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555A -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555A
KR20160058555A KR1020140160203A KR20140160203A KR20160058555A KR 20160058555 A KR20160058555 A KR 20160058555A KR 1020140160203 A KR1020140160203 A KR 1020140160203A KR 20140160203 A KR20140160203 A KR 20140160203A KR 20160058555 A KR20160058555 A KR 20160058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tion
capture mode
control uni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377B1 (ko
Inventor
박계현
Original Assignee
박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현 filed Critical 박계현
Priority to KR102014016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3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에 의해, 캐릭터와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를 표기하는 말풍선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판단된 캡쳐 모드가 스토리 캡쳐 모드일 경우 복수의 모션 객체 중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 객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을 재생시키면서 하나의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동영상 캡쳐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이모티콘 캡쳐 모드일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 말풍선 및 배경만을 캡쳐하여 이미지 영상을 전송 영상으로 획득하며, 카툰 캡쳐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캡쳐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해당하는 구도로 배열하여 하나의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해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전송 영상을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 MESSAGE}
본 발명은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는 전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는 추세이다.
현재 휴대 대 단말기에 부가되는 기능들 중의 하나는 카메라를 휴대 단말기에 부착하여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이들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편집하거나 또는 전송하는 기능이다.
즉, 현재의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고유의 통신 기능 이외에 시각적인 표현이 가능한 복합 단말기 형태로 발전하고 있고, 이들 기능들 중에 하나가 이모티콘(emoticon)이나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글자 대신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방법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는 단문자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보다 긴 장문의 텍스트를 전송하거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과 정지 영상 등의 영상,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를 첨부하여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메시지 서비스이다.
이처럼, 멀티 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멀티 미디어 콘텐츠(contents)를 구매하고 자신의 멀티 미디어 메시지(MM)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MMS용 멀티 미디어 콘텐츠의 제공은, 고정된 콘텐츠로서 사용자들이 영상이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을 뿐 이를 수정하여 전송하는 서비스는 거의 없다. 특히, 동영상에 자신만의 텍스트를 입력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며, 동영상과 텍스트를 별도로 전송할 수 밖에 없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67022(공개일자: 2005년 06월 30일, 발명의 명칭: 휴대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과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는 캡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캡쳐 모드 선택 버튼, 상기 캡쳐모드 선택 버튼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캐릭터와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를 표기하는 말풍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판단된 캡쳐 모드의 종류를 판정하고, 스토리 캡쳐 모드일 경우 복수의 모션 객체 중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 객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을 재생시키면서 하나의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동영상 캡쳐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이모티콘 캡쳐 모드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 말풍선 및 배경만을 캡쳐하여 정지 영상인 이미지 영상을 전송 영상으로 획득하며, 카툰 캡쳐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캡쳐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해당하는 구도로 배열하여 하나의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해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스토리 캡쳐 모드일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과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에 저장되어 말풍선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면서 화면 캡쳐를 실시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상기 동영상 캡쳐 모드일 때, 복수의 모션 객체 중에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모션 객체를 판정하고 판정된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표정과 움직임으로 상기 캐릭터의 표정과 움직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미리 보기하고, 미리 보기되는 상기 캐릭터의 움직임과 말풍선을 캡쳐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상기 이모티콘 캡쳐 모드일 때, 복수의 모션 객체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모션 객체의 종류와 촬영 범위를 판정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캡처 진행 또는 중지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선택된 모션 객체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면서 상기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의 부분과 말풍선의 부분을 캡쳐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상기 카툰 캡쳐 모드일 때,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프레임의 종류를 판정하고, 복수의 모션 객체 중에서 선택된 모션 개체를 판정하며, 복수의 배경 객체 주중에서 선택된 배경 객체를 판정하여고, 복수의 말풍선 객체 중에서 선택된 말풍선 객체를 판정하여 선택된 말풍선을 판정하고, 선택된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며, 선택된 프레임 구도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선택된 프레임 구도에 대응되게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재배열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개수가 복수 개 일 때,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은 캐릭터, 말풍선, 배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이 좋다.
상기 복수의 모션 객체는 '행복함' 객체, '화남' 객체, '슬픔' 객체, '놀람' 객체 및'사랑함'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는 말풍선의 종류를 선택하는 말풍선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말풍선 선택 버튼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상기 말풍선 선택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사용자에 의해 판정된 말풍선의 종류를 판정하여 판정된 종류의 말풍선을 상기 캐릭터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입력 시작 신호가 발생하면, 선택된 저장 번호에 텍스트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상기 말풍선에 표기하고,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텍스트뿐만 아니라 캐릭터도 함께 자신이 원하는 상대에게 전송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좀더 효율적으로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의 종류나 상태를 사용자 스스로가 변경할 수 있고, 자신의 기분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캐릭터의 움직임과 표정을 선택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더욱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5a 및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6은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캐릭터 선택 버튼이 동작될 때의 캐릭터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인벤토리 선택 버튼이 동작될 때의 인벤토리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말풍선 선택 버튼이 동작될 때의 말풍선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말풍선 객체의 선택 동작에 의해 표시 장치에 말풍선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c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말풍선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d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말풍선 내에 표기되는 텍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확인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스튜디오 버튼이 동작될 때의 스튜디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영상 처리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c는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전송 방식 선택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캡쳐 모드가 스토리 캡처 모드일 때의 화면 출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캡쳐 모드가 동영상 캡처 모드일 때의 화면 출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캡쳐 모드가 이모티콘캡처 모드일 때의 화면 출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캡쳐 모드가 카툰캡처 모드일 때의 화면 출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module)"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에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서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와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elevision) 등일 수 있다.
도 1를 참고로 하면, 이러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통신부(110)와 사용자 입력부(120)에 연결된 제어부(130), 제어부(130)에 연결된 출력부(140), 그리고 제어부(130)에 연결된 메모리(memory)(150)및 인터페이스부(interface)(160)를 구비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110-16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이들 구성 요소(110-160)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와 통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사이, 또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와 휴대 단말기나 고정 단말기와 같은 다른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한 예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인터넷 모듈(1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구비한다.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모듈(112)은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사용자가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이나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등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1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 중 발생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해 복수의 캐릭터(character)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캐릭터의 상태(즉, 옷차림새, 성격, 배경화면, 배경음악, 말풍선의 종류와 같이 캐릭터와 그 주변 환경)와 모션을 제어하고,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문자 메시지 즉, 텍스트(text)와 해당 캐릭터의 상태와 모션을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부(140)로 출력하고 또한 통신부(110)을 통해 캐릭터 상태와 모션에 대한 동영상, 이미지 영상 또는 순간 영상을 말풍선 내에 표시되는 텍스트와 함께 획득하여 캐릭터 영상과 텍스트가 공존하는 영상 메시지로서 획득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가 통화 모드일 때 제어부(130)는 통화 동작을 제어하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나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해당하는 영상 출력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부(140)로 출력하며, 화상 통화 모드나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이들 모드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영 영상이나 수신된 영상, 또는 화상 통화 모드나 촬영 모드를 위한 UI나 GUI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및 촉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41), 음향 출력 모듈(142) 및 햅틱(haptic) 모듈(143)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의 동작에 따라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에 대한 영상을 출력하며,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되는 UI나 GUI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영상 표시를 위한 구조뿐만 아니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touch sensor)'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layered structure)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20)와 같은 입력 장치로 기능한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touch film), 터치 시트(touch sheet), 터치 패드(touch pad)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이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촉되는 즉, 터치되는 위치와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인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소에서 터치된 부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행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화소열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는 이들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지고, 터치 제어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한 후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터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판정하여 터치 스크린(141)을 통해 입력된 명령이나 동작 상태를 판정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42)은 제어부(130)의 동작에 의해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 상태나 동작 모드에 따라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해당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한 해당 오디오 신호를 음향 출력 모듈(142)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음향 출력 모듈(142)는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42)은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또는 버저(buzz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4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예에서,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43)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부(130)의 제어 동작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이러한 햅틱 모듈(143)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moto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롬(read only memory, 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연관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 내부의 해당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입력 및 출력 포트(audio input and output) 포트 및 비디오 입력 및 출력 포트(video input and output port), 이어폰 포트(earphone 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 도 2내지 도 5b 그리고 도 6 내지 도 14d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영상 표시 기능과 터치 센서를 통한 입력 기능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으로 가정하므로 사용자 입력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터치 스크린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에는 이미 통신부(110)를 통해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의 동작을 실시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고,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바탕 화면 즉,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에는 영상 메시지 전송 동작을 구동시키기 위한 아이콘(icon)이 설치되어 있다.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내려주는 관리 서버(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에 의해 영상 메시지 전송 동작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예, 배경 화면용 영상 데이터, 캐릭터용 영상 데이터, 다양한 객체와 버튼용 영상 데이터 등), 음성 데이터 등의 모든 정보 역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메모리(150)에 저장해 놓는다.
이로 인해,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 시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할 때마다 관리 서버와 접속하지 않아도 되므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 속도가 향상된다.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130)의 동작이 시작되고(S10),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영상 메시지 전송 동작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표시되는 해당 아이콘이나 동작 시작 버튼 등이 동작된 상태의 신호가 제어부(130)로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킨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로그인(log-in) 동작을 위한 로그인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 후(S11),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로그인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
로그인 동작을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회원 가입 시 정해 놓은 식별 번호(ID)와 비밀번호(PW)를 입력한다.
따라서, 입력된 식별 번호와 비밀 번호가 이미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와 동일하여 로그인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도 6과 같은 메인 화면을 출력한다(S13).
하지만, 로그인 동작이 완료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을 경우, 제어부(130)는 계속해서 로그인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
도 6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은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메뉴 선택 버튼(11-15)이 존재한다.
이들 복수의 메뉴 선택 버튼(11-15)은 스튜디오 버튼(11), 캐릭터 선택 버튼(12), 캐릭터(200)를 위한 아이템(예, 옷, 장신구, 성격, 배경화면, 말풍선 종류, 배경음악 등)을 선택하기 위한 인벤토리(inventory) 선택 버튼(13), 캐릭터를 위한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상점 버튼(14), 및 옵션 버튼(15)이 존재한다.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배경과 캐릭터(200)는 초기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이와 같이 로그인 동작에 의해 메인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메인 화면에 표시된 메뉴 선택 버튼(11-15)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메뉴 선택 버튼(11-15)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선택 버튼을 판정한다(S14).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부(120)의 동작에 의해 캐릭터 선택 버튼(12)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15), 제어부(130)는 도 7과 같은 캐릭터 선택 화면을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S151).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캐릭터 선택 화면에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복수의 캐릭터를 순차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이전 버튼(121)과 다음 버튼(122) 그리고 캐릭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123)이 존재하며, 이전 화면 상태로 이동하기 위한 이전화면 이동 버튼(16)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전 버튼(121)과 다음 버튼(122)을 동작시키면, 제어부(130)는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캐릭터 중에서 해당 버튼(121, 122)의 동작 상태에 해당하는 캐릭터(200)를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캐릭터(200)의 모습뿐만 아니라 해당 캐릭터(200)에 대한 설명도 함께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상태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200)를 선택하기 위한 즉, 구매하기 위한 구매 버튼(123)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현재 표시 장치에 표시된 캐릭터를 사용자가 선택한 상태로 판정하여, 선택된 캐릭터(200)로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200)를 변경한다(S152, S153).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선택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표시 장치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른 캐릭터를 새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캐릭터(200)의 선택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이전화면 이동 버튼(16)을 동작시켜 이전 화면(즉,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S100).
이처럼, 사용자는 캐랙터 선택 버튼(11)을 이용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캐릭터(200) 중에서 원하는 캐릭터(200)를 선택한다.
복수의 메뉴 선택 버튼(11-15) 중에서 인벤토리 선택 버튼(13)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16), 제어부(130)는 인벤토리 선택 동작을 실시한다(S160).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인벤토리 선택 버튼(13)이 동작된 상태일 때 제어부(1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어부(130)는 도 8과 같은 인벤토리 선택 화면을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S161).
인벤토리 선택 화면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화면 하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캐릭터(200)의 모션을 선택하는 모션 선택 버튼(131), 캐릭터(200)의 옷이나 장식구 등과 같은 아이템을 선택하여 캐릭터(200)의 옷차림새를 결정하는 코스튬(costum) 선택 버튼(132), 화면의 배경(즉, 화면 배경)을 선택하는 배경 선택 버튼(133), 말풍선의 종류를 선택하는 말풍선 선택 버튼(134) 및 배경음악을 선택하는 배경음악 선택 버튼(135)을 구비한다. 도 8은 코스튬 선택 버튼(132)이 선택될 때의 화면이다.
또한, 도 7의 캐릭터 선택 화면과 같이, 인벤토리 선택 화면에는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전화면 이동 버튼(16)이 화면의 상단부에 존재한다.
이처럼, 인벤토리 선택 화면을 출력한 후 제어부(130)는 복수의 선택 버튼(131-135) 중에서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을 판정한다(S162).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 상태에 의해 모션 선택 버튼(131)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163), 제어부(130)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선택 가능한 모션 객체(미도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션 객체를 판정해 선택된 성격모션 객체에 대응하는 모션을 판정한다(S1631).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모션 객체에 대응하는 움직임으로 표시 장치에 출력 중인 현재 캐릭터(20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선택된 모션을 갖는 캐릭터(200)의 움직임이 나타나도록 한다(S1632).
하지만, 사용자 입력부(120)에 의해 코스튬 선택 버튼(132)이 동작한 상태로 판정되면(S164), 제어부(130)는 코스튬 선택 버튼(132)의 동작에 의해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템 객체(321)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템 객체(321)를 판정하여 선택된 아이템 객체(321)에 대응하는 아이템(예, 옷, 모자, 선글라스, 날개, 반지)을 해당 캐릭터(200)에 적용하여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S1641, S1642).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버튼이 배경 선택 버튼(133)이면(S165), 제어부(130)는 표시 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배경 객체(미도시)를 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경 객체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배경 객체에 해당하는 영상을 현재 해당 캐릭터(200)가 표시되고 있는 화면의 배경으로 출력한다(S1651, S1652).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버튼이 배경음악 선택 버튼(135)이면(S166),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배경음악 선택 버튼(135)의 동작에 의해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복수의 배경음악 객체(미도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경음악 객체를 판정하고, 판정된 배경음악 객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메모리(150)로부터 읽어와 음향 출력 모듈(142)을 통해 배경음악으로서 출력한다(S1661, S1662).
이처럼, 사용자는 복수의 선택 버튼(131-133, 135)의 이용하여 캐릭터(200)의 종류뿐만 아니라 캐릭터(200)의 상태를 정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캐릭터(200)의 아이템, 화면의 배경 및 배경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이전 화면 이동 버튼(16)이 동작된 상태인지를 판정하여, 이전 화면 이동 버튼(16)이 동작되면 표시 장치의 화면 상태를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킨다(S100).
이때,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200)의 종류와 상태는 복수의 선택 버튼(131-133, 135)의 선택 동작에 대응되는 형태로 변경된다(S100).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버튼이 말풍선 선택 버튼(134)이면(S167), 제어부(130)는 말풍선의 종류를 선택하고 말풍선 내에 표기되는 텍스트를 정하는 말풍선 선택 및 텍스트 설정 동작을 실시한다(S67).
제어부(130)에 의한 말풍선 선택 및 텍스트 설정 동작은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말풍선 선택 버튼(134)이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도 9a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말풍선의 종류를 나타내는 복수의 말풍선 객체(34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S671).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말풍선 객체(341)를 판정하고(S672), 판정된 말풍선 객체(341)에 해당하는 종류의 말풍선(342)을 해당 캐릭터(200) 옆에 예를 들어 캐릭터(200)의 위쪽으로 출력한다(S673)(도 9b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말풍선(432)을 이용하여 자신이 선택한 말풍선(342)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말풍선(342)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시작 신호 즉, 텍스트 입력 시작 신호가 생성되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74).
본 예의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말풍선(342)을 터치(touch)한 상태로 판정되면 텍스트 입력 시작 신호가 생성된 상태로 판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텍스트 입력 시작 신호가 입력된 상태가 아닐 경우, 제어부(130)는 이전 화면 이동 버튼(16)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이전 화면인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다(S675, S100).
하지만, 텍스트 입력 시작 신호가 입력된 상태일 경우, 제어부(130)는 표시 장치에 도 9c와 같은텍스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676).
도 9c에 도시한 것처럼, 텍스트 입력화면은 문자, 숫자, 기호 등과 같은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자판부(351), 자판부(351)의 동작에 입력되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표시창(352), 텍스트의 입력 완료를 위한 확인 버튼(353), 각 말풍선에 입력된 텍스트의 저장 번호(354), 해당 저장 번호(354)에 저장되는 있는 말풍선(342), 자판부(351)를 통해 해당 말풍선에 입력된 텍스트의 저장 동작을 위한 저장 버튼(355), 그리고 각 해당 말풍선에 저장된 텍스트의 삭제 동작을 위한 삭제 버튼(356)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저장 번호는 1번(①)에서 5번(⑤)까지 총 5개이지만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증감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저장 번호[예, 1번(①)]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가 존재할 경우, 표시창(352)은 저장된 텍스트가 출력된다. 이처럼, 말풍선에 저장된 텍스트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는 자판부(351)를 이용하여 이미 저장된 텍스트를 편집하게 된다.
도 9c와 같은 텍스트 입력 화면을 표시한 후 제어부(130)는 복수의 저장 번호(354) 중에서 말풍선에 입력될 텍스트가 저장될 저장 번호가 선택되면(S677),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저장 번호를 판정한다(S678). 이미 설명한 것처럼, 선택된 저장 번호에 대응하게 이미 저장된 텍스트가 존재할 경우, 제어부(130)는 표시창(352)에 선택된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를 출력한다.
다음, 자판부(351)의 동작 상태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제어부(130)로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자판부(351)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를 말풍선(341) 안에 출력하며 또한 표시창(352)에도 출력한다(S679).
이처럼 자판부(351)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 동작 중에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상태에 의해 확인 버튼(353)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680), 제어부(130)는 해당 말풍선에 기재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입력 동작을 중지하고자 하는 상태로 판단하여 자판부(351)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를 선택된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제어부(130) 내의 버퍼나 메모리(150)에 임시 저장한다(S681).
이처럼, 사용자는 자판부(351)를 이용하여 해당 저장번호에 전송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새롭게 입력하거나 편집한다(S677-S681).
위에 설명한 것처럼, 확인 버튼(353)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저장 번호에 대응하게 텍스트의 임시 저장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저장 번호(354) 중에서 다른 저장 번호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672).
복수의 저장 번호(354) 중에서 다른 저장 번호[예, 2번(②)]가 다시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단계(S678)로 너머가,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해당 저장 번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입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정해진 개수만큼 즉, 저장 번호의 개수만큼의 말풍선에 원하는 내용의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더 이상 저장 번호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번호(354)에 대응되게 임시 저장된 텍스트를 최종적으로 메모리(150)에 저장하기 위해 저장 버튼(355)이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83).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 상태에 의해 저장 버튼(355)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도 9d와 같은 저장 확인창을 표시 장치에 출력한다(S684).
그런 다음, 저장 확인창에 표시되는 저장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예'버튼(3551)이 선택되면(S685),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입력된 텍스트를 해당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한다(S686).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의 상태를 이전 화면, 즉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이동시킨다(S200).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 상태가 저장 확인창에'아니오'버튼(3552), 즉 저장 동작을 취소하는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표시 화면의 상태를 이전 화면, 즉 텍스트 입력 화면으로 이동시킨다(S200).
다시 단계(S683)로 넘어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삭제 버튼(356)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표시 장치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캐릭터(200) 옆이나 위에 출력되고 있는 말풍선(342) 자체를 삭제한 후(S6881),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다(S100)위에 기재한 제어부(130)의 동작 중에 사용자 입력부(120)로 통해 이전 화면 이동 버튼(16)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이전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말풍선의 종류(즉, 형태)를 선택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번호(354)에 전송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저장한다.
다시 도 2로 넘어가, 복수의 메뉴 선택 버튼(11-15) 중에서 동작된 메뉴 선택 버튼이 스튜디오 버튼(11)일 경우(S17), 제어부(130)는 외부 기기로 전송할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70).
제어부(130)에 의해 행해지는 전송 영상 획득 동작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로 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복수의 메뉴 선택 버튼(11-15)중에서 상점 버튼(14)이 선택된 상태로 판정되면(S18), 제어부(130)는 표시 장치의 화면 상태를 상점 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S181). 이때, 구매 대금은 적립된 포인트, 적립 금액 또는 예치 금액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뉴 선택 버튼(11-15) 중에서 옵션 버튼(15)이 선택된 상태로 판정되면(S19), 제어부(130)는 표시 장치의 화면 상태를 옵션 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정보 등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S191).
다음, 도 5a 내지 도 5c을 참고로 하여 전송 영상 획득 동작을 설명한다.
스튜디오 버튼(11)의 동작에 의해 제어부(130)의 동작 상태가 전송 영상 획득 단계(S170)로 넘어가면, 제어부(130)는 도 10a와 같은 스튜디오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S171).
도 10a를 참고로 하면, 스튜디오 화면은 가운데 부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캐릭터(20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형태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가 저장 번호의 순서대로 차례로 표시되는 말풍선(342), 화면의 하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모션 객체(371), 화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캡쳐 모드 선택 버튼(3721-3724) 그리고 캡쳐 모드 선택 버튼(372)에서부터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을 구비한다.
이때 캐릭터(200)에 대한 설정값(예, 의상, 배경, 말풍선, 배경 음악)은 별도의 보정없이 이전에 설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복수의 캡쳐 모드 선택 버튼(3721-3724)은 스토리 캡쳐(story capture) 모드 선택 버튼(3721), 동영상 캡쳐(moving image) 모드 선택 버튼(3722), 이모티콘캡쳐(emoticon capture) 모드 선택 버튼(3723) 및 카툰 캡쳐(cartoon capture) 모드 선택 버튼(3724)를 구비한다.
스토리 캡쳐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객체(371)에 해당하는 동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을 재생시키면서 하나의 3차원(3D)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모드로서, 전송 영상은 동영상이 된다.
동영상 캡쳐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션 객체(371)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하나의 3차원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모드이다. 이 때 획득된 전송 영상 역시 동영상이 된다.
이모티콘 캡쳐 모드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방식을 이용하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200), 말풍선 및 배경만을 캡쳐하여 정지 영상인 이미지 영상을 획득해 전송 영상을 생성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이 캡쳐 모드일 때, 외부로 전송되는 전송 모드는 정지 영상으로서 GIF 파일 형식을 갖는다.
또한, 카툰 캡쳐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캡쳐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해당하는 프레임 구도로 배열하여 하나의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해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모드로서, 이때, 전송 영상을 정지 영상이 된다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은 캡쳐 동작을 실시하거나 진행중인 캡쳐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선택된 말풍선이나 텍스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표시 장치에는 말풍선이 표시되지 않거나 텍스트가 표시되지 않은 빈 말풍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스튜디오 화면이 출력되면(S171), 제어부(130)는 복수의 캡쳐 모드 선택 버튼(3721-3724)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캡쳐 모드를 판정한다(S172).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 상태에 의해 스토리 캡쳐 모드 선택 스위치(3721)가 동작되어 스토리 캡쳐 모드 모드가 선택된 상태로 판정되면(S173), 제어부(130)는 도 11a에 도시한 것처럼, 스토리 캡쳐모드의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
도 11a에 도시한 것처럼, 스토리 캡쳐 모드의 초기 화면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모션 객체(371)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션 객체 선택 버튼(3711)과 복수의 말풍선 객체(341)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말풍선 객체 선택 버튼(3411)이 존재한다.
또한, 초기 화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모션 객체(371)의 배열 순서와 말풍선 객체(371)의 배열 순서에 따라 정해진 순서로의 동영상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가 존재한다.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는 말풍선 객체(341)의 배열 순서에 따른 말풍선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1)와 모션 객체(371)의 배열 순서에 따른 모션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2)가 존재한다.
도 11a에 도시한 것처럼, 말풍선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1)와 모션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1)에는 각각 5개의 재생 방(H11, H12)이 존재하여, 사용자는 가장 왼쪽에 존재하는 각 재생 방(H11, H12)에서부터 하나씩 자신이 원하는 말풍선 객체(341)와 모션 객체(371)를 드래그하는 동작만으로 말풍선의 재생 순서와 모션의 재생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이때, 재생 순서는 초기 화면의 가장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존재하며, '잠금 객체(LO)'가 표기된 재생 방(H11, H12)은 현재 해당 말풍선 객체(341)나 모션 객체(371)가 존재하지 않은 빈 방을 의미하며, 이들 빈 방은 특정 콘텐츠와 연동하여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하나씩 개방되며 추가적으로 말풍선 객체(341)와 모션 객체(371)이 드래그되어 재생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1b의 경우, 각 5개의 재생 방(H11, H12)중에서 2개의 재생 방만이 사용자의 의해 정해진 모션 객체(371)와 말풍선 객체(341)로 채워져 있는 상태이고, 모션 객체 버튼(3711)이 선택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다양한 모션 객체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 상태를 이용하여 모션 객체 버튼(3711)의 동작 상태와 말풍선 객체 선택 버튼(341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선택된 모션 객체(371)와 말풍선 객체(341)를 판정한다(S731).
즉, 도 11b처럼,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모션 객체 선택 버튼(3711)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하위 메뉴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모션 객체(37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복수의 모션 객체(371) 중에서 원하는 모션 객체(371)를 하나씩 드래그(drag)하여 모션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2)의 가장 왼쪽에 존재하는 재생 방(H12)에서부터 차례로 이동시킨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말풍선 객체 선택 버튼(3411)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하위 메뉴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말풍선 객체(341)를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복수의 말풍선 객체(341) 중에서 원하는 말풍선 객체(341)를 하나씩 드래그(drag)하여 말풍선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1)의 가장 왼쪽에 존재하는 재생 방(H11)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재생 방(H11)에 존재하는 말풍선 객체(341)이 선택될 경우, 도 11c와 같은 자판부(351)를 출력하여 말풍선에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판부(351)를 이용하여 텍스트 입력이 완료된 확인 버튼(353)이 선택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해당 재생 방(H11)에 저장된 해당 말풍선 객체(341)에 해당하는 말풍선에 입력된 텍스트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생 방(H11)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말풍선 객체(341)에 해당하는 말풍선으로의 텍스트 저장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재생 방(H11, H12)에 대한 모션 객체(371)와 말풍선 객체(341) 및 말풍선에 대한 텍스트 저장 동작이 행해짐에 따라 제어부(130)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산출 유닛을 이용하여 도 11d와 같이 재생 방(H12)에 저장된 모션의 총 재생 시간과 재생 방(H11)에 저장된 말풍선의 재생 시간을 이용하여 총 재생 방(H11, H12)에 저장된 모션과 말풍선을 녹화하는데 소용되는 녹화 시간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재생 순서 편집 메뉴(381)를 이용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모션과 말풍선의 설정을 마친 다음,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선택되어 해당 상태의 신호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면(S3721) 제어부(130)는 재생 방(H11, H12)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과 말풍선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면서 화면 캡쳐를 실시한다(S732).
따라서, 화면의 아래 위에서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는 모션 객체(371)와 말풍선 객체(341)에 대한 모션과 말풍선이 서로 대응되게 재생되면서, 모든 재생방(H11, H12)에 존재하는 모션과 말풍선이 가장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의 배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되면서 동영상 녹화가 행해진다. 이때, 녹화되는 영상은 메모리(150)에 임시 저장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다시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되었는지를 판정한다(S733).
즉, 단계(S3721, S372)의 동작에 의해 제어부(130)의 동작에 의해 미리 보기가 진행되는 동시에 동영상이 획득되는 과정에 제어부(130)는 캡쳐 중지 버튼으로 기능하는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했는지 판단한다(S733).
따라서,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733), 제어부(130)는 진행중인 동영상의 캡쳐 동작을 중지하고 또한 캡쳐 모드 선택 버튼(372)의 동작 이후 캡쳐되어 임시 저장되어 있던 동영상을 삭제한 후(S734), 단계(S731)로 넘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션 객체(371)와 말풍선 객체(341)를 판정한다.
하지만, 선택된 모션 객체(371)에 대한 동영상과 말풍선의 미리 보기가 완료될 때까지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되지 않을 경우 즉, 미리 보기 동영상에 대한 영상이 모두 캡쳐된 경우(S735), 제어부(130)는 메모리(150)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캡쳐된 동영상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저장하고 도 10b와 같은 영상 처리창을 출력한다(S177).
영상 처리창에는 도 10b에 도시한 것처럼 재생 버튼(391)과 공유 버튼(392)이 존재하며 공유 버튼(392)를 선택 시 도 10c에 도시한 것처럼 예 버튼(YES)(921)과 아니오 버튼(No)(922)을 구비하여 공유 여부를 묻는 팝업 창이 활성화 되며 예(YES) 버튼을 선택 시 도 10d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하부 공유 버튼(3921-3927)이 존재한다. 물론 도 10d에 도시되는 하부 공유 버튼(3921-3927)에 필요에 따라 삭제되거나 다른 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아니오 버튼(922)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바로 이전 화면 단계로 넘어간다.
도 10c에 도시되는 복수의 하부 공유 버튼(3921-3927) 중에서, '메시지' 공유 버튼(3921)은 캡쳐된 동영상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나 단문자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사진" 공유 버튼(3922)은 정해 놓은 계정으로 캡쳐한 영상을 업로딩(uploading)하기 위한 것이며, "구글(Google+)" 공유 버튼(3923)은 정해 놓은 구글 계정으로 캡처한 영상을 업로딩하기 위한 것이고, "유튜브(YouTube)" 공유 버튼(3924)은 유튜브에 캡쳐한 영상을 업로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메일" 공유 버튼(3925)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전자 메일 주소로 캡쳐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드라이브" 공유 버튼(3926)은 정해 놓은 드라이버(예, 웹 하드)에 캡쳐된 동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지메일(Gmail)" 공유 버튼(3927)은 구글 메일을 통해 캡쳐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하부 공유 버튼을 통해 캡쳐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방식은 위에 기재한 전송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예,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을 통해서도 전송 가능하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선택 버튼(391,392) 중에서 재생 버튼(391)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178),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녹화된 영상을 1회 재생한 후(179), 단계(S178)로 넘어간다.
하지만, 선택 버튼(391,392) 중에서 공유 버튼(392)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공유 여부를 묻는 팝업 창(도 10c)이 활성화 되며 예(YES) 버튼을 선택 시 도 10d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하부 공유 버튼(3921-3927)이 활성화된다. 이때 하부 공유 버튼(3921-3927) 중 하나가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하부 공유 버튼(3921-3927)의 종류를 판정하여 해당하는 전송 방식 선택창을 출력하여(S181),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송 방식을 판정하고(S182), 별도의 내용 입력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내용 입력이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이용해 단문자 추가와 같은 편집 동작을 실시한 후(S184)와 캡쳐된 해당 영상을 선택된 전송 방식으로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S185).
하지만,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취소 버튼(300)이 선택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20)는 단계(S171)로 이동한다
단계(S173)로 너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캡쳐 모드가 동영상 캡쳐 모드일 경우, 제어부(120)는 도 12a와 같은 동영상 캡쳐 모드의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
동영상 캡쳐 모드의 초기 화면에는 이미 정해진 설정값에 대응하는 캐릭터(200)와 배경이 표시되며, 또한 하단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모션객체(371)가 표시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복수의 모션 객체(371)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된 모션 객체(371)의 종류를 판정한다(S741).
본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모션 객체(371)는 '행복함'객체(711), '화남' 객체(712). '슬픔' 객체(713), '놀람' 객체(714) 및 '사랑함'객체(71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 모션 객체(371)의 개수는 위에 기재된 다섯 개이지만 모션 객체(711-715)는 영상을 전송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기분을 대변하는 객체이므로, 모션 객체(37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각 객체(711-715)에 대응하는 모션, 즉 캐릭터의 움직임에 대한 동영상 데이터는 이미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고, 각 선택된 모션 객체의 종류에 대응하는 기분을 캐릭터(200)의 표정과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복수의 모션 객체(371) 중에서 원하는 하나의 모션 객체(371)가 선택된 후 캡쳐 진행 버튼으로 기능하는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도12b), 제어부(120)는 선택된 모션 객체에 대응하는 모션의 동영상을 촬영하겠는지를 문의하는 선택창을 출력한다(도 12c).
촬영을 원할 경우 즉, 예 버튼(923)이 선택되어 해당 상태의 신호가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제어부(130)로 인가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모션 객체(711-715)에 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읽어와 판독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동영상을 표시 장치로 출력하면서 동시에 화면 캡쳐를 실시한다(S742).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된 모션 객체(711-715)에 해당하는 캐릭터의 동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미리 보기하고 또한, 제어부(130)는 렌더링 동작 등을 수행하여 캐릭터의 동영상이 미리 보기되는 과정을 처음부터 캡쳐하여 촬영한다.
이처럼, 캡쳐 모드가 동영상 캡쳐 모드일 경우, 해당 모션 객체(711-715)에 대한 미리 보기 동영상을 캡쳐하여 영상 즉, 동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영상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음성과 효과음도 함께 캡쳐된다.
하지만 도 12c에 도시한 선택 창에서 아니오 버튼(924)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130)는 바로 이전 화면 상태로 넘어간다.
이처럼, 제어부(130)의 동작에 의해 미리 보기가 진행되는 동시에 동영상이 획득되는 과정에 제어부(130)는 캡쳐 중지 버튼으로 기능하는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했는지 판단한다(S743).
따라서,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743), 제어부(130)는 진행중인 동영상의 캡쳐 동작을 중지하고 또한 캡쳐 모드 선택 버튼(372)의 동작 이후 캡쳐되어 메모리(150)나 버퍼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동영상을 삭제한 후(S744), 단계(S741)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션 객체(371)를 판정한다.
하지만, 선택된 모션 객체(711-715)에 대한 동영상의 미리 보기가 완료될 때까지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되지 않을 경우 즉, 미리 보기 동영상에 대한 영상이 모두 캡쳐된 경우(S178), 미리 보기 동영상의 캡쳐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도 12d와 같이 동영상 캡쳐 동작이 정상적으로 완료됨을 나타내는 팝업창을 출력한다.
따라서, 확인 버튼(925)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도 10b와 같은 영상 처리창을 출력하여(S177), 이미 설명한 것처럼 캡쳐된 동영상을 1회 재생하거나 선택된 전송 방식을 통해 캡쳐된 동영상을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단계(S174)로 넘어가, 사용자에 의해 판정된 캡쳐 모드가 이모티콘 캡쳐 모드일 경우(S175), 제어부(130)는 도 13a와 같이 이모티콘 캡쳐 모드의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
이 초기 화면에는 도 13a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모션 객체(751)가 하단부에 표시되며 또한 해당 캐릭터(200)가 배경 및 말풍선과 함께 표시된다. 이때, 정해진 말풍선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말풍선을 생략된다.
또한, 대략 화면의 중간 부위에 사용자가 캡쳐할 수 있는 캡쳐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 촬영 범위가 캐릭터(200) 위에 표시된다. 초기 촬영 범위에 대한 정보는 이미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다. 초기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는 부분과 선택 가능한 모션 객체(371)은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 휘도가 높게 표시된다.
이처럼, 이모티콘 캡쳐 모드에 대한 초기 화면이 출력되면, 제어부(130)는 이미 설명한 단계(S741, S742)의 동작과 유사하게,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복수의 모션 객체(371)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션 객체(371)의 종류를 판정하고(S751),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촬영 범위를 판정한다(S752).
초기 촬영 범위는 촬영 범위 설정 버튼(B11-B14)을 이용하여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하고, 또한 회전 버튼(B15)을 이용하여 해당 촬영 범위에 포함된 영상을 원하는 각도만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도 13a 참고).
회전 버튼(B15)은 도 13b에 도시한 것처럼 해당 촬영 범위를 좌측으로 회전시킨 후 그 범위 내에 존재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도 13c와 같이 해당 방향으로 회전된 촬영 범위와 그 내에 존재하는 영상을 그대로 촬영한 후 회전된 촬영 범위의 위치를 회전되기 전의 초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는 촬영된 영상 역시 촬영 범위의 위치와 함께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도 13c와 같이 원하는 각도만큼 해당 방향으로 회전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선택된 모션 객체(371)의 종류를 판정하는 동작(S751)과 촬영 범위를 판정하는 동작(S752)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캐릭터(200)을 위한 모션 객체(371)와 촬영 범위가 정해지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캡쳐 진행 버튼으로 기능하는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53).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모션 객체(711-715)에 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읽어와 판독한 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동영상을 표시 장치로 출력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200)의 부분과 텍스트를 포함한 말풍선(342)의 부분만을 캡쳐하여(S745),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즉,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와 텍스트에 대한 이미지 영상)을 획득한 후,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이때, 회전 버튼(B15)이 동작된 상태일 때, 제어부(13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초기 촬영 범위에 비해 해당 방향으로 해당 각도만큼 회전한 촬영 범위와 그 범위 내에 포함된 영상을 초기 상태의 방향으로 재회전시킨 후 재회전된 상태의 영상을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이때, 촬영된 영상은 초당 16 프레임(frame)으로 이루어진 GIF 파일로 저장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단계(S177)로 넘어가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거나 외부로 전송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화전 버튼(B15)에 의해 해당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의 영상을 획득할 경우, 이러한 동작 중에 리셋 버튼(B16)이 사용자에 의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부(130)는 리셋 동작을 실시하여 그때까지 캡쳐된 영상을 메모리(150)에서 삭제하고 촬영 범위 역시 초기 촬영 범위로 변경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던 모션 객체(371) 역시 삭제하여 이모티콘 캡쳐 모드의 초기 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에 의해 선택된 캡쳐 모드가 카툰 캡쳐 모드일 경우(S176), 제어부(130)는 도 14a에 도시한 것처럼 카툰캡쳐 모드의 초기 화면을 출력한다.
카툰캡쳐 모드의 초기 화면에는 해당 배경과 말풍선(342)을 갖는 캐릭터(200)를 표시하고 또한 그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원하는 프레임의 종류를 선택하는 프레임 선택 버튼(411), 모션 객체(371)을 선택하기 위한 모션 객체 선택 버튼(412), 말풍선을 선택하기 위한 말풍선 선택 버튼(413), 그리고 배경을 선택하기 위한 배경 선택 버튼(414)이 존재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프레임 선택 버튼(411)이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의 종류를 판정한다(S761).
프레임 선택 버튼(411)의 동작에 의해 표시되는 하위 선택 버튼(421-425)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프레임의 구도를 선택하게 된다. 도 14b의 경우 선택 버튼(425)을 선택한 상태일 때, 선택된 버튼(425)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도가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에 도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선택된 프레임의 구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SF1)이 존재한다. 도 14b에 도시한 프레임 구도는 총 네 개의 서브 프레임(SF1)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모션 선택 버튼(412)을 이용하여 복수의 모션 객체(371) 중 선택된 하나의 모션 객체(371)를 판정한다(S762).
모션 선택 버튼(412)이 동작되면 그 하위 메뉴로 선택 가능한 복수의 모션 객체(371)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그 중 하나의 모션 객체(371)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배경 선택 버튼(414)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경을 판정한다(S763). 이미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배경 선택 버튼(413)이 동작되면 복수의 배경 중에서 하나의 배경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배경 객체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배경 객체를 선택하여 배경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선택된 배경 객체를 판정하여 선택된 배경을 판정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30)는 말풍선 선택 버튼(413)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말풍선을 판정한다(S764). 이미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말풍선 선택 버튼(413)이 동작되면 복수의 말풍선 중에서 하나의 말풍선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말풍선 객체(711-715)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말풍선 객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30)에 의한 단계(S761-S764)의 판정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캐릭터(200)에 대한 프레임 구도, 모션 객체, 배경 및 말풍선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모션 객체(371)에 대한 동영상에 대응하는 캐릭터(200)의 동영상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S765).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해 정해진 촬영 범위를 판정하고(S766), 캡쳐 진행 버튼으로 기능하는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67).
따라서, 제어부(130)는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373)이 동작되면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이 동작된 때의 표시 장치로 출력되는 영상을 스크린 캡쳐하여 서브 프레임(SF1)에 대한 영상(즉,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의 화면에서 UI가 제외된 한 화면에 대한 순간 영상)인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한다(S768).
이러한 서브 프레임 영상 획득 동작은 선택된 프레임의 구도에 따라 한번 이상 행해진다(S769).
정해진 서브 프레임의 수만큼 서브 프레임 영상이 모두 획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프레임의 구조에 대응되게 획득된 서브 프레임 영상을 재배열하여 하나의 프레임 영상으로 메모리(150)에 저장한다(S7610).
즉, 도 14c에 도시한 것처럼, 선택된 프레임 구도에 대응하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SF1)에 대응되게 현재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캡쳐하여 첫 번째 서브 프레임(SF1)에 대응하는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하고, 도 14d에 도시한 것처럼, 선택된 프레임 구도에 대응하는 두 번째 서브 프레임(SF1)에 대응되게 현재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을 캡쳐하여 첫 번째 서브 프레임(SF1)에 대응하는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한다.
각 서브 프레임(SF1)에 대한 서브 프레임을 영상을 획득할 때, 도 14c에 도시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즉, 캐릭터, 말풍선 및 배경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어 바로 이전의 화면 상태와 다르게 설정된 후 해당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할 수 있거나, 바로 이전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할 때 사용된 화면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해당 서브 프레임(SF1)(예, 두 번째 서브 프레임)에 대한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선택된 프레임 구도의 각 서브 프레임(SF1)에 대응하는 서브 프레임 영상이 순차적으로 모두 획득되면, 획득된 모든 서브 프레임 영상은 도 14b에 도시한 프레임 구도의 번호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열되어 하나의 영상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단계(S177)로 넘어가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거나 외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뿐만 아니라 캐릭터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좀더 효율적으로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의 종류나 상태를 사용자 스스로가 변경할 수 있고, 자신의 기분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캐릭터의 움직임과 표정을 선택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더욱 증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제어부 141: 디스플레이 모듈
150: 메모리 11: 캡쳐 모드 선택 버튼
321: 아이템 객체 131-135: 선택 버튼
342: 말풍선 200: 캐릭터
351: 자판부 352: 표시창
353: 확인버튼 354: 저장 번호
371: 모션 객체 372: 캡션 모드 선택 버튼
373: 캡쳐 진행 또는 중지 버튼

Claims (9)

  1. 캡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캡쳐 모드 선택 버튼,
    상기 캡쳐 모드 선택 버튼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캐릭터와 적어도 하나의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를 표기하는 말풍선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판단된 캡쳐 모드의 종류를 판정하고, 스토리 캡쳐 모드일 경우 복수의 모션 객체 중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 객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을 재생시키면서 하나의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동영상 캡쳐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하나의 동영상으로 캡쳐하여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이모티콘 캡쳐 모드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 말풍선 및 배경만을 캡쳐하여 정지 영상인 이미지 영상을 전송 영상으로 획득하며, 카툰 캡쳐 모드일 경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 캡쳐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생성한 후,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선택된 프레임 종류에 해당하는 구도로 배열하여 하나의 프레임 영상으로 생성해 전송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전송 영상을 상기 통신부로 출력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스토리 캡쳐 모드일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과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에 저장되어 말풍선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면서 화면 캡쳐를 실시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상기 동영상 캡쳐 모드일 때, 복수의 모션 객체 중에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모션 객체를 판정하고 판정된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표정과 움직임으로 상기 캐릭터의 표정과 움직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미리 보기하고, 미리 보기되는 상기 캐릭터의 움직임과 말풍선을 캡쳐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상기 이모티콘 캡쳐 모드일 때, 복수의 모션 객체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모션 객체의 종류와 촬영 범위를 판정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캡처 진행 또는 중지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선택된 모션 객체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면서 상기 촬영 범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의 부분과 말풍선의 부분을 캡쳐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쳐 모드의 종류가 상기 카툰 캡쳐 모드일 때,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프레임의 종류를 판정하고,
    복수의 모션 객체 중에서 선택된 모션 개체를 판정하며, 복수의 배경 객체 주중에서 선택된 배경 객체를 판정하여고, 복수의 말풍선 객체 중에서 선택된 말풍선 객체를 판정하여 선택된 말풍선을 판정하고,
    선택된 모션 객체에 해당하는 동영상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출력하며,
    선택된 프레임 구도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선택된 프레임 구도에 대응되게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재배열하여 상기 전송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의 개수가 복수 개 일 때,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은 캐릭터, 말풍선, 배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모션 객체는 '행복함' 객체, '화남' 객체, '슬픔' 객체, '놀람' 객체 및'사랑함'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8. 제1항에서,
    말풍선의 종류를 선택하는 말풍선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말풍선 선택 버튼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상기 말풍선 선택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 사용자에 의해 판정된 말풍선의 종류를 판정하여 판정된 종류의 말풍선을 상기 캐릭터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텍스트 입력 시작 신호가 발생하면, 선택된 저장 번호에 텍스트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를 상기 말풍선에 표기하고,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저장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KR1020140160203A 2014-11-17 2014-11-17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KR101729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03A KR101729377B1 (ko) 2014-11-17 2014-11-17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203A KR101729377B1 (ko) 2014-11-17 2014-11-17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55A true KR20160058555A (ko) 2016-05-25
KR101729377B1 KR101729377B1 (ko) 2017-04-26

Family

ID=5611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203A KR101729377B1 (ko) 2014-11-17 2014-11-17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585A1 (ko) * 2016-12-01 2018-06-07 주식회사 하이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224A2 (ko) 2009-04-28 2010-11-04 Park Sung-Jun 동영상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585A1 (ko) * 2016-12-01 2018-06-07 주식회사 하이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377B1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1497B2 (en) Integrated video capturing and sharing application on handheld device
KR100854253B1 (ko) 리치 미디어 툴들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1522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emoticons in a chat interface
US20070086773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operating a user interface
EP224228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image message in mobile terminals
CN112534394A (zh) 在混合现实场景中共享虚拟内容
US10725615B2 (en) Social contact information organized in a grid like visual object
CN103793097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725353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画像を処理する方法、装置、機器端末及び記憶媒体
US11792504B2 (en) Personalized videos
CN113709022B (zh) 消息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68509A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이미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965629B1 (en) Method for generating imitated mobile messages on a chat writer server
JP6697043B2 (ja) キー入力に基づいたアニメーション画像生成方法及び前記方法を行うユーザ端末
CN107566878A (zh) 直播中显示图片的方法及装置
CN11343925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KR101729377B1 (ko) 영상 메시지 전송 장치
KR102136793B1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이미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26343A (ko) 셀피들 및 스톡 비디오들을 사용하는 개인화된 비디오들
JP2017225103A (ja) 動画メディアを提供するための移動端末、これを含む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4327197A (zh) 消息发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6151975A (ja) 合成動画データ生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35591A (ko) 스마트폰에서 얼굴사진 캡쳐(capture) 툴(tool)을 이용하여 2장이상의 얼굴사진을 캡쳐, 이를 애니메이션 아바타 이미지에 맞춰 조합, 합성하는, 사진 애니메이션 아바타 편집 방법 및 서버시스템, 아바타 데이터베이스 연동 및 전송방법, 그리고 스마트폰에서 사진 애니메이션 아바타 디스플레이(display) 발신자 표시 방법
KR102634935B1 (ko) 가변 텍스트를 갖는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말기
WO2024041270A1 (zh) 虚拟场景中的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