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281U -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 Google Patents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281U
KR20110008281U KR2020100001738U KR20100001738U KR20110008281U KR 20110008281 U KR20110008281 U KR 20110008281U KR 2020100001738 U KR2020100001738 U KR 2020100001738U KR 20100001738 U KR20100001738 U KR 20100001738U KR 20110008281 U KR20110008281 U KR 201100082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fying glass
hole
slide bar
groove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수
임종만
Original Assignee
이병수
임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수, 임종만 filed Critical 이병수
Priority to KR2020100001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281U/ko
Publication of KR20110008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2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5Magnifying glass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agnifying glass or the object view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독서대나 모니터의 사용시 책의 글씨나 모니터의 화면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운 노약자의 경우 돋보기등의 확대경을 이용하여 내용을 확인하는바 이러한 확대경을 책과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고 손으로 들어 지지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각도로 변형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눈의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The magnifying glass where the free angle control is possible}
본 고안은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독서대나 모니터의 사용시 책의 글씨나 모니터의 화면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운 노약자의 경우 돋보기등의 확대경을 이용하여 내용을 확인하는바 이러한 확대경을 책과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고 손으로 들어 지지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각도로 동작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눈의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확대경은 유리제로 원형의 볼록렌즈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손잡이를 들고 글씨를 보아야하기 때문에 눈과의 거리나 또는 글씨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없고 글씨의 크기가 일정하게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눈의 피로가 심하며 또한 손으로 들고 글씨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손의 피로도 또한 심하였다.
특히, 편안한 독서를 위하여 사용되는 독서대를 이용한 책읽기의 경우 확대경을 들고 책을 읽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독서대 등을 이용하여 책읽기를 하는경우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는 확대경을 독서대에 부착한 상태에서 책읽기를 함으로서 시력이 나쁜 노약자도 쉽게 책읽기를 할 수 있는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의 확대경을 단순 변형시키는 것만으로 모니터에도 부착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다양한 조건에서 확대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착대상물의 뒷면에 조립되며 중앙부분의 장홈 양측에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과, 장홈의 내부에 암나사공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장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끼움되는 슬라이드바와 이 슬라이드바일측에 수평이동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상기 연결부와 연결핀에 의하여 힌지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과 상면에 관통공과 연통되는 암나사공이 일체로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관통공에 좌/우이동가능하게 끼움되는 슬라이드바와 이 슬라이드바 타측에 형성되는 각도조절수단 및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이동부재와, 상기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장공에 끼움되는 연결핀이 형성된 확대경을 포함하여 구성된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에서 각도조절수단은 일측에 구형상의 삽입부와 타측에 홈이 일체로 형성된 조절체가 이웃하는 조절체의 삽입부가 홈에 끼움되어 밀착된 상태로 사방으로 억지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조립되어 모니터의 프레임등에 결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함으로써 모니터에 장착할 수 있는 확대경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은 상/하이동 및 전 후진은 물론 다양한 각도로 확대경의 이동을 가능하고 조절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서 독서대에 장착시 흔들림에 따른 사용자의 어지러움등이 방지되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독서대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간단한 부품의 교체만으로 쉽게 모니터등에도 장착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고, 각각의 구성이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확대경을 탈부착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확대경을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독서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100)은 크게 독서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 조절되는 수직이동부재(10)와 전/후진하는 수평이동부재(20) 및 상기 수직이동부재(10)와 수평이동부재(20)를 서로 연결하며 힌지 회전하는 힌지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이동부재(10)는 슬라이드바(11)의 일측 단부에 연결부(12)가 형성되며 이 슬라이드바(11)는 독서대(200)의 배면에 조립된 고정판(13)의 장홈(13a)에 끼움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11)는 장홈(13a)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공(13a')에 나사조립되는 고정볼트(13b)에 의하여 이동된 상태가 고정되며 고정볼트(13b)를 회전시켜 제거하거나 느슨하게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높이로 설정한다.
상기 고정판(13)은 독서대(200)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조립공(13c)이 형성되며 볼트등을 이용하여 고정판(13)을 독서대의 배면에 견고히 고정한다.
상기 힌지부(30)는 하부가 수직이동부재(10)의 연결부(12)에 삽입되며 연결핀(31)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상부에는 수평이동부재(20)의 슬라이드바(21)가 끼움되는 관통공(32)과 상면에 슬라이드바(21)의 이동을 제어하는 고정볼트(33)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이동부재(20)는 힌지부(30)의 관통공(32)에 슬라이드부(21)가 끼움되며 이 슬라이드부(21)일측에 각도조절수단(22)과, 확대경(40)이 조립되는 결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상기 각도조절수단(22)은 일측에 구형상의 삽입부(22a-1)와 타측에 홈(22a-2)이 일체로 형성된 조절체(22a)가 이웃하는 조절체(22b)의 삽입부(22b-1)가 홈(22a-2)에 끼움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억지회전하며 사방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이동부재(20)와 수직이동부재(10)의 슬라이드바(11,21)는 각형으로 형성하여 흔들림이나 자연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사용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독서대(200)의 배면에 고정판(13)을 견고하게 조립한 후 고정판(13)의 장홈(13a)에 수직이동부재(10)의 슬라이드바(11)를 삽입하고 높이를 조절 후 고정볼트(13b)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바(11)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3)과 수직이동부재(10)를 고정한 상태에서 연결부(12)에 조립된 힌지부(3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수평이동부재(20)를 회전 및 위치를 조절하여 대략적인 확대경의 위치를 설정한 후 수평이동부재(20) 또한 힌지부(30)에 형성된 고정볼트(33)를 조여 조절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이동부재(10)와 수평이동부재(20)를 고정한 후 수평이동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각도조절수단(22)을 이용하여 세밀하게 확대경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여러 개의 조절체(22a, 22b)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각도조절수단(20)은 조절체(22a)의 홈(22a-2)에 이웃하는 조절체(22b)의 구 형태의 삽입부(22b-1)가 끼움되어 형성됨으로써 홈(22a-2)의 내면과 삽입부(22b-1)의 외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억지회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절수단(22)을 이용하여 끝부분에 형성된 확대경(40)을 사용이 원활한 각도로 위치함으로써 시력이 나쁜 노약자도 쉽게 책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22)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부(23)는 그 단부에 확대경(40)의 연결핀(41)이 삽입되는 장홈(23a)을 형성함으로써 확대경을 따로 보관이 가능한 효과로 인하여 취급상에발생되는 확대경 표면의 스크라치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이 조립식으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확대경을 독서대가 아닌 모니터등에 사용하는 경우 그 결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집게 형태의 클립(50)을 연결부(12)에 조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클립형태의 거치구성은 모니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착대상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수직이동부재 11 ... 슬라이드바
12 ... 연결부 13 ... 고정판
13a ... 장홈 13b ... 고정볼트
13c ... 조립공 20 ... 수평이동부재
21 ... 슬라이드바 22 ... 각도조절수단
22a, 22b ... 조절체 22a-1, 22b-1 ... 삽입부
22a-2, 22b-2 ... 홈 23 ... 결합부
30 ... 힌지부 31 ... 연결핀
32 ... 관통공 33 ... 고정볼트
34 ... 암나사공 40 ... 확대경
41 ... 연결핀 50 ... 클립

Claims (3)

  1. 장착대상물의 뒷면에 조립되며 중앙부분의 장홈(13a) 양측에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13c)과, 장홈(13a)의 내부에 암나사공(13a')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13);
    상기 장홈(13a)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끼움되는 슬라이드바(11)와 이 슬라이드바(11)일측에 힌지부(30)와 연결되는 연결부(12)가 일체로 형성된 수직이동부재(10);
    상기 연결부(12)와 연결핀(31)에 의하여 힌지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32)과 상면에 관통공(32)과 연통되는 암나사공(34)이 일체로 형성된 힌지부(30);
    상기 힌지부(30)의 관통공(32)에 좌/우이동가능하게 끼움되는 슬라이드바(21)와 이 슬라이드바(21) 타측에 형성되는 각도조절수단(22) 및 결합부(23)가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이동부재(20);
    상기 암나사공(13a',34)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3a',33);
    상기 결합부(23)에 형성된 장공(23a)에 끼움되는 연결핀(41)이 형성된 확대경(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22)은 일측에 구형상의 삽입부(22a-1)와 타측에 홈(22a-2)이 일체로 형성된 조절체(22a)가 이웃하는 조절체(22b)의 삽입부(22b-1)가 홈(22a-2)에 끼움되어 밀착된 상태로 사방으로 억지회전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의 일측에 조립되어 모니터의 프레임 등에 결착되는 클립(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KR2020100001738U 2010-02-18 2010-02-18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KR201100082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38U KR20110008281U (ko) 2010-02-18 2010-02-18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38U KR20110008281U (ko) 2010-02-18 2010-02-18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281U true KR20110008281U (ko) 2011-08-24

Family

ID=4559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738U KR20110008281U (ko) 2010-02-18 2010-02-18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28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04A1 (ko) * 2016-10-31 2018-05-03 (주)씨앤피 영상 흔들림 방지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04A1 (ko) * 2016-10-31 2018-05-03 (주)씨앤피 영상 흔들림 방지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KR20180047459A (ko) * 2016-10-31 2018-05-10 (주) 씨앤피 영상 흔들림 방지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2919B (zh) 用于显示设备的支撑装置
US8070114B2 (en) Support stand
ES2378334T3 (es) Sistema de posicionamiento de un monitor de control
CN102481053B (zh) 用于椅子的机构
JP3148195U (ja) モニター支持装置
US20160054571A1 (en) Headset having versatile eye orientation adjustment system
US20140146282A1 (en) Adjustable eyeglass frame
KR101517737B1 (ko) 이젤
US1851579A (en) Binocular nose glasses
JP4209301B2 (ja) 多焦点用眼鏡枠
US9429825B2 (en) Modular projector cage and stacked frame using same
US20120104194A1 (en) Stan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20110008281U (ko)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확대경
US20140268059A1 (en) Trial frame
CN103792763A (zh) 一种相机拍摄辅助设备
CN207407137U (zh) 照明装置
CN209731430U (zh) 一种易于携带的手持式热成像夜视仪
CN203435972U (zh) 一种美术画板支架
CN210376896U (zh) 一种平视书写阅读工具
CN209265079U (zh) 一种头戴式显示器组合盔上调整机构
CN208431545U (zh) 一种长焦镜头辅助支架
KR101136778B1 (ko) 확대경이 장착된 독서대
CN107327720A (zh) 照明装置
CN207051585U (zh) 一种新型vr眼镜装置
KR20140000629U (ko) 모니터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