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661A -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 Google Patents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661A
KR20160059661A KR1020140161417A KR20140161417A KR20160059661A KR 20160059661 A KR20160059661 A KR 20160059661A KR 1020140161417 A KR1020140161417 A KR 1020140161417A KR 20140161417 A KR20140161417 A KR 20140161417A KR 20160059661 A KR20160059661 A KR 2016005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eat transfer
heat
isotherma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허
Original Assignee
양태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허 filed Critical 양태허
Priority to KR102014016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661A/ko
Publication of KR2016005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달 접합면, 외부 단열면 그리고 통과하는 유체와 함께 열전달을 수행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것으로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등온 부하 표적물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부착 설치되고, 외부 펌핑에 의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유체가 열전달 접합면을 통과하여 등온 부하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에너지를 전송하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ADJACENTLY-INSTALLED TEMPERATURE EQUALIZER WITH SINGLE SIDE HEAT TRANSFERRING}
본 발명은 열전달 접합면, 외부 단열면 및 통과하는 유체와 함께 열전달을 수행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등온 부하 표적물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부착 설치되고, 외부 펌핑에 의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유체가 열전달 접합면을 통과하여 등온 부하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에너지를 전송하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등온체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열에너지를 전송하는 부착식 등온장치는 접합면 외에 그 밖의 각 처리면에는 일반적으로 외부로 열에너지를 전도, 대류 혹은 방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등온체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열에너지를 전송하는 부착식 등온장치는 접합면 외에 그 밖의 각 처리면에는 일반적으로 외부로 열에너지를 전도, 대류 혹은 방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열전달 접합면, 외부 단열면 및 통과하는 유체와 함께 열전달을 수행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것으로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등온 부하 표적물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부착 설치되고, 외부 펌핑에 의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유체가 열전달 접합면을 통과하여 등온 부하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에너지를 전송하며, 열에너지 전달면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달 접합면, 외부 단열면 및 통과하는 유체와 함께 열전달을 수행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것으로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등온 부하 표적물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부착 설치되고, 외부 펌핑에 의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유체가 열전달 접합면을 통과하여 등온 부하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에너지를 전송하며, 열에너지 전달면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등온 부하 표적물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부착 설치되고, 외부 펌핑에 의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유체가 열전달 접합면을 통과하여 등온 부하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에너지를 전송하며, 열에너지 전달면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하나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두 개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네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복수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원기둥형 열에너지 전달면(1005)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적용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적용예이다.
종래의 등온체 내부를 관통하는 유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열에너지를 전송하는 부착식 등온장치는 접합면 외에 그 밖의 각 처리면에는 일반적으로 외부로 열에너지를 전도, 대류 혹은 방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열전달 접합면, 외부 단열면 및 통과하는 유체와 함께 열전달을 수행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것으로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등온 부하 표적물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부착 설치되고, 외부 펌핑에 의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유체가 열전달 접합면을 통과하여 등온 부하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에너지를 전송하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하나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하나의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하나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두 개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두 개의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하나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두 개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네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네 개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네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복수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복수 개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열전달 접합면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형상 구조를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원기둥형 열에너지 전달면(1005)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및 세라믹 재료 등의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하나의 원기둥형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원기둥형 열에너지 전달면(1005)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15에 따른 각종 실시예에 있어서, 그 구조적 형상 및 유체관로의 수량은 동일한 원리 하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착식 등온장치는 축방전 전지, 또는 액정 표시 장치, 반도체기판, 열발산기, 에어컨 열교환기, 또는 정밀기계 혹은 다차원측정기의 케이스, 또는 케이스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외부의 펌핑을 통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전달 유체에 의하여 접합되는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되도록 하는 열전달을 수행하여 반도체 유닛, 태양 전지판(Photovoltaic, PV), 발광 다이오드(LED) 혹은 축방전 전지 혹은 액정 표시 장치(LCD) 등과 같은 장치가 과열 또는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짐으로 인해 작동상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예방하고, 그리고/또는 전기모터, 발전기 혹은 변압기 등의 전기 기계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부하가 증가하거나 환경 온도가 상승할 때 과열로 인해 효율이 떨어지고 심지어 소각되는 것을 예방하고, 그리고 정밀기계 혹은 다차원측정기의 기계 몸체에 적용하는 경우, 구조상의 기하학적 형상의 안정성과 정밀도를 유지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적용예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유체관로(1001)가 파이프라인(1004)을 거쳐 직렬 연결로 표적물의 표면에 부착 설치되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상기 유체관로(1001) 내부를 흘러 지나가는 유체가 상기 유체관로(1001)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을 거쳐 표적물의 표면에 대하여 열에너지를 전송하는 것에 적용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적용예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유체관로(1001)가 파이프라인(1004)을 거쳐 직렬 연결로 표적물의 내부 표면에 부착 설치되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상기 유체관로(1001) 내부를 흘러 지나가는 유체가 상기 유체관로(1001)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을 거쳐 표적물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열에너지를 전송하는 것에 적용한 것이다.
1000: 부착식 등온장치
1001: 유체관로
1002, 1003: 유체 유입/유출구
1004: 파이프라인
1005: 열에너지 전달면
1010: 단열층
1100: 고정 구멍

Claims (9)

  1. 열전달 접합면, 외부 단열면 및 통과하는 유체와 함께 열전달을 수행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것으로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이 등온 부하 표적물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부착 설치되고, 외부 펌핑에 의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유체가 열전달 접합면을 통과하여 등온 부하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에너지를 전송하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하나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하나의 상기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하나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두 개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하나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두 개의 유체관로(1001)를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네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네 개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네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복수 개의 열전달 접합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혹은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복수 개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열전달 접합면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형상 구조를 갖는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원기둥형 열에너지 전달면(1005)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철 및 세라믹 재료 등의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고 유체관로(1001)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유체관로(1001)의 양쪽에는 파이프라인에 연결되어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기체가 액체로 전환되거나 액체가 기체로 전환된 유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유체 유입/유출구(1002)와 유체 유입/유출구(1003)가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유체관로(1001)는 하나의 상기 원기둥형 열에너지 전달면(1005)이 구비되고, 상기 열에너지 전달면(1005) 외에 그 밖의 외부로 오픈된 표면에는 단열층(1010)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방열, 전도 및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예방하거나 줄이는 것으로서,
    상기 원기둥형 열에너지 전달면(1005)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가 표적물에 부착 설치되는 방식은 접착, 압력, 용접 혹은 고정 구멍(1100)을 거쳐 리베팅되는 접합 방식과 나사 조임에 의한 고정 방식으로 표적물의 열전달 성질을 갖는 구조면에 설치되는 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축방전 전지, 또는 액정 표시 장치, 반도체기판, 열발산기, 에어컨 열교환기, 또는 정밀기계 혹은 다차원측정기의 케이스, 또는 케이스 외부 및/또는 내부에 선정된 위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외부의 펌핑을 통하여 쿨링 혹은 히팅된 열전달 유체에 의하여 접합되는 표적물에 대하여 쿨링 혹은 히팅되도록 하는 열전달을 수행하여 반도체 유닛, 태양 전지판(Photovoltaic, PV), 발광 다이오드(LED) 혹은 축방전 전지 혹은 액정 표시 장치(LCD) 등과 같은 장치가 과열 또는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짐으로 인해 작동상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예방하고, 그리고/또는 전기모터, 발전기 혹은 변압기 등의 전기 기계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부하가 증가하거나 환경 온도가 상승할 때 과열로 인해 효율이 떨어지고 심지어 소각되는 것을 예방하고, 그리고 정밀기계 혹은 다차원측정기의 기계 몸체에 적용하는 경우, 구조상의 기하학적 형상의 안정성과 정밀도를 유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유체관로(1001)가 파이프라인(1004)을 거쳐 직렬 연결로 표적물의 표면에 부착 설치되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상기 유체관로(1001) 내부를 흘러 지나가는 유체가 상기 유체관로(1001)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을 거쳐 표적물의 표면에 대하여 열에너지를 전송하는 것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유체관로(1001)가 파이프라인(1004)을 거쳐 직렬 연결로 표적물의 내부 표면에 부착 설치되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상기 부착식 등온장치(1000)의 상기 유체관로(1001) 내부를 흘러 지나가는 유체가 상기 유체관로(1001)의 열에너지 전달면(1005)을 거쳐 표적물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열에너지를 전송하는 것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식 등온장치.
KR1020140161417A 2014-11-19 2014-11-19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KR20160059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17A KR20160059661A (ko) 2014-11-19 2014-11-19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417A KR20160059661A (ko) 2014-11-19 2014-11-19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661A true KR20160059661A (ko) 2016-05-27

Family

ID=5610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417A KR20160059661A (ko) 2014-11-19 2014-11-19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6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1346B2 (ja) 貼付け式均温器と伝熱流体を備える温度制御システム
US8297343B2 (en) Heat absorbing or dissipating device with multi-pipe reversely transported temperature difference fluids
JP3165398U (ja) 吸放熱装置
WO2017148197A1 (zh) 散热设备
US10058008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adjacently-installed temperature equalizer and heat transfer fluid and application device thereof
TWI708916B (zh) 貼設式單側導熱均溫器
US20090139698A1 (en) Carbon-based waterlock with attached heat-exchanger for cooling of electronic devices
US20100078155A1 (en) Thin Cavity Fluidic Heat Exchanger
JP2011085384A (ja) 吸熱又は放熱装置
JP2018503950A (ja) ランプヘッド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US20130255917A1 (en) Semiconductor cooling apparatus
CN207763128U (zh) 散热器及空调
Lad et al. High power density thermal management of discrete semiconductor packages enabled by additively manufactured hybrid polymer-metal coolers
KR20160059661A (ko) 부착식 단일측 열전달 등온장치
CN107809879B (zh) 一种散热机构及具有热源的设备
CN207399725U (zh) 一种通用型液冷冷板测试装置
CN108858286A (zh) 一种机器人内部冷却系统
KR20150109655A (ko) 열전발전 시스템
JP3165009U (ja) 吸熱又は放熱装置
US20220196295A1 (en) Extraplanetary heat exchanger
KR102332994B1 (ko) 부착식 등온장치 및 열전달 유체를 가진 온도제어 시스템 및 응용장치
CN201689623U (zh) Led显示屏的水冷降温结构
KR20240015789A (ko) 유량계 및 이를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
CN111787751A (zh) 一种多通道水冷散热设备
KR20110052818A (ko) 다중 관로에 의하여 온도차를 가진 유체를 역전달하는 흡열장치 또는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