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439A -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439A
KR20160056439A KR1020140156073A KR20140156073A KR20160056439A KR 20160056439 A KR20160056439 A KR 20160056439A KR 1020140156073 A KR1020140156073 A KR 1020140156073A KR 20140156073 A KR20140156073 A KR 20140156073A KR 20160056439 A KR20160056439 A KR 20160056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unit
foreign matter
coil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861B1 (ko
Inventor
양재성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86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2209/053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2209/055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being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2209/0553Pigs provided with detec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피깅유닛의 회전력으로 파이프라인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라인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을 따른 이동이 가능한 피그본체와, 상기 피그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탐지유닛과, 상기 피그본체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며 이물질탐지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감지되면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피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REMOVING APPARATUS OF SCALE FOR PIPE LINE}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깅유닛의 회전력으로 파이프라인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상자원의 고갈이 심화되면서 점점 더 깊은 심해로부터 오일과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추된 오일과 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반되어 라이저(riser)를 거쳐 FPSO 또는 탑 사이드로 보내져 불순물 제거와 같은 2차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오일 또는 가스의 운반에 사용되는 파이프라인은, 바다 깊은 곳에 설치되어 있어 있으므로, 특정 압력과 온도에서 왁스(wax)와 하이드레이트(hydrate)라는 침전물이 내벽부에 형성되며, 이러한 침전물들에 의하여 유동라인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파이프라인의 내벽부에 생성되는 이물질은, 석유자원의 흐름을 방해하여 생산량을 감소시키거나, 혹은 관 내부를 완전히 차단하여 자원의 흐름 자체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성물의 생성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관 내부를 청소(pigging)하기도 한다.
이러한 청소(pigging) 작업은, 파이프라인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의 흐름 자체를 차단한 뒤, 즉 유정에서의 생산을 중지(shut-down)시키고 나서 가능한 작업이다.
이처럼 기존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청소작업은, 파이프라인의 흐름을 차단해야 가능한 작업이지만, 필수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생성물의 발생 시 혹은 정기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가 피깅(pigging)으로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피깅은, 파이프라인의 지름과 같은 사이즈의 장비를 파이프라인에 삽입시켜 이동하면서 파이프라인의 내벽에 형성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출구방향으로 밀어내어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피깅은 사이즈가 대형인 피깅장비를 심해 깊은 곳으로 운반하여 파이프라인에 삽입시키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의 파이프라인의 지름에 대응한 피깅장비를 구매해야 한다.
최근의 해저 유정 개발에 있어서 석유 자원의 이동통로에 해당하는 라이저 및 파이프라인은, 주위 온도와 내부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하이드레이트 및 왁스가 관내 벽면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피깅은 파이프라인의 압력차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며 파이프라인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으로는 파이프의 굴곡지점이나 이물질이 많이 퇴적된 부분을 나아가기 위해서는 큰 압력차가 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파이프라인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70162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피깅(Pigging)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 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파이프라인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두께를 검출하여 피깅유닛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어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라인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을 따른 이동이 가능한 피그본체와, 상기 피그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탐지유닛과, 상기 피그본체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며 이물질탐지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감지되면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피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그본체는, 상기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통과되는 원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앞부분 즉 전진방향에 일체화되는 원뿔형태의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탐지유닛은, 상기 피그본체의 머리부에 설치되면서 파이프라인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두께에 따라 가이드되는 댐핑부와, 상기 댐핑부에 설치되어 피그본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탐지유닛은, 상기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접촉에 의해 틸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머리부의 외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구와, 상기 이동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센서와, 상기 이물질 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신호를 전달받아 피깅유닛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는, 피그본체의 머리부에 홈이 형성되면서 홈에 결합되어 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편은 홈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질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이동구에 설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끝단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닿았을 때 회전하게 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물질탐지유닛은, 상기 피그본체의 머리부에 상하, 좌우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탐지유닛은 댐핑부의 이동범위에 따라 이물질 감지센서에서 이물질을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이물질의 두께에 따라 피깅유닛의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깅유닛은, 상기 피그본체의 몸통부 외측 둘레에 설치되어 회전하게 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회전부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전자기유도에 의한 회전동력으로 회전되어 돌출부가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라인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을 따른 이동이 가능한 피그본체와, 상기 파이프라인 외부에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서 발생된 힘으로 피그본체를 회전시켜 파이프라인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자기유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그본체는, 상기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통과되는 원통형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정면에 일체화되는 원뿔형태의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유닛은,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부에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기 위한 코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는 자기장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의 외부 둘레에 대칭되게 제1코일을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부 돌레에 제1코일 사이로 제2코일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은 파이프라인의 외부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되 파이프라인의 외부 둘레에 서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되고 전류 공급을 제1코일과 제2코일로 나누어서 번갈아가면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에 따르면,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어 작은 압력으로도 파이프라인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피그본체 앞부분에 설치되는 이물질탐지유닛을 이용하여 파이프라인에 부착되는 이물질의 감지하고 두께에 따라 회전력을 제어하여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가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일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절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가 파이프라인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일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설치된 이물질(102)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피그본체(200)와, 이물질탐지유닛(300)과, 피깅유닛(400)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그본체(200)는, 상기 파이프라인(100) 내부에 장입되면서 파이프라인(100)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그본체(200)는, 상기 파이프라인(100)의 내부로 통과되어 압력에 의해 전진하는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의 앞부분에 일체화되는 머리부(220)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통부(210)는 파이프라인(100)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100)과 동일한 형태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220)는 몸통부(210)의 앞부분 즉 파이프라인(100) 내에서 피그본체(200)가 전진하는 방향에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220)는 파이프라인(100) 내에서 피그본체(200)가 압력에 의해 전진할 때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로 형성되어진다.
상기의 피그본체(200)는 파이프라인(100) 내부를 통과하되 회전되지 않고 압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탐지유닛(300)은, 상기 피그본체(200)의 머리부(220)에 설치되면서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의 두께에 따라 이동되는 댐핑부(310)와, 상기 댐핑부(310)에 설치되어 피그본체(200)의 원활한 이동 및 회전되면서 이물질(102)의 두께에 따라 댐핑부(3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롤러부(32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댐핑부(310)는, 상기 머리부(220)의 전방 외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구(311)와, 상기 이동구(3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102)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센서(312)와, 상기 이물질 감지센서(312)의 감지에 따라 신호를 전달받아 피깅유닛(400)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13)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이동구(311)에는 피그본체(200)의 머리부(220)에 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홈(221)에 결합되어 홈(221)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편(311a)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홈(221)에는 스프링(314)이 설치되면서 상기 가이드편(311a)이 스프링(31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머리부(220)에 홈(221)이 형성되면서 상기 홈(221)에 가이드편(311a)이 장입되되 상기 가이드편(311a)이 스프링(31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의 두께에 따라 가이드편(311a)이 홈(221)에서 가이드되어 댐핑부(310)가 상하, 좌우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부(320)는, 상기 이동구(311)에 설치되는 연결대(321)와, 상기 연결대(321)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그본체(200)의 전진에 따라 이물질(102)이 닿았을 때 피그본체(2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회전하는 롤러(322)를 포함하게 된다.
이에, 상기 롤러(322)는 파이프라인(100) 내부에서 피그본체(200)가 전진하면서 이동되어질 때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이물질(102)이 부착되어 있으면 롤러(322)가 이물질(102)에 닿게 되면서 회전하여 피그본체(20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물질탐지유닛(300)은 피그본체(200)의 머리부(220)에 상하,좌우로 복수개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탐지유닛(300)은, 상기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의 접촉에 의해 틸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탐지유닛(300)은 댐핑부(310)의 이동범위에 따라 이물질 감지센서(312)에서 이물질(102)을 감지하고 제어부(313)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이물질(102)의 두께에 따라 구동모듈(43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피깅유닛(400)의 회전력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피그본체(200)가 파이프라인(100) 내부에서 압력에 의해 전진할 때 파이프라인(100)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에 롤러(322)가 닿게 되면서 이물질(102)의 두께에 따라 이물질탐지유닛(300)이 머리부(220)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이물질(102)이 많이 쌓여 있을수록 이물질탐지유닛(300)이 머리부(220)의 중심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피깅유닛(400)의 회전 rpm이 상승)되어 제어부(313)에 의해 피깅유닛(400)의 회전력이 제어되어 이물질(102)의 두께에 맞게 피깅유닛(400)이 회전되면서 이물질(102)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깅유닛(400)은, 상기 피그본체(200)의 몸통부(210) 외측 둘레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부(410)와, 상기 회전부(410)의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부(4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을 제거하게 되는 돌출부(4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420)는 회전부(41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면서 복수개로 설치되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부(410)는 제어부(313)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듈(430)의 회전력이 조절되어 회전부(410)의 회전력이 이물질(102)의 두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410)는 전자기유도에 의해 발생된 회전동력으로 회전되면서 돌출부(420)가 파이프라인(100)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을 제거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설치된 이물질(102)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피그본체(200)와, 전자기유도유닛(500)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그본체(200)는, 상기 파이프라인(100) 내부에 장입되면서 파이프라인(100)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1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그본체(200)는, 상기 파이프라인(100)의 내부로 통과되어 압력에 의해 전진하는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의 앞부분에 일체화되는 머리부(220)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통부(210)는 파이프라인(100)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100)과 동일한 형태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220)는 몸통부(210)의 앞부분 즉 파이프라인(100) 내에서 피그본체(200)가 전진하는 방향에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220)는 파이프라인(100) 내에서 피그본체(200)가 압력에 의해 전진할 때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로 형성되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유닛(500)은, 상기 파이프라인(100) 외부에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서 발생된 힘으로 피그본체(200)를 회전시켜 파이프라인(100)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자기유도유닛(500)은 파이프라인(100)의 외부에 전자기 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부(51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510)는 자기장의 방향을 회전시키기 위해 파이프라인(100)의 외부 둘레에 대칭되게 제1코일(511)을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라인(100)의 외부 둘레에 제1코일(511) 사이로 제2코일(512)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은 파이프라인(100)의 외부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은 파이프라인(100)의 외부 둘레에 서로 번갈아가면서 복수로 설치되며 전류 공급을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로 나누어서 번갈아가면서 공급하여 자기장의 방향을 변화시켜 피그본체(2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의 코일부(510)를 파이프라인(100)의 이물질(102)이 많이 생기는 부분에 설치하여 파이프라인(100)의 이물질(102)을 작은 압력차로 더 효율적으로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일부(510)를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로 설치하게 되나 상기 제1코일(511)과 제2코일(512)에 한정되지 않고 피그본체(200)의 회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더 많은 코일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서 발생한 힘으로 피그본체(20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장의 방향이 회전을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파이프라인(100)의 외부에 상하, 좌우 대칭되게 제1코일(511)을 설치한 후 약간 각도를 회전시켜서 상하, 좌우가 대칭되게 제2코일(512)을 설치한 상태에서 전류를 제1코일(511)에 공급한 후에 잠시 후에 제1코일(511)에 전류 공급을 중단하고 제2코일(512)에 전류를 공급하면서 이와 같은 전류 공급을 반복하는 것으로 자기장이 기계적인 구동부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피그본체(200)를 기계적인 구동부 없이 코일부(510)에 의한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는 파이프라인(100)의 내부에 피그본체(200)가 압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이동되어질 때 이물질탐지유닛(300)에 의한 피깅유닛(400)의 회전력 또는 전자기유도유닛(500)의 전자기 유도에 의한 피그본체(200)의 회전으로 파이프라인(100)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102)을 두께에 구애받지 않고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파이프라인
102 : 이물질
200 : 피그본체
210 : 몸통부
220 : 머리부
221 : 홈
300 : 이물질탐지유닛
310 : 댐핑부
311 : 이동구
311a : 가이드편
312 : 이물질 감지센서
313 : 제어부
314 : 스프링
320 : 롤러부
321 : 연결대
333 : 롤러
400 : 피깅유닛
410 : 회전부
420 : 돌출부
430 : 구동모듈
500 : 전자기유도유닛
510 : 코일부
511 : 제1코일
512 : 제2코일

Claims (16)

  1.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 내부를 통과하면서 파이프라인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을 따른 이동이 가능한 피그본체;
    상기 피그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고 이물질의 두께에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탐지유닛; 및
    상기 피그본체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며 이물질탐지유닛에 의해 이물질이 감지되면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피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그본체는,
    상기 파이프라인의 내부로 통과되는 원통형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앞부분 즉 피그본체의 전진 방향에 일체화되는 원뿔형태의 머리부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탐지유닛은,
    상기 피그본체의 앞쪽에 설치되면서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두께에 따라 이동되는 댐핑부; 및
    상기 댐핑부에 설치되어 피그본체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이물질에 닿을 때 회전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피그본체의 전진방향인 앞쪽에 상하,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구;
    상기 이동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센서; 및
    상기 이물질 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신호를 전달받아 피깅유닛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의 하부에는 피그본체의 머리부에 홈이 형성되면서 홈에 결합되어 홈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은 홈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되면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댐핑부의 이동구에 설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끝단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닿았을 때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탐지유닛은 피그본체에 상하, 좌우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탐지유닛은 댐핑부의 이동범위, 즉 길이 수축에 따라 이물질 감지센서에서 이물질을 감지하고 제어부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이물질의 두께에 따라 피깅유닛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깅유닛은,
    상기 피그본체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모듈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부의 회전으로 회전되면서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회전부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전자기유도에 의한 회전동력으로 회전되어 돌출부가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13.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 내부를 통과하면서 파이프라인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을 따른 이동이 가능한 피그본체; 및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부에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서 발생된 힘으로 피그본체를 회전시켜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자기유도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유도유닛은,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부에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기 위한 코일부가 설치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자기장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의 외부 둘레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1코일과,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부 둘레에 제1코일 사이로 설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은 파이프라인의 외부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되 파이프라인의 외불 둘레에 서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되고 전류 공급을 제1코일과 제2코일로 순차적으로 나누어 번갈아가면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40156073A 2014-11-11 2014-11-11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4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73A KR101644861B1 (ko) 2014-11-11 2014-11-11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073A KR101644861B1 (ko) 2014-11-11 2014-11-11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39A true KR20160056439A (ko) 2016-05-20
KR101644861B1 KR101644861B1 (ko) 2016-08-03

Family

ID=5610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073A KR101644861B1 (ko) 2014-11-11 2014-11-11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3694A (zh) * 2018-08-23 2019-01-08 广州英固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检测异型管材角度与翻转加工工艺机械装置
CN114216269A (zh) * 2021-12-15 2022-03-22 芜湖优机环保科技有限公司 加热组件水垢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721A (ja) * 1993-09-13 1995-03-31 Toshiba Corp 配管用アクチュエータ
KR20000017709U (ko) * 1999-03-03 2000-10-05 조찬일 배관 청소기구
KR100383535B1 (ko) * 2000-03-31 2003-05-16 여희주 설비 배관내의 탐사 및 도장을 위한 로봇장치
KR20100021995A (ko) 2007-02-05 2010-02-26 테크니프 프랑스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과 장치
KR20130050847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로봇스토리 절삭이 가능한 관로 청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7721A (ja) * 1993-09-13 1995-03-31 Toshiba Corp 配管用アクチュエータ
KR20000017709U (ko) * 1999-03-03 2000-10-05 조찬일 배관 청소기구
KR100383535B1 (ko) * 2000-03-31 2003-05-16 여희주 설비 배관내의 탐사 및 도장을 위한 로봇장치
KR20100021995A (ko) 2007-02-05 2010-02-26 테크니프 프랑스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과 장치
KR20130050847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로봇스토리 절삭이 가능한 관로 청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3694A (zh) * 2018-08-23 2019-01-08 广州英固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检测异型管材角度与翻转加工工艺机械装置
CN109163694B (zh) * 2018-08-23 2023-12-19 广州英固特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检测异型管材角度与翻转加工工艺机械装置
CN114216269A (zh) * 2021-12-15 2022-03-22 芜湖优机环保科技有限公司 加热组件水垢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14216269B (zh) * 2021-12-15 2023-08-18 东台市诚旺电热科技有限公司 加热组件水垢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861B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6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deposit thickness
KR101644861B1 (ko) 파이프라인 이물질 제거장치
US20050275216A1 (en) Liner wear detection
WO2003064067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peline monitoring and cleaning device
JP7084108B2 (ja) パイプラ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導管およびパイプの保守点検用システム
RU2018130161A (ru) Чист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шнека
EP3298396B1 (en) Pipe pig for inspecting a pipeline
AU2010209727B2 (en) Double layer conduit
KR20170002343U (ko) 배관 스케일 제거 장치
KR101750045B1 (ko) 압송 유체의 압력 및 유량을 이용한 피그의 위치 추적 방법
CN105583750B (zh) 定位机构
EP1668258B1 (en) Changing fluid flow direction
CN206514801U (zh) 一种管材内部堵塞检测装置
EP31247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wells and pipelines
KR20140066829A (ko) 해저 관 내 생성물 제거장치
CN204347044U (zh) 旋转探头钢质管柱检测实验台
JP2009000723A (ja) 管材内面洗浄機能を兼ねた短尺材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RU2772008C1 (ru) Комплекс микрогидроударной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уб теплообменного агрегата
KR101609904B1 (ko) 배관용 스케일 제거기
US20160202508A1 (en) Method of Obtaining or Maintaining Optical Transmittance into Deaerated Liquid
KR20170000430U (ko) 조립식 라이저 게이지 피그
CN207280320U (zh) 插秧机驱动轴检具
AU2004280457A1 (en) Piping elbow liners
GB2348939A (en) Cleaning chamber for pipeline pig
MXPA06003389A (en) Liner wear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