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387A -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387A
KR20160055387A KR1020140154826A KR20140154826A KR20160055387A KR 20160055387 A KR20160055387 A KR 20160055387A KR 1020140154826 A KR1020140154826 A KR 1020140154826A KR 20140154826 A KR20140154826 A KR 20140154826A KR 20160055387 A KR20160055387 A KR 20160055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ultraviolet
air
p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009B1 (ko
Inventor
최유필
Original Assignee
최유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필 filed Critical 최유필
Priority to KR1020140154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예:개집)와 하우스 내의 애완동물을 살균하고 하우스 내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시키는 기술로서,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에 별도의 케어 시스템을 착탈형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 하우스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하우스 내측을 살균하고 동시에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하우스 내측에 다시 공급하여 하우스와 애완동물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살균 모듈에 구비된 자외선 조사부는 자외선 강약 모드에 따라 동작하며 하우스 내에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적절한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효율적으로 하우스 내측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PET CARE SYSTEM}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예:개집)와 애완동물을 살균하고 하우스 내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에 별도의 케어 시스템을 착탈형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 하우스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하우스 내측과 하우스 내의 애완동물을 살균하고 동시에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하우스 내측에 다시 공급하여 하우스와 애완동물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최근 사람들은 산책이나 운동시 애완동물(예: 애완견)과 함께할 정도로 사람의 생활과 애완동물은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은 사람이 사는 실내 공간에 별도의 하우스(예: 개집)를 만들어 키우기도 한다. 애완동물의 청정한 관리를 위해 하우스 전체를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을 감수하지만, 사람이 사는 실내 공간에 하우스는 배치하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애완동물이 자고 배설하고 잠자는 공간은 단순한 세척으로만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평소에 하우스에서 발생하는 공기가 사람이 사는 공간에도 퍼져 사람에게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애완동물을 사람이 사는 실내 공간과 떨어진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람의 손길이 멀어져 애완동물의 위생상태를 잘 살펴보기 어려운 단점이 있는데, 특히 하우스를 사람이 사는 실내 공간과 떨어진 공간에 배치할 경우 주기적으로 하우스의 내측을 살균하고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하는 시스템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3-0006599호 "애완용 개집"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10-0002128호 "자외선 살균 램프가 내장된 애완 동물 집"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7-0003144호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 내측과 하우스 내의 애완동물을 살균하고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순환시켜 정화할 수 있도록 기존 하우스에 일체형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 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부를 관통하며 하우스의 개구부에 연통되어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우스 내측의 공기가 흡기부와 필터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흐르도록 하는 흡기 팬과, 하우징의 일측부를 관통하며 흡기 팬의 구동력에 의해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하우스 내측으로 다시 유입시키는 배기부와,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흡기부와 하우스를 직접 연결하는 제 1 연결관과, 하우징에서 정화된 공기를 하우스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기부와 하우스를 직접 연결하는 제 2 연결관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제 2 연결관이 하우스의 개구부에 연결될 때 제 2 연결관의 일단부와 함께 하우스의 내측에 인입이 가능하도록 제 2 연결관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하우스의 내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우스의 내측을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 모듈; 공기 청정기와 자외선 살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자외선 살균 모듈은 제 2 연결관으로부터 교체를 위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자외선 조사부는 자외선 살균 모듈로부터 교체를 위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기 청정기는 필터부와 배기부 사이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교번하여 다단으로 형성되어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하우징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랙부; 랙부 간 통로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측벽에 부착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LED부; 자외선 LED부가 위치하는 랙부 간 통로에 배치되어 자외선 LED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작용으로 이동중인 공기를 정화시키는 광촉매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내측에 하우징의 일측벽으로부터 타측벽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필터부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끄럼판과, 미끄럼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미끄럼판의 상면에서 이동하는 분진을 수집하는 수집통과, 미끄럼판의 절개된 부분에 배치되어 절개된 부분을 개폐하며 흡기 팬의 동작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오픈하고 흡기 팬의 동작오프시 절개된 부분을 폐쇄하는 개폐판을 구비하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는, 랙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하우스 내에서 발생한 애완동물의 큰 털을 걸러내는 제 1 필터부; 제 1 필터부의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적층되어 제 1 필터부를 통과한 잔털과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제 2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살균 모듈에 장착되며 하우스 내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작감지 센서가 하우스 내에서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로 자외선 조사부는 미리 설정된 자외선 세기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자외선 세기 모드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동작감지 센서가 하우스 내에서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로 자외선 살균 모듈은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외선 살균 모듈에 장착되며 하우스 내에서 발생하는 공기 중의 특정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오염감지 센서가 하우스 내에서 오염 지수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로 공기 청정기의 동작 온오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 측부를 개구하여 별도의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써 기존 하우스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하우스 내측과 하우스 내의 애완동물을 살균하고 동시에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하우스 내측에 다시 공급하여 하우스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살균 모듈과 제 2 연결관이 일체로 연결되어 다양한 하우스에 채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 살균 모듈을 부품 단위로 제작하여 제 2 연결관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자외선 살균 모듈만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은 비용으로도 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부를 부품 단위로 제작하여 자외선 살균 모듈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해당 자외선 조사부만의 교체를 통해 자외선 살균 모듈의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스 내에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적외선이나 적절한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우스 내측과 하우스 내의 애완동물을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하우스 내에서 특정 가스(예: 암모니아 가스, 메탄 가스)와 미세먼지의 농도가 임계치를 넘는 경우 이를 감지하면 공기 청정기가 동작하여 하우스 내의 공기를 순환 패턴으로 정화하여 하우스 내의 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애완동물의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 팬의 동작으로 공기 청정기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 팬의 오프시 공기 청정기 내의 파티클이 집진기에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모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기 팬의 동작으로 공기 청정기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 팬의 오프시 공기 청정기 내의 파티클이 집진기에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은 기존 하우스(H)에도 적용이 간편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공기 청정기(100), 자외선 살균 모듈(200), 컨트롤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 청정기(100)는 하우스(H)의 공기를 빨아 들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다시 하우스(H)에 공급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장치로서, 하우징(110), 흡기부(120), 필터부(130), 흡기 팬(140), 배기부(150), 랙부(160), 자외선 LED부(170), 광촉매 부재(180), 집진기(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H) 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0)의 일측부에 하우스(H)와 연통되는 제 1,2 연결관(121,151)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흡기부(120)와 배기부(150)가 형성된다.
흡기부(120)는 하우징(110)의 일측부를 관통하며 제 1 연결관(121)을 통해 하우스(H)의 개구된 부분에 연결되며 제 1 연결관(121)을 통해 하우스(H) 내측의 공기를 흡입한다.
필터부(13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흡기부(120)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필터부(131)와 제 2 필터부(132)로 구성된다.
제 1 필터부(131)는 랙부(160)의 하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하우스(H) 내에서 발생한 애완동물의 큰 털을 걸러내고, 제 2 필터부(132)는 제 1 필터부(131)의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적층되어 제 1 필터부(131)를 통과한 잔털과 미세먼지를 걸러내도록 구성된다.
제 1 필터부(131)와 제 2 필터부(132)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애완동물의 특성상 하우스(H) 내에서 빠진 털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 1 필터부(131)만을 자주 교체하면 잔털이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제 2 필터부(132)는 상대적으로 긴 주기로 교체해 주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
흡기 팬(14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우스(H) 내측의 공기가 흡기부(120)와 필터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쳐 흐르도록 한다. 즉, 흡기 팬(140)의 구동력에 의해 하우스(H) 내의 공기가 제 1 연결관(121), 흡기부(120), 필터부(130)를 순차적으로 흡입이 되고, 이어서 필터부(130)에 필터링된 공기는 랙부160), 배기부(150), 제 2 연결관(151)을 순차적으로 거쳐 하우스(H) 내에 다시 공급된다.
여기서, 흡기 팬(14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미도시)는 컨트롤러(3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공기 청정기(100)에 흡기 팬(140)의 구동모터 동작을 온오프하는 조작부(310)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배기부(150)는 하우징(110)의 일측부를 관통하며 흡기 팬(140)의 구동력에 의해 필터부(130)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하우스(H) 내측으로 다시 유입시킨다.
랙부(160)는 필터부(130)와 배기부(150) 사이에 대응하는 하우징(110)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교번하여 다단으로 형성되어 필터부(130)를 통과한 공기가 하우징(110)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한다.
랙부(160)는 플레이트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흡기 팬(14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한다. 랙부(160)에 의해 유도되는 공기는 자연적으로 랙부(160) 사이에 설치된 자외선 LED부(170)와 광촉매 부재(180)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필터부(13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광촉매 작용으로 2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LED부(170)는 랙부(160) 간 통로에 대응하는 하우징(110)의 측벽에 부착되어 자외선을 조사한다.
광촉매 부재(180)는 자외선 LED부(170)가 위치하는 랙부(160) 간 통로에 배치되어 자외선 LED부(17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작용으로 이동중인 공기를 정화시킨다. 여기서, 광촉매 부재(180)로는 은나노, 나노산화티탄, 실리키클로이드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집진기(190)는 미끄럼판(191)과, 수집통(192)과, 개폐판(193)을 구비하여 공기 청정기(100) 내의 파티클을 수집한다.
상세하게, 미끄럼판(191)은 필터부(130)의 하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하우징(110)의 일측벽으로부터 타측벽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필터부(130)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수집통(192)은 미끄럼판(19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미끄럼판(191)의 상면에서 이동하는 분진을 수집한다. 이때, 수집통(192)에 인접하는 하우징(110)의 측부에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여 파티클이 쌓인 수집통(192)을 꺼내어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개폐판(193)은 미끄럼판(191)의 절개된 부분에 배치되어 절개된 부분을 개폐하며 흡기 팬(140)의 동작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오픈하고 흡기 팬(140)의 동작 오프시 절개된 부분을 폐쇄한다. 개폐판(193)은 흡기 팬(140)의 동작시 공기의 흐름에 따라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연하고 가벼운 합성수지재나 굴절 가능한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제 1 연결관(121)은 흡기부(120)와 하우스(H)를 직접 연결하여 하우스(H) 내측의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하게 되는데 다양한 형태의 하우스(H)에 장착이 간편하도록 플레시블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연결관(151)은 배기부(150)와 하우스(H)를 직접 연결하여 하우ㅈ징(110) 내측에 정화된 공기를 하우스(H)의 내측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다양한 형태의 하우스(H)에 장착이 간편하도록 제 1 연결관(121)과 마찬가지로 플레시블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제 2 연결관(151)의 단부에 연결되어 하우스(H)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져 하우스(H) 내측을 살균하게 되는데,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제 2 연결관(151)을 통해 공기 청정기(100)와 하나의 세트로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하우스(H)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컨트롤러(300)는 공기 청정기(100)와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동작에 제어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 청정기(10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조작으로 공기 청정기(100)와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공기 청정기(100)에는 별도의 조작부(3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리모콘을 통해 공기 청정기(100)와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구성과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동작 방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모듈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 모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제 2 연결관(151)이 하우스(H)의 개구부에 연결될 때 제 2 연결관(151)의 일단부와 함께 하우스(H)의 내측에 인입이 가능하도록 제 2 연결관(151)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자외선 조사부(210), 동작감지 센서(220), 오염감지 센서(230), 적외선 조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중앙부가 빈 도넛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자외선 살균 모듈(200)이 제 2 연결관(151)의 선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하우징(110) 내측에서 정화된 공기는 제 2 연결관(151)을 통과한 후 연속적으로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빈 공간인 중앙부를 연통하여 하우스(H)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제 2 연결관(151)으로부터 교체를 위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자외선 살균 모듈(200)을 부품 단위로 제작하여 제 2 연결관(151)에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고장시 이 부품만을 교체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210)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에 장착되며 자외선의 파장에 따라 자외선의 세기가 다른 종류의 LED를 구비하고, 각 LED는 컨트롤러(31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강중약의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자외선 조사부(210)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 2 연결관(151)을 거쳐 자외선 살균 모듈(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선단부에 배치된 자외선 조사부(210)는 하우스(H) 내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우스(H) 내측을 살균하는데, 하우스(H) 내측에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 자외선의 세기 모드를 선택하여 애완동물의 피부와 털도 살균한다.
여기서, 자외선 조사부(210)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로부터 교체를 위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자외선 조사부(210)를 부품 단위로 제작하여 자외선 살균 모듈(200)에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자외선 조사부(210)의 수명이 다한 경우 이 부품만을 교체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도 자외선 살균 모듈(200)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LED는 상대적으로 자외선의 세기가 약한 UV-A 모드의 LED와, 상대적으로 자외선의 세기가 중간인 UV-B 모드의 LED와, 상대적으로 자외선의 세기가 강한 UV-C 모드의 LED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UV-A 모드의 LED는 UV-B 모드의 LED 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UV-A 모드의 LED에 애완동물이 장시간 노출되어도 무방한 수준의 자외선 세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UV-A 모드의 LED는 대략 320nm ~ 40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며 이 파장대의 자외선 조사시 애완동물의 혈관을 확장하여 애완동물의 고혈압 및 아토피 치료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UV-B 모드의 LED는 UV-C 모드의 LED 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며 애완동물이 하우스(H) 내에 있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해도 무방하지만, 장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UV-B 모드의 LED는 대략 280nm ~ 32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며 우기나 겨울철에 애완동물의 야외활동이 제한적일 때 280nm ~ 32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면 애완동물의 피부에서 비타민D의 생성을 도울 수 있고, 피부세포의 살균과 형성을 촉진하여 각종 피부질환 치료에 기여한다.
또한, UV-C 모드의 LED는 대략 200nm ~ 28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며 200nm ~ 280nm 파장대의 자외선은 음이온, 오존을 생성하고 살균, 탈취, 표백 작용을 하며, 200nm ~ 280nm 파장대의 자외선에 애완동물이 일정 시간 노출되면 애완동물이 실명되는 등 생명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기 때문에 하우스(H) 내에 애완동물이 없는 경우에 하우스(H) 자체의 살균을 위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감지 센서(220)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에 장착되며 하우스(H) 내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동작감지 센서(220)가 하우스(H) 내에서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컨트롤러(300)가 적외선 조사부(240)와 자외선 조사부(210)의 모드 선택을 제어하고 선택된 모드의 LED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하우스(H) 내에서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부(210)에 구비된 LED 중 자외선의 세기가 가장 큰 UV-C 모드의 LED가 동작하도록 하여 하우스(H) 자체를 살균하도록 한다.
여기서, UV-C 모드의 LED가 소정 시간 동작하였다면 컨트롤러(300)는 UV-C 모드의 LED 동작을 멈추고 UV-B 모드의 LED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스(H) 내에서 애완동물이 감지되면 컨트롤러(300)는 UV-C 모드의 LED와 UV-B 모드의 LED 동작을 멈추고 UV-A 모드의 LED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애완동물의 몸을 살균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조사부(210)에 구비된 각 모드의 LED는 정기적인 시간에 자동으로 동작하고 소정 시간 이상 동작하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동작감지 센서(220)가 하우스(H) 내에서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하면 컨트롤러(300)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이 애완동물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위치구동부를 제어하여 자외선 살균 모듈(200)이 애완동물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제 2 연결관(151)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각도 움직임 가능하도록 제 2 연결관(151)과 꺾임 연결부(201)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300)가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목적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위치구동부를 제어하면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꺾임 연결부(201)가 소정 각도 움직이면서 자외선 조사부(210)가 애완동물이 감지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하우스(H) 내에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 동작감지 센서(220)가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300)에 전달하면 컨트롤러(300)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자외선 조사부(210)가 애완동물이 위치하는 곳을 향하도록 자외선 살균 모듈(200)을 소정 각도 움직이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러(300)는 자외선 조사부(210)와 적외선 조사부(240)의 발광을 제어하게 되는데, 컨트롤러(300)의 제어로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자외선 조사부(210)는 상대적으로 약한 UV-A 모드의 LED가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나머지 UV-B 모드의 LED와 UV-C 모드의 LED는 동작이 오프된다.
오염감지 센서(230)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에 장착되며 하우스(H) 내에서 발생한 특정 가스(예: 암모니아 가스, 메탄 가스)와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오염감지 센서(230)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컨트롤러(300)가 적외선 조사부(240)와 자외선 조사부(210)의 모드 선택을 제어하여 선택된 모드의 LED가 동작하도록 하고, 동시에 오염감지 센서(230)의 감지한 결과에 따라 컨트롤러(300)는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한다.
상세하게, 애완동물의 배설이나 배설물의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특정 가스가 발생하면 오염감지 센서(23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300)에 전달하면 컨트롤러(300)는 공기 청정기(100)를 동작시켜 하우스(H) 내의 공기를 순환하여 정화시킨다.
이어서, 오염감지 센서(230)가 감지한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300)는 자외선 조사부(210)와 적외선 조사부(240)를 동작시켜 하우스(H) 내에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 동작감지 센서(220)가 하우스(H) 내에 애완동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 결과에 따라 자외선 조사부(210)의 자외선 조사 모드(예: UV-A, UV-B, UV-C)와 적외선 조사부(240)의 동작 모드를 앞서 설명한 패턴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조사부(240)는 자외선 조사부(210)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살균 모듈(200)에 장착되며 컨트롤러(31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대략 630nm ~ 660nm 파장대의 근적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630nm ~ 660nm 파장대의 근적외선은 피부상처 치료나 염증 치유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외선 조사부(240)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 2 연결관(151)을 거쳐 자외선 살균 모듈(200)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자외선 살균 모듈(200)의 선단부에 배치된 적외선 조사부(240)는 하우스(H) 내측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하우스(H) 내측을 살균한다.
여기서, 적외선 조사부(240)는 자외선 살균 모듈(200)로부터 교체를 위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적외선 조사부(240)를 부품 단위로 제작하여 자외선 살균 모듈(200)에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외선 조사부(240)의 수명이 다한 경우 이 부품만을 교체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도 자외선 살균 모듈(200)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이 장착되는 하우스(H)는 코끼리 형, 기린 형, 강아지 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기존 하우스(H)의 형태가 다양한 경우에도 제 1,2 연결관(121,151)이 끼워질 수 있을 정도로 하우스(H)의 일측부를 개구하면 직접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을 간편하게 장착하여 하우스(H) 내측을 살균하고 동시에 내측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100 : 공기 청정기
110 : 하우징
120 : 흡기부
121 : 제 1 연결관
130 : 필터부
131 : 제 1 필터부
132 : 제 2 필터부
140 : 흡기 팬
150 : 배기부
151 : 제 2 연결관
160 : 랙부
170 : 자외선 LED부
180 : 광촉매 부재
190 : 집진기
191 : 미끄럼판
192 : 수집통
193 : 개폐판
200 : 자외선 살균 모듈
201 : 꺾임 연결부
210 : 자외선 조사부
220 : 동작감지 센서
230 : 오염감지 센서
240 : 적외선 조사부
300 : 컨트롤러
310 : 조작부
H : 하우스
D : 파티클

Claims (8)

  1. 애완동물이 사는 하우스 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를 관통하며 상기 하우스의 개구부에 연통되어 상기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120)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기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130)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스 내측의 공기가 상기 흡기부와 상기 필터부를 순차적으로 거쳐 흐르도록 하는 흡기 팬(14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를 관통하며 상기 흡기 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스 내측으로 다시 유입시키는 배기부(150)와, 상기 하우스 내측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흡기부와 상기 하우스를 직접 연결하는 제 1 연결관(121)과, 상기 하우징에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스의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부와 상기 하우스를 직접 연결하는 제 2 연결관(151)을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100);
    상기 제 2 연결관이 상기 하우스의 개구부에 연결될 때 상기 제 2 연결관의 일단부와 함께 상기 하우스의 내측에 인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연결관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스의 내측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하우스의 내측을 살균하는 자외선 조사부(210)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 모듈(200);
    상기 공기 청정기와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상기 제 2 연결관으로부터 교체를 위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자외선 조사부(210)는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로부터 교체를 위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필터부와 상기 배기부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과 타측벽에 교번하여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랙부(160);
    상기 랙부 간 통로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부착되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LED부(170);
    상기 자외선 LED부가 위치하는 상기 랙부 간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자외선 LED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 작용으로 이동중인 공기를 정화시키는 광촉매 부재(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으로부터 타측벽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분진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미끄럼판(191)과, 상기 미끄럼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미끄럼판의 상면에서 이동하는 분진을 수집하는 수집통(192)과, 상기 미끄럼판의 절개된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절개된 부분을 개폐하며 상기 흡기 팬의 동작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절개된 부분을 오픈하고 상기 흡기 팬의 동작오프시 상기 절개된 부분을 폐쇄하는 개폐판(193)을 구비하는 집진기(19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랙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스 내에서 발생한 애완동물의 큰 털을 걸러내는 제 1 필터부(131);
    상기 제 1 필터부의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적층되어 상기 제 1 필터부를 통과한 잔털과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제 2 필터부(1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스 내에서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 센서(22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작감지 센서가 상기 하우스 내에서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상기 자외선 조사부(210)는 미리 설정된 자외선 세기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자외선 세기 모드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 센서(220)가 상기 하우스 내에서 애완동물의 출입을 감지한 결과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200)은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스 내에서 발생하는 공기 중의 특정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오염감지 센서(2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염감지 센서가 상기 하우스 내에서 오염 지수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상기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 온오프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1020140154826A 2014-11-08 2014-11-08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101636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826A KR101636009B1 (ko) 2014-11-08 2014-11-08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826A KR101636009B1 (ko) 2014-11-08 2014-11-08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387A true KR20160055387A (ko) 2016-05-18
KR101636009B1 KR101636009B1 (ko) 2016-07-04

Family

ID=5611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826A KR101636009B1 (ko) 2014-11-08 2014-11-08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891A (ko) * 2017-08-22 2019-03-05 김성훈 애완동물용 하우스
KR20200053223A (ko) * 2018-11-08 2020-05-18 정다운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KR20220151719A (ko) * 2021-05-07 2022-11-15 신일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 버블 스파 및 건조장치
KR102635573B1 (ko)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반려동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살균 및 냄새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1965A (zh) * 2018-11-14 2019-04-12 牧原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畜牧养殖的高压电场杀菌灭毒除尘空气净化系统
KR102101014B1 (ko) 2018-12-07 2020-04-16 주식회사 디메디 샤워 및 건조 기능이 구비된 반려동물 하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425A (ja) * 1998-02-27 1999-09-07 Tominaga Jushi Kogyosho:Kk 小動物飼育容器用換気装置
JP2004298151A (ja) * 2003-04-01 2004-10-28 Shoichi Hanabusa 動物用トリミングテーブル
KR200459715Y1 (ko) * 2007-02-23 2012-04-12 정명구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KR20130003226U (ko) * 2011-11-23 2013-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절단용 불받이 및 이것을 사용하기 위한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425A (ja) * 1998-02-27 1999-09-07 Tominaga Jushi Kogyosho:Kk 小動物飼育容器用換気装置
JP2004298151A (ja) * 2003-04-01 2004-10-28 Shoichi Hanabusa 動物用トリミングテーブル
KR200459715Y1 (ko) * 2007-02-23 2012-04-12 정명구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KR20130003226U (ko) * 2011-11-23 2013-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절단용 불받이 및 이것을 사용하기 위한 작업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891A (ko) * 2017-08-22 2019-03-05 김성훈 애완동물용 하우스
KR20200053223A (ko) * 2018-11-08 2020-05-18 정다운 레이저 치료기를 채용한 반려동물 하우스
KR20220151719A (ko) * 2021-05-07 2022-11-15 신일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 버블 스파 및 건조장치
KR102635573B1 (ko)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반려동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살균 및 냄새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009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009B1 (ko)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RU21216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в помещении
KR102242187B1 (ko) 실내 표면 및 공기 살균 정화 장치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CN105972705A (zh) 一种空气消毒净化智能设备
KR20050077586A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JP2018130131A (ja) 室内殺菌装置
US11160890B1 (en) Automatic disinfecting workstation
KR102204113B1 (ko) 에어샤워 공기청정기
KR101685170B1 (ko) 공기살균기
JP2018130535A (ja) 室内殺菌装置
KR20190134152A (ko) 인체 감지형 공기 제균 시스템
KR101966438B1 (ko)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KR20170125523A (ko) 공기 살균정화 장치
KR102105444B1 (ko) 양문형도어가 구비된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140026050A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KR20090028299A (ko) 살균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JP2019076524A (ja) 室内環境保全システム
KR102464985B1 (ko) 이동식 방역기
KR102435544B1 (ko) 애완동물용 하우스
KR102263083B1 (ko) 공기 정화 및 소독장치
KR20220072948A (ko) 패스스루형 살균소독장치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102337075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