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53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530A
KR20160053530A KR1020140152711A KR20140152711A KR20160053530A KR 20160053530 A KR20160053530 A KR 20160053530A KR 1020140152711 A KR1020140152711 A KR 1020140152711A KR 20140152711 A KR20140152711 A KR 20140152711A KR 20160053530 A KR20160053530 A KR 2016005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terminals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370B1 (ko
Inventor
김창규
소병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5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3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되,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System and recoding medium thereof for performing position measurement of user equipment by ser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위치 측위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이를 지원하는 장치,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한편,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 관련 기술이 발전 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서비스가 광범위하게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위와 같은 단말은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mobile/portable equipment) 및 고정 단말(stationary equipment)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 복합적인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인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도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사용량이 증가되는 행보와 함께 위와 같은 이동성이 있는 단말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위치 측정 시스템(이하, 측위 시스템)은 고정된 객체 또는 이동하는 객체의 위치를 인식하거나 측정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측위 시스템의 일종으로 전 지구 측위 시스템, 표준 측위 시스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지원 측위 시스템 및 이동통신이나 무선랜 혹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위치 측정 시스템은 측정 주기가 빈번하지 못하여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 시 측정의 오차가 있었으며, 측정 방식이 GPS를 활용하게 될 경우 실내 측위가 불가능하고, 이동통신이나 무선랜 등의 방식일 경우 정확도가 낮으며, WPAN 등의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랜 AP(Access Point) 등을 다수 설치해야 하므로 고비용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의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가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여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가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용하여 특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들을 지원하는 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되,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단말 식별자,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연결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연결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을 설정하되, 상기 주 생활 지역은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으로 수신한 지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을 즐겨 찾기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불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지역을 출입구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 중 상기 제 1 단말의 이동 경로 내에서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되,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 중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경우,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셀 기반 위치 측정 결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RF 유닛(Radio Frequency Unit) 및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장치의 통신 수행을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단말 식별자,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연결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연결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을 설정하되, 상기 주 생활 지역은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으로 수신한 지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을 즐겨 찾기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불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지역을 출입구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 중 상기 제 1 단말의 이동 경로 내에서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 중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경우,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셀 기반 위치 측정 결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UE)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여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용하여 특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여 위치 조회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의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위치 조회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되 이를 기반으로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기지국(Base Station; BS, 20)과 하나 이상의 단말(User Equipment; UE, 10a, 10b)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20)은 단말(10a, 10b)과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지국(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20)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20)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10a, 10b)은 사용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인 IEEE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 위치 조회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위치 조회 시스템은 위치 조회 서버(110), 단말(12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 위치 조회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조회 서버(110)는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단말 위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때, 도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치 조회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단말(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110)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110)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회 서버(110)는 단말(120)에 설치된 운영 체제를 확인하고, 단말(120)에 설치된 운영 체제에서 동작 가능한 위치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120)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종단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주변장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셋탑박스(set-top box), OTT(Over-The-Top) TV, 스마트 TV 등과 같은 TV 셋, 모니터, VoIP 터미널 또는 오디오 비주얼 미디어 플레이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네트워크(130)는 위치 조회 서버(110)와 단말(12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방송 통신망,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WLAN(Wireless LAN, 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내 하나 이상의 단말들은 미리 정해진 일정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위치 조회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S301)
상기 단말 위치 정보에는 이를 전송한 단말의 식별자(Identification) 및 현재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현재 위치 정보는 단말이 존재하고 있는 특정 지점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는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위도/경도 또는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위치 조회 서버는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302)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 정보는 해당 단말 위치 정보를 전송한 단말의 단말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위치 조회 서버는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단말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는 년도(Year), 월(Month), 일(Day), 시(Hour), 분(Minute), 초(Secon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정보는 단말 구분자, (수신 시간 1, 단말 위치1), (수신 시간 2, 단말 위치 2), (수신 시간 3, 단말 위치 3), … , (수신 시간 n-1, 단말 위치 n-1), (수신 시간 n, 단말 위치 n), (수신 시간 n+1, 단말 위치 n+1)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제한적이지 않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정보는 지도(map) 상의 하나의 좌표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연결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생성된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단말의 위치 조회에 활용함으로써 단말의 위치 조회 또는 위치 측정 시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S302 단계에서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S303)
이 때,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위치 조회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먼저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주 생활 지역이라 함은, 상기 위치 조회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으로 수신한 지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서 일정 시간 내에 다수의 위치 이력 정보를 남기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남긴 지역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의 직장, 집, 학원, 학교, 식당 및 단골 커피숍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즐겨 찾기 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즐겨 찾기 지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이 상기 즐겨 찾기 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출입구 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 지역이라 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불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이 불연속적인 위치 정보를 남기는 마지막 위치(지역) 또는 시작 위치(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하철 입구, 지하철 출구 또는 버스 정류장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S303 단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위치 조회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 시,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조회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제 1 단말의 이동 경로 내에서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마지막 좌표 지점이라 함은, S301단계에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되어 S302 단계에서 좌표 정보로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들 중, 가장 최근에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만약,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 중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역이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되 이를 기반으로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도3의 S302단계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 정보는 해당 단말 위치 정보를 전송한 단말의 단말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위치 조회 서버는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단말 식별자,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는 년도(Year), 월(Month), 일(Day), 시(Hour), 분(Minute), 초(Secon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좌표 정보는 단말 식별자, (수신 시간 1, 단말 위치1), (수신 시간 2, 단말 위치 2), (수신 시간 3, 단말 위치 3), (수신 시간 4, 단말 위치 4), (수신 시간 5, 단말 위치 5), (수신 시간 6, 단말 위치 6), … , (수신 시간 n-1, 단말 위치 n-1), (수신 시간 n, 단말 위치 n), (수신 시간 n+1, 단말 위치 n+1)과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401 내지 406), 이러한 형태는 제한적이지 않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정보는 지도(map) 상의 하나의 좌표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연결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401 내지 406은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에 포함된 좌표 정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좌표 정보 401 내지 406을 각각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연결하는 경우(도 4 에서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순서에 따라 연결됨), 연결된 좌표 정보들은 상기 제 1 단말의 시간에 따른 이동 경로로 판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각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한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대한 위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S50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한 위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위치 조회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먼저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주 생활 지역이라 함은, 상기 위치 조회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으로 수신한 지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단말이 일정 반경 내에서 일정 시간 내에 다수의 위치 이력 정보를 남기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남긴 지역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단말 사용자의 직장, 집, 학원, 학교, 식당 및 단골 커피숍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즐겨 찾기 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즐겨 찾기 지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이 상기 즐겨 찾기 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출입구 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 지역이라 함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불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이 불연속적인 위치 정보를 남기는 마지막 위치(지역) 또는 시작 위치(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하철 입구, 지하철 출구 또는 버스 정류장 등이 될 수 있다.
다시 도5를 참고하면, S501단계에서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위치 조회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단말의 이동 경로 중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 또는 직전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 또는 직전 위치 정보가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02)
여기에서 마지막 좌표 지점 또는 직전 위치 정보라 함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되어 좌표 정보로 저장된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들 중, 가장 최근에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지막 좌표 지점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만약, S502 단계에서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 (S503)
그러나, S502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 중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역이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이 있는 지 여부를 검색한다. (S504)
이 때, 상기 제 1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정보 이력을 기반으로 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S505)
그러나, S50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즐겨 찾기 지역이 있는 지 여부를 검색한다. (S506)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즐겨 찾기 지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을 의미하므로,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이 없고 상기 즐겨 찾기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확률적으로 상기 제 1 단말은 다수의 타인 혹은 다수의 타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즐겨 찾기 지역에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즐겨 찾기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S507)
만약 S506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즐겨 찾기 지역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출입구 지역이 있는 지 여부를 검색한다. (S508)
상기 출입구 지역은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이 불연속적인 위치 정보를 남기는 마지막 위치(지역) 또는 시작 위치(지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하철 입구, 지하철 출구 또는 버스 정류장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S508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출입구 지역이 존재하는 경우, 확률적으로 상기 제 1단말은 주 생활지를 벗어나 지하철, 버스 등을 이용하여 이동 중 일 것이므로, 이 경우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상기 출입구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으며, (S509) 이 때는,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셀 기반 위치 측위와 결합하여 지하철 노선 혹은 버스 노선의 특정 지점을 확인하여 위치 조회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도 있다. (S510)
만약 S508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1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의 일정 반경 이내에 출입구 지역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S503 단계로 돌아가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는 위치 조회 서버 및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조회 서버로 전송하는 3개의 단말이 있음을 가정하기로 하며, 도 6에서는 3개의 단말을 각각 원형 단말, 삼각형 단말 및 별 형 단말로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지역에는 대형마트(A, 600), 빌딩 1(B, 601), 빌딩 2(C, 602), 도로(D, 603) 및 지하철 역(E, 604)이 있으며, 앞서 언급한 3개의 단말 중 원형 단말은 대형마트(A, 600)를 주 생활 지역으로, 삼각형 단말은 빌딩 1(B, 601)을 주 생활 지역으로, 별 형 단말은 빌딩 2(C, 602)를 주 생활 지역으로 삼고 있음을 전제하기로 한다.
다시 도6으로 돌아와서, 위치 조회 서버는 3개의 단말인 원형 단말, 삼각형 단말 및 별 형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원형 단말의 위치 이력은 100, 삼각형 단말의 위치 이력 1은 200-1, 위치 이력 2는 200-2 로 표현하고, 별 형 단말의 위치 이력 1은 300-1, 위치 이력 2는 300-2로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회 서버는 이러한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각 단말 별 위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원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원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마지막 좌표 지점이라 함은, 상기 원형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되어 좌표 정보로 저장된 상기 원형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들 중, 가장 최근에 상기 원형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 내에 포함된 현재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원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100)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원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100)이 상기 원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100)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원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100)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대형마트(A, 600)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확률적으로 원형 단말은 주 생활 지역에 위치 하고 있을 확률이 높아,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대형마트(A, 600)를 원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각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삼각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삼각형 단말의 좌표 지점은 200-1및 200-2의 2개 좌표 지점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은 200-2 이므로, 위치 조회 서버는 마지막 좌표 지점인 200-2가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삼각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삼각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이 상기 삼각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삼각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1(B, 601)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확률적으로 삼각형 단말은 주 생활 지역에 위치 하고 있을 확률이 높아,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1(B, 601)을 삼각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별 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별 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별 형 단말의 좌표 지점은 300-1및 300-2의 2개 좌표 지점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은 300-2 이므로, 위치 조회 서버는 마지막 좌표 지점인 300-2가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별 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3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별 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300-2)이 상기 별 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3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별 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300-2)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2(C, 602)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확률적으로 별 형 단말은 주 생활 지역에 위치 하고 있을 확률이 높아,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2(C, 602)를 별 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6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는 위치 조회 서버 및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조회 서버로 전송하는 3개의 단말이 있음을 가정하기로 하며, 도 7에서도3개의 단말을 각각 원형 단말, 삼각형 단말 및 별 형 단말로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지역에는 대형마트(A, 700), 빌딩 1(B, 701), 빌딩 2(C, 702), 도로(D, 703) 및 지하철 역(E, 704)이 있으며, 앞서 언급한 3개의 단말 중 원형 단말은 대형마트(A, 700)를 주 생활 지역으로, 삼각형 단말은 빌딩 1(B, 701)을 주 생활 지역으로, 별 형 단말은 빌딩 2(C, 702)를 주 생활 지역으로 삼고 있음을 전제하기로 한다.
다시 도 7로 돌아와서, 위치 조회 서버는 3개의 단말인 원형 단말, 삼각형 단말 및 별 형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원형 단말의 위치 이력 1은 100-1, 위치 이력 2는 100-2으로 표현하고, 삼각형 단말의 위치 이력은 200, 별 형 단말의 위치 이력은 300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회 서버는 이러한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각 단말 별 위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원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원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원형 단말의 좌표 지점은 100-1및 100-2의 2개 좌표 지점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은 100-2 이므로, 위치 조회 서버는 마지막 좌표 지점인 100-2가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원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원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이 상기 원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원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대형마트(A, 700)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확률적으로 원형 단말은 주 생활 지역에 위치 하고 있을 확률이 높아,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대형마트(A, 700)를 원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각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삼각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삼각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200)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삼각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200)이 상기 삼각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200)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삼각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200)의 일정 반경 이내에는 상기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1(B, 70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즐겨 찾기 지역을 고려하게 된다.
도 7에서는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200)의 일정 반경 이내에 즐겨 찾기 지역 즉,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대형마트(A, 700)가 존재하므로, 상기 대형마트(A, 700)는 즐겨 찾기 지역인 바,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즐겨 찾기 지역인 대형마트(A, 700)를 삼각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별 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별 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별 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300)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별 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300)이 상기 별 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300)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별 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300)의 일정 반경 이내에는 상기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2(C, 702)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즐겨 찾기 지역을 고려하게 된다.
도 7에서는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300)의 일정 반경 이내에 즐겨 찾기 지역 즉,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대형마트(A, 700)가 존재하므로, 상기 대형마트(A, 700)는 즐겨 찾기 지역인 바,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즐겨 찾기 지역인 대형마트(A, 700)를 별 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6및 도 7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는 위치 조회 서버 및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조회 서버로 전송하는 3개의 단말이 있음을 가정하기로 하며, 도 8에서도3개의 단말을 각각 원형 단말, 삼각형 단말 및 별 형 단말로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지역에는 대형마트(A, 800), 빌딩 1(B, 801), 빌딩 2(C, 802), 도로(D, 803) 및 지하철 역(E, 804)이 있으며, 앞서 언급한 3개의 단말 중 원형 단말은 대형마트(A, 800)를 주 생활 지역으로, 삼각형 단말은 빌딩 1(B, 801)을 주 생활 지역으로, 별 형 단말은 빌딩 2(C, 802)를 주 생활 지역으로 삼고 있음을 전제하기로 한다.
다시 도 8로 돌아와서, 위치 조회 서버는 3개의 단말인 원형 단말, 삼각형 단말 및 별 형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원형 단말의 위치 이력 1은 100-1, 위치 이력 2는 100-2로 도시하며, 삼각형 단말의 위치 이력 1은 200-1, 위치 이력 2는 200-2로 도시하고, 별 형 단말의 위치 이력 1은 300-1, 위치 이력 2는 300-2, 위치 이력 3은 300-3, 위치 이력 4는 300-4로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회 서버는 이러한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각 단말 별 위치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원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원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원형 단말의 좌표 지점은 100-1및 100-2의 2개 좌표 지점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은 100-2 이므로, 위치 조회 서버는 마지막 좌표 지점인 100-2가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원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원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이 상기 원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원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원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의 일정 반경 이내에는 상기 원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이나 즐겨 찾기 지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출입구 지역을 고려하게 된다.
도 9에서는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100-2)의 일정 반경 이내에 출입구 지역인 지하철 역(E, 804)가 존재하므로,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출입구 지역인 지하철 역(E, 804)를 원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지하철을 이용하여 이동 중일 것으로 예상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셀 기반 위치 측위와 결합하여 지하철 노선의 특정 지점을 확인하여 원형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삼각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삼각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8에서 삼각형 단말의 좌표 지점은 200-1 및 200-2의 2개 좌표 지점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은 200-2 이므로, 위치 조회 서버는 마지막 좌표 지점인 200-2가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삼각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삼각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이 상기 삼각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삼각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200-2)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1(B, 801)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확률적으로 삼각형 단말은 주 생활 지역에 위치 하고 있을 확률이 높아,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삼각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1(B, 801)을 삼각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별 형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경우, 위치 조회 서버는 먼저 상기 별 형 단말의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확인하고,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별 형 단말의 좌표 지점은 300-1, 300-2, 300-3 및 300-4의 4개 좌표 지점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은 300-4 이므로, 위치 조회 서버는 마지막 좌표 지점인 300-4가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별 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300-4)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 하지 않았을 경우, 이 때는 상기 별 형 단말의 마지막 좌표 지점(300-4)이 상기 별 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마지막 좌표 지점(300-4)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상기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별 형 단말의 위치 조회가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는 마지막 좌표 지점(300-4)의 일정 반경 이내에 상기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2(C, 802)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확률적으로 별 형 단말은 주 생활 지역에 위치 하고 있을 확률이 높아, 상기 위치 조회 서버는 별 형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인 빌딩 2(C, 802)를 별 형 단말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자신이 자주 다니는 길이나 건물(주 생활 지역)을 이용하고, 초행길이라도 다른 사람이 자주 이용하는 경로와 건물(즐겨 찾기 지역)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와 같은 위치 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위치 조회를 수행하면 위치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위치 조회 서버(100)와 단말(200) 간의 1:1 통신 환경을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위치 조회 서버와 단말 간에도 통신 환경이 구축될 수 있으며, 단말 간 혹은 위치 조회 서버 간에도 통신 환경이 구축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위치 조회 서버(100) 및 단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위치 조회 서버(100)는 송신부(111) 및 수신부(112)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유닛(Radio Frequency unit, 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회 서버(100)의 신호 처리, 계층 처리 등 통신의 전반적인 과정은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RF 유닛(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 간에는 연결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조회 서버(100)에 포함된 RF 유닛(110)은 송신부(111) 및 수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11) 및 수신부(112)는 단말(200) 또는 다른 위치 조회 서버들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RF 유닛 내 송신부(111) 및 수신부(112)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부(111) 및 수신부(112)가 단말(200) 및 다른 위치 조회 서버 또는 기지국 등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전송할 신호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111)로 전송하며, 수신부(112)가 수신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교환된 메시지 또는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위치 조회 서버(100)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200)의 송신부(211) 및 수신부(212)를 포함하는 RF 유닛(210)은 위치 조회 서버(100)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200)의 프로세서(220)는 송신부(211) 및 수신부(212)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송신부(211) 및 수신부(212)가 상기 위치 조회 서버(100)를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전송할 신호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211)로 전송하며 수신부(212)가 수신한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교환된 메시지 또는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위치 조회 서버(100) 및 단말(200) 의 프로세서(120, 220)는 위치 조회 서버(100) 및 단말(200)의 동작들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한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20, 22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130, 230)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30, 230)는 프로세서(120, 220)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120, 22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 22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30, 23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20, 2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위치 조회 서버(100) 및 단말(2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120, 22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프로세서(120, 22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 : 100 단말 : 200
RF 유닛 : 110 RF 유닛 : 210
송신부 : 111 송신부 : 211
수신부 : 112 수신부 : 212
프로세서 : 120 프로세서 : 220
메모리 : 130 메모리 : 230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되,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단말 식별자,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연결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연결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로 판단하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을 설정하되,
    상기 주 생활 지역은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으로 수신한 지역인,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을 즐겨 찾기 지역으로 설정하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불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지역을 출입구 지역으로 설정하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 중 상기 제 1 단말의 이동 경로 내에서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되,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 중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경우,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셀 기반 위치 측정 결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말의 위치 조회 수행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RF 유닛(Radio Frequency Unit); 및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장치의 통신 수행을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위치 정보를 좌표 정보로 표현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좌표 정보는 상기 단말 식별자,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연결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연결된 각각의 좌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로 판단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을 설정하되,
    상기 주 생활 지역은 상기 제 1 단말의 단말 위치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으로 수신한 지역인,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의 주 생활 지역을 즐겨 찾기 지역으로 설정하는,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 위치 정보가 불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지역을 출입구 지역으로 설정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의 이동 경로 중 상기 제 1 단말의 이동 경로 내에서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지점이 미리 정해진 갱신 주기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 1 단말의 주 생활 지역, 즐겨 찾기 지역 및 출입구 지역 중 상기 가장 마지막 좌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지역을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로 결정하는 경우,
    이동통신 망을 이용한 셀 기반 위치 측정 결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는, 장치.
  19.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UE);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며,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시스템.
  20.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단말 식별자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수신한 단말 위치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로 각각 저장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별 위치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조회는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 이력 정보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 이외의 단말들의 위치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152711A 2014-11-05 2014-1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10223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11A KR102235370B1 (ko) 2014-11-05 2014-1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11A KR102235370B1 (ko) 2014-11-05 2014-1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30A true KR20160053530A (ko) 2016-05-13
KR102235370B1 KR102235370B1 (ko) 2021-04-02

Family

ID=5602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711A KR102235370B1 (ko) 2014-11-05 2014-1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3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76A (ko) * 2008-07-22 2010-02-01 주식회사 셀리지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 정보 획득 방법 및그에 따른 시스템
KR20120014468A (ko) * 2010-08-09 2012-02-17 팅크웨어(주) 측위 시스템 및 측위 방법
JP2014075752A (ja) * 2012-10-05 2014-04-24 Fujitsu Ltd 位置予測方法、位置予測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76A (ko) * 2008-07-22 2010-02-01 주식회사 셀리지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 정보 획득 방법 및그에 따른 시스템
KR20120014468A (ko) * 2010-08-09 2012-02-17 팅크웨어(주) 측위 시스템 및 측위 방법
JP2014075752A (ja) * 2012-10-05 2014-04-24 Fujitsu Ltd 位置予測方法、位置予測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370B1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6063B2 (en) Proximity detection in a device to device network
JP6203832B2 (ja)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およびプロキシミティサービスのためにデバイス間の距離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164515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locate a wireless device
US20130339478A1 (en) Indoor location server provision and discovery
US10165394B2 (en) Location accuracy for proximity services
KR102301801B1 (ko)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제어 다이렉트 연결 성립 장치 및 방법
EP3128804B1 (en) D2d communica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JP5911037B2 (ja) プロキシによるWi−Fi認証
EP2962482A1 (en) Network-level device proximity detection
US20150341892A1 (en) Positioning with access network query protocol neighbor reports
WO2015180119A1 (zh) 一种定位方法、网络侧设备、定位节点及定位系统
WO2014019420A1 (zh) 无线接入点信息的发送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9246658B (zh) 一种无流量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US10582469B2 (en) Network initiated ranging
JP2011254456A (ja) 携帯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通知する装置及び方法
KR20160028703A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이용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
US20150237466A1 (en) Radio access system, controll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US9210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eal time location service provider
US20150015441A1 (en)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service for a wireless device in an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wireless devices
US11985587B2 (e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location servers and methods
KR201600535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위치 조회를 수행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JP201522056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携帯端末及び位置情報取得方法
JP5980721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Burroughs Discussion of Indoor Location Standards
WO2023024948A1 (zh) 位置确定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