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273A -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273A
KR20160059273A KR1020140160943A KR20140160943A KR20160059273A KR 20160059273 A KR20160059273 A KR 20160059273A KR 1020140160943 A KR1020140160943 A KR 1020140160943A KR 20140160943 A KR20140160943 A KR 20140160943A KR 20160059273 A KR20160059273 A KR 20160059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lower extract
composition
pp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08B1 (ko
Inventor
김세현
김수나
신승현
김아름
박원석
이해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60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조성물은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조성물은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 인하여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조성물은 탈모 방지, 양모 촉진 효과뿐만 아니라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조성물은 두피 또는 모발의 건강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목적으로서 약학, 식품, 또는 화장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CALP CONDITION COMPRISING FLOWER EXTRACT OF PASSIFLORA QUADRANGULARIS}
본 명세서는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자연적 과정들을 통해 발생하거나, 암과 같은 증상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고안된 특정 치료 약물의 사용을 통하여 화학적으로 촉진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탈모는 부분적 또는 완전한 대머리를 유발하는 모발 재성장의 결여를 수반한다.
최근 환경 오염, 스트레스, 다이어트, 피로,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 등으로 인해 탈모증을 가진 현대인이 많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탈모를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물질, 더불어 두피를 보호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 것이 당업계의 과제였다.
KR10-0969269 B1
본 명세서의 목적은 모발 또는 두피 질환 개선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상기 질환은 스트레스성 질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탈모 방지, 양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며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로 인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두피 또는 모발의 건강을 개선하는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스트레스 물질 P(Substance P)에 의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스트레스 물질 P 를 처리한 배양액으로부터 모유두 세포 보호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스트레스 물질 P 를 처리한 배양액으로부터 모낭 보호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이 필요한 개체에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여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투여 방법 또는 투여량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은 그 원인을 불문하나, 구체적으로 스트레스성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스트레스성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 펩티드인 물질 P(Substance P)에 의해서 유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스트레스성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은 가려움증, 비듬, 지루성 피부 또는 두피염, 탈모, 원형 탈모, 남성형 탈모, 건선, 스트레스성 염증, 및 민감성 두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스트레스로 인한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을 모두 망라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이 필요한 개체에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에 사용하기 위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항염 조성물은 스트레스성 염증에 대한 항염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상태 또는 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두피 또는 모발 상태 또는 건강 개선이 필요한 개체에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건강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두피 또는 모발 상태 또는 건강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두피 또는 모발 상태 또는 건강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항스트레스가 필요한 개체에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용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항스트레스에 사용하기 위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 펩티드 물질 P(Substance P) 활성 저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0.1ppm 내지 1000ppm의 농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에 포함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농도는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0.01ppm이상, 0.1ppm이상, 0.5ppm이상, 1ppm이상, 5ppm이상, 10ppm이상, 15ppm이상, 17ppm이상, 19ppm이상, 20ppm이상, 21ppm이상, 23ppm이상, 25ppm이상, 27ppm이상, 30ppm이상, 33ppm이상, 35ppm이상, 37ppm이상, 40ppm이상, 43ppm이상, 45ppm이상, 47ppm이상, 49ppm이상, 50ppm이상, 51ppm이상, 53ppm이상, 55ppm이상, 57ppm이상, 59ppm이상, 60ppm이상, 65ppm이상, 70ppm이상, 75ppm이상, 80ppm이상, 90ppm이상, 100ppm이상, 110ppm이상, 120ppm이상, 130ppm이상, 150ppm이상, 200ppm이상, 300ppm이상, 500ppm이상, 700ppm 이상, 또는 1000ppm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2000ppm 이하, 1000ppm 이하, 700ppm 이하, 500ppm 이하, 300ppm이하, 200ppm이하, 150ppm이하, 130ppm이하, 120ppm 이하, 110ppm 이하, 100ppm 이하, 90ppm 이하, 80ppm 이하, 75ppm 이하, 70ppm 이하, 65ppm 이하, 60ppm 이하, 58ppm 이하, 56ppm 이하, 54ppm 이하, 52ppm 이하, 50ppm 이하, 48ppm 이하, 46ppm 이하, 44ppm 이하, 42ppm 이하, 40ppm 이하, 38ppm 이하, 35ppm 이하, 32ppm 이하, 30ppm 이하, 28pm 이하, 26ppm 이하, 24ppm 이하, 22ppm 이하, 20ppm 이하 , 18ppm 이하 , 15ppm 이하, 10ppm 이하, 5ppm 이하, 1ppm 이하, 0.5ppm 이하, 또는 0.1ppm 이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신경펩티드인 물질 P(Substance P)는 기분 장애, 불안, 스트레스, 고통, 구토 등의 조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물질 P에 의해서 유발된 인자 또는 그로 인한 변화들을 조절할 수 있다면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물질 P는 아래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물질 P의 아미노산 서열: ArgProLysProGlnGlnPhePheGlyLeuMet(RPKPQQFFGLM).
[화학식]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C1~C6의 저급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부틸렌 글리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발효물, 농축물, 건조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등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발효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은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의 발효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의 경우 반드시 건조를 통해서 제조되는 것은 아니며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원료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5의 저급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부틸렌 글리콜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C1~C6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탈색 및 탈취하는 단계; 이를 다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부틸렌 글리콜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리콜 30중량%와 증류수 70중량%의 혼합 용매가 사용도리 수 있다. 상기 여과 단계는 메쉬(mesh)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5 μm, 1 μm, 0.5 μm 순으로 추출물을 여과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C1-C6 알코올, 또는 부틸렌 글리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1-C6 알콜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을 용매로 추출 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의 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 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추출은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추출은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약 2 내지 약 14시간, 구체적으로는 8시간 내지 14시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11시간 내지 13시간, 가장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건조하여 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건조는 증발 건조, 분무 건조, 동결 건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동결 건조시에는 -50 내지 -70℃ 에서 3~4일 동안 동결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 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 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두피에센스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가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주사제 또는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경피(trandermally),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서 피부 표면에 도포되는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제조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부분만을 채취하여 꽃 1Kg을 32 리터의 용매로 25℃에서 4일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였으며, 용매로는 용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30중량%와 증류수 70중량%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다. 그 후 메쉬(mesh)를 사용하여 5 μm, 1 μm, 0.5 μm 순으로 추출물을 여과하였으며, 그런 뒤 탈색(decolorization) 및 탈취(deodorization)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는 0.5% Norit을 사용하여 1시간 동안 500rpm에서 교반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으며, 산업용 교반기를 이용한 활성탄처리로 수행하였다. 그 후 다시 메쉬를 사용해 5 μm, 1 μm, 0.5 μm 순으로 여과하였다. 여과 후 최종적으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25 Kg을 수득하였다. 하기 실험에서는 상기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것으로서 ㈜바이오랜드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세포의 배양
면역세포인 비만세포(mast cell) 세포주 RBL-2H3(KCLB(한국세포주은행) 22256) 를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배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10중량%,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mg/ml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모낭을 구성하며 모발을 생성하는 인체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DPC)를 단국대학교 병원 피부과로부터 공급받은 인체모낭시료로부터 직접 분리하여 수득하였다. 이러한 인체 모유두 세포는 모낭 이식수술 후 남은 모낭시료로부터 수술용 메스와 포셉을 이용하여 모유두 부분을 직접 분리한 세포에 해당한다. 이러한 인체 모유두 세포는 DMEM 배지에 소태아혈청 20중량%,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2] 스트레스성 염증반응 억제의 in vitro 평가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스트레스성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비만세포를 이용한 염증반응 유도와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96웰(well) 배양 플레이트에 실험예 1에 따라서 배양된 비만세포를 웰당 5x104개 접종하여 하루 동안 부착시켰다. 이 때 배양배지는 DMEM에 배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소태아혈청 10중량%, 페니실린(penicillin)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하루 뒤 스트레스성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신경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펩티드인 물질 P(Substance P)(Bachem Fechemikalien, Bubendorf, Switzerland) 10uM을 처리하였고, 이때 배지는 DMEM(phenol red free)에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염증반응 억제 효능을 보기 위한 실험군에는 물질P에 더하여 실시예 1의 꽃 추출물을 20, 50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추출물 농도인 ppm은 부피 기준이며, 증류수 1ml에 시계꽃 추출물 10ul 희석한 1% (10,000ppm) 용액을 세포에 20, 50ppm으로 처리하였고, 시계꽃 추출물의 ppm농도는 아래 실험에서도 이와 같이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만세포 안정제(stabilizer)로 잘 알려진 케토티펜(Ketotifen)을 13ppm 농도로 사용하였다. 세포 내 약물 흡수와 염증반응을 위해 하루 동안 처리한 뒤 염증반응 평가법 중 하나인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 분석(β-hexosaminidase assay)을 실시하였다.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을 위해 탈과립 활성제로 칼슘이온 운반체(A23187 (시그마 알드리치)1uM + PMA 40nM)를 세포에 추가로 처리하였다. 2시간 뒤 세포를 반응시키고 있는 96웰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세포 배양 및 반응 산물을 50ul씩 덜어내어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여기에 탈과립 산물의 발색반응에 필요한 기질 버퍼(substrate buffer, 1mM p-nitrophenyl-N-acetyl-b-D-glucosaminide in 0.1M sodium citrate, pH4.5) 50ul를 첨가하여 37℃ 에서 1시간 반응하였다. 이후 정지 버퍼(stop buffer, 0.1M Na2CO3, NaHCO3, pH 10) 150u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 발색을 유도하였다.
비만세포의 탈과립 산물은 반응 결과 노랗게 발색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에서 410nm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분석은 스트레스 신경 펩티드(Substance P) 처리군의 반응 결과값을 100%로 하였을 때 신경 펩티드 처리군에 비하여 감소한 정도를 꽃 추출물에 의한 염증반응의 억제값으로 표현하였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살펴보면, 스트레스 처리군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 반응이 일어나지만, 꽃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꽃 추출물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의 억제는 비만세포의 안정제인 케토티펜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인 꽃 추출물이 스트레스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스트레스로부터 모유두 세포 보호의 in vitro 평가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의 스트레스로부터 모유두 세포 보호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모유두 세포의 증식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실험예 1에 따라서 배양한 인체 모유두 세포를 웰당 2x103 개씩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한 뒤 하루 동안 배양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시켰다. 이때 배양 배지는 DMEM 배지에 배지 총 중량을 기준으로 소태아혈청 20중량%,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하루 뒤 실시예 1의 꽃 추출물을 50pp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비만세포 안정제(stabilizer)인 케토티펜 13ppm 과 발모 의약품인 미녹시딜(Minoxidil) 을 50μM 사용하였다. 이때 배지는 DMEM 배지에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약물 처리 1일 뒤 인체 모유두 세포에 스트레스 환경을 주기 위해 시험예 2에서 제조한 비만세포 반응액(비만세포에 Substance P, A23187 + PMA 처리한 뒤의 배양액)(스트레스 배양액)을 웰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최종 25부피%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이틀 동안(48시간) 반응시켰다.
모유두 세포의 증식능을 평가하기 위해 WST-1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포를 반응시킨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WST-1 용액을 10ul 첨가한 뒤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배양 배지 색이 붉은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화하였고, 모유두 세포의 증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분광 광도계에서 490nm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분석은 스트레스 신경 펩티드(Substance P) 를 처리하지 않은 비만세포 반응액 처리군(대조군) 결과값을 100%로 하였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살펴보면, 스트레스 배양액 처리군에서 모낭세포의 증식 정도가 82%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모유두 세포 증식이 억제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꽃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모낭세포의 증식 정도가 101%까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스트레스 반응으로 인한 모유두 세포 증식 억제 반응을 저해하여 세포 증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꽃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안정제인 케토티펜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발모 의약품인 미녹시딜과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스트레스로부터 인체 모낭 보호 평가
인체 모낭 시료는 모발 이식 수술에서 남은 부산물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단국대학교 병원 피부과로부터 공급받은 것이다. 시료를 단일 모낭으로 분리한 뒤 세포배양기(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 배지는 Williams medium E 에 2 mM L-글루타민, 0.1% 펀자이존(fungizone), 10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100 U/ml 페니실린(penicillin)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고 이틀마다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배양 1일째에 실험군에 실시예 1의 꽃 추출물 50ppm을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미녹시딜 20ppm을 처리하였다. 실험군의 약물 처리 1일 뒤 인체 모낭에 스트레스 환경을 주기 위해 시험예 2에서 제조한 비만세포 반응액(비만세포에 Substance P, A23187 + PMA 처리한 뒤의 배양액)(스트레스 배양액)을 최종 25%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실험군의 약물처리 3일, 5일째에 모발 성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따르면, 스트레스 배양액(CM) 단독 처리군에서 모발 성장이 억제되는데, 이때 꽃 추출물에 의해 모낭이 보호되어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수준으로 모발의 길이 성장이 일어남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꽃 추출물은 미녹시딜과 비슷한 수준의 탈모 방지효과 및 양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캡슐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 캡슐 충진액을 제조한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3] 드링크제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4] 과립제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10-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제형예 6] 건강기능식품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20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7] 건강 음료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1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g
정제수 잔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한다.
[제형예 8]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0.2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9]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0] 영양크림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11] 헤어로션의 제조
아래 표 7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헤어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그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렌 5.0
세테아릴 그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정제수 잔량
[제형예 12] 헤어샴푸의 제조
아래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헤어샴푸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 2.0
소듐라우릴설페이트액 40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
코카마이드 엠이에이 1.0
폴리쿼터늄 10 0.3
메칠파라벤 0.1
향료 1.0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명세서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뿐이며, 이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3.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항염, 또는 신경펩티드 물질 P(Substance P) 활성 저해용 조성물.
  4.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상태 또는 건강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은 스트레스성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스트레스성 모발 또는 두피 질환은 가려움증, 비듬, 지루성 피부 또는 두피염, 탈모, 원형 탈모, 남성형 탈모, 건선, 스트레스성 염증, 및 민감성 두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0.1ppm 내지 1000ppm의 농도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Passiflora quadrangularis)의 꽃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C1~C6의 저급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40160943A 2014-11-18 2014-11-18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4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43A KR102249708B1 (ko) 2014-11-18 2014-11-18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943A KR102249708B1 (ko) 2014-11-18 2014-11-18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273A true KR20160059273A (ko) 2016-05-26
KR102249708B1 KR102249708B1 (ko) 2021-05-10

Family

ID=5610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943A KR102249708B1 (ko) 2014-11-18 2014-11-18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6327A (ja) * 2018-05-09 2019-11-14 森永製菓株式会社 パッションフルーツ種子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発毛促進剤、医薬、食品および化粧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4052A1 (en) * 2008-11-11 2010-05-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for hair
JP2010143862A (ja) * 2008-12-19 2010-07-01 Sunstar Inc 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JP2010150150A (ja) * 2008-12-24 2010-07-08 Kao Corp Igfbp−5発現抑制剤
KR100969269B1 (ko) 2008-08-05 2010-07-09 송은주 톱야자 추출물, 촉규근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양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69B1 (ko) 2008-08-05 2010-07-09 송은주 톱야자 추출물, 촉규근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호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양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EP2184052A1 (en) * 2008-11-11 2010-05-12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mposition for hair
JP2010143862A (ja) * 2008-12-19 2010-07-01 Sunstar Inc 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JP2010150150A (ja) * 2008-12-24 2010-07-08 Kao Corp Igfbp−5発現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Chemistry, 2007, 104(3), 1097-1105* *
Phytochemical Analysis, 2012, 23(3), 232-23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6327A (ja) * 2018-05-09 2019-11-14 森永製菓株式会社 パッションフルーツ種子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発毛促進剤、医薬、食品および化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08B1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071B1 (ko) 리그난계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육두구 추출물 또는 육두구 가종피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US9682029B2 (en) Ceramide production enhancer and moisturizer
KR101088069B1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카엠페리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KR102299277B1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89793B1 (ko) 수산동물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50144688A (ko)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e)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EP3925603A1 (en) Composition for allergy prevention, atopic dermatitis alleviation or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undecane or undecanal
KR20150041968A (ko)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9708B1 (ko) 파시플로라 콰드랭귤라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74305B1 (ko) 파시플로라 라우리폴리아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9209B1 (ko) 구아이아콜, 피톨 및 카바크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97720B1 (ko) 갈색거저리 탈지 분획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827374B1 (ko)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12754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lpine wormwood
KR20160091037A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29514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CN111107861B (zh) 昌化鹅耳枥叶的乙醇提取物在制备用于防止脱发的药学组合物中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