160059841 A KR 20160059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housing
link
display uni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하
강기태
성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841A/ko
Publication of KR2016005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플랫(flat)한 제 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를 차폐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중앙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거리를 변경하여 상기 제 1,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화할 때 디스플레이부의 중심부를 조절함으로써, 링크가 외관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화할 때 디스플레이부의 중심부를 조절하여 링크가 외관상으로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플랫(flat)한 제 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를 차폐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중앙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거리를 변경하여 상기 제 1,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상태에 대응되도록 만곡 되어있을 수 있다.
상기 상기 구동부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 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상기 스크류 넛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넛의 상기 이동에 따라 승강(昇降, up and down)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하우징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하우징 연결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연결부에 결합된 복수의 결합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결합 암에 삽입되어 회전하되, 상기 결합 암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하우징 연결부가 회동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암은 상기 하우징 연결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되,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하우징 연결부가 회동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2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제 1,2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 1,2 브라켓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는 상기 중앙영역의 상하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에 결합된 상기 2개 이상의 링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2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링크는 상기 제 1,2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 1,2 브라켓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는 상기 중앙영역의 좌우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에 결합된 상기 2개 이상의 링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공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내측에서 입출하며 상기 링크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류 넛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 단에 결합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LE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곡면화할 때 디스플레이부의 중심부를 조절함으로써, 링크가 외관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부(20)와 하우징(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클 수 있다.
모듈 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커버(15)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은 모듈 커버(15)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30)는 외부전원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동을 위해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스피커 및 신호 입출력 단자 등을 포함하는 AV 박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구동부(150) 내에는 링크(50)가 제공될 수 있다. 링크(50)는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주면서 디스플레이부(20)를 전방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하우징(30)은 링크(50)가 디스플레이부(20) 방향으로 상승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20)와 양 측이 이격될 수 있다. 링크(50)는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서로 이격될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하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상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부(20)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디스플레이부(20) 후면 하단에 하우징(30)이 제공되며, 하우징(30)의 후면에 백 커버(BC)가 하우징(30)을 감싸며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전체 두께는 디스플레이부(20)와 백 커버(BC)의 z방향으로의 폭의 합(d1)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백 커버(BC)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는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으로의 폭과 하우징(30)의 z방향 폭의 합(d3)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폭(d1)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30)이 디스플레이부(20) 전체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은 x축 양 끝으로 제 1 면적(SA1)만큼 노출될 수 있으며 y방향으로 제 2 면적(SA2)만큼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하우징(30)이 하단 중심부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 폭(d2)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라고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폭은 더 줄어들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평한 제 1 상태와 만곡되어 있는 제 2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가 평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20)는 제 1 상태일 때 곡률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 1 상태일 때 하우징(30)의 x축 양 끝과 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 폭(d2)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의 z 방향 폭의 합(d3)에 비해 아주 작을 수 있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부(20)의 z방향 폭(d2)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의 z방향 폭의 합(d3)과 비교하여 50%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에서 링크(50)가 -z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제 2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의 링크(50)가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을 밀어주어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이 -z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제 2 상태일 때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위치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곡률(R1, R2, R3)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30)은 제 2 상태일 때에도 수평선(VPL)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디스플레이부(20)는 제 2 상태일 때 -z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와 x축 양 끝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링크(50)는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서로 이격될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x방향이 변형되지만, y방향은 변형되지 않거나 변형량이 아주 작을 수 있다. 따라서, x방향의 강성이 y방향의 강성과 비교하여 작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y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에 의해 y방향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P)에 따라 여러가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30) 한 측의 링크(50a)만이 디스플레이부(20)를 밀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주는 링크(50)의 상승된 높이가 양 측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한 측만이 -z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곡률은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른 측의 링크(50b)만이 디스플레이부(20)를 밀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주는 링크(50)의 상승된 높이가 양 측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한 측만이 -z방향으로 만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곡률은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의 개별 곡률을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개별 사용자마다 최적화된 곡률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 후면에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이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부(20)는 후면 중심부에 하우징 고정부(45)가 위치하며 x축 양 끝에 제 1 및 제 2 브라켓(40a, 40b)이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은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45)와 제 1,2 브라켓(40a, 40b)은 디스플레이부(20)와 양면 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45)의 x축 양 측에 PCB(60)가 위치할 수 있다. PCB(60)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PCB(60)는 외부로부터 전원 및 영상신호 등을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45)의 하단부에 구동부(50)가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전방으로 만곡 시킬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 고정부(45)와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구동부(50)는 모터어셈블리(55)와 링크(57)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5)는 링크(57)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모터 어셈블리(55)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구동신호를 링크(57)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5)의 y방향 높이는 PCB(60)의 y방향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50)가 링크(57)의 움직임을 조정할 때, 링크(57)는 PCB(60)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5)는 제 1 모터(51), 제 1 감속기(53), 중심 기어(49), 제 1 피니언 기어(43a), 제 2 피니언 기어(43b), 제 1 링크 연결부(64), 제 2 링크 연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51)는 전기신호를 받아 물리적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 1 모터(51)는 회전 에너지를 감속기(53)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모터(51)는 덮개에 의하여 덮여 있을 수 있다. 제 1 모터(51)의 적어도 일부는 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모터(51)와 감속기(53)가 서로 맞물리기 위하여 한 측의 돌기가 노출될 수 있다.
제 1 모터(51)는 초음파 모터일 수 있다. 초음파 모터는 초음파 진동하는 진동체와 이동자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회전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 1 모터(51)는 초음파를 구동 주파수로 하여 소음이 없을 수 있다. 제 1 모터(51)는 자석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제 1 모터(51)는 압전 세라믹스의 압전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감속기(53)는 제 1 모터(51)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제 1 감속기(53)는 제 1 모터(51)의 덮개와 다른 덮개에 덮여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감속기(53)는 제 1 모터(51)와 서로 불필요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제 1 감속기(53)는 제 1 모터(51)와 같이 하나의 덮개에 덮여있을 수 있다.
제 1 감속기(53)는 제 1 모터(5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속도를 줄이면서 회전에너지를 크게 전달할 수 있다. 제 1 감속기(53)는 제 1 모터(51)와 적어도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제 1 감속기(53)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원주 부분에 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감속기(53)는 제 1 모터(51)에서 전달되는 회전에너지를 중심 기어(49)에 전달할 수 있다.
중심 기어(49)는 제 1 감속기(5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중심 기어(49)는 제 1 감속기(53)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중심 기어(49)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원주 부분에 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심 기어(49)는 제 1 감속기(5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에너지를 제 1, 2 피니언 기어(43a, 43b)에 전달할 수 있다.
제 1, 2 피니언 기어(43a, 43b)는 중심 기어(49)의 x축 양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2 피니언 기어(43a, 43b)는 중심 기어(49)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제 1, 2 피니언 기어(43a, 43b)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원주 부분에 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2 피니언 기어(43a, 43b)는 회전 에너지를 제 1, 2 링크 연결부(62, 64)에 전달할 수 있다.
제 1,2 링크 연결부(62, 64)는 일부가 제 1, 2 피니언 기어(43a, 43b)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제 1 링크 연결부(64)는 제 1 상부, 하부 링크 연결부(64a, 64b)를 포함하며, 제 2 링크 연결부(62)는 제 2 상부, 하부 링크 연결부(62a, 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일 수 있다.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는 적어도 일 측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는 돌기가 형성된 측이 제 1 피니언 기어(43a)와 맞물릴 수 있다.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는 제 1 피니언 기어(43a)로부터 전달된 회전 에너지를 직선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는 제 1 피니언 기어(43a)와의 관계에서 랙 기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는 연장된 부분 끝에 링크(57)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4a)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일 수 있다.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4a)는 제 1 피니언 기어(43a)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4a)는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와 조인트(6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4a)는 연장된 부분 끝에 링크(57)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2b)는 하우징 고정부(45)를 기준으로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와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2b)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일 수 있다.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2b)는 제 2 피니언 기어(43b)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2b)는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와 조인트(6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2b)는 연장된 부분 끝에 링크(57)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하우징 고정부(45)를 기준으로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4a)와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적어도 일 측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돌기가 형성된 측이 제 2 피니언 기어(43b)와 맞물릴 수 있다.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제 2 피니언 기어(43b)로부터 전달된 회전 에너지를 직선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제 2 피니언 기어(43b)와의 관계에서 랙 기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연장된 부분 끝에 링크(57)가 연결될 수 있다.
링크(67)의 일 단은 제 1, 2 링크 연결부(62, 64)의 연장된 부분 끝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67)의 타 단은 제 1, 2 브라켓(40a, 40b)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67)와 제 1, 2 링크 연결부(62, 64)의 구동원리는 후술하도록 한다.
링크(67)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을 밀어주어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링크(67)는 제 1 링크(57a)와 제 2 링크(5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크(57a)와 제 2 링크(57b)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의 다른 부분을 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링크(57a)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의 하부를 밀고, 제 2 링크(57b)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의 상부를 밀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링크(57a)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의 장축을 이등분하였을 때 하부에 결합되며, 제 2 링크(57b)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의 장축을 이등분 하였을 때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랫한 제 1 상태일 때 모터 어셈블리(55)의 제 1 링크 연결부(64)와 제 2 링크 연결부(62)는 서로 한 측이 접할 수 있다. 제 1 링크 연결부(64)와 제 2 링크 연결부(62)가 접해 있으면, 제 1, 2 링크 연결부(62, 64)에 접해있는 링크가 디스플레이부를 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랫한 제 1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만곡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모터 어셈블리(55)의 제 1 링크 연결부(64)와 제 2 링크 연결부(62)는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5)의 중심 기어(49)가 시계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2 피니언 기어(43a)는 반시계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피니언기어(43a)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는 하우징 고정부(4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4a)는 조인트(65)를 통해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4b)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고정부(4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1 링크 연결부(64)는 디스플레이부의 일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피니언 기어(43b)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하우징 고정부(4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2b)는 조인트(65)를 통해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2a)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고정부(4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 2 링크 연결부(62)는 디스플레이부의 타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제 1 링크 연결부(64)와 제 2 링크 연결부(62)는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5)는 제 1, 2 링크 연결부(64, 62)의 돌기가 형성된 위치가 반대이기 때문에 하나의 중심 기어(49)로 양측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이 단순해지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링크 연결층(62c)은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2a)와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2b)의 상부에 하나의 층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 1 링크 연결층(62c)은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2a)와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2b)를 덮을 수 있다. 제 1 링크 연결층(62c)은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2a)와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2b)를 연결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부 링크 연결부(62a)는 제 1 하부 링크 연결부(62b)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제 2 링크 연결부(64)도 제 1 링크 연결부(62)와 같이 제 2 상부 링크 연결부(64a)와 제 2 하부 링크 연결부(64b)를 제 2 링크 연결층(64c)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2 링크 연결층(64c)는 제 1 링크 연결부(64)의 제 1 링크 연결층(62c)과 구조가 같거나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 링크 연결부와 상부 링크 연결부가 제 1, 2 링크 연결층(62c, 64c)과 같이 하나의 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링크 연결부와 상부 링크 연결부 간의 결합이 조인트로 결합될 때 보다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2 링크 연결부(62,64)는 제 1, 2 링크 연결층(62c, 64c)의 일측 중심부에 하나의 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링크는 제 1,2 링크 연결층(62c, 64c)의 일측 상부, 중심부, 하부에 세개의 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링크는 제 1,2 링크 연결층(62c, 64c)의 일측 에 네개의 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2 링크 연결부(62, 64)가 제 1, 2 링크 연결층(62c, 64c)에 의해 하나의 층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개수로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부(50)의 링크(57)는 디스플레이부(20)를 직접 밀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1, 2 브라켓(40a, 40b)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 링크(57a)는 디스플레이부(20)의 양측 상부면을 직접 밀며, 하부 링크(57b)는 디스플레이부(20)의 양측 하부면을 직접 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57)가 디스플레이부(20)를 직접 밀기 때문에 제 1, 2 브라켓(40a, 40b)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줄어들며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링크(57)가 디스플레이부(20)를 직접 밀기 때문에 브라켓이 있을 때보다 적은 힘을 가하여도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55)는 하우징 고정부(45)의 y축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PCB(60)는 링크(57)와 중첩되지 않기 위해 하우징 고정부(45)의 y축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PCB(60)의 y방향 높이보다 모터 어셈블리(55)의 y방향 높이가 더 높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모터 어셈블리(55)는 하우징 고정부(45)의 y 축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PCB(60)의 y 방향 높이는 모터 어셈블리(55)의 y방향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어셈블리(55)를 하우징 고정부(45)의 어떤 곳이나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57)가 내부 구조에 방해가 되지 않게 모터 어셈블리(55)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2 브라켓(40a, 40b)의 상부 및 하부에 브라켓 가이드(47)가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7)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의 상부 및 하부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잇다. 브라켓 가이드(47)의 x 방향 폭은 제 1, 2 브라켓(40a, 40b)의 x방향 폭 보다 클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7)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이 링크(57)에 의해 밀릴 때 브라켓(40a, 40b)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7)는 중심부에 제 1, 2 브라켓(40a, 40b)을 가이드 해주는 홀(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브라켓(40a, 40b)의 상부 및 하부는 브라켓 가이드(47)의 홀(48)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7)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양 측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2 브라켓(40a, 40b)은 브라켓 가이드(47)의 홀(48)에 결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에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2 브라켓(40a, 40b)은 디스플레이부(20)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일 때, 제 1, 2 링크 연결부(62, 64)는 링크(57)를 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2 브라켓(40a, 40b)은 링크(57)에 의해 밀리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2 브라켓(40a, 40b)은 브라켓 가이드(47)의 내측(47a)에 접해있을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7)의 내측(47a)은 브라켓 가이드(47)의 디스플레이부(20) 안쪽에 있는 측면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제 2 상태로 변하면, 제 1, 2 링크 연결부(62,64)가 링크(57)를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57)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을 밀 수 있다. 제 1, 2 브라켓(40a, 40b)은 제 2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가 이 경우, 제 1, 2 브라켓(40a, 40b)은 브라켓 가이드(47)의 외측(47b)에 접해있을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47)의 외측(47b)은 브라켓 가이드(47)의 디스프레이부(20) 바깥쪽에 있는 측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및 하부 링크(57)가 브라켓(40)을 밀면 브라켓(40)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잇다. 상세하게, 링크(57)가 브라켓(40)의 상부와 하부에서 압력을 가하면 브라켓(40)의 상부, 중심부, 하부에 외력이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57)가 브라켓(40)의 상부와 하부만에 압력을 가하여도 브라켓(40)의 상부, 중심부 및 하부에 동일한 외력(F1)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40)은 각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의 차이에 의한 뒤틀림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브라켓(40)의 상부와 하부에 압력을 가하여도 브라켓(40)의 상부, 중심부 및 하부에 동일한 외력(F1)이 걸리기 때문에 링크(57)는 브라켓(40)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57)가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중심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y축 중심부에 힘이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중심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압력에 의해 튀어나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중심부가 튀어나오면 시청자의 몰입감이 떨어지며 쉽게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57)가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상부와 하부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상부와 하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20)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는 x축 양 끝변이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변이 평행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링크 연결부(62, 64)가 하우징 고정부(45)의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링크(57)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57)는 이동하면서 브라켓(40)을 밀어줄 수 있다.
제1, 2링크 연결부(62, 64)가 이동한 제 1 거리(H1)와 브라켓(40)이 이동한 제 2 거리(H2)는 다를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2 링크 연결부(62, 64)가 이동한 제 1 거리(H1)는 브라켓(40)이 이동한 제 2 거리(H2)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거리(H1)가 4.83mm이면 제 2 거리(H2)는 67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링크 연결부(62, 64) 를 약간만 밀어줘도 브라켓(40)이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작은 힘으로 밀어도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끝에 제 1 내지 4 브라켓(40a 내지 4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4 브라켓(40a 내지 40d)는 각각이 링크(57)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내지 4 브라켓(40a 내지 40d)은 각각이 브라켓 가이드(47)에 상하측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브라켓(40a)은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일 측 상부에 위치하며, 제 3 브라켓(40c)은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일 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브라켓(40b)은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타 측 상부에 위치하며, 제 4 브라켓(40d)은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타 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링크(57)에 하나의 브라켓(4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브라켓(40)의 위치에 따라 가해지는 외력이 다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40)이 뒤틀리지 않아 디스플레이부(2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링크(57a)가 브라켓(40)의 장축 길이(BD)를 3등분 하였을 때 하측 영역과 중간 영역의 경계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링크(57b)는 브라켓(40)의 장축 길이(BD)를 3등분 하였을 때 상측 영역과 중간 영역의 경계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링크(57a)와 제 2 링크(57b)가 브라켓(40)의 장축 길이(BD)의 반이되는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링크(57a)와 제 2 링크(57b)가 한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2 링크(57a, 57b)가 브라켓(40)의 y방향 중심부에 더 가깝기 때문에, 브라켓(40)의 장축 방향으로 힘이 더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40)의 뒤틀림이 일어나지 않아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50) 내에 위치하는 링크(57)가 디스플레이부(20)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57)는 디스플레이부(20)를 밀어주면서 디스플레이부(20)를 전방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하우징(30)은 링크(57)가 디스플레이부(20) 방향으로 상승하였을 때 디스플레이부(20)와 양 측이 이격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서로 이격될 때, 측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부(50)는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서로 이격될 때, 링크(57)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 양 측의 구동부(50)가 디스플레이부(20)를 밀 수 잇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가 밀리어 양 측이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들의 몰입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의 양 측에 제 1 자석(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석(12)은 전자석일 수 있다. 즉, 제 1 자석(12)은 전류를 흐르게 하면 자화되어 자성을 띌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에 제 2 자석(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자석(14)은 제 1 전자석(12)과 마주보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자석(12)에 전류를 인가하면 제 1 자석(12)과 제 2 자석(14)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자석(12)은 제 2 자석(14)을 밀게 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 측의 제 1 자석(12)과 제 2 자석(14)에 의해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상 깔끔하게 전방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 내에 윙(23)과 구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윙(23)은 하우징(30) 내부에 x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윙(23)의 x방향 길이는 하우징(30)의 x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윙(23)은 x방향으로 연장된 양 측이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윙(23)은 디스플레이부(20) 양 측을 전방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구동부(50)는 하우징(30) 내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달리, 구동부(50)가 y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윙(23)을 z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윙(23)의 돌출된 양 측은 하우징(30)을 향할 수 있다. 윙(23)의 돌출된 양 측이 디스플레이부(20)와 접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과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윙(23)은 하우징(30) 내부에서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 모두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윙(23)의 돌출된 양 측은 디스플레이부(20)을 향할 수 있다. 윙(23)의 돌출된 양 측이 디스플레이부(20)와 접하면서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을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윙(23)은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이격될 때 외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구동부(50)는 상부 및 하부 구동부(50a, 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동부(50a)는 윙(23)을 상부에서 구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하부 구동부(50b)는 윙(23)을 하부에서 구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 구동부(50a)는 상부 모터(51a) 및 상부 방향 전환 모터(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모터(51a)는 반시계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달리, 상부 모터(51a)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방향 전환 모터(52a)는 상부 모터(51a)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상부 방향 전환 모터(52a)는 상부 모터(51a)의 회전 방향을 90도 바꿀 수 있다. 상부 방향 전환 모터(52a)는 윙(23)과 접하여 윙(23)을 z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하부 구동부(50b)는 하부 모터(51b) 및 하부 방향 전환 모터(52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모터(51b)는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부 모터(51b)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방향 전환 모터(52b)는 하부 모터(51b)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하부 방향 전환 모터(52b)는 하부 모터(51b)의 회전 방향을 90도 바꿀 수 있다. 하부 방향 전환 모터(52b)는 윙(23)과 접하여 윙(23)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하부 방향 전환 모터(52b)는 상부 방향 전환 모터(52a)와 회전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상부 및 하부방향 전환 모터(52a, 52b)와 윙(23)이 맞물려 윙(23)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윙(23)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만곡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가 상부 및 하부 모터(51a, 51b) 로부터 2 배의 회전 에너지를 받아 쉽게 만곡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구동부(50) 및 윙(23)이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구동부(50a)와 하부 구동부(50b)는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윙(23a)과 하부 윙(23b)은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윙(23a)과 하부 윙(23b)는 양 측이 같은 방향을 향하며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 양 측의 상부와 하부가 같은 시점에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 상부와 하부에 2개의 구동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0)는 2배의 힘으로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을 밀어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를 쉽게 만곡시킬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 후면에 제 1, 2 브라켓(40a, 40b)이 x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 1, 2 브라켓(40a, 40b)은 디스플레이부(20)와 양면 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 2 브라켓(40a, 40b)은 서로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제 1, 2 브라켓(40a, 40b)은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제 1, 2 브라켓(40a, 40b)은 y축 다른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x축 양 측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우징(30)은 전방측으로 만곡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30)의 x축 양 측은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과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30)의 중심부는 디스플레이부(20)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 1 상태에서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와 양 측만이 접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부(20)와 중심부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가 하우징(30)의 중심부로 당겨지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가 당겨질 때,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는 하우징(30)의 중심부로 점차 만곡될 수 있다.
제 2 상태에 도달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와 하우징(30)의 중심부는 서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는 양 측이 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의 양 측이 전방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하우징(30)의 x축 양 측을 링크(57)로 밀어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측을 전방으로 돌출시켰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의 x 축 양 측이 돌출될 때, 측면의 링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30)의 중심부를 링크(57)로 당겨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를 하우징(30)으로 당길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가 당겨지더라도 링크가 외부로 노출되 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평평한 상태일 때에도 측면에서 링크(57)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관에 영향이 적을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양 측이 하우징(30)의 x축 양 측에 접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하우징(30)의 x 축 양 측은 하우징 연결부(123) 결합 암(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20)가 접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디스플레이부(20)와 직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탄성이 적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하우징 연결부(123)는 디스플레이부(20)와 직각을 유지할 수 있다.
결합 암(125)은 하우징 연결부(123)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 암(125)과 하우징 연결부(123)가 접하는 부분은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부(30)가 접하는 부분이 파손이 일어나지 않게 결합부분을 조정하기 위한 것 일 수 있다.
결합 암(125)은 하우징(30)이 전방측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연결부(123)를 결합 암(125)이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탄성이 약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연결부(123)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부(20)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다.
결합 암(125) 또한 탄성이 약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암(125)은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부(20)와 상관없이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해야 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기울기가 변화하고 결합 암(125)은 기울기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이 접하는 원형 부분은 하우징 연결부(123)와 연결되어 있으며 결합 암(125)은 원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할 수 있다. 결합 암(125)은 원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우징 연결부(123)가 이동하는 부분은 감싸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여도,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하우징 연결부(123)만 이동하고 결합 암(125)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 암(125)이 하우징 연결부(123)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암(125)이 고정되고 하우징 연결부(123)만 이동하여도 디스플레이부(2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 암(125)을 하우징 연결부(123)가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은 탄성이 약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하우징 연결부(123)는 디스플레이부(20)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으며, 결합 암(125)은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해야 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기울기가 변화하고 결합 암(125)은 기울기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이 접하는 원형 부분은 결합 암(125)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우징 연결부(123)는 원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할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원형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우징 연결부(123)가 이동하는 부분은 감싸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하여도,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하우징 연결부(123)만 이동하고 결합 암(125)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연결부(123)가 결합 암(125)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연결부(123)가 결합 암(125)과 상관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 사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 암(125)이 원형 부분의 전체를 감쌀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는 탄성이 약한 물질을 포함하지만, 결합 암(125)는 탄성이 강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하우징 연결부(123)는 디스플레이부(20)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질 수 있다. 결합 암(125)은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은 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 암(125)이 탄성이 강한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결합 암(125)은 하우징 연결부(123)의 기울기가 변화해도 하우징 연결부(123)를 따라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암(125)은 하우징 연결부(123)가 이동하는 부분도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결합 암(125)이 하우징 연결부(123) 전체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하여도 하우징 연결부(123)와 결합 암(125)이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기는 하나의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의 일 측은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에 결합하고, 바의 타 측은 하우징(30)의 중심부에 결합할 수 있다. 바는 디스플레이부(20)를 z방향으로 직접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의 z방향 폭은 바의 장축 길이(CL1)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하우징(30)의 z 방향 폭이 바의 장축 길이(CL1)보다 커야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에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0)의 폭이 너무 커 미관상 안좋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운반이나 보관이 불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기는 두개의 바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바는 일 측이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다른 바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바는 일 측이 하나의 바와 결합하며 타 측은 하우징(30)의 내부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른 바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다른 바는 하나의 바를 하우징(30)의 중심부에서 하부로 당길 수 있다. 다른 바가 하나의 바를 -y방향으로 당길 때, 하나의 바는 기울기가 변화하며 디스플레이부(20)를 z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상세하게, 하나의 바의 z방향 기울기가 작아지면서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30)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의 z 방향 폭은 바의 단축 길이(CL2)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하우징(30)의 z 방향 폭이 바의 단축 길이(CL2)보다 커야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30)의 z방향 폭이 바의 단축 길이(CL2)보다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반이나 보관이 편리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55)는 제 2 모터(143), 제 2 감속기(141), 리드 스크류(139), 스크류 넛(137), 가이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터(143)는 전기신호를 받아 물?거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 2 모터(143)는 회전 에너지를 제 2 감속기(141)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모터(143)는 하우징(3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감속기(141)는 제 2 모터(143)와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제 2 감속기(141)는 회전 에너지를 링크(57)에 전달할 수 있다. 제 2 감속기(141)는 일 단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감속기(141)는 제 2 모터(143)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같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2 모터(143)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같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감속기(141)는 제 2 모터(14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줄이면서 회전 에너지를 크게 전달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9)는 제 2 감속기(141)와 연결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9)는 일 단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9)의 돌출된 부분은 제 2 감속기(141)의 돌출된 부분과 커플링 결합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139)는 물리적 힘을 링크(57)에 전달할 수 있다.
스크류 넛(137)은 리드 스크류(139)를 둘러싸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스크류 넛(137)은 리드 스크류(139)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스크류 넛(137)은 리드 스크류(139)의 회전 방향에 따라 y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135)는 리드 스크류(137)의 타 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가이드(135)는 스크류 넛(137)이 y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135)는 리드 스크류(137)의 회전하지 않는 부분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135)는 y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스크류 넛(137)을 가이드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5)는 링크(57)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 링크(57)는 스크류 넛(45)에 일 단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링크(57)는 제 2 모터(143)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부(20)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링크(57)는 제 2 모터(143)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하우징(30)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링크(57)는 스크류 넛(137)이 y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와 직교하는 -z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57)는 일 단에 고정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1)는 브라켓(40)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링크(57)는 고정부(13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태일 때, 리드 스크류(137)의 일단에서 스크류 넛까지의 길이(L1)가 길 수 있다. 이 때, 링크(57)는 y축으로부터의 기울기가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와 하우징(30)의 중심부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상태일 때, 리드 스크류(137)의 일단에서 스크류 넛까지의 길이(L2)가 줄어들 수 있다. 이 때, 링크(57)의 y축으로부터 기울기는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와 하우징(30)의 중심부가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모터(1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링크(57)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접 링크(57)를 밀거나 당기는 것 보다 에너지 효율이 좋을 수 있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모터 어셈블리(55)는 이동하지 않으며 링크(57)의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57)의 길이(D1)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이 이격될 정도로 길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은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57)의 길이(D2)는 제 1 상태일 때 링크(57)의 길이(D1)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 어셈블리(55)가 이동할 때와 달리 링크(57)의 길이만이 변화할 수 있다. 즉, 모터 어셈블리(55)와 연결된 링크(57) 일 단의 지면으로부터 제 1 상태 높이(LD1)는 제 2 상태 높이(LD2)와 동일할 수 있다.
상세하게, 링크(57)는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중공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중공 실린더는 각각의 직경이 다를 수 있다. 복수개의 중공 실린더는 모터 어셈블리(55)쪽으로 향할수록 각각의 직경이 커질 수 있다. 가장 작은 직경의 중공 실린더는 고정부(131)과 연결되며 가장 큰 직경의 중공 실린더는 모터 어셈블리(55)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상태일 때, 각각의 중공 실린더의 외관상 길이(AD1)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이 이격될 정도로 길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은 접근할 수 있다. 상세하게, 각각의 중공 실린더가 접해있는 직경이 큰 중공 실린더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중공 실린더의 외관상 길이(AD2)는 제 1 상태일 때의 길이(AD1)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링크(57)의 길이가 직접 변화하며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어셈블리(55)의 공간이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링크(57)의 길이가 변하며 모터 어셈블리(55)도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57)의 길이(D1)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이 이격될 정도로 길며 리드 스크류(137)의 일단에서 스크류 넛까지의 길이(L1)가 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은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57)의 길이(D2)는 제 1 상태일 때 링크(57)의 길이(D1)보다 작으며, 리드 스크류(137)의 일단에서 스크류 넛까지의 길이(L2)는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57)의 길이가 변하며 모터 어셈블리(55)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의 간격을 더 크게 하여도 더 많은 거리를 당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만곡 각도가 더 크기 때문에, 시청자들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131)의 일 측은 제 1 브라켓(40a)와 연결되며 타 측은 제 2 브라켓(40b)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131)는 x축 양 측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131)의 돌출된 일 측은 제 1 브라켓(40a)와 연결되며 돌출된 타 측은 제 2 브라켓(40b)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 중심부에 y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고정부(13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길 수 있다. 상세하게, 구동부(50)는 고정부(131)를 통하여 브라켓(50)을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131)의 돌출된 양 측이 제 1, 2 브라켓(40a, 40b)를 당기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는 좌우 균형이 맞도록 당겨질 수 있다.
도 38 및 도 3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131)가 브라켓(40)이 아닌 디스플레이부(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131)는 y축 양 측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131)의 돌출된 양 측은 디스플레이부(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31)는 제 1,2 브라켓(40a, 40b)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브라켓(40a)과 제 2 브라켓(40b) 사이에 고정부(131)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131)를 포함하는 구동부(50)가 브라켓(40)이 아닌 디스플레이부(20)를 직접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40)을 통해 당기는 경우에 비해 더 작은 힘으로 디스플레이부(20)가 당겨질 수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131)에 두개의 링크(57)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131)는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링크(57)와 ? 방향으로 연장되어있는 다른 링크(57)와 연결될 수 있다.
y 방향으로 연장된 링크(57)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구동부(50a)에 포함되며, -y 방향으로 연장된 링크(57)는 ?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동부(50b)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제 1, 2 구동부(50)는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길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2 구동부(50)는 하나의 고정부(131)를 이용하여 브라켓(40)을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2 구동부(50a, 50b)가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는 구동부(50)가 하나일 때보다 더 큰 힘으로 쉽게 당겨질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부(131)에 두개의 링크(57)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131)는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나의 링크(57)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다른 링크(57)와 연결될 수 있다.
x방향으로 연장된 링크(57)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구동부(50a)에 포함되며, -x방향으로 연장된 링크(57)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구동부(50b)에 포함될 수 있다.
고정부(131)는 브라켓(40)이 아닌 디스플레이부(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131)는 x축 양 측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131)의 돌출된 양 측은 디스플레이부(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 1,2 브라켓(40a, 40b)은 y방향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20) x축 양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2 브라켓(40a, 40b)의 y축 방향 길이는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브라켓(40a)과 제 2 브라켓(40b)의 사이에 제 1,2 구동부(50a, 50b)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2 구동부(50a, 50b)가 디스플레이부(20)를 직접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는 구동부(50)가 하나일때보다 더 큰 힘으로 당길 수 있다. 또한, 브라켓(40)을 통해 당길 때보다 더 작은힘에도 디스플레이부(20)가 당겨질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상부와 하부에 제 1, 2 구동부(50a, 50b)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50a)와 제 2 구동부(50b)는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 1 구동부(50a)는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상부를 당기며 제 2 구동부(50b)는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하부를 당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y축 상부 양 끝에 제 1,2 브라켓(40a, 40b)이 위치하며 y축 하부 양 끝에 제 3,4 브라켓(40c, 40d)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2 브라켓(40a, 40b)과 제 3,4 브라켓(40c, 40d)은 디스플레이부(20)의 x축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 1 브라켓(40a)과 제 2 브라켓(40b)은 서로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 3 브라켓(40c)과 제 4 브라켓(40d)은 서로 디스플레이부(20)의 중심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제 1 구동부(50a)는 제 1, 2 브라켓(40a, 40b)을 고정부(131)를 통하여 당길 수 있다. 제 2 구동부(50b)는 제 3, 4 브라켓(40c, 40d)을 고정부(131)를 통하여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제 1, 2 구동부(50a, 50b)를 통하여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를 더 쉽게 당길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패널
15: 모듈 커버 30: 하우징
40a, 40b: 제1, 2 브라켓 50: 구동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플랫(flat)한 제 1 상태와 만곡(彎曲, curved)된 제 2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도록 하는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를 차폐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중앙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거리를 변경하여 상기 제 1,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변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상태에 대응되도록 만곡 되어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류 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스크류 넛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넛의 상기 이동에 따라 승강(昇降, up and down)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하우징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하우징 연결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연결부에 결합된 복수의 결합 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결합 암에 삽입되어 회전하되,
    상기 결합 암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하우징 연결부가 회동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암은 상기 하우징 연결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되,
    상기 하우징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하우징 연결부가 회동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2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상기 제 1,2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 1,2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동부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는,
    상기 중앙영역의 상하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에 결합된 상기 2개 이상의 링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2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링크는,
    상기 제 1,2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 1,2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는,
    상기 중앙영역의 좌우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2개 이상의 구동부에 결합된 상기 2개 이상의 링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어도 다른 하나의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중공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내측에서 입출하며 상기 링크의 길이가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류 넛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 단에 결합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LED)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61892A 2014-11-19 2014-11-19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9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92A KR20160059841A (ko) 2014-11-19 2014-11-1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892A KR20160059841A (ko) 2014-11-19 2014-11-1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841A true KR20160059841A (ko) 2016-05-27

Family

ID=5610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892A KR20160059841A (ko) 2014-11-19 2014-11-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8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2931B2 (en) Display unit having a curved display panel
US20210235186A1 (en)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9081540B1 (en) Adjust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in flat mode and curved mode
JP5947366B2 (ja) 可変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374643B1 (ko)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595426B2 (en) Display device
CN112188365B (zh) 显示设备
CN109963242A (zh) 显示装置
TR201702620A2 (tr) Sesi Yeniden Üreten Ekran
JP2007156399A (ja) 携帯用表示装置
WO2013134621A1 (en) Bezel-fre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coustically coupled display cover plate
KR102302702B1 (ko) 벤더블 디스플레이
KR201600598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983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71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583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29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68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93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153688B2 (en) Display apparatus
KR201100487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14187A (ko) 표시 장치
KR2018008046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