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18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187A
KR20080014187A KR1020060075509A KR20060075509A KR20080014187A KR 20080014187 A KR20080014187 A KR 20080014187A KR 1020060075509 A KR1020060075509 A KR 1020060075509A KR 20060075509 A KR20060075509 A KR 20060075509A KR 20080014187 A KR20080014187 A KR 2008001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ress
molding part
display device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조복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4187A/ko
Publication of KR2008001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일체형 수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수납 부재는 프레스 성형부와 사출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성형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 구멍들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프레스 성형부의 바닥부 일부 및 측면부에 일체로 부착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고정 구멍들에 각각 채워진 다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 일체형 수납 부재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사용된 일체형 수납 부재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41 : 기판 본체
42 : 연결부 44 : 커넥터부
46 : 커텍터 50 : 표시 패널
51 : 제1 표시판 53 : 제2 표시판
60 : 고정 부재 70 : 백라이트 어셈블리
71 : 지지 프레임 72 : 광학 시트류
74 : 도광판 76 : 광원 유닛
79 : 반사 시트 80 : 일체형 수납 부재
81 : 프레스 성형부 82 : 바닥부
83 : 고정 구멍 84 : 측면부
85 : 결합 구멍 86 : 사출 성형부
88 : 고정부 89 : 결합부
761 : 발광 다이오드 762 : 광원용 기판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휨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킨 일체형 수납 부재를 포함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 되면서 성능이 더욱 향상된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가 대표적인 표시 장치로 자리 잡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 받아왔다. 현재는 표시 장치를 필요로 하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소형 제품뿐만 아니라 중대형 제품인 모니터 및 TV 등에도 장착되어 사용되는 등 표시 장치가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높은 해상도를 갖는 표시 장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frame), 섀시(chassis) 등과 같은 여러 부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 고정하기 위해 여러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조립성이 저하되고 구조적으로도 복잡하여 불량 발생이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과 섀시의 열변형량이 달라 표시 장치의 생산 또는 사용 중에 프레임과 섀시가 불필요하게 분리되거나, 심하게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휨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킨 일체형 수납 부재를 포함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일체형 수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수납 부재는 프레스 성형부와 사출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성형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 구멍들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프레스 성형부의 바닥부 일부 및 측면부에 일체로 부착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고정 구멍들에 각각 채워진 다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 성형부의 측면부에 결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구멍에 채워진 결 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 구멍들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고정 구멍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성형부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부는 수지(樹脂)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수납 부재의 휨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서는, 표시 장치에 사용된 표시 패널의 실시예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이외의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핸드폰이나 PDA(portable digtal assistant)에 사용되는 소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크게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와 빛을 제공받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50)을 포함한다. 이외에, 표시 장치(1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수납하고 표시 패널(50)을 지지하는 일체형 수납 부재(80)와, 표시 패널(50)을 백라이트 어셈블리(70) 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60)를 더 포함하며, 기타 필요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40) 및 표시 패널(50) 상에 실장된 집적 회로칩(515)을 더 포함한다. 집적 회로칩(515) 주위에는 보호막이 도포되어 집적 회로칩(515)을 보호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0)은 기판 본체(41), 연결부(42) 및 커넥터부(44)를 포함한다. 기판 본체(41)는 여러 회로 소자를 실장하며, 표시 패널(5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연결부(42)는 기판 본체(41)의 일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기판 본체(41)와 표시 패널(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커넥터부(44)의 단부에는 커넥터(46)가 형성된다. 이 커넥터(46)를 통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0)은 핸드폰용 폴더창의 개폐 정도에 따른 신호 및 그 밖의 신호 정보를 인가 받는다.
표시 패널(50)은 제1 표시판(51), 제1 표시판(51)과 대향 배치된 제2 표시판(53), 및 제1 표시판(51)과 제2 표시판(53)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표시판(51)은 배면 기판이 되고 제2 표시판(53)은 전면 기판 이 되며, 제2 표시판(53)은 제1 표시판(51)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집적 회로칩(515)은 제2 표시판(53)과 중첩되지 않는 제1 표시판(51)의 가장자리에 실장된다. 그리고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0)의 연결부(42)는 집적 회로칩(515)이 실장된 제1 표시판(51)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표시 패널(50)은 다수의 화소(화소는 화면을 표시하는 최소단위를 말한다)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제1 표시판(51)은 각 화소마다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표시판(53)은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컬러 필터가 제1 표시판(51) 및 제2 표시판(53)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판에 형성된다. 즉, 액정층은 제1 표시판(51)의 화소 전극과 제2 표시판(53)의 공통 전극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계(electric field)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제1 표시판(51)과 제2 표시판(53)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미도시)의 액정 배열각이 변화되며, 이에 표시 패널(50)에서 각각의 화소마다 광투과도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5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70)에서 공급된 빛의 투과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70)는 광원 유닛(76), 도광판(74), 광학 시트류(72) 및 반사 부재(79)를 포함한다.
도광판(74)은 표시 패널(50)의 배면에 대향 배치된다. 도광판(74)은 광원 유닛(76)에서 출사된 빛을 가이드하여 표시 패널의 배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전 달한다.
광원 유닛(76)은 도광판(74)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빛을 공급한다. 광원 유닛(76)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761)와, 발광 다이오드들(761)을 실장하는 광원용 기판(762)을 포함한다. 광원용 기판(762)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0)과 연결되어 필요한 광원 제어 신호를 공급받는다. 도 1에는 발광 다이오드(761)의 수를 3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761)의 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반사 부재(79)는 도광판(74)의 배면에 대향 배치된다. 반사 부재(79)는 광원 유닛(76)으로부터 도광판(74)에 입사되어 표시 패널(50) 반대 방향으로 출사된 빛을 다시 도광판(74)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빛의 손실을 줄이고 도광판(74)에서 빛이 확산되는 것을 돕는다.
광학 시트류(72)는 도광판(74)과 표시 패널(50) 사이에 배치된다. 광학 시트류(72)는 도광판(74)에서 표시 패널(50)로 향하는 빛을 더욱 확산시키고 휘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체형 수납 부재(80)는 프레스 성형부(81)와 사출 성형부(86)를 포함한다. 프레스 성형부(81)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지며, 사출 성형부(86)는 수지(樹脂) 계열 소재로 만들어진다. 프레스 성형부(81)와 사출 성형부(86)는 아웃서팅(outserting) 사출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프레스 성형부(81)는 판상의 바닥부(82)와, 바닥부(82)에서 절곡 연장된 측 면부(84)를 포함한다. 바닥부(8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 구멍들(83)을 갖는다. 측벽부(84)는 하나 이상의 결합 구멍(85)을 갖는다.
사출 성형부(86)는 프레스 성형부(81)의 바닥부(82)의 가장자리 및 측면부(84)에 일체로 부착 형성된 프레임(87)과, 프레임(87)에서 연장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 구멍들(83)에 각각 채워진 다수의 고정부(88)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출 성형부(86)는 프레임(87)에서 연장되어 결합 구멍에 채워진 결합부(89)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일체형 수납 부재(8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수납하면서 표시 패널(50)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수납 부재(80)의 프레스 성형부(81)와 사출 성형부(86)가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출 성형부(86)를 형성하는 사출물이 비교적 많이 접하는 프레스 성형부(81)의 바닥부(82)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 구멍(83)을 가지므로, 사출물이 과다한 경우 고정 구멍(83)을 통해 흘러나갈 수 있다. 이에, 사출물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해도, 사출 성형부(86)를 설계대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출 성형부(86)를 형성하는 사출물이 고정 구멍에 채워져 굳어지면서 고정부(88)가 형성된다. 이에, 프레스 성형부(81)와 사출 성형부(86)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다수의 고정 구멍들(83)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바닥부(82)의 가장자리 에 각각 형성된 고정 구멍(83)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일체형 수납 부재(80)의 휘어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부(86)를 형성하는 사출물이 프레스 성형부(81)의 측면부(84)에 형성된 결합 구멍(85)에 채워져 굳어지면서 결합부(89)가 형성된다. 이에, 프레스 성형부(81)와 사출 성형부(86)의 결합력은 더욱 견고해 진다.
이와 같이, 일체형 수납 부재(80)를 포함한 표시 장치(100)는 조립성이 향상되고 생산 또는 사용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일체형 수납 부재에서 휨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일체형 수납 부재의 프레스 성형부와 사출 성형부가 분리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성형부와 사출 성형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수납 부재를 포함한 표시 장치는 조립성이 향상되고 생산 또는 사용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6)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일체형 수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수납 부재는 프레스 성형부와 사출 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성형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 구멍들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절곡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프레스 성형부의 바닥부의 가장자리 및 측면부에 일체로 부착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고정 구멍들에 각각 채워진 다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프레스 성형부의 측면부에 결합 구멍이 형성된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구멍에 채워진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다수의 고정 구멍들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고정 구멍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프레스 성형부는 금속성 소재로 만들어진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수지(樹脂)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진 표시 장치.
KR1020060075509A 2006-08-10 2006-08-10 표시 장치 KR20080014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509A KR20080014187A (ko) 2006-08-10 2006-08-10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509A KR20080014187A (ko) 2006-08-10 2006-08-10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187A true KR20080014187A (ko) 2008-02-14

Family

ID=3934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509A KR20080014187A (ko) 2006-08-10 2006-08-1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41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030A (ko) * 2010-10-22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030A (ko) * 2010-10-22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05B1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US77778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1965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US9366804B2 (en) Backplane an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KR20110031008A (ko) 디스플레이 모니터
CN106842694B (zh) 背光单元及包括其的显示装置
JP2007140455A (ja) 携帯用表示装置
JP4504945B2 (ja) 携帯用表示装置
US2009020733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4742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4535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14187A (ko) 표시 장치
KR20120042030A (ko) 표시 장치
KR20080070376A (ko) 표시 장치
KR20080013479A (ko) 표시 장치
KR10075414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9354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0510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84043B1 (ko) 평판표시장치
KR10079353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55104A (ko) 표시 장치
KR20080014186A (ko) 표시 장치
KR20080073093A (ko) 표시 장치
KR10078647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19657B1 (ko) 휴대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