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648A -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648A
KR20160053648A KR1020140152982A KR20140152982A KR20160053648A KR 20160053648 A KR20160053648 A KR 20160053648A KR 1020140152982 A KR1020140152982 A KR 1020140152982A KR 20140152982 A KR20140152982 A KR 20140152982A KR 20160053648 A KR20160053648 A KR 20160053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unit
su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3514B1 (en
Inventor
유기봉
이경호
차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14B1/en
Priority to CN201510631341.3A priority patent/CN105546664B/en
Priority to US14/921,250 priority patent/US9855522B2/en
Priority to EP15191219.3A priority patent/EP3015784B1/en
Priority to US14/921,287 priority patent/US9713783B2/en
Priority to EP15191216.9A priority patent/EP3012547B1/en
Priority to EP15191217.7A priority patent/EP3012548B1/en
Priority to US14/921,400 priority patent/US9802145B2/en
Publication of KR2016005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capable of maximizing an air purification capacity thereof while having a minimum installation area.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t a portion thereof; a suction unit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to suck air; a discharge unit arrang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 blowing unit arranged within the body to blow the air from the suction unit to the discharge unit; and a filter unit arranged within the body to purify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which defines a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or the discharge port, has an oval shape inclined to a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and the filter unit has the filter surface, in which the air passes through, forming an oval shape inclined to the central axis.

Description

공기청정기 {Air Purifier}{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의 설치면적으로 공기청정 용량을 최대화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that maximizes an air cleaning capacity with a minimum installation area.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고 체취나 담배 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한다.The air purifier refers to a device that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converts it into fresh air. It sucks contaminated air into the fan, collects dust and germs by fine dust, and smells odor such as body odor, tobacco odor, etc. .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공기 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실내에 배치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공기청정 용량을 키우는 것이 요구된다.Such an air cleaner is required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in the air while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air cleaning capacity while occupying a small space when being placed indoo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소의 설치면적으로 공기청정 용량을 최대화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maximizes the air cleaning capacity with a minimum installation area.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일부가 원통 형상인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유닛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유닛 측에서 상기 토출유닛 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과,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가 이루는 면이 상기 원통의 중심축과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이 상기 중심축가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partially cylindrical shape, a su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 air blow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lowing air from the suction unit side to the discharge unit side; and an air blow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suck ai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filter unit has a filter surf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The central axis is formed in an inclined oval shap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공기청정 용량을 키우면서도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stallation area while increasing the air cleaning capacity.

둘째, 타원형의 필터면을 가지는 필터유닛을 원통 형상의 본체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최대화하고 공기청정 용량을 극대화하는 장점도 있다.Second, the filter unit having an elliptical filter surface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inside the cylindrical body, thereby maximizing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nd maximizing the air cleaning capacity.

셋째, 필터유닛은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적층하여 공기청정 효과를 최대화하며 적층된 각 필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누락시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the filter unit maximizes the air cleaning effect by stacking various kinds of filters, and also has a merit that a part of each of the stacked filters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n the filter is missing.

넷째, 필터유닛이 적절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경사진 흡입구로부터 경사진 토출구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는 장점도 있다.Fourth, the filter unit is arranged at an appropriate angle to be inclined, and air is smoothly flowed from the inclined intake port to the inclined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한 전방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후방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결합을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필터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필터유닛 장착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하부 일부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내부 일부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바디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에 대한 일부 구조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상부 일부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to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Fig. 8B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8A. Fig.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8A.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8A.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filter unit o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12 is a partial bottom view of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FIG. 13 is a partial internal structur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FIG. 15 is a rear view of the air blowing body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blowing fan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7 is a partial structural view of the air blowing unit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8 is a partial top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한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베이스(110)와, 일부가 원통 형상인 본체(120)와, 본체(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0a)가 형성된 흡입유닛(130)과, 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흡입구(130a)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60a)가 형성된 토출유닛(160)과, 본체(120)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유닛(130) 측에서 토출유닛(160) 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180)을 포함한다.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10, a main body 120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 part, a suction unit 13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and having a suction port 130a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 discharge unit 16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and having a discharge port 160a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30a; And a blowing unit 180 for blowing air to the discharge unit 160 side.

후술에서 전방, 후방, 좌측방향, 우측방향,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다. 상하방향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중력방향이 하측방향이고 하측방향의 반대방향이 상측방향이다.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은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좌우방향은 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전방은 후술한 전면패널(121)이 배치되는 방향이고, 후방은 후술할 후면패널(122)이 배치되는 방향이다. 좌측방향은 본체(120)를 기준으로 좌측이고 우측방향은 본체(120)를 기준으로 우측이다. 또한, 중심축(SA)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하며 상하방향과 평행하고, 수평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다.The front, rear, left direction, right direction, upward direction and downward direc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as shown in Figs.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where the air cleaner is seated, the gravity direction is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downward direction is the upward directio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are parallel to the floor,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anel 121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nd the rear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panel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The left direction is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20 and the right side is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20. [ Further, the central axis SA is perpendicular to the floor where the air cleaner is seated, parallel to the up-and-down direction, and horizontal is parallel to the floor where the air cleaner is seated.

베이스(110)는 바닥에 안착되어 본체(120)를 지지한다. 베이스(110)는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가운데 부분이 뚫린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110 is seated on the floor to support the main body 120. The base 110 has a circular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110 is formed in a ring shape with a center portion opened.

베이스(110)는 본체(120)와 결합된다.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본체(120) 및 흡입유닛(130)이 결합된다.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에 본체(120)가 결합된다. 본체(120)가 결합되지 않은 베이스(110)의 후방 반원부분에 흡입유닛(1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110)의 후방 반원부분의 후방은 흡입유닛(130)의 후방과 이격된다.The base 110 is coupled to the body 120. A main body 120 and a suction unit 130 a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0. The body 120 is coupled to the front semicircular portion of the base 110. A suction unit 130 is rotatably coupled to a rear semicircular portion of the base 110 to which the body 120 is not coupled and the rear of the rear semicircular portion of the base 110 is spaced from the rear of the suction unit 130. [

본체(120)는 일부가 바닥과 수직한 중심축(SA)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20)는 베이스(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베이스(110)에 의하여 지지된다. 본체(120)의 원통부분의 수평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둘레가 베이스(110)의 둘레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다.The main body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entral axis SA perpendicular to the floor. The main body 1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0 and supported by the base 110.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equal to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110. [

본체(120)의 상부에는 토출유닛(160)이 배치되고, 본체(120)의 하부에는 흡입유닛(130)이 배치된다. 본체(120)의 내부에는 송풍유닛(180)과 덕트(151)가 배치된다. 본체(120)의 하측에는 베이스(110)가 결합된다. 본체(120)는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과 결합된다.A discharge unit 160 is disposed above the main body 120 and a suction unit 130 is disposed below the main body 120. Inside the main body 120, an air blowing unit 180 and a duct 151 are disposed. A base 11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20. The body 120 is engaged with the front semicircular portion of the base 110.

본체(120)는, 반원통 형상의 전면패널(121)과, 전면패널(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반원통 형상의 후면패널(122)과, 전면패널(121)의 후방에 배치되어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반원통 형상의 내부패널(129)과, 전면패널(121) 및 후면패널(122)의 측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23)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20 includes a semi-cylindrical front panel 121, a semi-cylindrical rear panel 122 coupled to the top of the front panel 121, Cylindrical inner panel 129 coupled to the front panel 121 and the rear panel 122 and a handle 123 coupled to the sides of the front panel 121 and the back panel 122. [

전면패널(121)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2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한다. 전면패널(121)의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into a semicylindrical shape to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20. [ At least one horizontal section of the front panel 121 is preferab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전면패널(121)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즉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 둘레는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 둘레는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SA, that is, parallel to the floor where the air cleaner is sea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edge of the front panel 121 be aligned or nearly coincide with the periphery of the front half-circle portion of the base 110.

전면패널(121)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패널(121)의 상단 둘레는 토출유닛(160)의 상단 전방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toward the front upper side. The upper periphery of 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in a parabolic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front panel 121 is aligned with or parallel to the plan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160a.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21 preferably coincides or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upper front periphery of the discharge unit 160.

전면패널(121)의 측면은 손잡이부(123)가 결합되도록 일부가 개구된다.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1 is partially opened so that the handle 123 is engaged.

전면패널(121)의 후방에는 내부패널(129), 송풍유닛(180), 덕트(151) 및 토출유닛(160)이 배치된다. 전면패널(121)은 반원통 형상의 내부패널(129)과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전면패널(121)의 후면은 내부패널(129)의 전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전면패널(121)의 하측에는 베이스(110)가 배치된다.An inner panel 129, an air blowing unit 180, a duct 151 and a discharge unit 160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21. The front panel 121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mi-cylindrical inner panel 129.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1 is disposed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panel 129. A base 110 is disposed below the front panel 121.

후면패널(122)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2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122)의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패널(122)은 전면패널(121)의 상부 후방에 결합되어 원통 형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후면패널(122)은 흡입유닛(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반원통 형상의 후방외관을 형성한다.The rear panel 122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o form a rear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120. Preferably, at least one horizontal section of the back panel 122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rear panel 122 is coupled to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21 to form a cylindrical appearance. The rear panel 1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130 to form a semi-cylindrical rear appearance.

후면패널(122)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면패널(121)의 상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존재한다. 후면패널(122)의 상단의 둘레는 전면패널(121)의 상단의 둘레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타원을 형성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anel 122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rear panel 122 is formed toward the front upper side. The upper periphery of the rear panel 122 is formed in a parabolic shape. The surface formed by the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panel 122 exists on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formed by the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21. The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panel 122 is formed to extend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21 to form an ellipse.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는 토출유닛(160)의 상단 후방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rear panel 122 is in line with or parallel to the plane defin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rear panel 122 coincides or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upper rear periphery of the discharge unit 160.

후면패널(122)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방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면패널(122)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rear panel 122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rear panel 122 is formed toward the rear lower side. The bottom edge of the rear panel 122 is formed in a parabolic shape. The surface of the bottom panel of the rear panel 122 is preferably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rear panel 122.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유닛(130)의 상단 둘레 일부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는 흡입유닛(130)의 상단 둘레 일부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rear panel 122 is coincident with or parallel to the surface formed by a part of the upper end periphery of the suction unit 130. [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edge of the rear panel 122 coincides or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a part of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unit 130.

후면패널(122)의 측면은 손잡이부(123)가 결합되도록 일부가 개구된다.The side surface of the rear panel 122 is partially opened so that the handle 123 is engaged.

후면패널(122)의 전방에는 송풍유닛(180), 덕트(151) 및 토출유닛(160)이 배치된다. 후면패널(122)의 하측에는 필터유닛(140)과 흡입유닛(130)이 배치된다.A blowing unit 180, a duct 151 and a discharge unit 160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panel 122. A filter unit 140 and a suction unit 130 are disposed below the rear panel 122.

내부패널(129)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110) 상측 전방에 결합된다. 내부패널(129)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panel 129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nd coupl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ase 110. Preferably, at least one horizontal section of the inner panel 129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내부패널(129)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즉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은 베이스(110)의 전방 반원부분의 상측에 결합된다. 전면패널(121)의 하단 둘레의 반경은 베이스(110)의 둘레 반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129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anel 129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SA, that is, the floor where the air cleaner is seated.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121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emicircular portion of the base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1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base 110. [

내부패널(129)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즉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내부패널(129)의 상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내부패널(129)의 하단의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내부패널(129)의 상단은 송풍유닛(180)과 결합된다.The upper end of the inner panel 129 is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SA, that is, parallel to the bottom where the air cleaner is seated. The surface formed by the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inner panel 129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surface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129. The upper end of the inner panel 129 is engaged with the air blowing unit 180.

내부패널(129)은 전면패널(121)과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의 전면은 전면패널(121)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의 상측에는 송풍유닛(180)이 배치된다. 내부패널(129)의 후방에는 필터유닛(140)과 흡입유닛(130)이 배치된다.The inner panel 129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front panel 121.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panel 129 is disposed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1. An air blowing unit 180 is disposed above the inner panel 129. A filter unit 140 and a suction unit 130 are disposed behind the inner panel 129.

내부패널(129)은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구(130a)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내부패널(129)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의 상면을 수직한 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흡입구(130a)로 유입되어 필터유닛(140)을 통과한 공기를 송풍유닛(180)으로 안내한다.The inner panel 129 guides the inflow air through the intake port 130a, which is formed at an inclined angle, to flow upward. The inner panel 129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30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lows into the suction port 130a to guid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40 to the air blowing unit 180 do.

손잡이부(123)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본체(120) 내부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123)는 전면패널(121) 및/또는 후면패널(122)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3)는 전면패널(121)과 후면패널(122)의 경계를 중심으로 전면패널(121) 및 후면패널(122)에 모두 결합된다. 손잡이부(123)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ip portion 123 is formed to be pulled inwardly of the main body 120 so that the grip portion 123 can be gripped by the u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123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1 and / or the rear panel 122.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123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121 and the rear panel 122 To the front panel 121 and the rear panel 122,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grip portions 123 are provided.

본체(120)의 전면패널(121), 후면패널(122) 및 내부패널(129)에 대한 상호간 및 다른 구성과의 결합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combination of the front panel 121, the rear panel 122 and the inner panel 129 of the main body 120 with each other and with other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흡입유닛(130)은 흡입구(130a)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유닛(130)은 본체(120)의 하부에 구비된다. 흡입유닛(130)은 후면패널(122)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은 내부패널(129)의 후방에 결합되어 전면패널(121)의 후방에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의 후방은 베이스(110)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suction unit 130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 130a to suck outside air. The suction unit 13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The suction unit 13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anel 122. The suction unit 13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inner panel 129 and disposed behind the front panel 121. The rear of the suction unit 13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0.

흡입유닛(130)의 흡입구(130a)는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수평으로부터 전면패널(121)이 배치된 방향으로 경사져 전방 상측(후방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흡입구(130a)는 전면패널(121)이 배치되는 전방과 경사진 전방 상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다.The suction port 130a of the suction unit 130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30a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A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 The surface formed by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130a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anel 121 is arrang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upper side (rear lower side). The suction port 130a is formed such that air is sucked to the front side where the front panel 121 is disposed and to the front upper side inclined.

흡입구(130a)의 둘레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흡입면적을 최대화 하여 최대한 많은 공기가 타원형의 흡입구(130a)를 통하여 유입되도록 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흡입구(130a)를 형성하여 흡입구(130a)의 흡입 공기량을 최대화한다.The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130a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maximize the suction area so that as much air as possible flows through the elliptical suction port 130a. The center axis AS of the cylindrical body 120 is inclined to an oval shape and an inlet 130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to maximize the intake air amount of the inlet 130a.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더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직한 방향에 가깝도록 경사져 흡입구(130a)의 흡입면적이 토출구(160a)의 토출면적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ort 130a is furthe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than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30a is inclined so as to be closer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so that the suction surface area of the suction port 130a is larger than the discharge surface area of the discharge port 160a.

흡입유닛(130)의 하측에는 베이스(110)가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은 베이스(110)의 후방 반원부분과 이격하여 배치된다. 흡입유닛(130)과 베이스(110)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된다.A base 110 is disposed below the suction unit 130. The suction unit 130 is disposed apart from the rear semicircular portion of the base 110. Air is sucked throug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uction unit 130 and the base 110.

흡입유닛(130)의 내부에는 필터유닛(140)이 안착된다. 흡입유닛(130)의 상측에는 본체(120)의 후면패널(122)이 배치된다. 흡입유닛(130)의 전방에는 본체(120)의 내부패널(129)과 전면패널(121)이 배치된다.The filter unit 140 is seated inside the suction unit 130.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unit 130, the rear panel 122 of the main body 120 is disposed. An inner panel 129 and a front panel 121 of the main body 120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suction unit 130.

흡입유닛(130)은 회동가능하도록 내부패널(129) 및 베이스(110)와 결합된다.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로 삽입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흡입유닛(130)은 본체(120)로부터 하측 후방으로 개방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suction unit 130 is coupled to the inner panel 129 and the base 110 so as to be rotatable. The suction unit 130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120 to the lower rear so that the filter unit 140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main body 12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Fig.

흡입유닛(130)은, 반원통 형상의 흡입패널(131)과, 흡입구(130a)가 형성되며 필터유닛(140)이 안착되는 흡입바디(132)를 포함한다.The suction unit 130 includes a suction panel 131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and a suction body 132 having a suction port 130a and on which the filter unit 140 is seated.

흡입패널(131)의 일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흡입패널(131)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단면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패널(131)은 전면패널(121)의 하부 후방에 결합되어 본체(120)와 함께 원통 형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흡입패널(131)은 후면패널(122)의 하측에 배치되어 반원통 형상의 후방외관을 형성한다.A part of the suction panel 131 is formed into a semi-cylindrical shape to form a rear outer appearance. At least on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uction panel 131 is preferab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suction panel 131 is coupled to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front panel 121 to form a cylindrical outer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main body 120. The suction panel 131 is disposed below the rear panel 122 to form a semi-cylindrical rear appearance.

흡입패널(131)의 상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일치하거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후면패널(122)의 하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anel 131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suction panel 131 is formed toward the front upper side.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is formed in a parabolic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anel 131 is coincident with or parallel to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rear panel 122.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s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panel 131 match or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around the lower end of the rear panel 122.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의 일부에는 필터유닛(1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가 형성된다. 필터 확인부(131b)는 흡입패널(131)의 상단이 하측으로 'U'자 형태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A filter check part 131b is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periphery of the suction panel 131 so that a part of the filter unit 1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lter check part 131b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is drawn downward in a U-shape.

흡입패널(131)의 하단은 그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는 포물선 형태로 형성된다.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더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구(130a)의 흡입면적이 크도록 흡입패널(13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패널(13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직한 방향에 가깝도록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A.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is formed toward the front upper side.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is formed in a parabolic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is mo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than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suction panel 131. [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is inclined so as to be closer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suction panel 131 so that the suction area of the suction hole 130a is larger.

흡입바디(132)는 타원형의 흡입구(130a)가 형성된다. 흡입바디(132)는 흡입구(130a)에 흡입그릴(132-1)이 형성된다. 흡입바디(132)의 흡입그릴(132-1)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 상에 그릴형태로 형성된다. 흡입그릴(132-1)의 상측에는 필터유닛(140)이 안착된다. 실시예에 따라 흡입그릴(132-1)은 흡입패널(131)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body 132 is formed with an elliptical suction port 130a. The suction body 132 is formed with a suction grille 132-1 at the suction port 130a. The suction grille 132-1 of the suction body 132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ill on the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30a. A filter unit 140 is seated on the suction grille 132-1. The suction grille 132-1 may be formed on the suction panel 13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필터유닛(140)이 본체(120)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은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은 전면패널(121)이 배치된 방향으로 경사져 전방 상측(후방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필터유닛(140)의 하면을 지지한다.The surface formed by the suction grille 132-1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A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so that the filter unit 140 can be inclined inside the main body 120. [ The surface formed by the suction grille 132-1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panel 121 is disposed, and is formed toward the front upper side (rear lower sid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40. [

흡입바디(132)의 하부에는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필터 지지부(132-2)가 형성된다. 필터 지지부(132-2)는 필터유닛(140)의 측면 일부를 지지한다. 필터 지지부(132-2)는 흡입바디(132)의 하부 둘레에 'U'자 형태의 단면이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A filter supporting portion 132-2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ction grille 132-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body 132. [ The filter support portion 132-2 support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unit 140. [ The filter supporting portion 132-2 is formed by protruding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body 132 so as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흡입바디(132)는 흡입패널(131)의 내부에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흡입바디(132)와 흡입패널(13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body 13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ction panel 13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uction body 132 and the suction panel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30a)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30a)로 흡입된 공기의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와 같은 오염물질을 집진하고 악취를 탈취한다.The filter unit 140 purifies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30a. The filter unit 140 collects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or bacterium of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30a and deodorizes the odor.

필터유닛(140)은 둘레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필터유닛(140)의 둘레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The filter unit 14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he center axis AS of the cylindrical body 120 and the inclined end face are elliptical and the perimeter of the filter unit 14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such an elliptical end face.

필터유닛(140)은 타원형의 둘레에 대응하여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의 둘레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필터유닛(140)의 필터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필터유닛(140)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최대화한다.The filter unit 14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surf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ellipse. The center axis AS of the cylindrical body 120 is inclined to an oval shape and the fil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4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such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o reduce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40 Maximize.

필터유닛(140)은 흡입유닛(130)에 안착되어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필터유닛(140)은 경사진 흡입구(130a)에 대응하여 본체(120)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필터유닛(140)은 필터면이 중심축(AS)과 경사지게 배치되어 필터유닛(140)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최대화한다.The filter unit 140 is seated in the suction unit 130 an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20. The filter unit 140 is disposed obliquely inside the main body 120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ction port 130a. The filter unit 140 has a filter surface disposed obliquely to the central axis AS to maximize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40.

필터유닛(140)은 흡입유닛(13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filter unit 14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unit 130.

필터유닛(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Details of the filter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송풍유닛(180)은 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둘레가 원형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송풍유닛(180)은 공기청정기가 안착되는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유닛(180)은 흡입유닛(130)과 덕트(151)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유닛(130) 측에서 덕트(151) 측으로 공기를 유동한다.The air blowing unit 18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20 and flows ai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blowing unit 180 is formed so that its circumference is close to a circular shape. The air blowing unit 180 flows ai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or where the air cleaner is seated. The air blowing unit 180 is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unit 130 and the duct 151 and flows air toward the duct 151 side from the suction unit 130 side.

송풍유닛(180)은 내부패널(129)의 상측에 배치된다. 송풍유닛(180)의 전방은 내부패널(129)의 상측에 결합된다. 송풍유닛(180)과 내부패널(129)의 결합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air blowing unit 18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anel 129. The front of the air blowing unit 18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anel 129. The combination of the air blowing unit 180 and the inner panel 129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송풍유닛(180)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89)와, 모터(189)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182)과, 송풍팬(182)의 하측 및 둘레를 감싸며 본체(120)와 결합되는 송풍바디(181)와, 송풍팬(182)의 상측에 배치되어 송풍팬(182)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 측으로 안내하는 베인부(183)와, 베인부(183)의 중앙 상측에 배치되어 모터(189)를 덮는 모터커버(184)를 포함한다.The air blowing unit 180 includes a motor 189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blowing fan 182 rotated by the motor 189 to flow the air, a fan 182 surrounding the blowing fan 182, A vane portion 183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blowing fan 182 and guiding the air flowing by the air blowing fan 182 toward the discharge unit 160 side, And a motor cover 184 disposed on the center upper side of the motor 189 and covering the motor 189. [

송풍유닛(180)에 대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blowing unit 18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덕트(151)는 송풍유닛(180)의 상측에 배치되어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으로 안내한다. 덕트(151)는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덕트(151)는 송풍유닛(180)의 상측에 결합된다. 덕트(151)의 상측에는 토출유닛(160)이 배치된다.The duct 15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blowing unit 180 and guides the air flowing by the air blowing unit 180 to the discharging unit 160. The duct 151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20. The duct 151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air blowing unit 180. A discharge unit 160 is disposed above the duct 151.

덕트(151)의 하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즉, 바닥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송풍유닛(180)의 베인부(183)의 상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51)의 상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토출유닛(160)의 하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51)의 상단 둘레는 토출구(160a)의 하단 둘레와 일치한다.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duct 151 is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SA (i.e.,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bottom) and to coincide with or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vane portion 183 of the air blowing unit 180 It is preferable to match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151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so as to coincide or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ing unit 160. The upper end of the duct 151 coincides with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160a.

덕트(15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는 덕트(15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덕트(151)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즉 덕트(151)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덕트(151)는 내부 유로가 공기의 유동에 따라 좁아지게 형성되어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빨라지도록 한다.The size of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duct 15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duct 151. The duct 151 is formed such that the inflow area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is larger than the outflow area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hat is, the duct 151 becomes narrower as the flow path of air flows toward the upper side. The duct 151 is formed so that the internal flow path narrow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air so that the air flowing inside can be accelerated.

덕트(151)는 토출유닛(160)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51)의 형상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uct 151 is formed such that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160 faces upward. The shape of the duct 15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덕트(151)의 상측에는 덕트그릴(152)이 배치된다. 덕트그릴(152)은 토출구(160a)를 통하여 덕트(151) 및/또는 송풍유닛(18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덕트그릴(152)은 덕트(151)와 토출유닛(160)의 사이에 배치된다.A duct grill 152 is disposed above the duct 151. The duct grill 152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duct 151 and / or the air blowing unit 18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The duct grill 152 is disposed between the duct 151 and the discharge unit 160.

토출유닛(160)은 토출구(160a)가 형성되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된다. 토출유닛(160)은 덕트(151)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유닛(160)은 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된다.The discharge unit 160 has a discharge port 160a,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unit 16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uct 151. The discharge unit 16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토출유닛(160)의 토출구(160a)는 그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토출구(160a)는 전방 상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토출구(160a)는 전방 상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형성되어 토출구(160a)의 하측에 구비되는 흡입구(130a)를 통하여 토출된 공기가 재유입되지 않도록 한다.The discharge port 160a of the discharge unit 160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160a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A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is formed toward the front upper side. The discharge port 160a is formed so as to discharge air toward the front upper side. The discharge port 160a is formed so as to discharge air upward to the front side so that air discharg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port 160a is not re-introduced.

토출구(160a)의 둘레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토출면적을 최대화 하여 최대한 많은 공기가 타원형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한다. 원통형의 본체(120)에 대한 중심축(AS)과 경사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이러한 타원형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토출구(160a)를 형성하여 토출구(160a)의 토출 공기량을 최대화한다.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160a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o maximize the discharge area so that the greatest amount of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elliptical discharge port 160a. The central axis AS of the cylindrical body 120 is inclined to an oval shape and the discharge port 160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to maximize the discharge air amount of the discharge port 160a.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60a)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수평한 방향에 가깝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is les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than the surface formed by the perimeter of the suction port 130a.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is inclined so as to be closer to a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surface formed by the perimeter of the suction port 130a.

토출구(160a)의 토출면적은 흡입구(130a)의 흡입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area of the discharge port 160a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uction area of the suction port 130a so that the air can smoothly flow.

토출구(160a) 및 흡입구(130a)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가 이루는 면이 본체(120)의 원통 부분의 중심축(SA)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토출구(160a) 및 흡입구(130a) 중 하나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수직하거나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port (160a) and the suction port (130a)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circumferen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A)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One of the discharge port 160a and the suction port 130a may be formed obliquely and the other one may be form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토출유닛(160)은, 토출구(160a)를 형성하는 토출패널(161)과, 토출구(160a)의 일부를 가리도록 토출구(160a)의 상측에 배치되어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콘솔부(165)와, 콘솔부(165)의 하면에 배치되어 토출패널(161)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166)를 포함한다.The discharge unit 160 includes a discharge panel 161 that forms a discharge port 160a and a discharge port 160a which is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port 160a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discharge port 160a and discharge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And a lighting unit 166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to illuminate the discharge panel 161 with light.

토출패널(161)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측 외관을 형성한다. 토출패널(161)은 토출구(160a)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The discharge panel 161 forms a flow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and forms an upper-side outer tube.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60a widens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At least one end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토출패널(161)은 내면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의 내면 상부에는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된다.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Light irradia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166 is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토출패널(161)의 하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덕트(151)의 하단 둘레와 상호 맞닿도록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는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and coincides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duct 151. The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A.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토출패널(16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토출구(160a)로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 상측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한다.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to be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nel 161 so that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60a is discharged toward the front upper side.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는 토출패널(161)의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면적보다 더 작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넓게 퍼지도록 한다.The size of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urfac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nel 161.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such that the inflow area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is smaller than the discharge area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so that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becomes wider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discharged air spreads widely.

콘솔부(165)는 토출구(160a)의 후방 일부를 가리도록 토출구(160a)의 상측에 배치된다. 콘솔부(165)는 토출패널(161)의 후방 상측에 결합된다.The console unit 165 is disposed above the discharge port 160a so as to cover a rea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60a. The console unit 165 is coupled to the rear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anel 161. [

콘솔부(165)는 상면은 중심축(SA)과 수직하게(즉, 바닥과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면은 토출패널(161)의 전방 내면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콘솔부(165)의 상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전방을 향하도록 안내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후방으로 향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바로 흡입구(130a)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portion 165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SA (i.e., horizontally to the bottom),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portion 16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and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guide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toward the front as much as possible.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is form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is not directed backward so tha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is not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30a.

덕트(151), 토출패널(161) 및 콘솔부(165)에 의한 공기의 유동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flow of air by the duct 151, the discharge panel 161, and the console unit 165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조명부(166)는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며 발광되는 빛을 토출패널(161)의 내면 상부에 조사한다. 조명부(16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illumination unit 166 includes a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and irradiate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166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송풍바디(181)는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된 내부패널결합돌기(181-1)가 형성되고, 내부패널(129)은 상단에 내부패널결합돌기(181-1)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가 형성된다. 내부패널결합돌기(181-1)는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에 삽입되어 송풍유닛(180)이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에 결합된다.An inner panel coupling protrusion 181-1 protruded downwar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ir blowing body 181. An inner panel coupling protrusion 181-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ir blowing body 181, A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29a is formed. The inner panel engaging projection 18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nel engag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29a so that the air blowing unit 180 is engaged with the inner panel 129 of the main body 120. [

내부패널결합돌기(181-1)의 하단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ook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panel engaging projection 181-1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inner panel engag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29a.

내부패널결합돌기(181-1)는 내부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9a)에 삽입하여 송풍유닛(180)을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에 결합한 후 별도의 볼팅을 통하여 송풍유닛(180)과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ner panel coupling protrusion 18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nel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29a to couple the air blowing unit 180 to the inner panel 129 of the main body 120 and then to the air blowing unit 180 And the inner panel 129 of the main body 120 are fasten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결합을 나타나는 도면이다.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to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전면패널(121)은 내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덕트결합돌기(121-1)가 형성되고, 덕트(151)는 외면에 덕트결합돌기(121-1)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덕트결합돌기 삽입부(151-1)가 형성된다. 덕트결합돌기(121-1)는 덕트결합돌기 삽입부(151-1)에 삽입되어 전면패널(121)이 덕트(151)에 결합된다.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with a duct coupling protrusion 121-1 protruding downwar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the duct 151 has a duct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51-1. The duct coupling protrusion 121-1 is inserted into the duct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51-1 so that the front panel 121 is coupled to the duct 151. [

전면패널(121)이 덕트(151)에 결합된 후 별도의 볼팅을 통하여 전면패널(121)과 내부패널(129)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panel 121 is coupled to the duct 151 and then the front panel 121 and the inner panel 129 are fastened through separate bolting.

전면패널(121)은 내면 측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후면패널결합돌기(121-2)가 형성되고, 후면패널(122)은 내면 측단에 후면패널결합돌기(121-2)가 삽입되도록 개구된 후면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2-2)가 형성된다. 후면패널결합돌기(121-2)는 후면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2-2)에 삽입되어 후면패널(122)이 전면패널(121)에 결합된다.The front panel 121 is formed with a rear panel coupling protrusion 121-2 protruding upward from its inner side and a rear panel 122 is formed with a rear panel 122 having a rear panel coupling protrusion 121-2, A panel engag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22-2 is formed. The rear panel engaging projection 121-2 is inserted into the rear panel engaging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122-2 so that the rear panel 122 is engaged with the front panel 121. [

후면패널결합돌기(121-2)는 후면패널결합돌기 삽입부(122-2)에 삽입된 후 별도의 볼팅을 통하여 전면패널(121)과 후면패널(122)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panel coupling protrusion 121-2 is inserted into the rear panel coupling protrusion insertion portion 122-2 and then the front panel 121 and the rear panel 122 are fastened through separate bolt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유닛(180)과 본체(120)의 내부패널(129)이 체결된 후 송풍유닛(180)의 상측에 덕트(151)가 결합된다. 덕트(151)에 전면패널(121)을 결합한 후 전면패널(121)을 내부패널(129)과 체결하고, 후면패널(122)을 전면패널(121)과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ct 151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air blowing unit 180 after the blowing unit 180 and the inner panel 129 of the main body 120 are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panel 121 is coupled to the inner panel 129 and the rear panel 122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121 after the front panel 121 is coupled to the duct 151.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필터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a에 도시된 필터유닛의 장착 예시도이다.FIG.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8B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8A,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8A.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40)은 흡입유닛(130)에 안착되어 본체(120)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의 둘레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필터유닛(140)은 흡입그릴(132-1)에 안착되어 필터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filter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uction unit 130 and is inclined inside the main body 120, and the periphery of the filter surf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he filter unit 140 is seated on the suction grille 132-1 so that the filter surface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central axis SA.

필터유닛(140)은 필터면이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상측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된다. 흡입구(13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이 필터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더 경사지도록 필터유닛(140)은 배치된다. 흡입구(130a)를 통하여 전방 상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유닛(180)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바 흡입구(130a)와 송풍유닛(180)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유닛(140)은 흡입구(130a)보다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ter unit 140 is arranged so that the filter surface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than the surface formed by the perimeter of the suction port 130a. The filter unit 140 is disposed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30a formed by the periphery thereof is furthe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filter surface. Air introduced upward through the air inlet 130a flows upward from the air blowing unit 180. The filter unit 140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130a and the air blowing unit 180 moves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필터유닛(140)은 필터면이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상측으로 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이 필터면보다 수평을 기준으로 덜 경사지도록 필터유닛(140)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unit 140 is arranged so that the filter surface is less inclined upward than the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unit 140 is disposed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formed by the circumference is les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than the filter surface.

필터유닛(14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면의 둘레가 이루는 형상이 단축(V)이 장축(H)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는 계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면의 둘레가 이루는 형상에서 상부의 최소 곡률은 하부의 최소 곡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ter unit 140 is preferably formed in an egg shape in which the shape of the periphery of the filter surface is not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long axis H with the short axis V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curvatur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shape of the periphery of the filter surfac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curvature of the lower portion.

필터유닛(140)의 외형도 필터면의 둘레의 형상에 대응하여 계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140)의 외형은 무게중심(G)이 하부에 편중되도록 필터유닛(140)의 외형이 이루는 형상에서 상부의 최소 곡률은 하부의 최소 곡률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hape of the filter unit 140 is also preferably formed in an eg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eriphery of the filter surface. The outer shape of the filter unit 140 is preferably such that the minimum curvatur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shape of the outer shape of the filter unit 140 is smaller than the minimum curvature of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G is biased to the lower portion.

필터유닛(140)은 무게중심(G)이 하부에 편중되어 필터유닛(140)의 장착시 흡입그릴(132-1)의 상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된다. 즉, 필터유닛(140)의 상부가 전방으로 전도되지 않고 흡입그릴(132-1)의 상면에 비스듬하게 안착된다. 또한, 필터유닛(140)의 장착 후에도 필터유닛(140)이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filter unit 140 is biased downward and slidably and slidably sli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e 132-1 when the filter unit 140 is mounted.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140 is oblique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grille 132-1 without being forwardly moved. Further, the filter unit 140 is prevented from being conducted even after the filter unit 140 is mou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140)은,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141)와, 프리필터(141)의 상측에 적층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헤파필터 바디(142)와,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안착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146)와, 헤파필터(146)의 상측에 적층되어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147, 148)와, 탈취필터(147, 148)의 상측에 적층되어 헤파필터 바디(142)와 결합되는 탈취필터 바디(143)를 포함한다.The filter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filter 141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 HEPA filter body 142 that is stacked on the prefilter 141 and forms a housing space, A HEPA filter 146 that is seated in the HEPA filter body 142 and collects contaminants in the air,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that ar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PA filter 146 to deodorize odors in the air, And a deodorization filter body 143 stacked on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and coupled to the HEPA filter body 142.

프리필터(141)는 그릴이 형성되어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른다. 프리필터(141)는 흡입그릴(132-1)에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프리필터(141)의 후방측에는 돌출된 프리필터 돌출부(141-1)가 형성된다. 프리필터 돌출부(141-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프리필터 돌출부(141-1)는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에 삽입된다.The pre-filter 141 is formed with a grill and primarily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The pre-filter 141 is arranged to be stacked on the suction grille 132-1. On the rear side of the pre-filter 141, a protruded pre-filter protrusion 141-1 is formed. The pre-filter protrusion 14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check unit 131b. The pre-filter protruding portion 141-1 is inserted into the opened filter check portion 131b.

헤파필터 바디(142)는 가운데가 개구되고 가장자리는 헤파필터(146) 및 탈취필터(147, 148)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개구되는 부분이 흡입구(130a)와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헤파필터 바디(142)는 프리필터(141)에 적층된다.The HEPA filter body 14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enter thereof is opened and the edges thereof are seated with the HEPA filter 146 and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The opening portion of the HEPA filter body 142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let 130a. The HEPA filter body 142 is laminated to the pre-filter 141.

헤파필터 바디(142)의 후방측에는 돌출되어 프리필터 돌출부(141-1)와 적층되는 헤파필터 돌출부(142-1)가 형성된다. 헤파필터 돌출부(142-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헤파필터 돌출부(142-1)는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에 삽입된다.A HEPA filter protrusion 142-1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HEPA filter body 142 and stacked with the pre-filter protrusion 141-1 is formed. The HEPA filter protrusion 142-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check part 131b. The HEPA filter protrusion 142-1 is inserted into the opened filter check portion 131b.

헤파필터(146)는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삽입되어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집진한다. 탈취필터(147, 148)는 헤파필터 바디(142) 내에 헤파필터(146)에 적층되도록 삽입된다. 탈취필터(147, 148)는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한다.The HEPA filter 146 is inserted into the HEPA filter body 142 and collects contaminants of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are inserted into the HEPA filter body 142 so as to be stacked on the HEPA filter 146.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deodorize the odor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헤파필터(146) 및 탈취필터(147, 148)는 흡입구(130a)와 대응되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흡입구(130a)로 흡입되는 공기를 최대한 정화하도록 한다.The HEPA filter 146 and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ar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let 130a to maximally purify the air sucked into the inlet 130a.

탈취필터(147, 148)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 1 탈취필터(147)와 제 1 탈취필터(147)에 적층되는 제 2 탈취필터(14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and a second deodorization filter 148 stacked on the first deodorization filter 147.

헤파필터(146)와 탈취필터(147, 148)는 상술한 필터면을 형성한다.The HEPA filter 146 and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form the filter surface described above.

탈취필터 바디(143)는 탈취필터(147, 148)의 상측에 적층되어 헤파필터 바디(142)와 탈착가능하도록 체결된다. 탈취필터 바디(143)는 가운데에 그릴이 형성되어 탈취필터(147, 148)가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deodorization filter body 143 is stacked on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PA filter body 142. The deodorization filter body 143 is formed with a grill in the center so that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do not protrude upward.

탈취필터 바디(143)의 후방측에는 돌출되어 헤파필터 돌출부(142-1)와 적층되는 탈취필터 돌출부(143-1)가 형성된다.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부가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개구된 필터 확인부(131b)에 삽입된다.A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143-1 protruding from the deodorization filter body 143 and stacked with the hepafar filter protrusion 142-1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odorizing filter protrusion 143-1 is partially drawn in so as to be held by the user. The deodorizing filter protrusion 143-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check part 131b. The deodorizing filter protrusion 143-1 is inserted into the opened filter check portion 131b.

사용자가 헤파필터(146) 또는 탈취필터(147, 148)를 교환할 때 어느 한 구성품을 누락하지 않도록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When the user changes the HEPA filter 146 or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the pre-filter protrusion 141-1, the HEPA filter protrusion 142-1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143- 1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check unit 131b.

도 10의 (a)와 같이 필터유닛(140)의 모든 구성품이 갖추어진 경우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10의 (b)와 같이 프리필터(141)가 누락된 경우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만 외부로 노출된다.When all the components of the filter unit 140 are equipped as shown in FIG. 10A, the pre-filter protrusion 141-1, the HEPA filter protrusion 142-1,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not shown) 143-1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re-filter 141 is missing as shown in FIG. 10 (b), only the HEPA filter protrusion 142-1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143-1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check unit 131b.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의 후방 끝단은 필터면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의 후방 끝단은 필터유닛(140)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B, the rear end of the pre-filter protrusion 141-1, the hemp filter protrusion 142-1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143-1 are formed obliquely to the filter surface. That is, the rear end of the pre-filter protrusion 141-1, the hemp filter protrusion 142-1,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143-1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flows in the filter unit 140. [

필터유닛(140)은 기울어져 배치되는 바, 필터 확인부(131b)를 통하여 노출되는 프리필터 돌출부(141-1), 헤파필터 돌출부(142-1) 및 탈취필터 돌출부(143-1)는 흡입유닛(130)의 흡입패널(131)과 일체화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filter unit 140 is inclined and arranged so that the prefilter protrusion 141-1, the hepafar filter protrusion 142-1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143-1, which are exposed through the filter check unit 131b,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anel 131 of the unit 130.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필터유닛 장착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하부 일부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내부 일부 구조도이다.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filter unit to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12 is a bottom partial structur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It is a structural dia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유닛(130)은 본체(120)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120)의 내부를 개폐한다. 흡입유닛(130)은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로 삽입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본체(120)로부터 하측 후방으로 개방된다. 흡입유닛(130)은 후방이 베이스(110)와 가까워지도록 본체(120)와 회동한다.The suction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20. [ The suction unit 130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120 to the lower rear side so that the filter unit 140 can be inserted or removed into the main body 120. The suction unit 130 rotates with the main body 120 so that the rear side thereof is close to the base 110. [

흡입유닛(130)은 베이스(11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본체(120)와 2절링크로 결합된다. 흡입유닛(130)의 흡입패널(131)은 베이스(11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결합핀(131-3)이 형성된다. 베이스결합핀(131-3)은 흡입패널(131)의 하단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suction unit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10 and is coupled to the body 120 in a two-pass link. The suction panel 131 of the suction unit 130 is formed with a base engaging pin 131-3 which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base 110. [ The base coupling pin 131-3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nel 131. [

베이스(110)는 베이스결합핀(131-3)과 결합되는 흡입패널결합부(113)가 형성된다. 흡입패널결합부(113)에는 베이스결합핀(131-3)이 삽입되는 베이스결합핀 삽입슬롯(113a)이 형성된다. 베이스결합핀 삽입슬롯(113a)은 베이스결합핀(131-3)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호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The base 110 is formed with a suction panel engaging portion 113 which is engaged with the base engaging pin 131-3. The suction panel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with a base coupling pin insertion slot 113a into which the base coupling pin 131-3 is inserted. The base coupling pin insertion slot 113a is formed as an arc-shaped opening so that the base coupling pin 131-3 can slide.

베이스결합핀(131-3)과 베이스결합핀 삽입슬롯(113a)이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흡입패널(131)은 본체(120)에 대하여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을 함께 하여 본체(120)의 전면패널(121) 및 후면패널(122)과 간섭없이 회동한다.The base coupling pin 131-3 and the base coupling pin insertion slot 113a are coupled so as to be rotatable and slidable. The suction panel 131 rotates and translates relative to the main body 120 to rotat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front panel 121 and the rear panel 122 of the main body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유닛(130)은 본체(120)와 결합되는 2절링크인 링크부(139)를 더 포함한다. 링크부(139)는 가운데 회전마디가 형성되며 본체(120)의 내부패널(129)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흡입패널(13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uction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nk portion 139 that is a two-link link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 The link portion 13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ction panel 131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panel 129 of the main body 120,

링크부(139)는 본체(120)의 내부패널(129)과 결합되는 부분에 상측으로 돌출된 링크돌출부(139-9)가 형성된다. 본체(120)의 내부패널(129)는 내면에 흡입유닛(130)의 회동시 링크돌출부(139-9)가 걸리는 링크스톱퍼(129-9)가 형성된다. 흡입유닛(130)의 개방시 링크돌출부(139-9)는 링크스톱퍼(129-9)에 걸려 흡입유닛(130)이 어느 정도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흡입유닛(130)이 과하게 회동되어 흡입패널(131)이 바닥 또는 베이스(110)에 닿을 수 없도록 링크돌출부(139-9)는 링크스톱퍼(129-9)에 걸린다.The link portion 139 is formed with a link protrusion 139-9 protruding upward in a portion of the main body 120 which is engaged with the inner panel 129. [ The inner panel 129 of the main body 120 is formed with a link stopper 129-9 on the inner surface of which the link protrusion 139-9 is engaged when the suction unit 130 rotates. When the suction unit 130 is opened, the link protrusion 139-9 is caught by the link stopper 129-9 to prevent the suction unit 130 from rotating more than a certain degree. The link protrusion 139-9 is hooked on the link stopper 129-9 so that the suction unit 130 is excessively rotated so that the suction panel 131 can not touch the floor or the base 110. [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바디(132)는 필터 지지부(132-2)로부터 흡입그릴(132-1)이 이루는 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필터유닛(140)의 일부를 고정하는 필터 고정부(132-9)가 형성된다. 필터 고정부(132-9)는 필터유닛(140)의 전단 상부와 접촉하여 필터유닛(140)이 흡입그릴(132-1)에 안착될 때 필터유닛(140)이 전방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13, the suction body 132 protrudes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urface of the suction grille 132-1 from the filter supporting portion 132-2 to filter a portion of the filter unit 140 And a portion 132-9 is formed. The filter fixing portion 132-9 prevents the filter unit 140 from being displaced forward and upward when the filter unit 1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filter unit 140 and is seated on the suction grille 132-1. do.

도 11과 같이 흡입유닛(130)은 본체(120)로부터 회동되어 본체(120) 내부가 개방된다. 사용자는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에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필터유닛(140)을 본체(120) 내부에 장착할 경우 사용자가 필터유닛(140)을 개방된 부분으로 밀어 넣으면 필터유닛(140)은 흡입그릴(132-1)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 필터 지지부(132-2)에 의하여 흡입그릴(132-1)의 상측에 안착된다. 사용자가 필터유닛(140)을 흡입유닛(130) 내에 장착한 후 흡입유닛(130)을 닫아도 필터유닛(140)의 낮은 무게중심(G)과 필터 고정부(132-9)로 인하여 필터유닛(140)은 전도되거나 전방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11, the suction unit 130 is rotated from the main body 120, and the main body 120 is opened. The user can mount or detach the filter unit 140 inside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open por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filter unit 140 into the open portion when the filter unit 140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20, the filter unit 140 slides along the suction grille 132-1, 132-2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grille 132-1. Even if the user closes the suction unit 130 after mounting the filter unit 140 in the suction unit 130, the low center of gravity G of the filter unit 140 and the filter fixing part 132-9 cause the filter unit 140 are not conducted or released upward.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바디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송풍유닛에 대한 일부 구조도이다.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15 is a rear view of the air blowing body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17 is a partial structural view of the air blowing unit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송풍팬(182)은 모터(189)에 의하여 회전하여 공기를 유동한다. 송풍팬(182)은 흡입구(130a)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60a)를 통하여 공기를 토출시킨다.The blowing fan 182 is rotated by the motor 189 to flow air. The blowing fan 182 sucks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and discharges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송풍팬(182)의 상측에는 베인부(183)가 배치된다. 송풍팬(182)의 둘레 및 하측에는 송풍바디(181)가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182)은 흡입유닛(130)측인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토출구(160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측면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원심팬의 송풍량은 동일 회전속도와 크기에서 다른 종류의 팬에 비하여 풍량이 최대화되므로 송풍팬(182)은 원심팬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vane portion 183 is disposed above the blowing fan 182. A blowing body 181 is disposed around and below the blowing fan 182. 16, the blowing fan 18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unit 130 side and discharges the sucked air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to th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wing fan 182 is implemented as a centrifugal fan because the air flow rate of the centrifugal fan is maximized in comparison with other types of fans at the same rotation speed and size.

송풍팬(182)은, 공기가 유입되는 쉬라우드(182-1)와, 쉬라우드(182-1)의 상측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와, 복수의 블레이드(182-2)를 고정하며 모터(189)와 결합되는 허브(182-3)를 포함한다.The air blowing fan 182 includes a shroud 182-1 into which air flows, a plurality of blades 182-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182-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hub 182-3 which is fixed to the motor 189 and coupled with the motor 189.

쉬라우드(182-1)는 유로가 하측으로 갈수록 좁혀지는 오리피스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182-1)의 하단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쉬라우드(182-1)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 각각의 하단과 연결된다.The shroud 182-1 is formed in an orifice shape in which the flow pa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e lower end of the shroud 18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hroud 182-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182-2.

블레이드(182-2)는 회전시 쉬라우드(182-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측면으로 이송한다. 블레이드(182-2)는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토출되는 측인 트레일링 엣지(trailing edge)가 대각선 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된다.The blade 182-2 transfer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hroud 182-1 to the side during rotation. The blade 182-2 is formed by bending a trailing edge in a diagonal direction, which is a side from which air is discharged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air to be discharged flows upward as much as possible.

블레이드(182-2)는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측인 리딩 엣지(leading edge)가 트레일링 엣지보다 상당히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82-2)의 상단은 허브(182-3)와 연결되고 하단은 쉬라우드(182-1)와 연결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182-2, which is the side where the air is introduced so that the discharged air flows as much as possible, is formed to be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trailing edge. The upper end of the blade 182-2 is connected to the hub 182-3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shroud 182-1.

허브(182-3)는 쉬라우드(182-1)와 이격하여 배치된다. 허브(182-3)는 모터(189)와 연결된다. 허브(182-3)는 블레이드(182-2)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가급적 상측으로 유동되도록 외경에 비교적 급격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허브(182-3)는 모터(189)측에서 쉬라우드(182-1)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182-3)는 복수의 블레이드(182-2) 각각의 상단과 연결된다.The hub 182-3 is disposed apart from the shroud 182-1. The hub 182-3 is connected to the motor 189. The hub 182-3 preferably has a relatively steep slope in its outer diameter so that the air discharged by the blade 182-2 flows as much as possibl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hub 182-3 decreases sharply toward the shroud 182-1 from the motor 189 side. The hub 182-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182-2.

상술한 허브(182-3)의 외경 형상과, 블레이드(182-2)의 형상과, 송풍바디(181)의 막힌 측면에 의하여 원심팬인 송풍팬(18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182, which is a centrifugal fan, is smoothly moved upward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hub 182-3, the shape of the blade 182-2, and the closed side of the blowing body 181 Flow.

송풍바디(181)는 송풍팬(182)의 하측 및 둘레를 감싸며 송풍팬(182)의 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측인 상측으로 안내한다. 송풍바디(181)는 하면에 쉬라우드(182-1)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그릴(181-3)이 형성된다. 송풍바디(181)의 측면은 개구된 곳이 없이 벽으로 형성되어 송풍팬(182)의 측면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The air blowing body 181 covers the lower side and the periphery of the air blowing fan 182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air blowing fan 182 to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ing unit 160 side. The air blowing body 181 is formed with a blowing grill 181-3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shroud 182-1 passes. The side surface of the air blowing body 181 is formed as a wall without any openings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wing fan 182 upward.

송풍바디(181)는 하면에 송풍그릴(181-3)의 주위에 링 형태로 하측으로 인입된 공간형성부(181-9)가 형성된다. 공간형성부(181-9)는 쉬라우드(182-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공간(B)을 갖도록 형성된다. 공간형성부(181-9)는 쉬라우드(182-1)의 하단과 송풍바디(181)의 하면 사이에 공간(B)을 형성하여 블레이드(182-2)의 트레일링 엣지에서 하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다시 상측으로 유동시켜 소음발생을 억제하고 효율을 높인다. 즉, 블레이드(182-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 중 공간형성부(181-9)가 형성하는 공간(B)으로 유동된 공기는 쉬라우드(182-1)로 유입된다.The air blowing body 181 has a space forming portion 181-9 which is drawn downwardly in the form of a ring around the blow grill 181-3. The space forming portion 181-9 is formed to have a space B spac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hroud 182-1. The space forming portion 181-9 forms a space B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hroud 182-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blowing body 181 and flows downward from the trailing edge of the blade 182-2 Air flows back to the upper side to suppress noise generation and increase efficiency. That is, the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space B formed by the space forming portion 181-9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blade 182-2 flows into the shroud 182-1.

베인부(183)는 송풍팬(182)에 의하여 유동되어 송풍바디(181)에 의하여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베인부(183)를 통과한 공기는 덕트(151)로 안내되어 토출유닛(160)으로 유동된다.The vane portion 183 flows by the air blowing fan 182 and guides the air upwardly guided by the air blowing body 181 upwar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ane portion 183 is guided to the duct 151 and flows to the discharge unit 160.

베인부(183)의 가운데 부분에는 모터(189)가 배치된다. 베인부(183)의 하측에는 송풍팬(182)이 배치된다. 베인부(183)의 하단 둘레는 송풍바디(181)의 상단 둘레와 결합된다.A motor 189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vane portion 183. A blowing fan 182 is disposed below the vane portion 183. The lower end of the vane portion 183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air blowing body 181.

베인부(183)는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183-1)을 포함한다. 베인(183-1)은 상하방향으로 기립되어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베인(183-1)은 각각 길이방향이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베인(183-1)에 의하여 송풍바디(181)에 의하여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된다.The vane portion 183 includes a plurality of vanes 183-1 disposed circumferentially spaced from the edge. The vane 183-1 is formed in a plate shape standing up and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vanes 183-1 are arranged so that their lengthwise directions are respectively directed to the center. The air guided upward by the air blowing body 181 flows upward by the vane 183-1.

도 17을 참조하면 베인(183-1)은 블레이드(182-2)의 트레일링 엣지가 휘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진 에어포일(air foil)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인(183-1)은 소음을 절감하고 블레이드(182-2)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17, the vane 183-1 is formed of an air foil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railing edge of the blade 182-2 is bent. Thus, the vane 183-1 reduces noise and allows the air discharged by the blade 182-2 to flow upward.

모터커버(184)는 하측에 모터(189)가 결합되며 베인부(183)의 상측에 결합된다. 모터커버(184)는 가운데가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형성되어 베인부(183)의 가장자리로 토출되는 되는 공기가 덕트(151) 내로 유입될 때 난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motor cover 184 is coupled to the motor 189 on the lower sid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ane portion 183. The motor cover 184 is formed in a dome shape having an upward convex shape so that turbulence does not occur when air discharged to the edge of the vane portion 183 flows into the duct 151.

송풍유닛(180)은 모터커버(184)에 배치되어 송풍팬(182)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이온화하는 이오나이저(185)를 더 포함한다. 이오나이저(185)는 모터커버(184)의 가운데 부분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wing unit 180 further includes an ionizer 185 disposed in the motor cover 184 to ionize the air flowing into the blowing fan 182.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ionizers 185 are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motor cover 184.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상부 일부 단면도이다.18 is a partial top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덕트(151)는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유닛(160)으로 안내한다. 덕트(151)는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단 둘레가 이루면 면이 중심축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전방 상측으로 안내한다.The duct 151 guides the air flowing upward by the air blowing unit 180 to the discharging unit 160. The surface of the duct 151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S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uct 15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so that the air flowing upward by the air blowing unit 180 is directed upward do.

덕트(151)의 전단 길이(L1)는 후단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어 송풍유닛(180)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이 향하는 측인 전방 상측으로 안내한다.The front end length L1 of the duct 151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rear end length L2 so that the air flowing upward by the air blowing unit 180 is guided to the front upper side which is th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160a .

덕트(151)의 상단 둘레가 이루면 면의 크기는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덕트(151)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When the upper end of the duct 151 is formed, the size of the surfac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end. That is, the duct 151 is formed so that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덕트(151)의 상측에 결합되는 토출패널(161)은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이 중심축(SA)과 경사지게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토출패널(161)의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과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은 전방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The discharge panel 161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ct 151 is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and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SA.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periphery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surface formed by the lower end periphery. That is,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and the lower end circumference is formed so as to face the front upper side.

콘솔부(165)는 토출패널(161)이 형성하는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 콘솔부(165)의 하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지면과 수평하도록 형성된다. 즉, 콘솔부(165)의 하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중심축(SA)과 수직하도록 형성되어 토출구(160a)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급적 전방으로 안내한다.The console unit 165 adjusts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formed by the discharge panel 161. [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is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as it go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is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SA as it go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rear of the discharge port 160a as far as possible.

콘솔부(165)의 하면은 토출패널(161)의 전방 내면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출패널(161)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전방 상측으로 토출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portion 165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discharged to the front upper side.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사시도이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조명부(166)는 콘솔부(165)의 하면에 배치되어 토출패널(161)에 빛을 조사한다. 조명부(166)는 콘솔부(165)의 하면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가급적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66)는 토출패널(161)에 빛을 골고루 조사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66)의 내부에는 광원이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66)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llumination unit 166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and irradiates the discharge panel 161 with l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illumination unit 166 is formed as thin as possibl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ir flowing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sole unit 165. The illumination unit 166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uniformly irradiate the discharge panel 161 with light. A light source is disposed inside the illumination unit 166.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is preferab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illumination unit 166 preferably irradiates light of various colors.

토출패널(161)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내면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을 타원고리(R) 형태로 반사한다. 토출패널(1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가 하단 둘레가 이루는 면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단 둘레의 내측면에 반사된다.At least one end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166 is reflected in the form of an elliptical ring R.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so that the size of the surface formed by the upper end periphery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urface formed by the lower end periphery,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illumination portion 166 is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around the upper end.

토출패널(161)은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을 토출구(160a)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형성된다. 즉, 토출패널(161)은 조명부(166)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방 상측으로 반사하도록 형성된다. 토출패널(161)에 반사되어 형성되는 타원고리(R) 형태의 빛이 이루는 면은 토출구(160a)의 둘레가 이루는 면과 평행하다.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to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166 in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60a. That is, the discharge panel 161 is formed so as to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166 forward. The surface of the light of the elliptic ring R shape formed by reflection on the discharge panel 161 is parallel to the surface formed by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160a.

콘솔부(165)는, 중심축(SA)과 수직하게 형성된 상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부(165-1)와, 상면에 배치되어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65-2)를 포함한다. 표시부(165-2)는 빛을 발광하여 공기청정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65-2)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조명부(166)가 조사하는 빛과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sole unit 165 includes an operating unit 165-1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SA and adapted to receive a user's input, a display unit 165- 2). The display unit 165-2 preferably emits light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leaner. The display unit 165-2 may emit light of various colors and emit light of the same color as the light irradiated by the illumination unit 166. [

조명부(166)는 흡입구(130a)로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유닛(130) 또는 본체(120)에는 흡입구(130a)로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미도시)가 배치되며, 오염센서가 측정한 오염 정도에 따라 조명부(166)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공기의 오염 정도가 높은 경우 조명부(166)는 적색을 조사하여 타원고리(R)가 적색을 나타내며, 공기의 오염 정도가 낮은 경우 조명부(166)는 녹색을 조사하여 타원고리(R)가 녹색을 나타낸다. 표시부(165-2)도 공기의 오염 정도가 높은 경우 적색을 발광하며 공기의 오염 정도가 낮은 경우 녹색을 발광한다.The illumination unit 166 preferably irradiates lights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30a. A contamination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30a is disposed in the suction unit 130 or the main body 120. The pollution degree sensor measures the contamination degree, Examine the light of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whe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is high, the illuminating unit 166 illuminates the red color so that the elliptic ring R is red, and whe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is low, the illuminating unit 166 illuminates green, ) Indicates green. The display unit 165-2 also emits red whe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is high and green when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is low.

상술한 공기청정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모터(189)에 의하여 송풍팬(182)이 회전하면 흡입유닛(130)의 흡입구(130a)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공기청정기의 후방 하측의 외부의 공기는 흡입구(130a)를 통하여 전방 상측으로 흡입된다.When the blowing fan 182 is rotated by the motor 189, the outside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of the suction unit 130. [ The air outside the rear lower side of the air cleaner is sucked upwards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흡입구(130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필터유닛(140)의 프리필터(141)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걸러지며 헤파필터(146)를 통과하며 오염물질이 집진되고 탈취필터(147, 148)를 통과하며 악취가 탈취된다.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30a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141 of the filter unit 140 and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passed through the HEPA filter 146 and the pollutant is collected and passed through the deodorization filters 147 and 148 The odor is deodorized.

필터유닛(140)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내부패널(129)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어 송풍바디(181)의 송풍그릴(181-3)으로 유동된다.The pur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140 flows upward along the inner panel 129 and flows to the blowing grill 181-3 of the blowing body 181. [

송풍그릴(181-3)을 통과한 공기는 쉬라우드(182-1)로 유입된 후 블레이드(182-2)의 트레일링 엣지를 통하여 토출된다. 블레이드(182-2)로 토출된 공기는 송풍바디(181)의 측면에 의하여 상측으로 유동되어 베인부(183)의 베인(183-1)을 통하여 상측으로 유동된다. 이 때, 블레이드(182-2)로 토출된 공기 중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송풍바디(181)의 공간형성부(181-9)가 형성하는 공간(B)을 통하여 다시 쉬라우드(182-1)로 유입된다.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air grill 181-3 flows into the shroud 182-1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trailing edge of the blade 182-2. The air discharged to the blade 182-2 flows upward by the side surface of the air blowing body 181 and flows upward through the vane 183-1 of the vane portion 183. At this time, the air that has flowed downward ou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blade 182-2 passes through the space B formed by the space forming portion 181-9 of the air blowing body 181, ).

베인(183-1)을 통과한 공기는 모터커버(184)의 상측에서 덕트(151)로 유입된다. 덕트(151)로 유입된 공기는 전방 상측으로 안내되어 토출패널(161)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된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vane 183-1 flows into the duct 151 from above the motor cover 184.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151 is guided upward in the front direction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of the discharge panel 161. [

토출패널(161)의 토출구(160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패널(161) 및 콘솔부(165)의 하면에 의하여 공기청정기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된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0a of the discharge panel 161 is discharg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air cleaner by the lower surfaces of the discharge panel 161 and the console portion 165. [

상술한 기술적 사상은 공기청정기뿐만 아니라 공기를 유동하는 공기조화기 및 이와 유사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idea can be applied not only to air cleaners but also to air conditioners and similar devices that flow ai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베이스 120: 본체
121: 전면패널 122: 후면패널
123: 손잡이부 129: 내부패널
130: 흡입유닛 130a: 흡입구
131: 흡입패널 131b: 필터 확인부
132: 흡입바디 132-1: 흡입그릴
139: 링크부 140: 필터유닛
141: 프리필터 142: 헤파필터 바디
146: 헤파필터 143: 탈취필터 바디
147: 제 1 탈취필터 148: 제 2 탈취필터
151: 덕트 152: 덕트그릴
160: 토출유닛 160a: 토출구
161: 토출패널 165: 콘솔부
166: 조명부 180: 송풍유닛
189: 모터 182: 송풍팬
181: 송풍바디 183: 베인부
184: 모터커버 185: 이오나이저
110: Base 120: Body
121: front panel 122: rear panel
123: handle 129: inner panel
130: Suction unit 130a: Suction port
131: suction panel 131b: filter check section
132: suction body 132-1: suction grill
139: Link unit 140: Filter unit
141: Prefilter 142: HEPA filter body
146: HEPA filter 143: Deodorization filter body
147: first deodorization filter 148: second deodorization filter
151: Duct 152: Duct grill
160: Discharging unit 160a: Discharging port
161: Discharge panel 165:
166: illumination unit 180: air blowing unit
189: motor 182: blowing fan
181: air blowing body 183:
184: motor cover 185: ionizer

Claims (13)

일부가 원통 형상인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유닛;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유닛 측에서 상기 토출유닛 측으로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유닛;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 및 상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는 둘레가 이루는 면이 상기 원통의 중심축과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가 통과되는 필터면이 상기 중심축가 경사진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A body partially cylindrical;
A su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is discharged;
An air blow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lowing air from the suction unit side to the discharge unit side; And
And a filter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a surface thereof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of the cylinder,
Wherein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the center axis of the filter surf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s incli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의 상기 필터면의 둘레가 이루는 형상은 단축이 장축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는 계란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hape of a periphery of the fil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an egg shape whose short axis is no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ng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무게중심이 하부에 편중되도록 외형이 계란 형태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an egg shape so that its center of gravity is biased down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
상기 프리필터의 상측에 적층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헤파필터 바디;
상기 헤파필터 바디 내에 안착되어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
상기 헤파필터의 상측에 적층되어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 및
상기 탈취필터의 상측에 적층되어 상기 헤파필터 바디와 결합되는 탈취필터 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unit includes:
A pre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A HEPA filter body stacked on the pre-filter to form a housing space;
A HEPA filter mounted in the HEPA filter body for collecting contaminants in the air;
A deodorizing filter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PA filter for deodorizing odors in the air; And
And a deodorization filter body stacked on the deodorization filter and coupled to the HEPA filter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는 일측에 돌출된 프리필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파필터 바디는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프리필터 돌출부와 적층되는 헤파필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취필터 바디는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헤파필터 돌출부와 적층되는 탈취필터 돌출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filter is formed with a pre-filter protrusion protruded on one side,
Wherein the HEPA filter body is formed with a HEPA filt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and stacked with the free filter protrusion,
Wherein the deodorization filter body is protruded on one side to form a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which is stacked on the HEPA filter protrus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프리필터 돌출부, 상기 헤파필터 돌출부 및 상기 탈취필터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필터 확인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filter check portion opened to expose the pre-filter protrusion, the hepafar filter protrusion,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 돌출부, 상기 헤파필터 돌출부 및 상기 탈취필터 돌출부는 상기 필터 확인부에 삽입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e-filter protrusion, the HEPA filter protrusion,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are inserted into the filter check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 돌출부, 상기 헤파필터 돌출부 및 상기 탈취필터 돌출부는 상기 흡입유닛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filter protrusion, the HEPA filter protrusion,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ar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suction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 돌출부, 상기 헤파필터 돌출부 및 상기 탈취필터 돌출부의 후방 끝단은 상기 필터면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ar end of the pre-filter protrusion, the HEPA filter protrusion, and the deodorization filter protrusion are formed obliquely to the filter surf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필터는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탈취필터는 제 1 탈취필터와 상기 제 1 탈취필터에 적층되는 제 2 탈취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deodorization filters include a first deodorization filter and a second deodorization filter stacked on the first deodorization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구에 흡입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필터면이 상기 중심축과 경사지게 상기 흡입그릴에 안착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unit has a suction grille formed at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filter unit is seated on the suction grille with the filter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필터면이 상기 흡입구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상측으로 더 경사지게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is disposed so as to be more inclined upward from a surface of the filter surface than a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필터면이 상기 토출구의 둘레가 이루는 면보다 상측으로 덜 경사지게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lter unit is disposed so that the filter surface is less inclined upward than a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KR1020140152982A 2014-10-24 2014-11-05 Air Purifier KR1016635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82A KR101663514B1 (en) 2014-11-05 2014-11-05 Air Purifier
CN201510631341.3A CN105546664B (en) 2014-10-24 2015-09-29 Air purifier
US14/921,250 US9855522B2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EP15191219.3A EP3015784B1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US14/921,287 US9713783B2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EP15191216.9A EP3012547B1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EP15191217.7A EP3012548B1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US14/921,400 US9802145B2 (en) 2014-10-24 2015-10-23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82A KR101663514B1 (en) 2014-11-05 2014-11-05 Air Purifi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961A Division KR101760294B1 (en) 2016-08-03 2016-08-03 Ai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48A true KR20160053648A (en) 2016-05-13
KR101663514B1 KR101663514B1 (en) 2016-10-07

Family

ID=5602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982A KR101663514B1 (en) 2014-10-24 2014-11-05 Ai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1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365A (en) * 2019-07-31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093537A (en) * 2019-07-31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00143A (en) * 2019-08-2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00142A (en) * 2019-08-2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24680A (en) * 2019-08-20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24683A (en) * 2019-08-20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847B1 (en) * 2018-04-09 2018-09-28 (주)스마트코리아 Harmful gases purify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4385A (en) * 2005-08-10 2009-02-0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ir cleaner
JP2009172509A (en)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Corp Air cleaner
JP3156905U (en) * 2009-11-06 2010-01-21 カールテクノ株式会社 Air sterilization 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4385A (en) * 2005-08-10 2009-02-05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ir cleaner
JP2009172509A (en) * 2008-01-24 2009-08-06 Panasonic Corp Air cleaner
JP3156905U (en) * 2009-11-06 2010-01-21 カールテクノ株式会社 Air sterilization fil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G 그룹 블로그, ‘wikitree | 일상에 쉼표를 선사하다’ http://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169142, (2014.04.18)*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365A (en) * 2019-07-31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093537A (en) * 2019-07-31 2019-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00143A (en) * 2019-08-2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00142A (en) * 2019-08-20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24680A (en) * 2019-08-20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124683A (en) * 2019-08-20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514B1 (en)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021B1 (en) Air Purifier
KR101647716B1 (en) Air Purifier
KR101663514B1 (en) Air Purifier
EP3012548B1 (en) Air purifier
KR101651487B1 (en) Air Purifier
CN105987447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a UV light emitting diode and a photocatalytic filter
CN105987445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a UV light emitting diode and a photocatalytic filter
KR101663512B1 (en) Air Purifier
KR101760294B1 (en) Air Purifier
CN105987442A (en)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CN107131574B (en) Air purifier
CN204739687U (en) Air purifier
KR101651488B1 (en) Air Purifier
KR101732538B1 (en) Air Purifier
CN217559916U (en) Smoke exhaust ventilator
KR102150333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CN204730343U (en) Air purifier
JP7446066B2 (en) Air cleaner
CN105546662B (en) Air purifier
CN112739957B (en) Air purifying device
CN105546664A (en) Air purifier
JP2024060375A (en) Air cleaner
CN117167790A (en) Fume exhaust fan
JP2001028206A (en) Luminaire having air-cleaning function
JP2024060373A (e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