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957A -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 - Google Patents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957A
KR20160057957A KR1020150029630A KR20150029630A KR20160057957A KR 20160057957 A KR20160057957 A KR 20160057957A KR 1020150029630 A KR1020150029630 A KR 1020150029630A KR 20150029630 A KR20150029630 A KR 20150029630A KR 20160057957 A KR20160057957 A KR 20160057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frame
present
tilting unit
ea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문
Original Assignee
이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문 filed Critical 이종문
Priority to KR102015002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957A/ko
Publication of KR2016005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를 전방에 구비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일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1 지지대의 경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틸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경사각 조절이 자유로이 이루어짐은 물론, 조절된 경사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EASEL}
본 발명은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각 조절이 자유로이 이루어짐은 물론, 조절된 경사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그림이나 메뉴용 칠판이나 안내판 또는 화판 등을 거치하여 여러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한 용도로 이젤을 활용해 왔다.
전술한 이젤은 통상적으로, 중앙과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들과 함께, 이러한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화판받침대가 결합되고, 지지프레임들 중 중앙에 배치된 것의 후방에 절첩구에 의하여 결합되는 후면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화판받침대는 양측의 두 지지프레임과 화판받침대에 결합볼트를 인입한 후, 결합너트를 결합볼트에 체결한다.
따라서, 화판받침대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도록 중앙의 지지프레임을 승강 조절하여 체결한 후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이젤은 양측의 두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후면지지프레임이 화판받침대에 거치된 캔버스 등을 포함한 화구의 하중을 전부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후면지지프레임이 화구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양측의 두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벌어지면서 이젤이 쓰러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허출원 제10-2007-0040364호 특허출원 제10-2008-0035061호 실용신안출원 제20-1998-00165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경사각 조절이 자유로이 이루어짐은 물론, 조절된 경사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받침대를 전방에 구비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체형 바(bar)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일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이젤은,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관통된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틸팅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길이 내에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과 제1 지지대에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제1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위치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틸팅 유닛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화구나 거치 대상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경사각 조절이 자유로이 이루어지고, 조절된 경사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의 좌측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이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대와 결합된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이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대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이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대와 결합된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의 좌측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이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대와 결합된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미설명 부호로 311은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과 제1 지지대(200) 사이에 틸팅 유닛(300)이 결합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받침대(101)를 전방에 구비한 것으로, 받침대(101)에는 사진이나 그림이나 메뉴용 칠판이나 안내판 또는 화판 등의 거치 대상물들을 거치할 수 있다.
제1 지지대(200)는 메인 프레임(100)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100)을 받침 지지하는 것으로, 메인 프레임(100) 및 받침대(101)에 거치된 거치 대상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지지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bar)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틸팅 유닛(300)은 일단부는 메인 프레임(10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제1 지지대(20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 프레임(100)에 대한 제1 지지대(200)의 경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며, 타단부는 제1 지지대(20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메인 프레임(100)은 도 1을 참조하면, 상하 길이 방향으로 받침대(101)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심 바(110)와, 중심 바(110)의 좌, 우 양측에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배치되어 중심 바(11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한 쌍의 제2 지지대(120, 1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대(200)의 상단부는 중심 바(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술할 틸팅 유닛(300)의 일단부는 중심 바(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은, 메인 프레임(10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심 바(11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중심 바(110)와 직교를 이루며, 양단부는 한 쌍의 제2 지지대(120, 120)와 연결되는 연결 바(13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후술할 틸팅 유닛(300)의 타단부가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관통된 가이드 슬롯(201)을 더 구비하며, 후술할 틸팅 유닛(300)의 타단부가 가이드 슬롯(201)이 형성된 길이 내에서 위치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틸팅 유닛(300)은 크게, 메인 프레임(100)에 결합된 고정편(310)과, 일단부가 고정편(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편(320)과, 본체편(320)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지지대(200)에 접촉하면서 이동하면서 위치 조절 및 고정 가능한 조절편(3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편(330)은 도 2와 같이 조절편(330)으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 슬롯(201)을 관통하여 단부가 노출되는 스터드 볼트(331)와, 스터드 볼트(33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탈착 가능한 조절 손잡이(34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조절 손잡이(340)는 조절편(330)측으로 돌출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터드 볼트(331)와 체결되는 네크부(341)를 더 포함하며, 네크부(341)의 직경은 제1 지지대(200)에 접촉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슬롯(201)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보호 부재(500)를 포함하여 제1 지지대(200)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마모를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이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대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젤의 주요부인 틸팅 유닛이 메인 프레임 및 제1 지지대와 결합된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보호 부재(500)는 통상적으로 메인 프레임(100)과 제1 지지대(200)가 목재로 이루어진 이젤일 경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슬롯(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지지대(200)의 양면에 구비됨과 동시에 가이드 슬롯(201)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보호 부재(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200)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조절편(330)의 반복되는 위치 조절 및 고정에 따른 제1 지지대(2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대(200)보다 높은 경도를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체편(32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고정편(310)과 조절편(330)이 상호 근접 또는 이격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체편(320)은 고정편(31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분리편(321)과, 조절편(33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분리편(322)이 체결구(323)에 의하여 접촉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체편(320)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분리편(3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관통된 제1 조절 슬롯(321s)과, 제2 분리편(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관통된 제2 조절 슬롯(322s)을 더 포함하며, 체결구(323)는 제1 조절 슬롯(321s) 및 제2 조절 슬롯(322s)을 동시에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고 제1 분리편(321)과 제2 분리편(322)을 접촉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제1 분리편(321)과 제2 분리편(322)을 포함하는 본체편(320)의 원활한 길이 조절을 위해서는, 제1 조절 슬롯(321s)과 제2 조절 슬롯(322s)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
또한, 체결구(323)는 헤드부(323bh)가 제2 분리편(322)의 상면에 걸림 고정되는 볼트(323b)와, 볼트(323b)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분리편(321)의 저면에 걸림 고정되는 너트(323n)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편(320)의 길이 조절을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볼트(323b)를 제1 조절 슬롯(321s) 및 제2 조절 슬롯(322s)을 동시에 관통되게 하고, 볼트(323b)에 너트(323n)를 임시로 체결해 둔다.
이후, 볼트(323b)에 너트(323n)가 임시로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는 제1 조절 슬롯(321s)과 제2 조절 슬롯(322s)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범위 내에서 제1 분리편(321)과 제2 분리편(322)을 적절히 이동시킨 후, 너트(323n)를 볼트(323b)에 완전히 체결함으로써 길이 조절 및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보호 부재(500)가 조절편(330)과 대면하여 접촉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보호 부재(500)는 가이드 슬롯(201)의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 슬롯(201)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슬리브(510)와, 슬리브(51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1 지지대(200)의 일면에 접촉 고정되며, 조절편(330)과 대면하여 접촉되는 제1 플랜지(521)와, 슬리브(510)의 타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1 지지대(200)의 타면에 접촉 고정되는 제2 플랜지(5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호 부재(500)는 제1 플랜지(521)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돌출 및 함몰되는 제1 고정용 요철부(521p)와, 조절편(330) 상에 제1 고정용 요철부(521p)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고정용 요철부(330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랜지(521)와 조절편(330)은, 제1 고정용 요철부(521p)와 제2 고정용 요철부(330p)가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접촉하여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제1 고정용 요철부(521p)와 제2 고정용 요철부(330p)의 맞물림 구조는 체결구(323)의 풀림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경사각 조절이 자유로이 이루어짐은 물론, 조절된 경사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젤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메인 프레임
101...받침대
110...중심 바
120, 120...제2 지지대
130...연결 바
200...제1 지지대
201...가이드 슬롯
300...틸팅 유닛
310...고정편
320...본체편
321...제1 분리편
321s...제1 조절 슬롯
322...제2 분리편
322s...제2 조절 슬롯
323...체결구
323b...볼트
323bh...헤드부
323n...너트
330...조절편
330p...제2 고정용 요철부
331...스터드 볼트
340...조절 손잡이
341...네크부
500...보호 부재
510...슬리브
521...제1 플랜지
521p...제1 고정용 요철부
522...제2 플랜지

Claims (2)

  1. 받침대를 전방에 구비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체형 바(bar)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받침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일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1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는 틸팅유닛을 포함하는 이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젤은,
    상기 제1 지지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관통된 가이드 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틸팅 유닛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슬롯이 형성된 길이 내에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유닛을 포함하는 이젤.
KR1020150029630A 2015-03-03 2015-03-03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 KR20160057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30A KR20160057957A (ko) 2015-03-03 2015-03-03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30A KR20160057957A (ko) 2015-03-03 2015-03-03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93A Division KR101517737B1 (ko) 2014-11-14 2014-11-14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957A true KR20160057957A (ko) 2016-05-24

Family

ID=5611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630A KR20160057957A (ko) 2015-03-03 2015-03-03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9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737B1 (ko) 이젤
US8857347B1 (en) Foldable hanging table
US10378691B2 (en) Trophy mount and skull clamp
US3759482A (en) Adjustable easel construction
US10030407B1 (en) Adjustable canopy and shade system for office workspace
KR20160007157A (ko) 조립식 낚시 받침대
US9351573B2 (en) Easel
US20170020288A1 (en) Easel with a built-in Connecting Device for a Mounting Mechanism
KR20160057957A (ko) 틸팅 유닛이 구비된 이젤
US20110302750A1 (en) No Tools Quick Assembly Surface Fastening System
CN209876406U (zh) 一种便于安装的教学用投影装置
CN203567448U (zh) 画架
KR200489497Y1 (ko) 보드 거치대
JP2006210300A (ja) スタンド支持用クランプ
EP2850967A1 (en) Foldable hanging table
US20020088915A1 (en) Document holder
CN206555655U (zh) 一种摄像机固定装置
CN212029268U (zh) 一种灯具支撑架
JP3695185B2 (ja) 整髪練習用人形首の取付台
CA2827668C (en) Foldable hanging table
CN205523357U (zh) 双夹式三脚油画架
CN207796667U (zh) 一种角度可调的多用led落地灯
KR20110008281U (ko)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KR200318126Y1 (ko) 화판받침대용 브라켓이 구비된 회화용 이젤
CN203676457U (zh) 一种简易画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7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11

Effective date: 2017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