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480A -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기기, 상기 충전 기기가 구비된 자동차 및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기기, 상기 충전 기기가 구비된 자동차 및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480A
KR20160054480A KR1020167006308A KR20167006308A KR20160054480A KR 20160054480 A KR20160054480 A KR 20160054480A KR 1020167006308 A KR1020167006308 A KR 1020167006308A KR 20167006308 A KR20167006308 A KR 20167006308A KR 20160054480 A KR20160054480 A KR 20160054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urrent
voltage
battery
voltage b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730B1 (ko
Inventor
뤼도뷕 메리엔느
페드로 크비에스카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5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B60L11/18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02J7/02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02M2001/00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기기, 상기 충전 기기가 구비된 자동차 및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배터리, 특히 구동 또는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자동차 배터리를 위한 이러한 초핑 기기는, 공급 회로망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필터링 스테이지(2),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에 접속된 전압 스텝-다운(step-down) 스테이지(3), 상기 전압 스텝-다운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전압 스텝-업(step-up) 스테이지(4) 및 상기 전압 스텝-다운 스테이지에 대해 그리고 상기 전압 스텝-업 스테이지 상에 초핑 듀티비들을 부과할 수 있는 조정 유닛(15)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 유닛(15)은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압 스텝-다운 스테이지에 의해 생성된 고조파를 보상하여, 상기 전압 스텝-다운 스테이지에 영향을 준다.

Description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기기, 상기 충전 기기가 구비된 자동차 및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Device for charging an automotive vehicle battery making it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harmonics, automotive vehicle furnished with such a charg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charging}
본 발명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전력 공급 회로망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자동차 배터리 충전을 허용하도록 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에 합체되도록 의도된 충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 배터리 충전 시스템들에서는, 상기 전력 공급 회로망의 전력이 2개의 컨버터, 다시 말하면 전압 버크 컨버터 및 전압 부스트 컨버터를 통해 다시금 상기 배터리로 보내진다. 상기 2개의 컨버터는 각각 출력 전류의 함수로서, 그리고/또는 원하는 출력 전압의 함수로서 제어되는 주파수로 일련의 스위치들을 연속하여 개폐함으로써 상기 2개의 컨버터의 출력 단자 및 상기 2개의 컨버터의 입력 단자 간의 전압 비를 낮추고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충전 시스템들은 3상 또는 단상 회로로부터 차량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용 내장형 충전 시스템으로서, 발전 또는 차량 추진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또한 보장하는 전기 기계의 코일들을 합체하고 있는, 자동차용 내장형 충전 시스템에 관련된 것인 특허 출원 FR 2 943 188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3상 회로로부터의 배터리 충전을 기술하는 문헌 FR 2 964 510 및 단상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배터리 충전을 기술하며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아키텍처를 또한 기술하는 문헌 FR 2 974 253에 대해 또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 공급 회로망으로부터 인출된 전류의 초핑(chopping)으로 인출된 전류에서 고주파 성분들, 다시 말하면 관례적으로는 50Hz인 배전 회로망의 기본 주파수보다 높은 정도의 고조파가 유도된다.
전기 배전반들이 인출된 전류의 고조파에 표준을 부과함에 따라, 그러한 충전 시스템은 또한 전압 버크 스테이지 입력에 RLC(저항-유도-정전용량) 타입의 필터를 포함한다.
그러한 입력 필터는 흡수 전류를 필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고조파에 관하여 회로망 운영자들에 의해 부과되는 회로망 접속 요건들과 아울러, 자동차 분야의 회로 접속 요건들을 충족시켜 준다.
그러한 입력 필터는 또한 충전기의 정확한 전력 모드 동작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실제로는, 상기 입력 필터가 상기 충전 기기에 의해 상기 회로망으로 복귀되는 고조파 성분을 흡수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다시 말하면, 복귀된 전류는 완벽한 정현파를 이루고 있지 않다. 사실상, 상기 입력 필터는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서의 전류들의 초핑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 주파수, 이 경우에 10kHz로 생성된 고주파 성분을 흡수할 정도로만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공급 회로망에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공급 회로망에서의 고조파 성분의 출현을 막을 수 있도록 설계된 배터리 충전 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대상은 배터리 충전 기기, 특히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의 배터리용 배터리 충전 기기이며, 상기 배터리 충전 기기는 전력 공급 회로망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필터링 스테이지,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에 접속된 전압 버크 스테이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도록 의도된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 및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 상에 그리고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 상에 초핑 듀티 사이클들을 부과하기에 적합한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의해 생성된 고조파를 보상하여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영향을 주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대한 스위칭 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에 적합한 주 레귤레이터(regulator), 및 상기 제어 신호와 결합 되는 고조파 보상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에 적합한 고조파를 보상하는 보조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는 상기 회로망으로부터 인출된 전류 및 이상적인 보상 전류를 비교하기에 적합한 비교기에 연관되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생성한다.
상기 이상적인 보상 전류는 위상 동기 루프(phase-locked loop)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가 상기 비교 결과의 필터링을 보장하는 타원형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타원형 필터는 상기 보상 신호의 듀티 사이클(
Figure pct00001
)이 이하의 수학식
Figure pct00002
에 기초하여 생성되도록 전류 분배기에 접속된 출력을 지니는 조정 가능한 이득을 갖는 증폭 스테이지에 연관되어 있고, 상기 수학식에서는,
Figure pct00003
는 조정 가능한 이득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4
는 타원형 필터의 출력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05
은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출력 전류이다.
다른 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한 대상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충전 기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대상은 배터리 충전 방법, 특히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충전 방법이고, 상기 배터리 충전 방법에서는 전력 공급 회로망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가 필터링되고 상기 회로망의 전력이 전압 버크 스테이지 및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의 초핑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면서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 및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보내진다.
상기 방법의 일반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의해 생성된 고조파가 상기 회로망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용으로 필터링 스테이지에서 보상된다.
한 구현 예에서는, 상기 고조파의 보상이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대한 스위칭 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기에 적합한 주 조정 및 상기 고조파를 보상하기 위한 보조 조정을 결합함으로써 구현되고, 상기 보조 조정은 상기 회로망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 및 이상적인 보상 전류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구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이상적인 보상 전류는 회로망 전류의 맥동 측정으로부터 생성된다.
한 구현 예에서는, 상기 비교의 결과가 타원형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고, 가변 이득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다음에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출력 전류에 의해 분배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이하의 설명을 이해하고 그리고 첨부도면들을 참조하면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기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조정 유닛의 구조를 전반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이상적인 전류의 생성을 예시하는 곡선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조정 유닛의 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타원형 필터의 동작을 예시하는 곡선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에는 한 실시 예에 따른 3상 전력 공급 회로망으로부터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충전 기기(1)는 필터링 스테이지(2),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2)에 연결된 전압 버크 스테이지(3), 및 전기 기계(5)를 통해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에 연결된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기기(1)는 예를 들면 3상 전력 공급원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상기 충전 기기(1)는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2)의 입력에 연결되고 전력 공급 회로망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3개의 단자(B1, B2, B3)를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유념할 점은 단상 충전 모드에서 단지 입력들(B1, B2)만이 단상 전력 공급 회로망에 연결된다는 점이다.
각각의 입력 단자(B1, B2, B3)는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2)의 필터링 브랜치(filtering branch)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필터링 브랜치는 병렬로 이루어진 2개의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브랜치 중 하나의 브랜치는 값 L2의 인덕터를 지니고 나머지 브랜치는 직렬로 값 L1의 인덕터 및 값 R의 저항기를 지닌다.
이러한 2개의 필터링 브랜치는 각각 출력에서, 상기 필터링 브랜치들 각각에 대하여 제각기 D1, D2, D3로 지칭되는 지점에서 예를 들면 접지에 연결된 정전용량(C)의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있다. 동시에, 값 R의 저항기들, 값 L1 또는 L2의 인덕터들, 및 정전용량(C)의 커패시터들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의 입력에서 RLC 타입의 필터를 구성한다.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는 지점들(D1, D2, D3)에 의해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는 3개의 병렬 브랜치(6, 7, 8)를 포함하며, 3개의 병렬 브랜치(6, 7, 8) 각각은 조정 유닛(15) 및 2개의 다이오드에 의해 제어되는 S1n 및 S1p와 같은 2개의 스위치를 지닌다.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각각의 입력(D1, D2 또는 D3)은 제각기 브랜치(F1, F2, F3)에 의해 제각기 참조번호 6, 7 및 8로 지칭되는, 동일 브랜치의 S1n 또는 S1p와 같은 2개의 스위치 사이에 위치한 접속 지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브랜치들(6, 7, 8)의 공통 단부들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의 2개의 출력 단자를 구성한다. 상기 2개의 출력 단자 중 하나는 상기 배터리(13)의 "-" 단자에 그리고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4)의 제1 입력(10)에 링크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출력 단자 중 나머지는 전기 기계(5)의 제1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기계(5)의 나머지 단자는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4)의 제2 입력(10')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4)는 3개의 병렬 브랜치(11, 12, 13)를 포함하며, 3개의 병렬 브랜치(11, 12, 13) 각각은 상기 조정 유닛(15)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스위치(S4, S5, S6)에 연계된 다이오드(D4, D5, D6)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치들(S4, S5, S6)은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4)의 제1 입력(10) 및 상기 배터리(13)의 "+" 단자를 링크시키는 브랜치 상에 위치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3)는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의 3개의 브랜치(11, 12, 13) 상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기계(5)는 3개의 병렬 브랜치에 링크되어 있을 수 있으며 3개의 병렬 브랜치 각각은 유도 코일(Ltd)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다이오드(D4, D5 또는 D6) 및 대응하는 브랜치들(11, 12, 13)의 상응하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S4, S5, S6) 사이에 접속된 저항기(Rtd)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충전 기기(1)는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의 출력 전류(IN)를 측정하기 위한 부재(16)에 의해 보완된다. 이러한 전류(IN)는 상기 전류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의 출력에서 상기 전기 기계(5)의 3개의 고정자 권선의 성형(star-configuration interconnection) 상호접속을 이루게 한다는 점 때문에 이하에서 중성 전류로 표기될 것이다.
상기 충전 기기는 또한 상기 회로망으로부터 인출된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부재(17)에 의해 보완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이러한 측정 전류들은 특히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의 동작에서 생성되고 상기 입력 필터(2)에 의해 증폭된 후에 상기 회로망 내로 도입될 가능성이 있는 고조파의 보상을 보장하도록 상기 조정 유닛(15)에 전달된다.
동작시, 상기 조정 유닛(15)은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진, 상기 전압 버크 및 부스트 스테이지들의 스위치들에 대한 스위칭 제어 신호들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한다. 상기 스위치들은 고속 스위칭을 허용하는 트랜지스터들, 예를 들면 IGBT(Insulation Gate Bipolar Transistor) 타입의 트랜지스터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정 유닛(15)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초핑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제어 모듈 및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에 대한 초핑 듀티 사이클 설정 점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듀티 사이클들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조정 유닛은 예를 들면 입력으로서 회로망 전력 공급 전압, 상기 전기 기계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강도, 배터리 전압(13) 및 상기 배터리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강도의 값들을 수신한다.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의 제어에 전용된 제어 모듈에 대하여는, 상기 조정 유닛(15)이 상기 초핑에서 생성된 고조파를 감소시키고 심지어는 제거하도록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스위치들을 제어한다.
도 2에는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초핑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정 유닛의 제1 모듈의 전형적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정 유닛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회로망의 전압(Vnetwork) 및 중성 전류(Ineutral)의 측정값을 입력으로서 수신하여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대한 스위칭 제어 신호(S)를 생성하는 주 레귤레이터(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정 유닛은 최종 제어 신호(S")를 생성하도록 가산기(24)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S)와 결합되도록 의도된 고조파 보상 신호(S')의 듀티 사이클을 평가하도록 의도된, 고조파를 보상하는 보조 레귤레이터(22)를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22)는 감산기(25)에 의한 상기 전류(Inetwork)의 값 및 이상적인 전류(Iideal  network)의 값 간의 비교를 보장한다.
도 3에 대해 참조가 지금부터 이루어지는데, 도 3에서는 곡선 1이 회로망 전압을 나타내고, 곡선 2가 상기 회로망으로부터 인출된 전류를 나타내며, 곡선 3이 원하는 전류를 나타내고 그리고 곡선 4가 이상적인 회로망 전류를 나타낸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앞서 설명한 이유들 때문에, 상기 회로망으로부터 인출된 전류가 상기 전류의 고조파 성분 때문에 50Hz에서 순수한 정현파를 이루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러한 전류(Inetwork) 때문에, 위상 동기 루프(PLL; 26)가 사용되며, 상기 위상 동기 루프(PLL; 26)는 전류(Iideal  network)(곡선 4)를 생성하도록 상기 측정 부재(17)에 의해 측정된 회로망 전류의 맥동 wt를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25)에 의해 구현되는 감산의 결과로부터,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는 상기 주 레귤레이터(20)로부터 획득된 제어 신호(S)에 치유 성분(curative component)을 추가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회로망의 고조파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보상 신호(S")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이 때문에 상기 조정 유닛이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2)의 통과를 고려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그리고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22)는 상기 감산기(25)에 의해 전달되는 비교 결과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입력 타원형 필터(27) 및 필터링된 비교 결과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고조파 보상 신호(S")를 제공하도록 상기 측정 부재(16)에 의해 공급된 중성 전류 측정 값 및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스테이지(28)의 출력 간의 분배를 보장하는 분배기(29)에 접속된 출력을 지니는 가변 이득 증폭기 스테이지(28)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조파 보상 신호(S")의 듀티 사이클(
Figure pct00006
)은 이하의 수학식
Figure pct00007
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수학식에서는,
Figure pct00008
가 상기 증폭 스테이지(28)의 조정 가능한 이득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9
는 상기 타원형 필터(27)의 출력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10
은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출력 전류이다.
상기 타원형 필터의 사용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점은 도 5 및 도 6을 고려하면 자명해질 것이다.
도 5에는 고조파를 보상하도록 전압 버크 스테이지를 제어하는 것을 수정함에 기인한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 및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 간의 전류의 수정을 해석한 보드 선도(Bode diagram)가 도시되어 있다.
위상 반전이 약 500Hz에서 관측되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간단한 비례 보정기가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22)를 구현하는데 최적인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실제로는, 그러한 보정기가 500Hz 미만에서는 고조파를 확실히 보상할 수 있지만, 500Hz를 넘어서는 고조파를 악화되게 한다.
상기 회로망의 고조파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게 하기 위해, 500Hz 이상에서 위상 반전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타원형 필터(27)가 사용된다. 도 6에는 그러한 필터의 보드 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Claims (10)

  1. 배터리 충전 기기, 특히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의 배터리용 배터리 충전 기기로서, 상기 배터리 충전 기기는 전력 공급 회로망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필터링 스테이지(2),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에 접속된 전압 버크 스테이지(3),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13)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4) 및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 상에 그리고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 상에 초핑 듀티 사이클들을 부과하도록 이루어진 조정 유닛(15)을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필터링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의해 생성된 고조파를 보상하여,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영향을 주는 수단(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대한 스위칭 제어 신호(S)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진 주 레귤레이터(20) 및 상기 제어 신호와 결합되는 고조파 보상 신호(S')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진, 고조파를 보상하는 보조 레귤레이터(22)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22)는 상기 전력 공급 회로망으로부터 인출된 전류(Inetwork) 및 이상적인 보상 전류(Iideal  network)를 비교하도록 이루어진 비교기(25)에 연관되어,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신호(S')의 듀티 사이클을 생성하는, 배터리 충전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적인 보상 전류는 위상 동기 루프(26)로부터 생성되는, 배터리 충전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귤레이터는 상기 비교 결과의 필터링을 보장하는 타원형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타원형 필터는 상기 보상 신호의 듀티 사이클(
    Figure pct00011
    )이 이하의 수학식
    Figure pct00012

    에 기초하여 생성되도록 전류 분배기(29)에 접속된 출력을 지니는 조정 가능한 이득을 갖는 증폭 스테이지(28)에 연관되어 있고, 상기 수학식에서는,
    Figure pct00013
    는 상기 조정 가능한 이득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14
    는 상기 타원형 필터의 출력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15
    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3)의 출력 전류인, 배터리 충전 기기.
  6.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터리 충전 기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7. 배터리 충전 방법, 특히 적어도 부분적인 전기 구동 기능을 지니는 자동차의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충전 방법으로서, 전력 공급 회로망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가 필터링되고 상기 전력 공급 회로망의 전력이 전압 버크 스테이지(3) 및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4)의 초핑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면서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 및 상기 전압 부스트 스테이지를 통해 상기 배터리로 보내지는, 배터리 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의해 생성된 고조파가 상기 전력 공급 회로망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용으로 필터링 스테이지에서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의 보상은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에 대한 스위칭 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진 주 조정 및 상기 고조파를 보상하기 위한 보조 조정을 결합함으로써 구현되고, 상기 보조 조정은 상기 전력 공급 회로망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 및 이상적인 보상 전류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배터리 충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적인 보상 전류는 전력 공급 회로망 전류의 맥동 측정으로부터 생성되는, 배터리 충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의 결과는 타원형 필터(27)에 의해 필터링되고, 가변 이득 증폭기(28)에 의해 증폭된 다음에 상기 전압 버크 스테이지의 출력 전류(
    Figure pct00016
    )에 의해 분배되는,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167006308A 2013-09-18 2014-09-12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기기, 상기 충전 기기가 구비된 자동차 및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067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8969 2013-09-18
FR1358969A FR3010849B1 (fr) 2013-09-18 2013-09-18 Dispositif de charge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permettant de compenser les harmoniques, vehicule automobile dote d'un tel dispositif de charge et procede de charge correspondant
PCT/FR2014/052267 WO2015040311A1 (fr) 2013-09-18 2014-09-12 Dispositif de charge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permettant de compenser les harmoniques, vehicule automobile dote d'un tel dispositif de charge et procede de charge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480A true KR20160054480A (ko) 2016-05-16
KR102067730B1 KR102067730B1 (ko) 2020-01-17

Family

ID=5047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308A KR102067730B1 (ko) 2013-09-18 2014-09-12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기기, 상기 충전 기기가 구비된 자동차 및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07411A1 (ko)
EP (1) EP3047562B1 (ko)
KR (1) KR102067730B1 (ko)
CN (1) CN105493380B (ko)
FR (1) FR3010849B1 (ko)
WO (1) WO2015040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6244B1 (fr) * 2014-09-22 2017-05-12 Renault Sas Dispositif et procede de determination d'une consigne corrigee du courant neutre d'un chargeur sans isolation galvanique d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electrique ou hybr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3188A1 (fr) * 2009-03-11 2010-09-17 Renault Sas Dispositif de charge rapide pour un vehicule electrique.
WO2010119097A2 (en) * 2009-04-15 2010-10-21 Renault Sas Motor vehicle with electric propulsion and terminal for charging the bank of accumulators of such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4273B2 (ja) * 2007-06-20 2010-09-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および車両用電源装置における蓄電装置の充電状態推定方法
FR2964510B1 (fr) * 2010-09-07 2013-06-14 Renault Sa Dispositif de recharge pour batterie automobile et procede de gestion du dispositif.
FR2974253B1 (fr) 2011-04-14 2013-04-26 Renault Sas Dispositif de charge d'une batterie d'un vehicule automobile a partir d'un reseau d'alimentation monophase, et procede de commande du dispositif
FR2990078B1 (fr) * 2012-04-27 2014-05-09 Renault Sa Procede de commande de charge d'une batterie
FR2992490B1 (fr) * 2012-06-26 2014-07-18 Renault Sa Procede de commande d'un chargeur de batterie automobile a reduction de pertes par commutation.
US20140266013A1 (en) * 2013-03-14 2014-09-18 C.E. Niehoff & Co. Switched voltage boo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3188A1 (fr) * 2009-03-11 2010-09-17 Renault Sas Dispositif de charge rapide pour un vehicule electrique.
KR101302714B1 (ko) * 2009-03-11 2013-08-30 르노 에스.아.에스. 전기 자동차용 고속 충전 장치
WO2010119097A2 (en) * 2009-04-15 2010-10-21 Renault Sas Motor vehicle with electric propulsion and terminal for charging the bank of accumulators of such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7562A1 (fr) 2016-07-27
KR102067730B1 (ko) 2020-01-17
CN105493380A (zh) 2016-04-13
WO2015040311A1 (fr) 2015-03-26
FR3010849A1 (fr) 2015-03-20
FR3010849B1 (fr) 2015-10-30
US20160207411A1 (en) 2016-07-21
CN105493380B (zh) 2019-01-04
EP3047562B1 (fr)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909B1 (ko) 단상 전원 공급 회로망을 기반으로 하여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1860412B1 (ko) 자동차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한 기기 및 그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US10857898B2 (en)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KR101302714B1 (ko) 전기 자동차용 고속 충전 장치
KR20160099259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KR102037769B1 (ko)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
CA2555186A1 (en) Power out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DE102014206518A1 (de) Leistungsumwandlungsgerat
KR100693505B1 (ko) 전기 자동차용 디씨 링크의 전압 제어 방법
CN109698630A (zh) 逆变器的均流方法、装置、逆变系统及无线充电系统
CN106573549A (zh) 用于根据供电网络的阻抗对机动车辆的电池进行充电的方法和设备以及配备有这种充电设备的机动车辆
JP6696625B2 (ja) 電気またはハイブリッド車両の車載充電装置用の三相整流器を制御する方法
CN111301170A (zh) 能够减少低频漏电流的充电装置
KR102067730B1 (ko)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기기, 상기 충전 기기가 구비된 자동차 및 고조파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방법
US9887636B2 (en) Method of reducing common mode current
CN110692186B (zh) 电力变换装置
CN110798065A (zh) 升压转换器的控制装置
JP5724939B2 (ja) 電源安定化装置
US9306485B2 (en) Supply line,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drive
Su Pulse-width-modulation schemes for an integrated traction and compressor drive system
JP2017127142A (ja) 電力変換器
JP2023019868A (ja) 試験装置
KR20180038305A (ko) 차량용 커패시터의 용량 가변 시스템 및 방법
KRISHNAIAH et al. Power Quality Improvement in Electrified Transportation using Hybrid Active and Passiv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