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625A -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625A
KR20160057625A KR1020140158460A KR20140158460A KR20160057625A KR 20160057625 A KR20160057625 A KR 20160057625A KR 1020140158460 A KR1020140158460 A KR 1020140158460A KR 20140158460 A KR20140158460 A KR 20140158460A KR 20160057625 A KR20160057625 A KR 20160057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ounting
bolt
guid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536B1 (ko
Inventor
송복석
Original Assignee
송복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복석 filed Critical 송복석
Priority to KR102014015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및 본체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고정부재 및 장착고정부를 끼워 결합하는 구조의 간소화로 나비 너트를 회전시켜 결합할 때보다 작업공정이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Combining structure of the water tank and the body of the toilet}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탱크 및 본체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고정부재 및 장착고정부를 끼워 결합하는 구조의 간소화로 나비 너트를 회전시켜 결합할 때보다 작업공정이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탱크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개방함과 동시에 개방된 배수공으로 탱크에 저장된 물이 변기본체의 보올부로 배수되면서 보올부에 위치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여 세척하고, 용변의 세척이 완료되면서 낮아지는 물의 수위에 따라 사이폰덮개가 하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폐쇄시킨 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필밸브를 경유하여 탱크 및 변기본체의 보올부에 일정량 저장된 상태에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로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4-0008471호에 수조를 변기에 결합하기 위한 장착 조립체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수조의 구멍에 밀봉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밀봉부재의 몸체로 보울트를 결합하는데, 상기 보울트에 의해 밀봉부재의 정지부가 외향으로 벌어져 구멍의 내면 및 단부로 돌출되어 걸림과 동시에 밀봉부재를 통과하는 보올트의 단부는 변기의 구멍으로 돌출된 된 후, 와셔 결합 및 나비 너트를 체결하면서 수조와 변기를 결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수조의 구멍에 밀봉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밀봉부재에 보울트를 결합하여야 하는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기의 구멍으로 돌출되는 보울트에 나비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나비 너트의 회전에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로 작업시간이 늘어나 인건비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및 본체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고정부재 및 장착고정부를 끼워 결합하는 구조의 간소화로 나비 너트를 회전시켜 결합할 때보다 작업공정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의 향상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에 각각 관통된 설치공과;
상기 탱크의 설치공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볼트와;
상기 탱크의 설치공으로 돌출된 볼트에 결합될 때,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안내홈에 고정돌기가 장착되어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로 고정된 볼트를 본체의 설치공으로 결합하여 돌출시킨 후, 상기 본체의 설치공으로 돌출된 볼트의 나선부에 이동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장착고정부재가 장착되어 고정하는 장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 및 본체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고정부재 및 장착고정부를 끼워 결합하는 구조의 간소화로 나비 너트를 회전시켜 결합할 때보다 작업공정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의 향상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 내지 10은 본 발명의 공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100)는, 양변기의 탱크(10)와 본체(20)에 각각 관통된 설치공(110)(110')이 구성되고, 상기 탱크(10)의 설치공(110)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볼트(120)가 구성되며, 상기 탱크(20)의 설치공(110')으로 돌출된 볼트(120)에 결합될 때, 상기 볼트(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안내홈(122)에 고정돌기(132)가 장착되어 고정하는 고정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로 고정된 볼트(120)를 본체(20)의 설치공(110')으로 결합하여 돌출시킨 후, 상기 본체(20)의 설치공(110')으로 돌출된 볼트(120)의 나선부(123)에 이동안내부재(141)를 따라 이동하는 장착고정부재(142)가 장착되어 고정하는 장착고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볼트(120)는, 헤드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121) 일면에 다단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재(130)의 고정돌기(131)가 장착되는 고정안내홈(12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안내홈(122)과 연결되도록 돌출되어 장착고정부(140)가 설치되도록 하는 나선부(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안내홈(122)에 고정부재(130)의 고정돌기(131)가 분리되도록 절단된 돌기분리공간(122')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볼트(120)가 결합되는 결합공(131')이 관통된 고정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131) 저면에 하향으로 대향하게 돌출되어 볼트(120)의 고정안내홈(122)에 장착고정되는 고정돌기(1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이동안내부재(141)는, 상기 볼트(120)가 결합되는 결합공(141a')이 관통된 이동안내몸체(141a)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141a')과 연통되도록 이동안내몸체(141a) 내부에 요입되어 장착고정부재(1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공간(141b)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안내공간(141b) 내부에 이동안내몸체(141a)로부터 돌출되어 장착고정부재(142)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밀착안내편(141c)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안내공간(141b)과 연통되도록 이동안내몸체(141a)에 형성되어 장착고정부재(142)의 스토퍼(142c) 단부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41d)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장착고정부재(142)는, 상기 이동안내부재(141)에 구비된 이동안내공간(141b)에 결합되면서 경사면(142a')이 밀착안내편(141c)에 밀착되도록 하는 장착고정몸체(142a)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고정몸체(142a) 일측에 돌출되어 볼트(120)의 나선부(123)에 장착고정되는 장착고정돌기(142b)가 구비되며, 상기 장착고정몸체(142a) 타측 하단부에 돌출되어 이동안내부재(141)의 장착공간(141d)에 장착되도록 스토퍼(142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21) 일면에 돌기분리공간(122')이 형성되는 다단의 고정안내홈(122)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안내홈(1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고정안내홈(122)에 나선부(123)가 형성된 볼트(120)를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안내홈(122)보다 나선부(123)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는 것은, 고정안내홈(122)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재(130)의 고정돌기(132)가 돌기분리공간(122')을 통해 나선부(123) 외부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볼트(120)를 탱크(10) 내부에서 외부로 나선부(123) 및 고정안내홈(122)이 돌출되도록 탱크(10)의 설치공(110)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헤드부(121)는 탱크(10) 내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나선부(123)를 통해 고정안내홈(122)에 결합된 패킹(P)은 헤드부(121)와 탱크(10) 내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설치공(110)을 폐쇄시켜 탱크(10)에 저장되는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공(110)으로 돌출된 볼트(120)의 나선부(123)를 통해 고정안내홈(122)에 고정부재(130)의 결합공(131')을 결합하는데, 고정부재(130)의 고정돌기(132) 내경이 나선부(123)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나선부(123)를 통해 고정안내홈(122)에 고정몸체(13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몸체(131)를 가압하여 탱크(10)의 저면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31) 저면에 하향으로 대향하게 돌출된 고정돌기(132)가 고정안내홈(122)의 모양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한 후, 자체 탄력으로 다시 내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고정안내홈(122)에 고정돌기(132)가 결합됨은 물론 고정몸체(131)의 상면이 탱크(10) 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130)에 의해 볼트(120)가 탱크(10)의 설치공(11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의 과정으로 볼트(120)에 설치된 고정부재(130)를 볼트(120)에서 분리하여야 할 경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0)의 고정몸체(1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돌기(132)가 고정안내홈(122)에서 이탈되어 돌기분리공간(122')에 위치하면, 고정돌기(132)의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돌기분리공간(122')를 따라 고정돌기(132)를 이동시키면서 고정부재(130)를 볼트(120)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32)와 돌기분리공간(122')은, 설계도면에 따라 편심되지 않도록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30)에 의해 볼트(120)가 탱크(10)의 설치공(110)에 고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110)에 고정된 볼트(120)를 본체(20)의 설치공(110')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110)이 형성된 탱크(10)를 본체(2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설치공(110)에 고정된 볼트(120)는 본체(20)에 관통된 설치공(110')으로 결합되어 돌출됨과 동시에 설치공(110')으로 돌출된 볼트(120)의 나선부(123)에 장착고정부(140)를 장착고정하여 탱크(10)와 본체(20)를 고정한다.
상기 장착고정부(14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고정부재(142)의 장착고정몸체(142a)를 이동안내부재(141)의 이동안내공간(141b)으로 결합한다. 이때, 장착고정몸체(142a)가 이동안내공간(141b)으로 결합되어 장착고정몸체(142a)의 경사면(142a')이 이동안내공간(141b)에 면접촉되면서 이동안내몸체(141a)로부터 돌출된 밀착안내편(141c)에 밀착됨과 동시에 장착고정몸체(142a)에 하단부에 돌출된 스토퍼(142c)가 이동안내공간(141b)과 연통된 장착공간(141d)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안내편(141c)에 경사면(142a')이 밀착된 장착고정부재(142) 단부는, 장착공간(141d)에 장착된 스토퍼(142c)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결합공(141a')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장착고정부재(142)가 이동안내부재(141)에 결합되면, 이 상태로 볼트(120)의 나사산(123)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장착고정부재(142)는 장착고정몸체(142a)의 경사면(142a')이 이동안내공간(141b)의 내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장착고정돌기(142b)가 나사산(123)의 모양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밀착안내편(141c)을 가압하여 복원력이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밀착안내편(141c)의 복원력으로 다시 장착고정돌기(142b)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나사산(123)에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동안내부재(141)의 상면이 본체(20)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때, 장착고정부재(142)의 스토퍼(142c)가 이동안내부재(141)의 장착공간(141d)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동안내부재(141)를 볼트(120)의 나사산(123)에 결합할 때, 이동안내부재(141)에서 장착고정부재(14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고정부재(142)는 밀착안내편(141c)이 탄력있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안내부재(141)가 본체(20)의 저면에 밀착되면, 상기 장착고정부재(142)가 나사산(123)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안내부재(141)를 회전시키면서 장착고정부재(142)가 나사산(123)에 체결됨과 동시에 장착고정부재(142)가 이동안내부재(141)를 가압하면서 본체(20)의 저면에 이동안내부재(141)가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고정부재(142)는 밀착안내편(141c)에 의해 장착고정돌기(142b)가 나사산(12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스토퍼(142c)가 장착공간(141d)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고정부재(142)가 이동안내부재(1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탱크(10)와 본체(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볼트(120)의 나선부(123)를 나비 너트로 체결하여 탱크(10)와 본체(20)를 결합시킬 때보다, 작업공정이 간단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볼트(120)에 설치된 장착고정부(140)를 볼트(120)의 나선부(123)로부터 분리할 경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고정부(140)의 이동안내부재(141)를 나선부(123)에 체결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안내부재(141)의 회전에 따라 장착고정부재(142)는 나선부(123)를 따라 회전되면서 나선부(123)로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장착고정부(140)를 볼트(120)에 상기의 과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결합구조 110,110': 설치공
120: 볼트 130: 고정부재
131: 고정몸체 132: 고정돌기
140: 장착고정부 141: 이동안내부재
142: 장착고정부재

Claims (6)

  1.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에 각각 관통된 설치공과;
    상기 탱크의 설치공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볼트와;
    상기 탱크의 설치공으로 돌출된 볼트에 결합될 때,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안내홈에 고정돌기가 장착되어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로 고정된 볼트를 본체의 설치공으로 결합하여 돌출시킨 후, 상기 본체의 설치공으로 돌출된 볼트의 나선부에 이동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장착고정부재가 장착되어 고정하는 장착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일면에 다단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장착되는 고정안내홈과;
    상기 고정안내홈과 연결되도록 돌출되어 장착고정부가 설치되도록 하는 나선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안내홈에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분리되도록 절단된 돌기분리공간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 저면에 하향으로 대향하게 돌출되어 볼트의 고정안내홈에 장착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재는,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된 이동안내몸체와;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이동안내몸체 내부에 요입되어 장착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공간과;
    상기 이동안내공간 내부에 이동안내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장착고정부재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밀착안내편과;
    상기 이동안내공간과 연통되도록 이동안내몸체 형성되어 장착고정부재의 스토퍼 단부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고정부재는,
    상기 이동안내부재에 구비된 이동안내공간으로 결합되면서 경사면이 밀착안내편에 경사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장착고정몸체와;
    상기 장착고정몸체 일측에 돌출되어 볼트의 나선부에 장착고정되는 장착고정돌기와;
    상기 장착고정몸체 타측 하단부에 돌출되어 이동안내부재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KR1020140158460A 2014-11-14 2014-11-14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KR10163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60A KR101636536B1 (ko) 2014-11-14 2014-11-14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60A KR101636536B1 (ko) 2014-11-14 2014-11-14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625A true KR20160057625A (ko) 2016-05-24
KR101636536B1 KR101636536B1 (ko) 2016-07-06

Family

ID=5611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460A KR101636536B1 (ko) 2014-11-14 2014-11-14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708B1 (ko) * 2017-04-28 2018-08-0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101Y1 (ko) * 2020-03-02 2021-08-03 김정호 양변기용 시트커버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664U (ja) * 1983-11-18 1985-06-2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ロ−タンクと便器の取付構造
JPS6158282U (ko) * 1984-09-21 1986-04-19
JPH04112962U (ja) * 1991-03-15 1992-10-01 松下電工株式会社 便器とロータンクの固定構造
JPH10331228A (ja) * 1997-06-04 1998-12-15 Toto Ltd 便器洗浄タン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664U (ja) * 1983-11-18 1985-06-22 株式会社イナックス ロ−タンクと便器の取付構造
JPS6158282U (ko) * 1984-09-21 1986-04-19
JPH04112962U (ja) * 1991-03-15 1992-10-01 松下電工株式会社 便器とロータンクの固定構造
JPH10331228A (ja) * 1997-06-04 1998-12-15 Toto Ltd 便器洗浄タン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708B1 (ko) * 2017-04-28 2018-08-0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536B1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2307B2 (ja) 洗濯機
KR20130064624A (ko)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KR101636536B1 (ko) 양변기의 탱크와 본체의 결합구조
US20150000022A1 (en) Popup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Sink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453608Y1 (ko) 너트 일체형 배수관
KR101726781B1 (ko) 양변기용 플랜지 구조
KR101169771B1 (ko)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KR101971165B1 (ko)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KR101521568B1 (ko) 양변기용 플랜지
KR200409569Y1 (ko)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KR20100127461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841703B1 (ko) 세면대용 폽업장치
KR101407071B1 (ko) 양변기의 보올과 트랩의 설치구조
KR101447196B1 (ko) 세면대용 폽업장치
KR101885708B1 (ko) 양변기 시트 고정장치
KR101677666B1 (ko) 세면대용 수도전 설치장치 및 방법
KR101713125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
KR20160003586U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JP2010053673A (ja) 洗面ボウルへの排水器具の取付構造
KR20160049811A (ko) 양변기 필밸브의 급수호스 설치구조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1910007B1 (ko) 일체형 좌변기
KR101945124B1 (ko) 세면대 배수관용 연결장치
KR20120098276A (ko) 팝업식 세면대 개폐장치용 개폐밸브
JP2011074702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