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724A -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724A
KR20160056724A KR1020140157401A KR20140157401A KR20160056724A KR 20160056724 A KR20160056724 A KR 20160056724A KR 1020140157401 A KR1020140157401 A KR 1020140157401A KR 20140157401 A KR20140157401 A KR 20140157401A KR 20160056724 A KR20160056724 A KR 20160056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ody
pipe
guide groove
slo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922B1 (ko
Inventor
김학돈
박용범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14015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9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9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doscopes (AREA)

Abstract

관절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에 구동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은 밴드를 나선형으로 와인딩하여 복수의 관절부가 적층된 중공의 관절본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관절본체 내에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1 슬롯이 형성된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파이프가 상기 관절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이격 형성된 가압부재를 상기 제1 슬롯에 삽입하여 상기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동일 패턴으로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ndoscope tube}
본 발명은 별도의 접착단계 없이 내부에 구동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 있어서의 내시경은 수술이나 부검과 같은 신체의 개복이나 절개 없이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 내부(위, 기관지, 식도, 대장, 소장 등)를 관찰하여 그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현재의 내시경은 이러한 의료분야뿐 아니라 정밀한 기계의 해체 없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파이프 내부의 이상 여부 등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까지 확대 실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내시경 장치는, 튜브의 선단에 카메라가 장착된 형태를 가지는데, 튜브 내부에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전송용 와이어,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용 와이어 등이 내장된다. 그리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튜브 내면에는 구동와이어가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내시경 장치는 원형의 튜브 내에 구동와이어가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되므로 조립이 불편하고, 작업공수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튜브의 일부가 피검사자들의 체내에 직접 삽입되므로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한데, 구동와이어가 튜브의 내면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되므로 직경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748640 (2007.08.10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관절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에 구동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은 밴드를 나선형으로 와인딩하여 복수의 관절부가 적층된 중공의 관절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관절본체 내에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1 슬롯이 형성된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가 상기 관절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이격 형성된 가압부재를 상기 제1 슬롯에 삽입하여 상기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동일 패턴으로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절본체에 제1,2 가이드 홈부를 형성한 후 제1,2 가이드 홈부에 구동와이어를 각각 삽입시킴에 따라, 구동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내시경용 튜브보다 내부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내시경용 튜브의 직경을 최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튜브 내부에 구동와이어를 삽입시킨 후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튜브와 구동와이어를 결합하므로 튜브 내의 공간이 협소해져 튜브의 직경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구동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내시경용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 시에 피검사자들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시경용 튜브 내의 제1,2 가이드 홈부에 구동와이어를 삽입시켜 내시경용 튜브와 구동와이어를 조립하므로, 내시경용 튜브 내에 구동와이어를 접착하는 단계를 따로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작업공수가 줄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
도 2는 관절본체를 마련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관절본체 내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를 거친 내시경용 튜브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내시경용 튜브에 구동 와이어가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관전본체의 짝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2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가 분리된 내시경용 튜브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내시경용 튜브의 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내시경용 튜브는 인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일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구동와이어를 장착하여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100)은 관절본체를 마련하는 단계(110)와, 관절본체 내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120)와,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130)와,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140)를 포함한다.
도 2는 관절본체를 마련하는 단계(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관절본체(10)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선단에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본체(10)는 밴드를 나선형으로 와인딩하여 복수의 관절부(11, 12)가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관절본체(10)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형성됨에 따라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관절본체(10)의 중공에는 카메라의 영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전송 와이어나,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와이어 등이 내장될 수 있다.
한편, 밴드는 인체에 무해하고 복원력이 좋은 소재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나, 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관절본체 내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1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1 슬롯(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절본체(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이프(20)의 제1 슬롯(21a)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파이프(20)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130)는 파이프(20)가 관절본체(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31)가 이격 형성된 가압부재(30)를 제1 슬롯(21a)에 삽입한다. 이때, 돌기(31)의 이격된 거리는 짝수 번째 관절부(12)의 폭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31)가 홀수 번째 관절부(11)와 맞닿아 제1 슬롯(2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가압부재(30)의 돌기(31)가 홀수 번째 관절부(11)와 맞닿은 상태로 제1 슬롯(21a)에 삽입됨에 따라, 관절본체(10)의 홀수 번째 외주면에만 제1 가이드 홈부(11a)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5는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140)를 거친 내시경용 튜브(1)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처럼 관절본체(10) 내에 삽입된 파이프(20)를 분리하게 되면, 내시경용 튜브(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본체(10)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동일 패턴으로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11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홈부(11a)로 구동와이어(40)를 삽입시킬 수 있게 되어 관절본체(1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와이어(40)는 일측면이 제1 가이드 홈부(11a)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짝수 번째 관절부(12)에 지지되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구동와이어(40)를 잡아당기면 홀수 번째 관절부(11)가 짝수 번째 관절부(12)와 접하게 되어 굴절된다. 이를 이용하면, 관절본체(10)의 일단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원하는 부위의 촬영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내시경용 튜브의 관절본체(10)로부터 파이프(2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파이프(20)의 내부에는 손잡이 봉(22)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 봉(22)을 잡고 관절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면 관절본체(10)로부터 손잡이 봉(22)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130)와,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140) 사이에는 관절본체의 짝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2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외주면에는 제1 슬롯(21a)과 어긋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슬롯(21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슬롯(21b)은 제1 슬롯(21a)과 마찬가지로 파이프(20)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1 슬롯(21a)과 수직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관절본체(10)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130) 이후에 관절본체의 짝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2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131)를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짝수 번째 관절부(12)의 외주면에는 제1 가이드 홈부(11a)와 어긋나게 배치된 제2 가이드 홈부(12a)가 형성된다.
즉,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용 튜브(2)의 홀수 번째 관절부(11)의 외주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가이드 홈부(11a)가 형성되고, 짝수 번째 관절부(12)의 외주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가이드 홈부(12a)가 제1 가이드 홈부(11a)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짝수 번째 관절부(12)의 외주면에 제2 가이드 홈부(12a)가 더 형성됨에 따라, 구동와이어(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게 되어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홈부(11a)에 삽입된 구동와이어(40)를 당기면 관절본체(10)를 좌우방향으로 굴절시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제2 가이드 홈부(12a)에 삽입된 구동와이어(40)를 당기면 관절본체(10)를 상하방향으로 굴절시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절본체(10)의 일단에 장착된 카메라 또한 상하 좌우방향으로 모두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면밀하게 인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100)은 관절본체(10)에 복수의 제1,2 가이드 홈부(11a, 12a)를 형성한 후 제1,2 가이드 홈부(11a, 12a)에 구동와이어(40)를 각각 삽입시킴에 따라, 구동와이어(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내시경용 튜브보다 내부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내시경용 튜브의 직경을 최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튜브 내부에 구동와이어(40)를 삽입시킨 후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튜브와 구동와이어(40)를 결합하므로 튜브 내의 공간이 협소해져 튜브의 직경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구동와이어(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내시경용 튜브의 직경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 시에 피검사자들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시경용 튜브 내의 제1,2 가이드 홈부(11a, 12a)에 구동와이어(40)를 삽입시켜 내시경용 튜브와 구동와이어(40)를 조립하므로, 내시경용 튜브 내에 구동와이어(40)를 접착하는 단계를 따로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작업공수가 줄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관절본체
11.. 홀수 번째 관절부
11a.. 제1 가이드 홈부
12.. 짝수 번째 관절부
12a.. 제1 가이드 홈부
20.. 파이프
21. 손잡이 봉
21a.. 제1 슬롯
21b.. 제2 슬롯
30.. 가압부재
31.. 돌기
40.. 구동와이어

Claims (7)

  1. 밴드를 나선형으로 와인딩하여 복수의 관절부가 적층된 중공의 관절본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관절본체 내에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1 슬롯이 형성된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가 상기 관절본체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이격 형성된 가압부재를 상기 제1 슬롯에 삽입하여 상기 관절본체의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동일 패턴으로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내부에 손잡이 봉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 슬롯과 어긋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홀수 번째 외주면마다 복수의 제1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관절본체로부터 파이프를 분리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제2 슬롯에 삽입하여 상기 관절본체의 짝수 번째 외주면마다 동일 패턴으로 복수의 제2 가이드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반구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KR1020140157401A 2014-11-12 2014-11-12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KR10162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401A KR101626922B1 (ko) 2014-11-12 2014-11-12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401A KR101626922B1 (ko) 2014-11-12 2014-11-12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24A true KR20160056724A (ko) 2016-05-20
KR101626922B1 KR101626922B1 (ko) 2016-06-02

Family

ID=5610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401A KR101626922B1 (ko) 2014-11-12 2014-11-12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9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40B1 (ko) 2006-11-13 2007-08-10 주식회사 액츠비전 일체형 만곡구를 가지는 내시경
JP2009207738A (ja) * 2008-03-05 2009-09-17 Fujifilm Corp 湾曲管用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40B1 (ko) 2006-11-13 2007-08-10 주식회사 액츠비전 일체형 만곡구를 가지는 내시경
JP2009207738A (ja) * 2008-03-05 2009-09-17 Fujifilm Corp 湾曲管用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922B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472B2 (en) Endoscope system
EP2564756B1 (en) Endoscope
KR101636520B1 (ko) 내시경 와이어용 연결 캡
US20160029878A1 (en) Endoscope, part fixing structure for endoscope, and part fixing method for endoscope
US20130331651A1 (en) Flexible tube portion of endoscope and endoscope having this flexible tube portion
US20170172385A1 (en) Endoscope
US20090253958A1 (en) Endoscope, connection method of bending section and flexible section in endoscope, production method of endoscope provided for this connection method, endoscope overtube, connection method of bending section and flexible section in endoscope overtube and production method of endoscope overtube provided for this connection method
US20160058271A1 (en) Coil structure used in endoscope and endoscope and treatment instrument including coil structure
JP6843528B2 (ja) 湾曲管構造および内視鏡
JP2008229241A (ja) 内視鏡用ガイドチューブ及び内視鏡装置
WO2017212748A1 (ja) 内視鏡
JP2010020104A (ja) レンズユニット
US10185139B2 (en) Endoscope
KR101626922B1 (ko) 내시경용 튜브의 제조방법
KR101626925B1 (ko) 내시경용 튜브
US9770160B2 (en) Bending tube for endoscope, endosc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nding tube for endoscope
US10799091B2 (en) Endoscope with mesh tube
WO2017195328A1 (ja) 医療用オーバーチューブ
WO2014024302A1 (ja) 内視鏡湾曲部構造
WO2017122399A1 (ja) 内視鏡
US10213092B2 (en) Sheath assembly, manipulator, and manipulator system
KR101759184B1 (ko) 내시경 말단 관절 장치
US10813543B2 (en) Insertion portion of endoscope
JP2006263234A (ja) 内視鏡
US11730348B2 (en)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