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122A -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122A
KR20160057122A KR1020140157938A KR20140157938A KR20160057122A KR 20160057122 A KR20160057122 A KR 20160057122A KR 1020140157938 A KR1020140157938 A KR 1020140157938A KR 20140157938 A KR20140157938 A KR 20140157938A KR 20160057122 A KR20160057122 A KR 2016005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ice server
source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823B1 (ko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14015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8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에 대해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 허브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소스콘텐츠를 가공하여 2차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저작툴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저작툴제공수단; 소스콘텐츠 또는 2차콘텐츠를 저작자정보 및 연관팩터와 함께 저장하는 콘텐츠등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은 각각 소스콘텐츠 획득수단과 2차콘텐츠 저작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소비자가 소스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2차콘텐츠를 간편하게 제작 및 반포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들이 콘텐츠 제작 및 보급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하고 소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창작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스콘텐츠가 서로 다른 스토리구조를 갖는 다양한 콘텐츠로 분화 및 재생산되므로 콘텐츠 시장규모와 소비자들의 콘텐츠 선택폭을 크게 넓힐 수 있다.

Description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nonlinear interactive contents and story hub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소비자가 소스콘텐츠(source contents)를 이용하여 2차 콘텐츠를 제작 및 반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소스콘텐츠가 온라인 상에서 서로 다른 스토리구조를 갖는 다양한 콘텐츠로 무한히 분화될 수 있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러한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통해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 간의 사용자 및 콘텐츠의 상호 이동을 유도하여 전체 콘텐츠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영화, 드라마, 음악, 동영상, 게임, 소설, 시나리오, 희곡, 만화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들이 온라인을 통해 소비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콘텐츠 제작자의 범위도 전문가 집단에서 일반인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따라 특허문헌 1, 2 와 같이 일반인이 자신의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저작툴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콘텐츠의 종류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아이콘, 이모티콘 등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콘텐츠 소비방식은 콘텐츠의 종류나 유통경로를 불문하고 완성된 콘텐츠가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이어서, 특정 콘텐츠의 소비자들은 모두 동일한 스토리 구조를 갖는 선형적인 콘텐츠를 소비하게 되고, 소비자가 원래 콘텐츠와 다른 스토리 구조를 원하더라도 그러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가 소스콘텐츠와 다른 스토리 구조를 갖는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싶어도, 마땅한 저작 툴이 없기 때문에 소스콘텐츠의 스토리구조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변경하거나 소스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창작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의 콘텐츠 관련 시스템은 대부분 내부 요소들끼리만 자체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과 연동하지 못하고 배타적 또는 폐쇄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고객층을 넓혀서 콘텐츠의 소비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물론 종래에도 웹페이지상에 제공되는 하이퍼링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단순히 사용자의 이동만으로 다른 시스템 사용자와의 상호교류나 콘텐츠의 확대 재생산을 확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체 콘텐츠 시장의 규모나 소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 사용자간의 상호교류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허브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8409호(2010.01.26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238423호(2013.02.28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텐츠 소비자가 소스콘텐츠를 변형 또는 분리하거나 서로 다른 소스콘텐츠를 결합하여 새로운 2차콘텐츠를 간편하게 제작 및 반포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콘텐츠 제작 및 보급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나의 소스콘텐츠가 서로 다른 스토리 구조를 갖는 다양한 콘텐츠로 분화되어 연쇄적으로 재생산 및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게 콘텐츠를 다양화시키고, 소비자들의 콘텐츠 선택폭을 넓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간에 사용자와 콘텐츠의 상호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면서 콘텐츠의 확대 재생산을 유도하여 콘텐츠의 소비량을 늘리고 콘텐츠 시장규모를 극대화할 수 있는 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에 대해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에서 요청한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제공수단; 소스콘텐츠를 가공하여 2차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저작툴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저작툴제공수단; 소스콘텐츠 또는 2차 콘텐츠의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스콘텐츠 또는 2차콘텐츠를 저작자정보 및 연관팩터와 함께 저장하는 콘텐츠등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은 각각,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였거나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콘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소스콘텐츠 획득수단; 상기 소스콘텐츠 획득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소스콘텐츠를 가공하여 2차 콘텐츠를 생성하는 2차콘텐츠 저작툴을 포함하며, 다른 시스템, 플랫폼 또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유입과 재유입을 유도하는 통로 역할을 하면서 콘텐츠의 확대 재생산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토리 허브 시스템에서, 상기 소스콘텐츠 획득수단은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만화콘텐츠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인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토리 허브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2차 콘텐츠에 대한 평가정보가 반영된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콘텐츠평가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다수의 사용자단말,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에서 소스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소스콘텐츠를 변형하여 2차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2차콘텐츠와 연관팩터를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에서,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소스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만화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프레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에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스콘텐츠의 저작자정보 및 상기 소스콘텐츠의 연관팩터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에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2차 콘텐츠에 대한 평가정보를 반영하여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에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다른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2차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작한 3차 콘텐츠와 상기 3차 콘텐츠의 연관팩터를 수신하고, 상기 3차콘텐츠를 상기 3차콘텐츠의 연관팩터 및 상기 2차콘텐츠의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서비스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에서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만화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프레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소스콘텐츠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소스콘텐츠를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스콘텐츠를 변형하여 2차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2차콘텐츠와 연관팩터를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소비자가 소스콘텐츠를 이용하여 새로운 2차콘텐츠를 간편하게 제작 및 반포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들이 콘텐츠 제작 및 보급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하고 소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창작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소스콘텐츠가 서로 다른 스토리구조를 갖는 다양한 콘텐츠로 분화 및 재생산되므로 콘텐츠 시장규모와 소비자들의 콘텐츠 선택폭을 크게 넓힐 수 있다.
또한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을 통해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간에 사용자와 콘텐츠의 활발한 이동과 교류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의 생산이 가능해지므로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 시장규모와 소비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허브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개략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일반사용자용 및 작가용 전용 애플리케이션(스토리툰)의 메인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일반사용자용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신이 생성한 2차콘텐츠의 목록을 나타낸 화면
도 6은 일반사용자용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타인이 생성한 2차콘텐츠의 목록을 나타낸 화면
도 7은 2차 콘텐츠의 순위 리스트를 나타낸 화면
도 8은 열람 중인 콘텐츠로부터 소스콘텐츠를 획득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2차 콘텐츠 제작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2차 콘텐츠 제작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2차 콘텐츠 제작과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소스콘텐츠를 업로드할 때 함께 저장되는 연관 팩터를 예시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소비자의 참여를 통해 서로 다른 스토리구조를 갖는 2차콘텐츠가 무한히 분화되는 모습을 예시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허브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스토리 허브시스템이 각각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시스템이나 플랫폼들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사용자들이 개별적인 시스템이나 플랫폼에 접속하였다가 스토리 허브 시스템으로 유입되고 다시 다른 시스템이나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b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이 개별적인 시스템이나 플랫폼뿐만 아니라 개별 콘텐츠에도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사용자들이 자신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스토리 허브 시스템으로 유입되고 이를 통해 다른 콘텐츠로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토리 허브 시스템을 통해 다른 시스템, 플랫폼, 콘텐츠로 이동하는 과정이 반복되면 콘텐츠의 전체 소비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개별 콘텐츠의 총 소비량 또는 개별 플랫폼이나 시스템의 총 플로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시스템이나 플랫폼 또는 컨텐츠에서 스토리 허브 시스템으로 이동하거나 다시 다른 시스템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는 후술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이나 다른 시스템 또는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하이퍼링크를 제공하면 되지만, 사용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사용자가 프로슈머가 되어 소스콘텐츠(source contents)를 가공(변경, 분리, 또는 결합)하여 새로운 스토리 구조를 갖는 2차, 3차, 4차,...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한편, 다른 사용자가 제작한 2차, 3차, 4차,...콘텐츠를 관람, 구입,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콘텐츠 흐름을 유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하나의 소스콘텐츠가 서로 다른 스토리구조를 갖는 다양한 콘텐츠로 분화 및 재생산되면, 연관 콘텐츠 또는 연관팩터 검색을 통해 스토리 허브 시스템으로 사용자들이 유입되거나 스토리 허브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 플랫폼 또는 콘텐츠로 이동하는 것이 훨씬 활발해지고 콘텐츠의 다양화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시장규모 및 소비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을 토대로 사용자의 위치, 취미, 성향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개인별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으로의 사용자 유입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단말(10), 작가가 사용하는 작가단말(20), 통신망(30)을 통해 사용자단말(10) 및 작가단말(20)과 통신하는 서비스서버(40)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서버(40)에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단말(60)이 연결될 수 있다. 관리자단말(60)은 내부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4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원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서버(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10), 작가단말(20) 및 관리자단말(60)은 데크스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일 수도 있다. 휴대형 단말인 경우에는 무선 인터넷 접속기능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사용자단말(10)과 작가단말(20)이 각각 2개씩 표시되었으나, 그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이기도 하면서 소스콘텐츠를 이용하여 2차콘텐츠를 제작하거나, n차콘텐츠를 이용하여 n+1차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프로슈머(prosumer)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작가'는 소스콘텐츠의 저작자로서, 소스콘텐츠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가지는 자연인 또는 법인을 의미한다. 작가는 저작권을 갖는 메인작가와 콘텐츠 관리, 댓글달기 등의 관리업무를 행하는 서브작가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작가단말(20)도 메인작가단말과 서버작가단말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작가는 원하는 숫자의 서브작가를 고용하여 자신의 저작권 지분의 일부를 공유할 수 있다. 서브작가는 메인작가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서버 운영업체의 직원이 대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리자'는 서비스서버(40)를 운영하는 자연인 또는 법인을 의미한다. 관리자는 계약된 작가의 인적 정보와 콘텐츠 정보를 서비스서버(40)에 등록한다.
작가나 관리자도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거나, 소스콘텐츠를 이용하여 2차콘텐츠를 생산하거나, n차 콘텐츠를 이용하여 n+1차 콘텐츠를 생산함으로써 사용자(프로슈머)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망(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선망, 무선망 또는 유무선결합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40)는 인터페이스수단(41), 콘텐츠제공수단(42), 저작툴제공수단(43), 콘텐츠등록수단(44), 검색엔진(45), 정산처리수단(46), 제어수단(4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서버(40)는 사용자DB(52), 작가DB(54), 콘텐츠DB(56)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 DB와 연동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회원간의 SNS메시지수단, 일반사용자 또는 작가로부터 소스콘텐츠 또는 2차, 3차...,n차 콘텐츠에 대한 평가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한편 실시간 순위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평가관리수단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서비스서버(40)는 접속요청자의 등록과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B에 대한 데이터 추가, 변경, 삭제, 검색 등을 지원하는 DB관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40)의 상기 각 수단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수단(41)은 사용자단말(10), 작가단말(20) 또는 관리자단말(6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응하여 적절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서비스서버(40)의 다른 수단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콘텐츠제공수단(42)은 사용자단말(10), 작가단말(20) 또는 관리자단말(6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요청신호에 응하여 콘텐츠DB(56)에서 콘텐츠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저작툴제공수단(43)은 사용자단말(10)의 요청에 응하여 콘텐츠(소스콘텐츠, n차 콘텐츠)를 변형, 분리, 결합할 수 있는 저작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저작툴제공수단(43)은 이러한 저작툴을 포함하는 전용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웹기반의 저작툴 페이지를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콘텐츠등록수단(44)은 콘텐츠(소스콘텐츠 또는 2차 콘텐츠)를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작가단말(20) 또는 관리자단말(60)로부터 소스콘텐츠를 수신하면, 작가정보, 연관 팩터(factor) 등과 연계하여 콘텐츠DB(56)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0)로부터 n차 콘텐츠를 수신하면, 사용자정보, 연관 팩터 등과 연계하여 콘텐츠DB(56)에 저장한다.
검색엔진(45)은 사용자단말(10), 작가단말(20) 또는 관리자단말(60)로 검색화면을 제공하고, 입력된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을 수행하며, 검색결과화면을 사용자단말(10), 작가단말(20) 또는 관리자단말(6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를 기초로 콘텐츠의 연관팩터를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스토리구조의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정산처리수단(46)은 소스콘텐츠 또는 n차콘텐츠의 전송에 따른 비용결제, 포인트정산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
제어수단(47)은 서비스서버(40)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수단(41), 콘텐츠제공수단(42), 저작툴제공수단(43), 콘텐츠등록수단(44), 검색엔진(45), 정산처리수단(46) 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서버(40)에 접속할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4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전용 애플리케이션(11)에 탑재된 사용자단말(10)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전용애플리케이션(11)은 콘텐츠뷰어(12), 소스콘텐츠획득수단(13), 2차콘텐츠저작툴(14), 콘텐츠 등록수단(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사용자단말(10)은 통신수단(16), 디스플레이수단(17), 입력수단(18), 제어수단(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사용자용 전용애플리케이션(11)을 실행하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 사용자별로 미니 홈페이지 형식의 초기화면이 표시되고, 작가용 전용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작가별로 미니 홈페이지 형식의 초기화면이 표시된다.
이들 초기화면은 공통적으로 상단에서부터 타이틀영역, 카테고리영역(예를 들어, 홈, 만화방, 두들링방 등의 카테고리로 구분됨), 프로필영역, 작품리스트영역, 방명록영역 등이 순서대로 표시된다. 다만 도면에 나타낸 화면 구성이나 메뉴 및 카테고리의 명칭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화면구성이나 명칭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영역에 표시된 '만화방' 메뉴는 전문 작가의 만화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두들링(doodling)방' 메뉴는 일반사용자가 생산한 2차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4a에서 작품리스트 영역에는 해당 홈페이지의 주인(일반사용자)이 소스콘텐츠를 가공하여 생성한 2차콘텐츠(두들링 작품)들의 썸네일 이미지 목록이 표시되며, 작품리스트영역에 표시된 'all' 메뉴를 선택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가 생산한 2차 콘텐츠(n차 콘텐츠 포함)의 전체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두들 전체보기' 화면으로 이동하며, 이 화면에는 작업중인 작품도 표시된다. 만일 타인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2차 콘텐츠 목록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중인 작품이 표시되지는 않는다.
한편 카테고리영역에 표시된 '두들링방' 메뉴를 선택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콘텐츠(n차 콘텐츠 포함)의 전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두들링방으로 이동한다.
'두들링방'에서는 다양한 기준으로 2차콘텐츠에 대한 순위를 표시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추천을 많이 받은 순서 또는 다운로드를 많이 한 순서로 리스트업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작가(원작자)별 작품검색, 일반사용자(프로슈머)별 작품검색, 제목검색 등의 기능이 추가로 지원될 수 있다.
한편 전용애플리케이션(11)의 콘텐츠뷰어(12)는 서비스서버(40)로부터 수신한 소스콘텐츠를 설정된 규격에 따라 사용자단말(10)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전자책뷰어, 동영상 플레이어, 뮤직플레이어 등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뷰어(12)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는 저작자(작가)가 창작한 최초의 콘텐츠일 수도 있고, 특수효과(음향, 움직임 등)를 가미하여 최초 콘텐츠를 가공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생산하여 서비스서버(40)에 등록한 2차콘텐츠일 수도 있다.
전용애플리케이션(11)의 소스콘텐츠획득수단(13)은 서비스서버(40)로부터 수신하였거나 사용자단말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가 사용자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되면, 해당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스콘텐츠가 만화 또는 웹툰인 경우에 사용자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된 화면전체 또는 화면일부를 캡쳐하여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프레임이 포함된 경우에는 원하는 프레임만을 캡쳐하여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원하는 프레임에 포함된 이미지 등의 콘텐츠만을 추출하여 소스콘텐츠로 저장할 수 있다.
도 8(a)는 사용자단말(10)의 화면에 다수의 프레임이 포함된 만화콘텐츠가 표시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다수의 프레임 중에서 원하는 프레임을 터치하면, 소스콘텐츠획득수단(13)은 선택된 프레임을 인식하고 인식된 프레임에 속하는 콘텐츠(이미지)를 추출한다. 이어서 화면 중앙에 '저장하기' 버튼을 팝업시키고, '저장하기'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프레임에 속하는 콘텐츠(이미지)를 '소스콘텐츠'로 저장한다. 이때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콘텐츠(이미지), 텍스트, 말풍선 등을 각각 독립적으로 추출하여 별도의 객체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는 사용자단말(10)의 화면에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만화콘텐츠가 표시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면, 화면 중앙에 '저장하기' 버튼을 팝업시키고, '저장하기'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화면이 '소스콘텐츠'로 저장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말풍선이나 텍스트는 독립적인 객체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저장된 '소스콘텐츠'는 예를 들어 '찜'항목으로 분류되어 사용자단말(10)에 저장되거나 서비스서버(4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스콘텐츠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만화콘텐츠로부터 소소콘텐츠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소스콘텐츠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따라서 동영상 또는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는 다수의 화면프레임 중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4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전체를 소스콘텐츠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인의 2차 콘텐츠(n차 콘텐츠 포함)를 소스콘텐츠로 선택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2차콘텐츠저작툴(14)은 사용자가 호출한 소스콘텐츠를 가공(변경, 분리, 결합 등)하여 2차콘텐츠를 제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2차콘텐츠저작툴(41)을 사용하여 자신 또는 타인의 n차콘텐츠를 호출하여 n+1차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콘텐츠등록수단(15)은 사용자가 제작한 2차 콘텐츠(n차 콘텐츠 포함)를 서비스서버(40)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가 제작한 2차 콘텐츠와 연관되는 팩터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2차콘텐츠가 사용자정보 및 연관팩터와 함께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텐츠 소비자가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를 제작 및 반포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단말(10)에서 2차콘텐츠저작툴을 실행한다. 2차콘텐츠저작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에 탑재된 전용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40)로부터 수신한 저작툴 웹페이지일 수도 있다. (ST11)
2차콘텐츠저작툴을 실행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2차콘텐츠 저작에 사용할 소스콘텐츠를 선택한다. 소스콘텐츠는 사용자가 전술한 소스콘텐츠 획득수단(13)을 통해 미리 선택 또는 제작하여 저장해 둔 것일 수도 있고, 만화방 또는 두들링방 메뉴를 통해 서비스서버(40)에 접속하여 작가의 소스콘텐츠 또는 일반사용자의 n차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ST12)
선택한 소스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해당 소스콘텐츠를 변경 또는 분리하거나, 다른 소스콘텐츠와 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2차콘텐츠를 생성한다.
일 예로서, 도 10a 내지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한 소스콘텐츠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해당 소스콘텐츠의 크기. 위치 등을 조정하고, '말풍선'을 호출하여 해당 소스콘텐츠의 일측에 표시한다. 이어서 말풍선을 더블클릭하여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텍스트를 입력하고, 화면 전체를 저장함으로써 2차콘텐츠가 생성된다.
다른 예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일부를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방식으로 선택한 후에 말풍선에 표시된 원래의 텍스트를 지우고 말풍선에 새로운 텍스트를 입력하여 저장함으로써 2차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소비자)가 서비스서버(40)에 업로드한 2차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 2차콘텐츠를 변형하여 3차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ST13)
한편 이렇게 생성된 2차콘텐츠를 서비스서버(40)로 업로드하거나 타인과 공유하는 경우에는 연관팩터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팩터는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로서, 에피소드, 캐릭터, 화면컷, 동영상 등의 스토리소자(Story element)에 태그된 일종의 내부 정보테이블이다. 연관팩터는 스토리소자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설명(남자, 여자, 어른, 아이, 노인, 개, 외계인 등), 인물이 위치하는 시공간에 대한 설명(현대, 중세, 조선시대, 강가, 빌딩내부, 자동차내부, 숲속 등), 인물의 동작 또는 사건에 대한 설명(고함지른다, 웃는다, 달린다, 운다, 싸운다, 전쟁중 등), 인물의 감정에 대한 설명(사랑한다. 기뻐한다, 화나있다, 증오한다, 아파한다) 등을 포함한다.
도 13은 한 컷트의 만화콘텐츠와 연관되어 저장되는 연관팩터를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연관팩터는 작가 또는 관리자가 소스콘텐츠를 등록할 때 작가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1차 연관팩터와, 사용자가 2차콘텐츠를 등록할 때 사용자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2차 연관팩터, 동일 또는 다른 사용자가 2차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하여 3차콘테츠를 제작할 때 사용자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3차 연관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n차콘텐츠를 생산할 때 함께 저장되는 n차 연관팩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의 가공(변형, 분리, 결합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직전 단계에서 저장된 저작자정보 및 연관팩터도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n차 콘텐츠를 저장할 때는 작가가 선택한 1차 연관팩터는 물론이고 2차, 3차 ... n-1차 연관팩터까지 모두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콘텐츠마다 연관팩터가 다양하게 축적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마이닝이 가능해지고, 콘텐츠 소비자입장에서는 연관팩터 검색을 통해 비선형 스토리 구조를 갖는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즉, 소비자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산과정이 축적되면,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단일 스토리 콘텐츠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분화를 통해 다양한 스토리구조가 그물망처럼 존재하게 되고, 소비자들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스토리구조 중에서 연관팩터의 검색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스토리구조를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일반 사용자들이 콘텐츠 소비와 생산에 참여하는 기회가 증대하고, 콘텐츠 시장규모도 더불어 증대하게 된다. (ST14)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단말(10)로부터 서비스서버(40)로 업로드된 2차콘텐츠는 전술한 전용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SNS페이지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될 수 있고, 다른 사용자에게 소스콘텐츠로 제공되어 콘텐츠 분화의 소스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스콘텐츠 또는 2차 콘텐츠를 열람한 사용자 또는 작가로부터 평가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준으로 서열화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ST1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고,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사용자단말 11: 전용애플리케이션
12: 콘텐츠뷰어 13: 소스콘텐츠획득수단
14: 2차콘텐츠 저작툴 15: 콘텐츠등록수단
16: 통신수단 17: 디스플레이수단
18: 입력수단 19: 제어수단
20: 작가단말 30: 통신망
40: 서비스서버 41: 인터페이스수단
42: 콘텐츠제공수단 43: 저작툴제공수단
44: 콘텐츠등록수단 45: 검색엔진
46; 정산처리수단 47: 제어수단
52: 사용자DB 54: 작가DB
56: 콘텐츠DB 60: 관리자단말

Claims (9)

  1.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에 대해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에서 요청한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제공수단;
    소스콘텐츠를 가공하여 2차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저작툴을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저작툴제공수단;
    소스콘텐츠 또는 2차 콘텐츠의 등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소스콘텐츠 또는 2차콘텐츠를 저작자정보 및 연관팩터와 함께 저장하는 콘텐츠등록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은 각각,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하였거나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콘텐츠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소스콘텐츠 획득수단;
    상기 소스콘텐츠 획득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소스콘텐츠를 가공하여 2차 콘텐츠를 생성하는 2차콘텐츠 저작툴
    을 포함하며, 다른 시스템, 플랫폼 또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유입과 재유입을 유도하는 통로 역할을 하면서 콘텐츠의 확대 재생산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콘텐츠 획득수단은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만화콘텐츠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인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
  3.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2차 콘텐츠에 대한 평가정보가 반영된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콘텐츠평가관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 허브 시스템
  4.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에서 소스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소스콘텐츠를 변형하여 2차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2차콘텐츠와 연관팩터를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소스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의 이전에는,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만화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프레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스콘텐츠의 저작자정보 및 상기 소스콘텐츠의 연관팩터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2차 콘텐츠에 대한 평가정보를 반영하여 순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2차콘텐츠를 상기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다른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2차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작한 3차 콘텐츠와 상기 3차 콘텐츠의 연관팩터를 수신하고,
    상기 3차콘텐츠를 상기 3차콘텐츠의 연관팩터 및 상기 2차콘텐츠의 연관팩터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
  9. 서비스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에서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하나의 화면에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만화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프레임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콘텐츠를 소스콘텐츠로 저장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소스콘텐츠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소스콘텐츠를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스콘텐츠를 변형하여 2차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2차콘텐츠와 연관팩터를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방법
KR1020140157938A 2014-11-13 2014-11-13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KR101643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38A KR101643823B1 (ko) 2014-11-13 2014-11-13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938A KR101643823B1 (ko) 2014-11-13 2014-11-13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122A true KR20160057122A (ko) 2016-05-23
KR101643823B1 KR101643823B1 (ko) 2016-07-28

Family

ID=5610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938A KR101643823B1 (ko) 2014-11-13 2014-11-13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8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943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코스코이 스토리 재구성을 통한 재구성 스토리의 콘텐츠의 제작 시스템 및 인터넷을 이용한 스토리 재구성의 재구성 스토리 콘텐츠의 제작 판매 방법
KR20190110860A (ko) * 2018-03-21 2019-10-01 (주) 올림플래닛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KR102637259B1 (ko) * 2023-11-07 2024-02-16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서, 제조사 및 유통사를 연결하는 b2b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033A (ko) * 2006-10-11 2008-04-16 한시간컴(주) 만화제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및 만화를이용한 강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8435A (ko) * 2008-04-11 2009-10-15 이지넷소프트(주) 인터넷 카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08409A (ko) 2008-07-16 2010-01-26 (주) 클릭플레이 콘텐츠 제작 서버 시스템 및 콘텐츠 제작 서버 시스템을이용한 광고방법
KR20110123393A (ko)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제노웰 모바일 디지털 만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238423B1 (ko) 2009-12-30 2013-02-28 최현호 콘텐츠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16277A (ko) * 2013-03-21 2014-10-02 최만석 대중 참여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3033A (ko) * 2006-10-11 2008-04-16 한시간컴(주) 만화제작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및 만화를이용한 강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8435A (ko) * 2008-04-11 2009-10-15 이지넷소프트(주) 인터넷 카툰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08409A (ko) 2008-07-16 2010-01-26 (주) 클릭플레이 콘텐츠 제작 서버 시스템 및 콘텐츠 제작 서버 시스템을이용한 광고방법
KR101238423B1 (ko) 2009-12-30 2013-02-28 최현호 콘텐츠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23393A (ko) * 2010-05-07 2011-11-15 주식회사 제노웰 모바일 디지털 만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40116277A (ko) * 2013-03-21 2014-10-02 최만석 대중 참여를 이용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943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코스코이 스토리 재구성을 통한 재구성 스토리의 콘텐츠의 제작 시스템 및 인터넷을 이용한 스토리 재구성의 재구성 스토리 콘텐츠의 제작 판매 방법
KR20190110860A (ko) * 2018-03-21 2019-10-01 (주) 올림플래닛 평면 디스플레이용 콘텐츠를 실린더용 콘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KR102637259B1 (ko) * 2023-11-07 2024-02-16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서, 제조사 및 유통사를 연결하는 b2b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823B1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076B2 (en) Social media platform
RU2488970C2 (ru) Способ связ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продукты для связи
CN103403705B (zh) 使用媒体文件加载移动计算设备
US817039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montage video data
US830728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nline video-based property commerce
US8977779B2 (e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with personalized user interface and content
US9535945B2 (en) Intent bas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US20170168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universally compatible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US20160034437A1 (en) Mobile social content-creation application and integrated website
US20130268513A1 (en) Annotations based on hierarchical categories and groups
US20100023871A1 (en) Methods and Systems Providing an Interactive Social Ticker
US20170220591A1 (en)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WO2012056726A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ビスシステム
US20140289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 users to comment on webpage content for display on remote websites
CN101981570A (zh) 用于与内容对象集成、关联和交互的开放式架构
KR20150042894A (ko) 프로필 이미지 카드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8317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providing available actions from one or more computer applications to a user
US10114897B1 (en)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KR101643823B1 (ko) 비선형 쌍방향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활용한 스토리 허브 시스템
KR2015005552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96853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US10248728B1 (en)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CN107111657A (zh) 基于web内容的信息与web内容的web应用检索和显示
JP7003017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US20150332322A1 (en) Entity sponsorship within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