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612A -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 Google Patents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612A
KR20160058612A KR1020140160326A KR20140160326A KR20160058612A KR 20160058612 A KR20160058612 A KR 20160058612A KR 1020140160326 A KR1020140160326 A KR 1020140160326A KR 20140160326 A KR20140160326 A KR 20140160326A KR 20160058612 A KR20160058612 A KR 2016005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mung bean
composition
extract
m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560B1 (ko
Inventor
정진교
문중경
신동범
구자환
김율호
서보윤
박종호
윤문섭
박용진
이승수
김영태
김철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4016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5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 C07H17/06Benzopyran radicals
    • C07H17/065Benzo[b]pyrans
    • C07H17/07Benzo[b]pyran-4-o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안녹두의 조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해충을 살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안녹두의 조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명의 조성물은 팥바구미 및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우수한 살충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식물성 천연 살충제로서 친환경적인 바, 완전변태류 및 불완전변태류 해충에 대한 살충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Mungbean extracts with insecticidal activity}
본 발명은 장안녹두의 조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살충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비료 및 농약은 작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재배할 때 발생하는 병이나 해충을 방제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화학비료 및 농약의 과다사용은 재배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설재배에서 재배환경을 오염시켜 생산자의 건강까지 위협하게 되었으며, 생산된 농산물에는 농약이 잔류하여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와 토양환경의 보존을 통한 지속 가능한 농업에 관한 관심으로 유기농업이 우리 농가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화학성분의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제는 사람이나 가축, 어패류 등에 무해하며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살충제의 사용은, 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줄여 토양환경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장기적인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농작물에 대한 잔류농약의 위험성을 제거해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린재류는 유시아강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반시류라고도 하며 지상생활을 하는 것과 수서생활을 하는 것이 있다. 몸의 크기는 가장 작은 1.1mm(얼룩깨알소금쟁이)에서 가장 큰 65mm(물장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몸의 모양도 편평한 판 모양인 것(넓적노린재), 긴 막대 모양인 것(실노린재), 그리고 날개가 변형/확대되어 특이한 모양을 한 것(방패벌레) 등 다양하다. 몸 빛깔은 대부분 녹색이나 다갈색으로 보호색 구실을 하여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노린재의 종류로는 광대노린재, 긴가위뿔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네점박이노린재, 장수허리노린재, 깜보라노린재, 홍비단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십자무늬노린재, 떼허리노린재, 두점배허리노린재, 톱다리노린재, 에사키뿔노린재, 남색주둥이노린재, 침노린재, 기름빛풀색노린재, 초록장님노린재, 닯은초락장님노린재, 고리장님노린재,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등 전 세계적으로 그 종류가 5만 여종에 달한다.
이러한 노린재류의 암컷은 교미가 끝나면 주로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알을 붙이는데, 그 밖에 흙이나 돌 틈에 산란하거나 물자라처럼 수컷의 등 위에 산란하기도 한다. 또한 대부분의 노린재 약충과 성충 두 종류 모두 그들이 선호하는 식물체에 붙어서 식물체의 과실이나 꽃봉오리, 꽃 또는 종자의 수액을 빨아 먹음으로써 농작물에 피해를 입힌다.
또한, 저장 해충인 바구미는 녹두를 포함한 두과작물에 피해를 주어 농민, 상인 그리고 소비자에게 큰 경제적 손실을 주고 있으며, 바구미로 인한 피해액은 중미지역에서 35%, 남미지역 7-13%, 케냐에서는 무려 73%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녹두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바구미는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와 동부바구미(C. maculatus) 등이 있으며, 바구미 감염은 포장에서 1차로 이루어지고 저장기간 동안 2차 감염이 일어나 심각한 피해를 주게 된다. 피해를 받은 종자는 상업적 이용이 힘들기 때문에, 현재 바구미 방제를 위해 화학적인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화학 살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면서 광범위한 살충 활성을 갖는 살충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장안녹두의 조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살충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안녹두의 조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살충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살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안녹두의 조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안녹두는 대만의 세계식물센터(AVRDC)로부터 도입되었으며, 바구미 저항성 유전자 보유 야생 녹두 계통인 V2709로부터 유전자를 도입하여 육성된 바구미 저항성을 갖는 품종인데, 바구미에 대한 살충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으로 장안녹두의 조추출물이나 유기용매의 분획물이 어떠한 해충에 대해 살충 효과를 가지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두 추출물은 공지의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녹두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녹두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녹두 가루를 헥산과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남은 가루를 에탄올 및 메탄올로 추출한 후, 이들을 혼합하여 농축하여 조추출물로 제조하였다(도 1).
결과적으로, 장안녹두 종자와 그 가루로 만든 인조 종자 모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에 먹였을 때 유의적인 살충 효과를 확인하였고(실시예 4), 장안녹두 종자의 조추출물을 섞은 인조종자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에 공급했을 때 유의하게 낮은 생존성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장안녹두 조추출물의 분획물은 에테르,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액하여 얻어진 부탄올층 분획물 및 이를 클로로포름과 메탄올로 추가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공지의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류수로 현탁한 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 극성이 약한 부탄올과 같은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극성 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장안녹두 조추출물을 에테르로 분액하여 에테르층과 물층으로 나눈 후, 물층을 다시 부탄올로 분액하여 에테르층, 부탄올층, 물층으로 분리하였다(도 2).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안녹두 조추출물의 부탄올층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메탄올, 메탄올을 연속으로 각각 용출시켜 분획물을 제조하였다(도 3 및 도 4).
결과적으로, 장안녹두 조추출물의 용매 분액물 중 부탄올(BuOH) 층에서 가장 강한 살충 활성을 보였고, 부탄올 층을 실리카겔 컬럼에서 용출시켜 얻은 분획물로 생물검정을 적용하였을 때, 30% 클로로포름/70% 메탄올 분획물에서 팥바구미 및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가장 강한 살충 활성을 나타내었다(실시예 6).
상기 조성물의 살충 대상은 제한이 없으며, 완전변태류 및 불완전변태류 해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충 대상은 성충 및 유충을 모두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및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살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경우, 장안녹두 추출물을 임의의 기타 성분들의 첨가 없이, 그 자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는 장안녹두 추출물에 통상의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기체 담체 또는 유인물(bait)과 혼합하거나, 염기성 물질, 예컨대 다공질 세라믹 플레이트 또는 부직포에 흡수시킨 후, 계면활성제 및 필요한 경우, 기타 보조제들을 첨가하여, 이를 각종 형태들, 예컨대 오일 스프레이, 매트, 코일, 유화 가능한 농축물, 분말제, 습윤성 분말, 유동물, 마이크로캡슐, 오일성 제제, 과립, 더스트, 에어로졸, 훈연제(예: 포깅), 중기화 가능한 제형물, 스모킹 제형물, 독성 유인물, 진드기 방지용 시이트 또는 수지 제형물 등 다양한 제제의 형태를 갖도록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는 통상 유효 성분으로서 장안녹두 추출물을 0.01 내지 9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안녹두 추출물은 1 내지 100ppm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살충제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담체에는, 카올린 점토, 규조토, 합성 수화된 산화규소, 벤토나이트, 푸바사미 점토 및 산점토 등의 점토 물질의 미세 분말 또는 과립; 각종 탈크, 세라믹 및 기타 무기 물질, 이를테면 견운모, 석영, 황, 활성탄, 탄산칼슘 및 수화된 실리카; 및 화학적 비료, 이를테면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우레아 및 염화암모늄이 포함될 수 있다.
액체 담체에는, 물; 알콜, 이를테면 메탄올 및 에탄올; 케톤, 이를테면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 방향족 탄화수소, 이를테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및 메틸나프탈렌; 지방족 탄화수소, 이를테면 헥산, 시클로헥산, 케로신 및 라이트 오일; 에스테르, 이를테면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니트릴, 이를테면 아세토니트릴 및 이소부티르니트릴; 에테르, 이를테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디옥산; 산 아미드, 이를테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할로겐화 탄화수소, 이를테면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및 사염화탄소; 디메틸 술폭시드; 및 식물성 오일, 이를테면 대두유 및 면실유가 포함될 수 있다.
기체 담체 또는 추진제(propellant)에는, 프레온 가스, 부탄 가스, LPG(액화 석유 가스), 디메틸 에테르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될 수 있다.
독성 유인물에 사용되기 위한 염기 물질에는, 유인물 물질, 이를테면 그레인 분말, 식물성 오일, 슈거 및 결정성 셀룰로스; 산화방지제, 이를테면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보존제, 이를테면 데히드로아세트산; 비식음 방지용 물질, 이를테면 고추 분말; 및 유인성 풍미, 이를테면 치즈 풍미 및 양파 풍미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에는, 알킬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아릴 에테르 및 그것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다가 알콜 에스테르 및 당 알콜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에는, 카세인, 젤라틴; 다당류, 이를테면 전분, 아라비아검, 셀룰로스 유도체 및 알긴산;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슈거 및 합성 수용성 중합체, 이를테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아크릴 산이 포함될 수 있다.
안정화제에는, PAT(이소프로필 산 포스페이트), BHT(2,6-디-tert-부틸-4-메틸페놀), BHA(2-tert-부틸-4-메톡시페놀 및 3-tert-부틸-4-메톡시페놀의 혼합물),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및 그것의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가 농업용 살충제, 살진드기제 또는 살선충제로 사용될 경우, 그것들의 적용량은 통상 10 에이커 당, 0.1 내지 100 g 이다. 물로 희석한 후 사용되는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및 기타 유사 제형물들의 경우, 그 적용 농도는 통상 1 내지 100,000 ppm의 범위이다. 과립, 더스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적용은, 희석하지 않은 제형물로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살충제를 유행병 예방을 위한 살곤충제, 살진드기제 또는 살선충제로서 사용할 경우, 그것들은 유화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경우, 물로 농도 0.1 내지 500 ppm으로 희석하거나, 그것들을 오일 스프레이, 에어로졸, 훈연제, 독성 유인물, 진드기방지용 시이트 또는 기타 유사 제형물의 경우에는, 그대로 적용된다. 이러한 적용 양 및 농도는, 제형물의 형태, 적용 시기, 장소 및 방법, 해충의 종류, 손해 정도 및 기타 요인들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증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살충제를 소 및 돼지 등의 가축, 또는 고양이 및 개 등의 애완동물의 기생충 방제를 위한 살곤충제 또는 살진드기제로 사용할 경우, 그 조성물 또는 이의 염을 공지된 수의학적 방법들, 예컨대 계통적 방제를 위한 정제, 캡슐, 침액용 용액, 볼리(boli), 먹이 혼입, 좌약 또는 주사제; 또는 유성 또는 수성 용액의 분무, 주입(붓기 또는 점적) 처리로써, 또는 비계통적 방제를 위해 칼라 및 귀 태크(꼬리표)와 같은 적절한 모양으로 만든 성형품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화합물은 통상 숙주 체중 kg 당, 1 내지 100 mg의 양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살충제는 다른 살곤충제, 살선충제, 살진드기제, 살세균제, 살진균제,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시너지스트, 비료, 토양 컨디셔너 및/또는 동물 사료와 함께, 혹은 그것들과 별도로 하되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본원 발명의 장안녹두 조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팥바구미 및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해 우수한 살충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장안녹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살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살충방법은 살충제의 제형, 살충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 살충 대상 개체, 장소 및 방법 등의 다양한 요인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살충제를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상기 살충제를 유효량으로 해충 또는 서식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살충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농업해충, 위생해충 및 산림해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충 대상은 성충 및 유충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살충 대상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및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장안녹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어, 친환경적이며, 화학 살충제의 남용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살충활성에 관여하는 녹두 유전자 및 그 발현체 연구에의 기반 지식을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녹두 가루 조추출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녹두 가루 조추출물의 용매/용매 분액층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생물검정에 사용된 부탄올층의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팥바구미 생물검정에 사용된 부탄올층의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녹두 품종별 종자와 가루로 만든 인조종자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공급했을 때, 2령과 4령 사이의 생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녹두 품종별 가루 조추출물에 대한 생물검정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에 대한 살충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에 대한 장안녹두 조추출물 용매 분액물의 살충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에 대한 장안녹두 추출물 부탄올층의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의 살충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곤충 유지
실험곤충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팥바구미는 곤충사육실 안에서 누대 증식으로 유지하였다. 사육환경 조건은 25℃, 60% 상대습도, 광조건 15시간/9시간=명/암 이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약충과 성충 모두 콩 종자와 유묘, 10% 설탕물, 증류수를 공급하면서 사육상자 안에서 유지하였다. 또한, 팥바구미는 팥 종자 이외에 다른 먹이를 제공하지 않았는데, 사육상자 안에서 우화한 성충들이 팥 종자 표면에 산란하게 하고, 이후 부화한 유충과 번데기가 성충으로 우화할 때까지 팥 종자 안에서 발육하도록 유지하였다.
실시예 2: 장안녹두 경선녹두 종자 조추출물 분획물 제조
2-1. 장안녹두 경선녹두 종자 조추출물 제조
장안녹두 및 경선녹두 가루는 먼저 헥산과 아세톤으로 각각 3번 연속으로 세척하였고, 남은 가루를 90% 에탄올로 3번 추출하여 추출물을 냉동 보관하였고, 이어서 남은 가루를 다시 70% 메탄올로 3번 추출하여, 이 추출물을 상기 90% 에탄올 추출물과 혼합하여 농축하여 조추출물로 제조하였다(도 1).
2-2. 장안녹두 조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조추출물은 물에 현탁하여 에테르를 이용하여 용매/용매 분액하여 에테르층과 물층으로 나누었다. 물층은 다시 부탄올을 이용하여 용매/용매 분액하여 최종적으로 에테르층, 부탄올층, 물층으로 분리하였다(도 2). 상기 부탄올층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생물검정용으로 다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메탄올=7/3, 클로로포름/메탄올=3/7 및 메탄올을 연속으로 각각 컬럼 용량 10배 부피로 용출시켜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도 3). 또한, 팥바구미 생물검정용으로는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메탄올=9/1, 클로로포름/메탄올=3/7, 메탄올로 용출시켜 각각의 분획물을 얻었다(도 4).
실시예 3: 인조 종자 제조
녹두 가루로 인조 종자를 만들어 품종 간 비교를 하는 실험(도 5)에서 사용한 인조 종자는, 경선녹두 가루로 경선녹두 인조 종자를 제조하였고, 장안녹두 가루로 장안녹두 인조 종자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녹두 가루에 적당량의 물을 섞어 반죽한 후 녹두 종자 크기의 인조 종자를 만들어 24 시간 동안 데시케이터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팥바구미에 대한 생물검정에 사용되는 인조 종자는 표면에 젤라틴을 코팅시켜 24 시간 동안 데시케이터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추출물 혹은 그 분획물을 검정하는 실험(도 6 내지 8)에서 사용한 인조 종자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팥바구미에 대해 감수성인 경선녹두 종자 가루에 각 검정 대상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섞어 제조하였다. 즉, 경선녹두 인조 종자는 경선녹두 가루에 경선녹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섞고, 장안녹두 인조 종자는 경선녹두 가루에 장안녹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섞어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녹두 가루의 살충력 조사
녹두 종자 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3의 인조 종자를 대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해 살충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장안녹두 종자와 그 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인조 종자 모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에 먹였을 때, 약충들은 감수성 품종인 경선녹두 종자와 그 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종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생존성을 나타내었다(도 5).
실시예 5: 녹두 조추출물의 살충력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녹두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3의 인조 종자를 대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해 살충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생물검정은 인조 종자와 바이얼 병의 증류수를 같이 넣은 페트리 접시 안으로 갓 부화한 약충을 방사한 후 매일 탈피와 사망 여부를 조사하여 실험하였다. 조추출물에 대한 생물검정에서 생존율은 2령에서 4령까지의 발육기간 동안 생존성을 구하여서 나타내었다.
검정 대상 재료로 장안녹두 조추출물을 사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성을 분석한 결과, 상기 장안녹두의 조추출물을 섞은 인조 종자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에 공급했을 때 경선녹두의 조추출물을 섞은 인조 종자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생존성을 나타내었다(도 6).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장안녹두 조추출물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해 살충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장안녹두 분획물의 살충력 조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획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3의 인조 종자를 대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및 팥바구미에 대해 살충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생물검정은 인조 종자와 바이얼 병의 증류수를 같이 넣은 페트리 접시 안으로 갓 부화한 약충을 방사한 후 매일 탈피와 사망 여부를 조사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분획물에 대한 생물검정에서 생존율은 탈피를 고려하지 않고 약 30일 동안의 사육 기간 동안 생존율의 변화를 구하여서 나타내었다.
팥바구미에 대한 생물검정은 인조 종자를 넣은 페트리 접시들을 뚜껑을 열어 사육상자 안에 배열하고 상자 안으로 팥바구미 성충을 방사하여, 인조 종자 표면에 산란하도록 하였다. 1~2일 후에 페트리 접시들을 회수하여 사육실에서 매일 관찰하면서, 종자 안에서 나오는 성충 혹은 유충 수를 조사하고 최종적으로 종자를 해부하여 피해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 때 검정 대상 재료로는 부탄올층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사용하였다.
장안녹두 조추출물의 용매 분액물 중 부탄올층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이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여서, 가장 강한 살충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7). 또한 상기 부탄올층을 실리카겔 컬럼에서 용매별로 용출시켜 얻은 분획물로 생물검정을 적용하였을 때, 30% 클로로포름/70% 메탄올 분획물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약충이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여서, 가장 강한 살충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8). 한편 팥바구미에 대하여 부탄올층을 실리카겔 컬럼에서 용매별로 용출시켜 얻은 분획물로 생물검정을 적용하였을 때, 다른 분획에서는 대부분의 종자가 피해를 입었으나 30% 클로로포름/70% 메탄올 분획에서 가장 강한 살충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1).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장안녹두의 30% 클로로포름/70% 메탄올 분획물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및 팥바구미에 대해 살충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팥바구미에 대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의 살충 효과
처리 분획 종자피해율(%) 발육 곤충 수
100% 클로로포름 100 5
10% 메탄올/90% 클로로포름 100 6
70% 메탄올/30% 클로로포름 0 0
100% 메탄올 88.9 7
경선녹두(감수성) 100 18

Claims (10)

  1. 장안녹두의 조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장안녹두 가루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콜 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장안녹두의 조추출물을 에테르,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액하여 얻어진 부탄올층 분획물인 것인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탄올층 분획물은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으로 추가 분획하여 얻어진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의 분획물인 것인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비율이 3:7인 것인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팥바구미 또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살충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살충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은 팥바구미 또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160326A 2014-11-17 2014-11-17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KR10174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26A KR101740560B1 (ko) 2014-11-17 2014-11-17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26A KR101740560B1 (ko) 2014-11-17 2014-11-17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12A true KR20160058612A (ko) 2016-05-25
KR101740560B1 KR101740560B1 (ko) 2017-05-29

Family

ID=5611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26A KR101740560B1 (ko) 2014-11-17 2014-11-17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543A (ko) * 2018-11-13 2020-05-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아조완 식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린재류 기피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097B1 (ko) * 2004-01-29 2006-02-06 전라남도 녹두 유래의 비텍신 및 이소비텍신 추출방법 및 추출물
KR101219546B1 (ko) 2011-01-31 2013-01-11 대한민국 녹두에서 바구미 저항성 연관 분자표지 개발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543A (ko) * 2018-11-13 2020-05-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아조완 식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린재류 기피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560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Anita et al. Efficacy of pulverised leaves of Annona squamosa (L.), Moringa oleifera (Lam.) and Eucalyptus globulus (Labill.) against the stored grain pest, Tribolium castaneum (Herbst.)
KR101705065B1 (ko)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Tariq et al.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essential oil of Pakistanian Acorus calamus Linn., as a biopesticide
Chauhan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Calotropis Procera against Callosobruchus Maculatus using moong seeds (Vigna Radiata)
Ileke et al. Entomotoxic effect of Cheese wood, Alstonia boonei De Wild against cowpea bruchid, Callosobruchus maculatus (Fab.)[Coleoptera: Chrysomelidae], attacking cowpea seeds in storage
KR101799420B1 (ko) 머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진딧물 방제용 조성물
Ogbonna et al. Carica papaya seed oil extract in the management of insect pest of cabbage plant both in the laboratory and field
KR20180058384A (ko) 제충국 및 자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740560B1 (ko)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KR101920538B1 (ko) 제충국 및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1038B1 (ko)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KR20170140546A (ko) 저장곡물해충에 대해 기피활성을 갖는 해충기피 조성물
KR20220099794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Vanitha et al. Insect pest of cashew and their management
Wandiga et al. Pesiticdes in Kenya
Ojo et al. Effectiveness of the powders of Securidaca longepedunculata (Fres.) as Bioinsecticides against cowpea beetle, Callosobruchus maculatus (Fab.)(Coleoptera: Chrysomelidae)
Tedela et al. Entomotoxicity of oil extract of Acacia auriculiformis (A. Cunn. Ex Benth) used as protectant against infestation of Callosobruchus maculatus (F.) on cowpea seed
Dolzhenko et al. Insecticides based on insect chitin synthesis inhibitors
KR20200054645A (ko)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 병해충 방제 조성물
Zheng et al. Bioassay of rongbao (active ingredients of calcium cyanamide) against housefly maggots
Dharmasena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eight plant species on egg laying, larval development and adult emergence of Callosobruchus maculatus (F.) in cowpea
KR102231598B1 (ko) 호로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Salim et al. Evaluation of several chemical control approaches against bagworm, Metisa plana Walker (Lepidopterea: Psychidae) in Felda oil palm plan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