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881A - 문자 입력 단말기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881A
KR20160054881A KR1020140154458A KR20140154458A KR20160054881A KR 20160054881 A KR20160054881 A KR 20160054881A KR 1020140154458 A KR1020140154458 A KR 1020140154458A KR 20140154458 A KR20140154458 A KR 20140154458A KR 20160054881 A KR20160054881 A KR 2016005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creen
keyboard layout
inpu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010B1 (ko
Inventor
한기윤
Original Assignee
한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윤 filed Critical 한기윤
Priority to KR102014015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0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후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자판이 조합된 자판 배열을 구비한 자판 입력부;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 및 상기 자판 입력부의 자판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그래픽을 상기 화면부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시켜 표시하고, 상기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에서 선택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자판을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문자 입력 단말기의 후면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음으로써, 문자 입력 단말기의 전면에 별도의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공간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문자 입력 단말기의 작업 화면에 문자 입력창을 오버랩시켜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단말기{Terminal for character inpu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아 문장을 완성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이다.
디지털 기기의 문자입력방식은 컴퓨터 키보드로 유래된 쿼티형 자판과 전화기 번호자판에서 유래된 12키 번호자판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입력 수단은 키보드 입력 방식이었으나, 지금은 터치스크린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버튼식 자판은 촉각 식별의 명료성이 장점인 반면, 공간을 별도로 점유하는 점과 입력방식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으며, 터치스크린 자판은 촉각 식별성이 부족하고 시각 의존성이 높은 단점 대신, 평소에는 스크린을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다가 입력이 필요할 때만 자판을 띄우고, 여러 가지 기능성 입력 방법의 장점으로 인하여, 점차 터치스크린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중화되어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보드 자판없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 입력창을 통하여 문자 입력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의 경우 평소에는 대기 화면 또는 작업 화면이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다가, 문자 입력 요청을 받은 경우에 한하여 문자 입력창이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 입력창을 화면에 띄어서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더구나 문자 입력창이 표시될 경우 현재 작업 화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사라지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0484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문자 입력 단말기에서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문자 입력 단말기의 후면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후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자판이 조합된 자판 배열을 구비한 자판 입력부;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 및 상기 자판 입력부의 자판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그래픽을 상기 화면부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시켜 표시하고, 상기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에서 선택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자판을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판 입력부는, 문자 입력 단말기의 후면에서 하드웨어 형태의 자판 배열 키보드로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면에 마련된 자판 배열 키보드에는 입력창 이동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창 이동 버튼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화면부에서 상기 자판 배열 입력창의 표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감지되는 터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며, 상기 후면의 터치 스크린 패널 상의 위치에서 드래그되는 경우 드래그되는 이동량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화면부에 표시된 자판 배열 입력창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면의 터치 스크린 패널 상의 터치에 의하여, 상기 화면부의 작업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설정 아이콘의 클릭이 이루어져 상기 화면부에 대한 화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의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위치에서 드래그되는 경우, 드래그되는 이동량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화면부에 표시된 자판 배열 입력창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판 배열 입력창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 버튼을 화면부에 표시하며, 상기 화면부에 표시된 투명도 조절 버튼의 위치와 대응되는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위치에서 터치 조절이 있을 경우 상기 화면부에서 표시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상에 미리 설정된 암호 리듬의 터치가 있는 경우 단말기의 보안을 해제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문자 입력 단말기의 후면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음으로써, 문자 입력 단말기의 전면에 별도의 문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공간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문자 입력 단말기의 작업 화면에 문자 입력창을 오버랩시켜 표시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된 하드웨어 형태의 자판 배열 키보드를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된 화면에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된 화면에 자판 배열 입력창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된 자판 배열 키보드를 통하여 특정 자판을 누른 경우, 해당 자판과 대응되는 전면에 표시된 자판 배열 입력창의 대응 자판을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된 하드웨어 형태의 자판 배열 키보드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된 화면에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된 화면에 자판 배열 입력창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문자 입력 단말기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 및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문자 입력 단말기의 예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한정되지 않고, 문자 입력이 가능한 다른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3세대(3G), 4세대(4G,LTE) 등의 무선 이동 통신을 따르는 단말기로서, 3G, 4G가 아니더라도 연산 처리 및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해당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면에 마련된 화면부(120),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130),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이밖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RF부(140), 데이터처리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마이크(170), 스피커(180)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40)는, 3세대(3G), 4세대(4G)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과 통신하는 모듈로서,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50)는, 수신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거나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변조 및 부호화하여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처리부(15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패킷 등을 처리하여 음성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180)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처리부(15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17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수단이며,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화면부(1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한다. 여기서 작업 화면이라 함은, 대기 화면, 그림 화면, 동영상 화면, 어플리케이션 화면, 통화 화면 등의 다양한 동작 화면을 말한다. 화면부(120)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창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면이라 함은, 작업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창이 마련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일측면을 말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이라 함은 전면과 반대측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타측면을 말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카메라 렌즈(19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화면부(120)에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이 그래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자판 배열 입력창(10)은 화면부(120)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위치 및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자판 배열 입력창(10)은, 복수의 자판과 완성된 문장 입력 필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자판 입력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자판이 조합된 자판 배열이다. 자판 입력부(130)는,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서 하드웨어 형태의 자판 배열 키보드(131)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자판 배열 키보드(131)는 문자 버튼, 기호 버튼, 특수 버튼 등의 다양한 자판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된 자판 배열 키보드(131)의 자판을 누름으로써, 필요한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자판 입력부(130)를 구현하는 다른 하나의 방식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132)을 마련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132)을 통하여 감지되는 터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를 전면에 마련된 화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패널(132)을 터치하여 문자 입력 등을 할 수 있다.
참고로, 터치 스크린 패널(132)이라 함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터치펜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이다. 참고로, 터치 스크린 패널(132)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CRT나 LCD 등과 조합시켜 문장과 그림 등이 표시되어 있는 장소를 직접 누름으로써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이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액정위에 여러 겹으로 막(스크린)이 쌓여 있는 형태로 가장 바깥쪽에는 부드러우면서 흠집에 강한 재질의 막이 있고, 그 다음에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막, 그리고 그 다음은 입력을 감지하는 투명 전도막 2장이 겹쳐 있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화면을 누르면 2장의 전도막이 맞닿으면서 발생한 전류와 저항의 변화를 감지해 좌표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여러장의 막을 겹쳐서 구현하기 때문에 선명도가 떨어져 고해상도 지원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액정 유리에 전기가 통하는 화합물을 코팅해서 전류가 계속 흐르도록 만들고 화면에 손가락이 닿으면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게 되고, 터치 패널의 모서리의 센서가 이를 감지해서 입력을 판별하게 된다. 유전체 코팅된 액정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질 저하 우려가 없어 스마트폰의 대부분에서 채택되는 방식이다.
적외선 방식은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학식 방식으로서 터치 패널의 둘레에 적외선을 발광 및 수광하는 광학 센서들을 배치하여, 수광 상태에 따라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방식은 초음파를 감지하는 방식으로서 터치 패널의 둘레에 초음파를 발생 및 수신하는 음파 센서들을 배치하여, 음파의 수신 여부에 따라서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초음파 방식은 오염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된 자판 배열 키보드(131)나 터치 스크린 패널(132)로 구현된 자판 입력부(130)를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후면에 마련된 자판 배열을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면에 마련된 화면부(120)를 바라보고 반대면인 후면을 바라보지 않기 때문에 자판 배열을 알아볼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판 입력부(130)의 자판 배열과 동일한 배열의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그래픽을 화면부(120)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시켜 표시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130)에서 선택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자판을 실시간으로 소정의 색상으로서 표시하는 제어부(110)를 구비한다.
즉, 제어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130)의 자판 배열과 동일한 자판 배열을 가지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부(120)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시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 화면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가상의 자판 배열을 바라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130)에서 선택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자판을 실시간으로 소정의 색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된 자판 배열 키보드(131)를 통하여 특정 자판을 누른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자판과 대응되는 전면에 표시된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대응 자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형태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대응 자판을 소정의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반짝거리게 하거나, 대응 자판의 위치에 손가락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130)가 실물의 자판 배열 키보드(131)가 아닌 터치 스크린 패널(132)인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132)에 그래픽의 자판 배열 키보드(131) 그래픽을 자판 입력부(130)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자판 배열 키보드(131)의 자판 배열과 동일한 형상의 그래픽인 자판 배열 입력창(10)을 전면의 화면부(120)에 오버랩시켜 표시한다. 그 후,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에서 감지되는 터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를 화면부(120) 상에서 표시하여 자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대응 위치 표시 형태는 감지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의 화면부(120)에 손가락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 상에서 손가락을 이동시켜가며 터치함으로써, 전면의 화면부(120)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자판 선택을 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화면부(120)의 작업 화면에 표시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은 화면부(120)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후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132)이 마련된 경우 제어부(110)는,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상의 위치에서 드래그하여, 드래그되는 이동량 및 방향에 따라서 화면부(120)에서의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에 손가락을 갖다대면,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전면에 마련된 화면부(120)에 손가락 아이콘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에서 손가락을 이동하여 전면에 마련된 화면부(120)의 자판 배열 입력창(10)에 손가락 아이콘을 위치시킨 후,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클릭한 후 드래그하게 되면 드래그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서 자판 배열 입력창(10)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후면에 마련되는 자판 입력부(130)가 터치 스크린 패널(132)이 아닌 자판 배열 키보드(131)의 경우에는, 전면에 마련된 화면부(120)에 표시된 자판 배열 입력창(10)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입력창 이동 버튼을 자판 배열 키보드(131) 상에 구비할 수 있다. 입력창 이동 버튼은 좌우상하 화살표 방향 버튼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입력창 이동 버튼의 조작에 따라서 화면부(120)에 표시된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전면에 마련된 화면부(120)에 표시된 그래픽 형태의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10)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 버튼을 화면부(120)에 표시한다. 화면부(120)에 표시된 투명도 조절 버튼의 위치와 대응되는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상의 위치에서 터치 조절이 있을 경우, 제어부(110)는 화면부(120)에서 표시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130)가 터치 스크린 패널(132)이 아닌 자판 배열 키보드(131)인 경우에는, 투명도 조절 버튼을 자판 배열 키보드(131)에 실물로 마련하여, 자판 배열 키보드(131) 내의 투명도 조절 버튼을 조절하여 자판 배열 입력창(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을 터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의 화면부에 대한 화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후면의 터치 스크린 패널(132)을 손가락이 터치펜으로 터이함으로써, 화면부의 작업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설정 아이콘의 클릭이 이루어져, 화면부에 대한 화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클릭에 의해 어플리케시션이 실행될 수 있도록 화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말하며, 설정 아이콘은 화면 밝기 조절, 음량 조절, 와이파이 온/오프 설정, 블루투스 온/오프 설정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하여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을 말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기본적인 기능을 이용하는데 한정되었으나, 점차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성능과 기능이 발전하면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다양한 일들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을 하거나, 개인 일정을 관리하고, 인터넷을 하거나 이메일을 확인하며, 문서 파일을 보는 등 휴대폰으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활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보안 설정을 하는 것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보안을 설정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숫자 입력 방식이 있다. 이는 키패드를 통하여 4자리의 숫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런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는 잠금 방식은 지루하고 딱딱할 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생활 정보 노출의 위험을 갖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억하기 쉽도록 비밀번호를 통일시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통장, 현관문 같은 중요한 비밀번호와 연계되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밀 번호 유출시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도입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 화면에 격자의 점을 표시하고 점을 연결하는 패턴 모양을 미리 설정해놓고, 설정한 패턴을 그리는 것으로 암호를 푸는 패턴 락(pattern lock)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패턴 락은 기존의 패스워드 입력 방식에 비해서 기억하기 쉬운 도형을 기억하여 입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특성상, 손가락을 통해 남겨진 기름 자국을 통해 입력된 패턴의 흔적을 추적하여 패턴 락이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132)상에 미리 설정된 암호 리듬의 터치가 있는 경우 단말기의 보안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면에 마련된 화면 또는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132)에서 사용자가 특정 부위를 지정하고 특정 리듬으로 손가락 또는 손톱을 이용하여 리듬으로 된 암호 리듬을 만든 뒤, 이러한 암호 리듬의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보안을 해제하여 대기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이동통신단말기 110:제어부
120:화면부 130:자판 입력부
131:자판 배열 키보드 132:터치 스크린 패널

Claims (7)

  1. 후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자판이 조합된 자판 배열을 구비한 자판 입력부;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 및
    상기 자판 입력부의 자판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그래픽을 상기 화면부의 작업 화면에 오버랩시켜 표시하고, 상기 후면에 마련된 자판 입력부에서 선택되는 자판과 대응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자판을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판 입력부는,
    문자 입력 단말기의 후면에서 하드웨어 형태의 자판 배열 키보드로서 마련되는 문자 입력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마련된 자판 배열 키보드에는 입력창 이동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창 이동 버튼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화면부에서 상기 자판 배열 입력창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문자 입력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단말기의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감지되는 터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며, 상기 후면의 터치 스크린 패널 상의 위치에서 터치에 의해 드래그되는 경우 드래그되는 이동량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화면부에 표시된 자판 배열 입력창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문자 입력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의 터치 스크린 패널 상의 터치에 의하여, 상기 화면부의 작업 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설정 아이콘의 클릭이 이루어져 상기 화면부에 대한 화면 조작이 이루어지는 문자 입력 단말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판 배열 입력창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투명도 조절 버튼을 화면부에 표시하며, 상기 화면부에 표시된 투명도 조절 버튼의 위치와 대응되는 후면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상의 위치에서 터치 조절이 있을 경우 상기 화면부에서 표시되는 자판 배열 입력창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상에 미리 설정된 암호 리듬의 터치가 있는 경우 단말기의 보안을 해제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KR1020140154458A 2014-11-07 2014-11-07 문자 입력 단말기 KR10164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458A KR101646010B1 (ko) 2014-11-07 2014-11-07 문자 입력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458A KR101646010B1 (ko) 2014-11-07 2014-11-07 문자 입력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881A true KR20160054881A (ko) 2016-05-17
KR101646010B1 KR101646010B1 (ko) 2016-08-05

Family

ID=5610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458A KR101646010B1 (ko) 2014-11-07 2014-11-07 문자 입력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0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054A (ja) * 2004-02-13 2005-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
JP2011203808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携帯情報端末
KR20130141081A (ko) * 2012-06-15 2013-12-26 이의형 배면에 키패드가 구비되는 스마트폰
US20140004849A1 (en) 2012-06-29 2014-01-02 Apple Inc. Determining connection states of a mobile wireless device
KR101398141B1 (ko) *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054A (ja) * 2004-02-13 2005-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
JP2011203808A (ja) *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携帯情報端末
KR20130141081A (ko) * 2012-06-15 2013-12-26 이의형 배면에 키패드가 구비되는 스마트폰
US20140004849A1 (en) 2012-06-29 2014-01-02 Apple Inc. Determining connection states of a mobile wireless device
KR101398141B1 (ko) *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010B1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929B1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US7479947B2 (en) Form factor for portable device
US9344622B2 (en) Control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KR1015495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62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333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658227B1 (en) Exchange of hand-drawings on touch-devices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30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575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096024A1 (en) Mobile terminal
KR10082116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US20090096749A1 (en) Portable device input technique
KR2010002823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0002458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24682A (ko)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및 단말 장비
WO2020192297A1 (zh) 屏幕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KR1018181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52192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3037B1 (ko) 터치센서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KR101646010B1 (ko) 문자 입력 단말기
KR201000814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명령 입력방법
KR101488991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KR201000399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무선 통신 채널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