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793A - 유방 영상 촬영기기 - Google Patents

유방 영상 촬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793A
KR20160057793A KR1020140158853A KR20140158853A KR20160057793A KR 20160057793 A KR20160057793 A KR 20160057793A KR 1020140158853 A KR1020140158853 A KR 1020140158853A KR 20140158853 A KR20140158853 A KR 20140158853A KR 20160057793 A KR20160057793 A KR 2016005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topper
holder
ball screw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용호
김대수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793A/ko
Priority to US14/735,521 priority patent/US9724065B2/en
Publication of KR2016005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14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2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e.g. anti-collision devices
    • A61B6/105Braking or 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가 연결된 볼스크류와 모터를 연결하는 커플링의 파손에 의해 본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는, 엑스선 발생부 및 엑스선 검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승하강가능하게 연결되는 볼스크류, 상기 본체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샤프트와 상기 볼스크류를 연결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본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파단된 커플링 부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방 영상 촬영기기{Mammography apparatus}
본 발명은 본체의 추락을 방지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기기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촬영기기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의료용 엑스선 촬영기기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기기 중 유방 영상 촬영기기(mammography apparatus)는 엑스선을 이용하여 여성의 유방을 촬영할 수 있다. 의사는 촬영된 영상을 보고 유방암 발명 가능성을 진단할 수 있다.
유방 영상 촬영기기는 유방 내의 생체 조직들을 압박한 후, 엑스선을 유방에 조사하여 영상을 얻는다.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본체는 유방을 압박할 수 있는 압박 패들과 엑스선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스탠드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체는 볼너트에 장착되고, 볼너트는 볼스크류에 장착되어 볼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본체가 승하강될 수 있다. 모터에 연결된 구동샤프트와 볼스크류는 커플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볼스크류는 구동샤프트와 함께 회전하여 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가 연결된 볼스크류와 모터를 연결하는 커플링의 파손에 의해 본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는, 엑스선 발생부 및 엑스선 검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승하강가능하게 연결되는 볼스크류; 상기 본체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샤프트와 상기 볼스크류를 연결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본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파단된 커플링 부분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커플링의 상부에 위치되는 탑홀더 및 상기 커플링의 하부에 위치되는 바텀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탑홀더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바텀홀더에는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푸쉬바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푸쉬바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탑홀더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커플링의 일측방에는 상기 탑홀더의 일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간섭하는 간섭브라켓이 위치된다.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간섭브라켓에 의해 간섭되면 파단된 커플링의 부분들은 일체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간섭브라켓에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커플링이 파단되었다는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된다.
상기 탑홀더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푸쉬바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스토퍼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탄성부재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탑홀더의 일측에는 스토퍼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탑홀더에는 측면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측면홀을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측면홀에는, 상기 측면홀을 가로지르도록 핀이 위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쉬바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에 상기 핀이 위치된다.
상기 바텀홀더와 상기 푸쉬바는 일체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는, 엑스선 발생부 및 엑스선 검출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승하강가능하게 연결되는 볼스크류; 상기 본체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샤프트와 상기 볼스크류를 연결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볼스크류에 연결되는 탑홀더; 상기 구동샤프트에 연결되는 바텀홀더; 및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탑홀더와 상기 바텀홀더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탑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스토퍼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커플링이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스토퍼의 일측은 상기 바텀홀더의 일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바텀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스토퍼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섭홈이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바텀홀더 측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는, 본체가 승하강가능하게 연결된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일측에 볼스크류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모터의 구동샤프트가 연결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고 스토퍼가 구비된 탑홀더 및 상기 커플링의 타측에 구비되는 바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이 파단되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커플링의 일측이 타측과 분리되어 회전하는 것이 간섭된다.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는 간섭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간섭브라켓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상기 간섭브라켓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간섭되면 상기 볼스크류는 정지한다.
상기 바텀홀더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될 수 있는 스토퍼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탑홀더와 상기 바텀 홀더는 서로 구속되어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볼스크류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추락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기계식으로 구비됨으로써 전자식 브레이크에 비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기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본체의 추락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전자식 브레이크에 비해 안정적이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뿐만 아니라 유사한 승하강 구조를 가진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정상일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파손된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에 스위치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정상일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파손된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1)는 스탠드(2) 및 승강가능하게 스탠드(2)에 연결된 본체(3)를 포함한다. 본체(3)에 의해 대상체의 환부에 대한 엑스선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1)는 엑스선을 이용하여 유방 내부의 영상을 얻는 장치인바, 이하에서는 유방을 엑스선 촬영장치(1)의 대상체라 할 수 있다.
본체(3)는, 엑스선 발생부(30) 및 엑스선 검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발생부(30)와 엑스선 검출부(31)는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엑스선 발생부(30)는 본체(3)의 상부에 위치되고, 엑스선 검출부(31)는 본체(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엑스선 발생부(3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한다.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은 엑스선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부(31)는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엑스선 데이터를 획득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대상체가 연조직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유방인 경우에는, 더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의 압박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상체를 압박시킬 수 있는 압박패들(32)이 구비될 수 있다. 압박패들(32)은 엑스선 발생부(30)와 엑스선 검출부(3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대상체는 압박패들(32)과 엑스선 검출부(31) 사이에 위치되어 압박패들(32)에 의해 압박된 상태에서 엑스선이 조사될 수 있다.
압박패들(32)은 손잡이(3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압박패들(32)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켜 압박패들(32)이 대상체를 적절한 압력으로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대상체가 적절한 압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엑스선 발생부(30)로부터 엑스선이 조사되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은 엑스선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되고, 엑스선 검출부(31)에서 획득된 엑스선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1)의 스탠드(2)에는 본체(3)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대상체의 위치에 따라 엑스선 촬영이 용이하도록 본체(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3)의 승하강 구조는 승하강암 및 볼너트(21)를 포함한다. 승하강암은 볼스크류(20)일 수 있다. 볼너트(21)는 볼스크류(20)에 장착되고, 볼스크류(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너트(21)는 볼스크류(20)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탠드(2)에는 볼스크류(20)가 구비될 수 있다. 볼스크류(20)에는, 볼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볼너트(21)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3)는 볼너트(21)에 장착되어 볼스크류(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스크류(20)는 모터(22:도3 참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20)가 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 볼너트(21)는 볼스크류(20)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너트(21)에 연결된 본체(3)는 볼너트(21)와 함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스크류(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면 볼너트(21)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볼스크류(20)가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면 볼너트(21)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볼스크류(20)의 일측에는 모터(22)와 볼스크류(20)를 연결하는 커플링(23)이 구비된다. 볼스크류(20)에는 커플링(23)의 파단에 의한 본체(3)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4)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스크류(20)로의 동력전달구조 및 브레이크장치(4)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1)의 볼스크류(20)는 모터(2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20)는 커플링(23)에 의해 모터(22)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23)의 일측에는 볼스크류(20)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23)의 타측에는 모터(22)와 연결된 구동샤프트(220)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22)의 구동력은 구동샤프트(220), 커플링(23)을 통해 볼스크류(20)로 전달되어 볼스크류(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22)에 의해 구동샤프트(2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샤프트(220)와 함께 커플링(23) 및 볼스크류(20)도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20)에는 브레이크 장치(4)가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4)는 커플링(23)이 파단되어 본체(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커플링(23)이 정상 상태인 경우, 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커플링(23) 및 볼스크류(20)는 구동샤프트(220)와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2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면, 커플링(23) 및 볼스크류(20)는 구동샤프트(220)와 동일한 속력으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볼너트(21)는 볼스크류(20)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샤프트(2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는 중, 커플링(23)의 파단(rupture)이 발생하면, 커플링(23)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2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는 중 커플링(23)이 상부커플링과 하부커플링으로 파단되면, 구동샤프트(220)가 연결된 하부커플링은 구동샤프트(220)와 함께 계속해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지만, 하부커플링의 회전력은 상부커플링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이때 볼스크류(20)는, 볼스크류(20)에 연결된 본체(3)의 무게에 의해 본체(3)가 하강하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20) 및 볼스크류(20)가 연결된 상부커플링은 본체(3)가 하강하는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20)는 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지 못하고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고 본체(3)는 추락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220)가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는 중, 커플링(23)의 파단이 발생하면, 커플링(23)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회전 속도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하부커플링은 구동샤프트(220)와 함께 회전하고, 구동샤프트(220)의 회전력은 상부커플링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볼스크류(20) 및 상부커플링은, 볼스크류(20)에 연결된 본체(3)의 무게에 의해 구동샤프트(220)에 의한 회전력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본체(3)는 빠른 속도로 추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플링(23)이 파단되어 본체(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스크류(20)에는 커플링(23)이 파단되면 볼스크류(20)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장치(4)가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4)에 의해 구동력과 무관하게 볼스크류(2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본체(3)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커플링(23)의 일측에는 모터(22)가 장착될 수 있는 브라켓(26)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브라켓(26)은 커플링(23)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26)의 일면에는 커플링(23)이 장착되고, 브라켓(26)의 타면에는 모터(22)가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26)에는 구동샤프트(220)가 관통할 수 있는 홀(26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샤프트(220)는 홀(260)에 통과하여 커플링(23)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23)의 타측에는 지지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7)는 커플링(23)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27)에는 볼스크류(20)가 삽입될 수 있는 홀(27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7)는 볼스크류(20)에 장착되어 커플링(23)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플링(23)의 측방에는 간섭브라켓(25)이 마련될 수 있다. 간섭브라켓(25)은 커플링(23)의 상, 하부에 마련된 브라켓(26), 지지부(27)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간섭브라켓(25)은 커플링(23)의 측방에 위치되어, 커플링(23)의 파단시 브레이크 장치(4)로부터 돌출된 스토퍼(43:도 6 참조)를 간섭할 수 있다. 간섭브라켓(25)의 장착 위치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커플링(23)의 파단시 돌출된 스토퍼(43)를 간섭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4)는 탑홀더(41) 및 바텀홀더(42)를 포함할 수 있다. 탑홀더(41)는 커플링(23)의 상부에 위치되고, 바텀홀더(42)는 커플링(2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탑홀더(41)에는 볼스크류(20)가 관통할 수 있는 홀(410)이 구비될 수 있다. 탑홀더(41)에 형성된 홀(410)을 통과하는 볼스크류(20)의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탑홀더(41)에 형성된 홀(410)은 돌기가 형성된 볼스크류(2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볼스크류(20)에 형성된 돌기가 홀(410)에 삽입되어 간섭됨으로써 볼스크류(20)와 탑홀더(4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탑홀더(41)에는 스토퍼(43)가 수용될 수 있는 스토퍼 수용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411)는 탑홀더(41)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411)가 위치되는 탑홀더(41)의 측면의 일부는 개구될 수 있다.
탑홀더(41)의 측면에는 스토퍼 수용부(411)에 수용된 스토퍼(43)가 돌출될 수 있는 측면홀(412)이 구비될 수 있다. 측면홀(412)은 스토퍼 수용부(411)와 연통될 수 있다. 스토퍼(43)는 커플링(23)의 파단시 측면홀(412)을 통해 탑홀더(4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2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44)가 삽입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23)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1면(431) 및 제2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431)과 제2면(432) 간의 간격(d1)은 핀(45)의 직경의 길이(d2)와 동일하거나 다소 클 수 있다. 탄성부재 수용부(430)는 제1면(431)과 제2면(43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탑홀더(41)의 상부면 또는 저면에는 핀(45)이 삽입될 수 있는 핀장착부(413)이 구비될 수 있다. 핀장착부(413)을 통해 삽입된 핀(45)은 탑홀더(41)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홀(412)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바텀홀더(42)에는 모터(22)와 연결된 구동샤프트(220)가 연결될 수 있는 홀(420)이 구비될 수 있다. 탑홀더(41)에 형성된 홀(410)의 경우와 유사하게, 구동샤프트(220)의 외측면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바텀홀더(42)에 형성된 홀(420)은 돌기가 형성된 구동샤프트(22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샤프트(220)에 형성된 돌기가 홀(420)에 삽입되어 간섭됨으로써 구동샤프트(220)와 바텀홀더(42)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바텀홀더(42)에는 푸쉬바(421)가 구비될 수 있다. 푸쉬바(421)는 바텀홀더(42)의 저면과 직교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푸쉬바(421)의 일부는 탑홀더(41)에 구비된 스토퍼 수용부(411)에 삽입될 수 있다. 커플링(23)의 파단시, 푸쉬바(421)는 스토퍼(43)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된 스토퍼(43)는 측면홀(412)을 통해 탑홀더(4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탑홀더(41)는 커플링(23)의 상부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1탑홀더(41a)와 나머지 일부를 커버하는 제2탑홀더(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탑홀더(41a) 및 제2탑홀더(41b)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411)는 제1탑홀더(41a) 또는 제2탑홀더(41b)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43)가 돌출될 수 있는 측면홀(412)은 제1탑홀더(41a) 또는 제2탑홀더(41b)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바텀홀더(42)는 커플링(23)의 저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1바텀홀더(42a)와 나머지 일부를 커버하는 제2바텀홀더(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텀홀더(42a)와 제2바텀홀더(42b)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탑홀더(41) 또는 바텀홀더(42)는 각각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스토퍼(43)의 탄성부재 수용부(430)에는 탄성부재(44)가 수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4)가 수용된 스토퍼(43)는 탑홀더(41)에 구비된 스토퍼 수용부(411)에 수용될 수 있다. 탑홀더(41)에 구비된 핀장착부(413)에는 핀(45)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스토퍼(43)는 볼스크류(20)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43)의 제1면(431)과 제2면(432)의 단부는 측면홀(412)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커플링(23)의 파단되어, 스토퍼(43)가 푸쉬바(421)에 의해 가압되고 측면홀(412)을 통해 돌출될 때, 핀(45)은 제1면(431)과 제2면(43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43)와 탄성부재(44)는 핀(45)에 의해 스토퍼 수용부(411)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핀(45)은 스토퍼(43)에 수용된 탄성부재(44)를 가압하고, 탄성부재(44)는 탄성부재 수용부(430)를 형성하는 스토퍼(43)의 내측 일면을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43)는 핀(45)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려나 있을 수 있다. 이때 스토퍼(43)의 일측은 푸쉬바(421)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재 수용부(430)에는 푸쉬바(4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푸쉬바(421)는 스토퍼(43)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커플링(23)이 정상 상태인 경우 푸쉬바(421)는 스토퍼(43)의 일측방에 위치되어 스토퍼(43)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43)는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바(421)의 측방을 가압할 수 있다. 커플링(23)의 파단시, 푸쉬바(421)는 탄성부재(44)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스토퍼(43)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정상일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23)가 정상 상태인 경우, 브레이크 장치(4)의 스토퍼(43)는 탑홀더(41)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스토퍼(43)에 수용된 탄성부재(44)는 핀(45)에 의해 가압되고,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43)의 일측은 푸쉬바(421)에 접촉될 수 있다.
모터(22)의 구동력은 구동샤프트(220), 커플링(23)을 통해 볼스크류(20)로 전달될 수 있다. 탑홀더(41) 측에 연결된 볼스크류(20)는 바텀홀더(42) 측에 연결된 구동샤프트(220)와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커플링(23)이 정상인 상태에서는, 스토퍼(43)의 일측이 푸쉬바(421)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구동샤프트(220)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볼스크류(20)가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3)는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샤프트(220) 및 볼스크류(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면 본체(3)는 상승할 수 있고,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면 본체(3)는 하강할 수 있다.
커플링(23)이 파단된 경우에는, 탑홀더(41) 측과 바텀홀더(42) 측의 회전 속도가 다르거나 회전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플링(23)이 파단된 경우 브레이크 장치(4)에 의해 볼스크류(20)의 회전이 멈추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파손된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에 스위치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23)이 상부커플링(23a)과 하부커플링(23b)으로 분리되도록 파단되면, 상부커플링(23a)에 연결된 볼스크류(20)와 하부커플링(23b)에 연결된 구동샤프트(220) 간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샤프트(220) 및 볼스크류(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여 본체(3)가 상승하는 중 커플링(23)이 파단된 경우, 상부커플링(23a) 측과 하부커플링(23b) 측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부커플링(23b) 측에 연결된 구동샤프트(220)는 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A)으로 계속해서 회전하지만, 상부커플링(23a) 측에 연결된 볼스크류(20)에는 구동샤프트(22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못한다. 볼스크류(20)는, 본체(3)의 무게에 의해 본체(3)가 하강하려는 방향, 즉,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볼스크류(20)가 연결된 상부커플링(23a)은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고, 구동샤프트(220)가 연결된 하부커플링(23b)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부커플링(23a) 측이 구비된 탑홀더(41)는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고, 하부커플링(23b) 측에 구비된 바텀홀더(42)는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커플링(23a)과 하부커플링(23b)의 회전 방향이 상이하게 됨에 따라, 바텀홀더(42) 측에 구비된 푸쉬바(421)는 바텀홀더(42)와 함께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여 스토퍼(43)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44)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푸쉬바(421)에 의해 가압된 스토퍼(43)는 탑홀더(41)의 측면홀(412)을 통해 탑홀더(4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스토퍼(43)는 커플링(23)의 측방에 위치된 간섭브라켓(2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스토퍼(43)가 간섭브라켓(25)에 의해 간섭되면, 탑홀더(41), 탑홀더(41)가 결합된 상부커플링(23a) 및 상부커플링(23a)에 연결된 볼스크류(20)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멈출 수 있다.
구동샤프트(220) 및 볼스크류(20)가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여 본체(3)가 하강하는 중 커플링(23)이 파단된 경우, 상부커플링(23a)과 하부커플링(23b)의 회전 속도는 상이해질 수 있다. 볼스크류(20)는 본체(3)의 무게에 의해 본체(3)가 하강하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구동샤프트(220)에 의한 회전 속도보다 더 큰 속도로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볼스크류(20)가 연결된 상부커플링(23a)은 구동샤프트(220)가 연결된 하부커플링(23b)보다 더 큰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커플링(23a) 측에 구비된 탑홀더(41)는 하부커플링(23b) 측에 구비된 바텀홀더(42)보다 빠른 속도로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텀홀더(42)측의 속도가 탑홀더(41) 측의 속도보다 느리므로, 바텀홀더(42)에 구비된 푸쉬바(421)는 탑홀더(41) 측에 구비된 스토퍼(43)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푸쉬바(421)에 의해 가압된 스토퍼(43)는 측면홀(412)을 통해 탑홀더(4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탑홀더(4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43)는 간섭브라켓(2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스토퍼(43)가 간섭브라켓(25)에 의해 간섭되면, 탑홀더(41), 탑홀더(41)에 결합된 상부커플링(23a) 및 상부커플링(23a)에 연결된 볼스크류(20)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플링(23)이 파단된 경우, 탑홀더(4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43)가 간섭브라켓(25)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볼스크류(20)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볼스크류(20)가 회전을 멈춤으로써 본체(3)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섭브라켓(25)에는 스토퍼(4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스위치(28)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28)는 간섭브라켓(25)의 일측에 구비되어 탑홀더(41)로부터 돌출된 스토퍼(4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돌출된 스토퍼(43)에 의해 스위치(28)가 가압되면, 제어부(미도시)에는 커플링(23)이 파단되었다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4)는, 커플링(23)이 파단된 경우 기계적 구조에 의해 볼스크류(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3)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식 브레이크가 적용되는 경우,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기계식 구조를 가진 브레이크에 비해 제조 비용이 높다.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은 기계식 구조를 가진 브레이크 장치(4)의 경우, 제조 비용이 낮고, 본체(3)의 추락을 신뢰성있게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5)는 스탠드(6) 및 승강가능하게 스탠드(6)에 연결된 본체(7)를 포함한다. 스탠드(6)에는 본체(7)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7)의 승하강 구조는, 볼스크류(70) 및 볼너트(71)를 포함한다. 볼너트(71)는 볼스크류(70)에 장착되고, 볼스크류(7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볼너트(71)는 볼스크류(70)를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탠드(6)에는 볼스크류(70)가 구비될 수 있다. 볼스크류(70)는 모터(7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70)의 일측에는 모터(72)와 볼스크류(70)를 연결하는 커플링(73)이 구비된다. 볼스크류(70)에는, 커플링(73)의 파단시 본체(7)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의 승하강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영상 촬영기기(5)의 볼스크류(70)는 모터(7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70)는 커플링(73)에 의해 모터(72)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73)의 일측에는 볼스크류(70)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73)의 타측에는 모터(72)와 연결된 구동샤프트(720)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72)의 구동력은 구동샤프트(720), 커플링(73)을 통해 볼스크류(70)로 전달되어, 볼스크류(7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72)에 의해 구동샤프트(7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샤프트(720)와 함께 커플링(73) 및 볼스크류(70)도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70)에는 브레이크 장치(8)가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8)는 커플링(73)이 파단되어 본체(7)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와 유사하게, 커플링(73)이 정상 상태일 때, 볼스크류(70)와 구동샤프트(720)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력을 갖고 회전하지만, 커플링(73)이 파단된 경우, 볼스크류(70)와 구동샤프트(7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되 다른 속도도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커플링(73)이 정상 상태인 경우, 모터(72)의 구동력에 의해 커플링(73) 및 볼스크류(70)는 구동샤프트(720)와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7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면, 커플링(73) 및 볼스크류(70)는 구동샤프트(720)는 구동샤프트(720)와 동일한 속력으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볼너트(71)는 볼스크류(70)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7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는 중, 커플링(73)의 파단이 발생하면, 커플링(73)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72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는 중 커플링(73)이 상부커플링과 하부 커플링으로 파단되면, 구동샤프트(720)가 연결된 하부커플링은 구동샤프트(720)와 함게 계속해서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지만, 하부커플링의 회전력은 상부커플링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이때 볼스크류(70)는, 볼스크류(70)에 연결된 본체(7)의 무게에 의해 본체(7)가 하강하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70) 및 볼스크류(70)가 연결된 상부커플링은 본체(7)가 하강하는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70)는 모터(72)의 구동력을 전달받지 못하고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여 본체(7)가 추락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720)가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는 중, 커플링(73)의 파단이 발생하면, 커플링(73)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회전 속도차가 발생할 수 있다. 하부커플링은 구동샤프트(720)와 함께 회전하고, 구동샤프트(720)의 회전력은 상부커플링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볼스크류(70) 및 상부커플링은, 볼스크류(70)에 연결된 본체(7)의 무게에 의해 구동샤프트(720)에 의한 회전력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본체(7)는 빠른 속도로 추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7)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볼스크류(70)에는 볼스크류(70)의 회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장치(8)가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8)에 의해 볼스크류(70)가 구동력와 무관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본체(7)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플링(73)의 일측에는 모터(72)가 장착될 수 있는 브라켓(74)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브라켓(74)은 커플링(73)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74)의 일면에는 커플링(73)이 장착되고, 브라켓(74)의 타면에는 모터(72)가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74)에는 구동샤프트(720)가 관통할 수 있는 홀(7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샤프트(720)는 홀(740)을 통과하여 커플링(73)에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73)의 타측에는 지지부(75)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75)는 커플링(73)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75)에는 볼스크류(70)가 삽입될 수 있는 홀(750)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75)는 볼스크류(70)에 장착되어 커플링(73)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및 커플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8)는 탑홀더(81) 및 바텀홀더(82)를 포함할 수 있다. 탑홀더(81)는 커플링(73)의 상부에 위치되고, 바텀홀더(82)는 커플링(7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탑홀더(81)에는 볼스크류(70)가 관통할 수 있는 홀(810)이 구비될 수 있다. 탑홀더(81)에 형성된 홀(810)을 통과하는 볼스크류(70)의 일측에는 돌기(700)가 형성될 수 있다. 탑홀더(81)에 형성된 홀(810)은 돌기(700)가 형성된 볼스크류(7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볼스크류(70)에 형성된 돌기(700)가 홀(810)에 삽입되어 간섭됨으로써 볼스크류(70)와 탑홀더(8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탑홀더(81)에는 스토퍼 수용부(8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811)는 탑홀더(81)의 일측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811)는 탑홀더(82)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811)에는 스토퍼(83)가 수용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811)에는 스토퍼(83)를 가압하는 탄성부재(84)가 더 수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84)는 스토퍼 수용부(811)에 수용되어 바텀 홀더(82) 측을 향하는 탄성력을 스토퍼(83)에 제공할 수 있다.
바텀홀더(82)에는 모터(72)와 연결된 구동샤프트(720)가 연결될 수 있는 홀(820)이 구비될 수 있다. 바텀홀더(82)에 형성된 홀(810)의 경우와 유사하게, 구동샤프트(720)의 외측면에는 돌기(721)가 구비되고, 바텀홀더(82)에 형성된 홀(820)은 돌기(721)가 형성된 구동샤프트(72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샤프트(720)에 형성된 돌기(721)가 홀(820)에 삽입되어 간섭됨으로써 구동샤프트(720)와 바텀홀더(82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바텀홀더(82)의 일측에는 간섭홈(821)이 구비될 수 있다. 간섭홈(821)은 바텀홀더(82)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커플링(73)이 파단되어, 탑홀더(81)와 바텀홀더(82)가 다른 속도로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탑홀더(81)의 스토퍼 수용부(811)에 수용된 스토퍼(83)는 간섭홈(821) 측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바텀홀더(82)에는 스토퍼(83)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 안착부(82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안착부(822)는, 스토퍼 안착부(822)에 안착된 스토퍼(83)가 외력에 의해 스토퍼 안착부(822)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얕은 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탑홀더(81)의 스토퍼 수용부(811)에 수용된 스토퍼(83)의 일측은 스토퍼 안착부(822)에 안착되어 바텀홀더(82)의 상부면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 안착부(822)는 스토퍼 수용부(811)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커플링(73)이 파단되어 탑홀더(81)와 바텀홀더(82)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토퍼(83)의 일측은 스토퍼 안착부(822)로부터 이탈하여 바텀홀더(82)의 상부면을 슬라이딩한 후 간섭홈(821)에 삽입될 수 있다.
탑홀더(81)는 커플링(73)의 상부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1탑홀더(81a)와 나머지 일부를 커버하는 제2탑홀더(8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탑홀더(81a)와 제2탑홀더(81b)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 수용부(811)는 제1탑홀더(81a) 또는 제2탑홀더(81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바텀홀더(82)는 커플링(73)의 저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1바텀홀더(82a) 및 나머지 일부를 커버하는 제2바텀홀더(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텀홀더(82a)와 제2바텀홀더(82b)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탑홀더(81) 또는 바텀홀더(82)는 각각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커플링(73)이 정상일 경우 또는 커플링이 파단된 경우의 브레이크 장치(8)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정상일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73)이 정상 상태인 경우, 브레이크 장치(8)의 스토퍼(83)의 일측은 탑홀더(81)에 구비된 스토퍼 수용부(811)에 삽입되고, 스토퍼(83)의 타측은 바텀홀더(82)에 구비된 스토퍼 안착부(822)에 안착된다. 스토퍼 수용부(811)에 수용된 탄성부재(84)는 스토퍼(83)를 바텀홀더(82)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모터(72)의 구동력은 구동샤프트(720), 커플링(73)을 통해 볼스크류(70)로 전달될 수 있다. 탑홀더(81) 측에 연결된 볼스크류(70)는 바텀홀더(82) 측에 연결된 구동샤프트(720)와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커플링(73)이 정상인 상태에서는, 스토퍼 수용부(811)에 스토퍼(83)가 삽입되어 바텀홀더(82)를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구동샤프트(720)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볼스크류(7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7)는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샤프트(720) 및 볼스크류(73)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면 본체(7)는 상승할 수 있고,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면 본체(7)는 하강할 수 있다.
커플링(73)이 파단된 경우에는, 탑홀더(81) 측과 바텀홀더(82) 측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레이크 장치(8)에 의해 볼스크류(73)의 회전이 멈추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이 파손된 경우 브레이크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73)이 상부커플링(73a)과 하부커플링(73b)으로 분리되도록 파단되면, 상부커플링(73a)에 연결된 볼스크류(70)와 하부커플링(73b)에 연결된 구동샤프트(720) 간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구동샤프트(720) 및 볼스크류(70)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하여 본체(7)가 상승하는 중 커플링(73)이 파단된 경우, 상부커플링(73a) 측과 하부커플링(73b) 측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하부커플링(73b) 측에 연결된 구동샤프트(720)는 모터(72)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A)으로 계속해서 회전하지만, 상부커플링(73a) 측에 연결된 볼스크류(70)에는 구동샤프트(72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못한다. 볼스크류(70)는, 본체(7)의 무게에 의해 본체(7)가 하강하려는 방향, 즉,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볼스크류(70)가 연결된 상부커플링(73a)은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고, 구동샤프트(720)가 연결된 하부커플링(73b)은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커플링(73a) 측에 구비된 탑홀더(81)는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고, 하부커플링(73b) 측에 구비된 바터몰더(82)는 시계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커플링(73a)과 하부커플링(73b)의 회전 방향이 상이하므로, 스토퍼(83)는 탑홀더(81) 측과 함께 회전하여 바텀홀더(82)의 스토퍼 안착부(822)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스토퍼 안착부(822)로부터 빠져나온 스토퍼(83)는 바텀홀더(82)의 상부면을 슬라이딩하고, 간섭홈(821)에 이르러 간섭홈(821)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83)는 탄성부재(84)의 탄성력에 의해 간섭홈(821)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83)는 상측 일부가 탑홀더(81) 측에 구비된 스토퍼 수용부(811)에 수용되고, 하측 일부가 바텀홀더(82) 측에 구비된 간섭홈(821)에 수용될 수 있다. 탑홀더(81) 및 바텀홀더(82)를 구속하는 스토퍼(83)에 의해 탑홀더(81) 측에 연결된 상부커플링(73a) 및 바텀홀더(82) 측에 연결된 하부커플링(73b)은 시계 방향(A)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구동샤프트(720)의 회전력이 볼스크류(70)에 전달될 수 있다.
바텀홀더(82)의 간섭홈(821)의 일측에는 스위치(76)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83)가 간섭홈(821)에 삽입되면, 스위치(76)가 가압될 수 있다. 스위치(76)가 가압되면, 제어부(미도시)에는 커플링(73)이 파단되었다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5)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구동샤프트(720) 및 볼스크류(70)가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여 본체(7)가 하강하는 중 커플링(73)이 파단된 경우, 상부커플링(73a)과 하부커플링(73b)의 회전 속도는 상이해질 수 있다. 볼스크류(70)는 본체(7)의 무게에 의해 본체(7)가 하강하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구동샤프트(720)에 의한 회전 속도보다 더 큰 속도로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볼스크류(70)가 연결된 상부커플링(73a)은 구동샤프트(720)가 연결된 하부커플링(73b)보다 더 큰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커플링(73a) 측에 구비된 탑홀더(81)는 하부커플링(73b) 측에 구비된 바텀홀더(82)보다 빠른 속도로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하므로, 탑홀더(81) 측에 구비된 스토퍼(83)는 바텀홀더(82)의 스토퍼 안착부(822)로부터 이탈하여 바텀홀더(82)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83)가 바텀홀더(82)의 간섭홈(821)에 이르면, 스토퍼(83)는 탄성부재(84)에 의해 간섭홈(8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83)의 상측 일부는 탑홀더(81)의 스토퍼 수용부(811)에 수용되고, 스토퍼(83)의 하측 일부는 바텀홀더(82)의 간섭부(821)에 수용될 수 있다. 탑홀더(81) 및 바텀홀더(82)를 구속하는 스토퍼(83)에 의해 탑홀더(81) 측에 연결된 상부커플링(73a) 및 바텀홀더(82) 측에 연결된 하부커플링(73b)은 동일한 속도로 반시계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구동샤프트(720)의 회전력이 볼스크류(70)에 전달될 수 있다.
스토퍼(83)가 간섭부(821)에 삽입되면, 간섭부(821)에 마련된 스위치(76)가 가압되고, 스위치(76)가 가압되면 제어부에 커플링(73)이 파단되었다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커플링(73)이 파단되었다는 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5)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계적인 구조를 가진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커플링이 파단되는 경우에도 본체의 추락이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인 방식으로 구동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비해 제조 비용이 낮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뿐만 아니라 유사한 승하강 구조를 가진 다른 기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유방 영상 촬영기기 2: 스탠드
3: 본체 4: 브레이크 장치
20: 볼스크류 21: 볼너트
22: 모터 23: 커플링
30: 엑스선 발생부 31: 엑스선 검출부
32: 압박 패들 33: 손잡이
41: 탑홀더 42: 바텀홀더
43: 스토퍼 44: 탄성부재
45: 핀 411: 스토퍼 수용부
412: 측면홀 421: 푸쉬바
430: 탄성부재 수용부
5: 유방 영상 촬영기기 6: 스탠드
7: 본체 8: 브레이크 장치
70: 볼스크류 71: 볼너트
72: 모터 73: 커플링
81: 탑홀더 82: 바텀홀더
83: 스토퍼 84: 탄성부재
821: 간섭홈 822: 스토퍼 안착부

Claims (27)

  1. 본체가 연결되는 승하강암;
    상기 승하강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일측에 상기 모터에 구비된 구동샤프트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승하강암이 연결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플링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홀더;
    상기 홀더에 구비되고,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커플링의 일측의 회전을 방해하도록 간섭부에 의해 간섭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커플링의 상부에 위치되는 탑홀더 및 상기 커플링의 하부에 위치되는 바텀홀더를 포함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탑홀더에 구비되고, 상기 바텀홀더에는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스토퍼를 가압하는 푸쉬바가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푸쉬바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탑홀더의 일측방으로 돌출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일측방에는 상기 탑홀더의 일측방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간섭하는 간섭부가 위치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간섭부에 의해 간섭되면 상기 승하강암의 회전이 정지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에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커플링이 파단되었다는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홀더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푸쉬바 측으로 가압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탄성부재 수용부가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홀더의 일측에는 스토퍼 수용부가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탑홀더에는 측면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측면홀을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홀에는, 상기 측면홀을 가로지르도록 핀이 위치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서로 이격되어 연장된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쉬바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사이에 상기 핀이 위치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암은 볼스크류인 유방 영상 촬영장치.
  16. 본체가 승하강가능하게 연결되는 승하강암;
    일측에 상기 승하강암이 연결되고 타측에 모터와 연결된 구동샤프트가 연결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파단된 커플링 부분들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는 탑홀더;
    상기 커플링의 타측에 구비되는 바텀홀더; 및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승하강암과 상기 구동샤프트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탑홀더와 상기 바텀홀더를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탑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스토퍼 수용부가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이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스토퍼의 일측은 상기 바텀홀더의 일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커플링의 파단시 상기 스토퍼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섭홈이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바텀홀더 측으로 가압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2. 본체가 승하강가능하게 연결된 승하강암;
    상기 승하강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일측에 상기 승하강암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모터의 구동샤프트가 연결되는 커플링; 및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 구비되고 스토퍼가 구비된 탑홀더 및 상기 커플링의 타측에 구비되는 바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이 파단되면 상기 스토퍼가 간섭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커플링의 일측이 타측과 분리되어 회전하는 것이 방해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일측에는 간섭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간섭브라켓에 의해 간섭될 수 있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브라켓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간섭되면 상기 본체는 승하강 동작을 멈추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홀더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될 수 있는 스토퍼 수용부가 구비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탑홀더와 상기 바텀 홀더는 서로 구속되어 함께 회전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승하강암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유방 영상 촬영기기.
KR1020140158853A 2014-11-14 2014-11-14 유방 영상 촬영기기 KR20160057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853A KR20160057793A (ko) 2014-11-14 2014-11-14 유방 영상 촬영기기
US14/735,521 US9724065B2 (en) 2014-11-14 2015-06-10 Mammograph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853A KR20160057793A (ko) 2014-11-14 2014-11-14 유방 영상 촬영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93A true KR20160057793A (ko) 2016-05-24

Family

ID=5596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853A KR20160057793A (ko) 2014-11-14 2014-11-14 유방 영상 촬영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24065B2 (ko)
KR (1) KR201600577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1428B2 (ja) * 2014-12-09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ンモ断層撮像システム
CN106264580B (zh) * 2016-10-11 2024-04-05 中国科学院高能物理研究所 一种双核素多功能乳腺成像系统的机械设备
US10672585B2 (en) * 2018-09-28 2020-06-02 Varex Imaging Corporation Vacuum penetration for magnetic assist be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4065B2 (en) 2017-08-08
US20160135771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7674A (ko) 유방 영상 촬영기기
US10231683B2 (en) Breast imaging apparatus
KR20160057793A (ko) 유방 영상 촬영기기
US9597056B2 (en) Method and systems for weight adjustment of an automated breast ultrasound system
EP2943125B1 (en) Mammography apparatus with pressure sensors and method, to monitor and adjust the pressure distribution
JP2008093135A (ja) 乳房撮影用x線ct装置
EP2979640B1 (en) Mammography device and method of photographing object to be inspected using the same
CN106264578B (zh) 乳腺x射线系统及其压迫装置
JP2010069241A (ja) 乳房断層画像撮影装置
US9420982B2 (en) Mammography detector having multiple sensors, and mammography device capable of acquiring 3D image acquisition
KR101340456B1 (ko) 다중 센서를 갖는 맘모그래피용 디텍터 및 3차원 영상 획득이 가능한 맘모그래피 장치
KR101456759B1 (ko) X선 촬영장치
US10631796B2 (en) Brake system and med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7012408A (ja) 乳房撮影装置、乳房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979639A1 (en) Mammography apparatus
EP2974662A1 (en) Digital mammography device
KR20190095821A (ko) 맘모그래피 장치
US10531849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radiographic imaging system, radiographic ima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4831702A (zh) 穿刺机器人及主手控制器
KR200441190Y1 (ko) 전후진 및 회전동작이 가능한 테이블을 가지는 의료용진단기기
US20160135773A1 (en) Mammography apparatus
CN111200969A (zh) 乳房摄影术装置
JP6676733B2 (ja) マンモグラフィー装置
KR101843291B1 (ko) 심장가압장치
CN219846554U (zh) 传感器组件以及脉诊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