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455A - 철근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455A
KR20160052455A KR1020150160249A KR20150160249A KR20160052455A KR 20160052455 A KR20160052455 A KR 20160052455A KR 1020150160249 A KR1020150160249 A KR 1020150160249A KR 20150160249 A KR20150160249 A KR 20150160249A KR 20160052455 A KR20160052455 A KR 20160052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ing
fixing member
reinforcing ba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475B1 (ko
Inventor
기언관
Original Assignee
기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언관 filed Critical 기언관
Priority to KR102015016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4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는, 마디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철근의 외면에 마주하여 안착되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편체와, 상기 한 쌍의 편체 각각의 일부를 면접촉한 상태로 수용하여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단일의 정착편과, 상기 한 쌍의 편체 및 정착편 일부를 내부에 동시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정착편의 외면과 나사결합하여 편체 및 마디에 결합력을 발생하고 가장 큰 외경을 갖는 단일의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정착장치{A Rebar anchoring device}
본 발명은 철근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편체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철근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 외주면에 안착된 한 쌍의 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정착편과 정착부가 편체와 면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유격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편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정착편과 정착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철근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착편과 정착부가 나사 결합시에 각각 한 쌍의 편체가 면접촉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발생시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철근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사용되는 철근은 단부를 갈고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하중으로 인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철근의 정착 방법으로 철근의 단부를 U자 또는 L자 형상으로 굽혀서 정착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착부에는 다른 철근과 묶음부재로 결합된다.
그러나, 철근의 단부를 U자 또는 L자 형상으로 굽혀서 정착하는 경우 부피가 커져 좁은 장소에서의 시공이 곤란하고, 굽혀진 부분은 결국 철근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09-0007858호에는 "정착부가 부착된 철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종래 기술은 철근의 단부 영역을 가열하고, 가열된 단부영역을 축선 방향으로 압축하여 외경이 증대되도록 소셩변형시키는 열간 업세팅을 실시함으로써 정착부가 되는 확경부를 철근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철근의 단부에 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간 업세팅 장비가 필요하며, 시공 현장에서 확경부를 성형하는데에는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원가를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확경부 형성을 위해 철근의 단부를 철근재료의 Ac3 변태점 이상 12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해야 하므로, 높은 열로 인한 조직의 변경을 야기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0312752호에는 "네일 장착구조" 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네일 장착구조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철근(10)의 외면에 안착되도록 요홈(31)이 형성된 한 쌍의 웨지(20,30)와, 상기 한 쌍의 웨지를 결속하는 오링(40)과, 상기 웨지(20,30)를 내부에 수용하여 압축력을 발생하는 체결구(50)와, 상기 체결구(50)의 수나사(53)와 결합하는 체결너트(70)와, 상기 체결너트(70)의 외측에서 수나사(53)와 결합하여 체결너트(70)와 체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캐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철근을 정착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부품의 개수가 많아 결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 기간을 연장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근 하나 당 정착하기 위한 비용(부품 비용,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결국 공사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 기술들은 철근을 연결하고자 할 때 모든 구성품들을 현장에서 동시에 결합해야만 하므로 부품의 관리가 어렵고, 정착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7069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249호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외면이 경사진 부품을 쐐기 형태로 박아 넣어 구속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철근정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외부에서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쐐기 형상의 부품이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편체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철근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 외주면에 안착된 한 쌍의 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정착편과 정착부가 편체와 면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유격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편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정착편과 정착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철근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정착편과 정착부가 나사 결합시에 정착편와 한 쌍의 편체가 면접촉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발생시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철근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는, 마디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철근의 외면에 마주하여 안착되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편체와, 상기 한 쌍의 편체 각각의 일부를 면접촉한 상태로 수용하여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단일의 정착편과, 상기 한 쌍의 편체 및 정착편 일부를 내부에 동시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정착편의 외면과 나사결합하여 편체 및 마디에 결합력을 발생하고 가장 큰 외경을 갖는 단일의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체는 길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철근은 길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철근 외면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체에는, 상기 정착편 및 편체 일측과 면접촉하도록 가공된 한 쌍의 곡면과,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편체가 정착부 및 정착편에 대하여 길이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게 하는 걸림부와, 상기 마디를 내부에 수용하는 마디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곡면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거리는 철근의 마디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착편의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곡면 중 어느 하나의 곡면과 면접촉하여 한 쌍의 편체가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이탈방지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정착부의 일측에는 나머지 곡면과 면접촉하여 한 쌍의 편체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이격방지곡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착편과 정착부의 외면 일측에는, 공구 일측이 끼워지고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결합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철근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편체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철근 외주면에 안착된 한 쌍의 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정착편과 편체가 면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유격 발생을 차단하였으며, 정착편과 정착부가 나사 결합시에 각각 한 쌍의 편체와 면접촉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발생시 풀림이 방지되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쌍의 편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정착편과 정착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연결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서 일 구성인 편체가 철근 외면에 안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서 일 구성인 편체의 외형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서 일 구성인 정착부 내부에 한 쌍의 편체가 수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 일 구성인 정착편과 정착부가 나사 결합하기 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의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는 철근(F)의 단부에 정착을 위한 정착부(16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편체(120)와, 상기 한 쌍의 편체(120) 일부씩을 동시에 수용하여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단일의 정착편(140)과, 상기 편체(120)들과 정착편(140)을 동시에 수용한 상태에서 정착편(140)의 외면 일측과 나사결합하여 철근(F)에 한 쌍의 편체(120)와 정착편(14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착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착부(160)와 정착편(140)의 외면에는 결합용홈(h)이 함몰되어 있다.
상기 결합용홈(h)은 정착편(140)과 정착부(160)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죌 때 공구의 일측이 꽂힐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홈(h)은 정착편(140)과 정착부(160)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로 타설될 때 콘크리트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착편(140)의 외면 전체(둘레를 따라 360°모두)가 정착부(16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풀림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편체(120)는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되 외형에 다수의 특징을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들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편체(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을 절반으로 자른 형상을 가지며, 오목한 내부면에는 마디수용홈(12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마디수용홈(122)은 철근(F)의 마디(F')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체(12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마디수용홈(122)은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마디수용홈(122)이 형성되는 경우 편체(120)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편체(120)는 길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비대칭형상을 가진다. 이것은 철근(F)의 외면에 형성된 마디(F')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는 있으나, 철근(F)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리브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형성된 마디(F')는 동일 직선상에 놓이지 않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의 차이를 보상하여 정착편(140)과 정착부(160)가 나사결합시 전체 외주면과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편체(120)가 비대칭형상을 갖는 이유는 아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기로 한다.
상기 편체(120)의 외면에는 상기 정착편(140) 및 정착부(160) 일측과 면접촉하도록 가공된 한 쌍의 곡면(126)이 구비되며, 한 쌍의 곡면(126) 사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편체(120)가 정착부(160) 및 정착편(140)에 대하여 길이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게 하는 걸림부(128)가 구비된다.
상기 곡면(126)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으로, 한 개의 편체(120)에 대하여 한 쌍이 형성되고 한 쌍의 곡면(126) 중 하나는 정착부(160)와 면접촉하며, 나머지 하나의 곡면(126)은 정착편(140)과 면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곡면(126) 사이에는 걸림부(128)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28)는 편체(120)에서 가장 큰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철근(F)의 외주면을 둘러 싸듯이 안착된 한 쌍의 편체(120)에 형성된 걸림부(128)는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 또한 상기 정착편(140)과 정착부(160)가 나사결합시에 전체 외주면과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착편(140)은 내부가 천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외주면 일부에는 정착부(160)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1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착편(140)의 내부는 내경이 변화하도록 천공된다. 즉, 상기 정착편(140)의 내부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라운드지게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정착편(140)의 내부 우측은 전술한 곡면(126)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가공된 것으로, 상기 정착편(140)의 좌측에 위치하는 편체(120)의 우측 곡면(126)과 면접촉한 상태로 간섭하여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정착편(140)의 좌측에는 정착부(16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정착부(160)의 내주면 우측에는 암나사(162)가 가공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162)는 수나사(142)와 대응하는 크기 및 피치를 가지며, 정착부(160)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일부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착부(160)는 수나사(14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암나사(162)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한 상태로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정착부(160)의 내부 타측 즉, 암나사(162)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부에는 이격방지곡면(164)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방지곡면(164)은 정착부(160)의 내부에서 외측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곡면(126)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짐으로써 상기 곡면(이탈방지곡면(144)과 접촉하지 않는 반대측 곡면(126))과 면접촉하여 간섭함으로써 한 쌍의 편체(120)가 철근(F)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철근정착장치(10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철근(F)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편체(120)가 철근(F) 외면에 안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편체(120)의 외형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철근(F)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나의 철근(F) 외주면에 한 쌍의 편체(120)를 감싸듯이 안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디수용홈(122)에는 마디(F')가 수용된 상태이며 상기 한 쌍의 편체(1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안착된 상태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편체(120)는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이 구비되나, 하나의 철근(F)에 한 쌍의 편체(120)를 안착시에는 도 6과 같이 반대로 안착된다.
이것은 마디수용홈(122)이 편체(120)의 길이 중앙에 위치하는 것과, 철근(F)의 외주면 상/하에 형성된 마디(F')가 "A" 만큼 어긋나게 형성된 형상적 특징에 따라 암나사(162)와 수나사(142)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철근(F)은 제조회사마다 서로 상이한 "A" 치수를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체(120)는 마디수용홈(122)이 철근(F)의 길이 중앙에 위치하더라도, 서로 마주하는 편체(120)의 걸림부(128)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맞추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128)의 위치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걸림부(128)의 양측에 형성된 곡면(126) 역시 동일한 직선상에 놓이게 되어 수나사(142)와 암나사(162)의 나사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편체(120)를 방향을 바꾸어 마주보게 한 다음 배치시키게 되면, 상측 편체(120)의 마디수용홈(122)과 하측 편체(120)의 마디수용홈(122)은 동일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상측 편체(120)의 걸림부(128) 중심(B)은 하측 편체(120)의 걸림부(128) 중심(C)와 "D"만큼의 거리 차이를 가지게 된다.
"D" 거리는 편체(120)를 제조시에 철근정착장치(100)가 적용될 철근(F)의 마디(F') 사이 거리 도 6의 도면 부호 "A"를 고려하여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측 편체(120)의 걸림부(128) 중심인 "B"와 하측 편체(120)의 걸림부(120) 중심 "C"는 마디수용홈(122)의 중앙으로부터 "D" 거리만큼 서로 반대방향을 이동한 위치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편체(120)의 외면에는 걸림부(128)를 기준으로 긴 길이를 갖는 곡면(126)에 각인(T) 2개를 형성하고, 짧은 길이를 갖는 곡면(126)에는 각인(T) 1개를 형성하여 육안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6과 같이 철근(F) 외주면에 한 쌍의 편체(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정착부(160)를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정착부(160)의 이격방지곡면(162)는 곡면(126)과 면접촉한 상태로 편체(12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정착편(140)을 도 9와 같이 위치시킨 다음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정착부(160)와 나사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암나사(162)와 수나사(142)를 체결하게 되면, 정착편(140)의 이탈방지곡면(144)은 편체(120)의 우측에 형성된 곡면(126)과 면접촉하게 되고, 상기 정착부(160)의 이격방지곡면(164)는 편체(120)의 좌측에 형성된 곡면(126)과 면접촉한 상태가 됨으로써 한 쌍의 편체(120)는 도 4와 같이 정착편(140)과 정착부(160)에 의해 어떠한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게 구속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용홈(h)을 통해 정착편(140)과 정착부(160)를 더 죔으로써 철근(F)에 대한 정착은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착편(140)과 정착부(160)는 편체(120)를 기준으로 좌/우측 위치가 바뀐 상태로 결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편체(120) 안착 후 정착부(160)를 먼저 결합하였으나, 한 쌍의 편체(120) 외측에 정착편(140)을 먼저 위치시킨 다음 정착부(160)를 회전시켜 암나사(162)와 수나사(142)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정착부(160)와 정착편(140)을 나사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철근정착장치 120. 편체
122. 마디수용홈 126. 곡면
128. 걸림부 140. 정착편
142. 수나사 144. 이탈방지곡면
160. 정착부 162. 암나사
164. 이격방지곡면 F . 철근
F'. 마디 h . 결합용홈
T . 각인

Claims (7)

  1. 마디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철근의 외면에 마주하여 안착되고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편체와,
    상기 한 쌍의 편체 각각의 일부를 면접촉한 상태로 수용하여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단일의 정착편과,
    상기 한 쌍의 편체 및 정착편 일부를 내부에 동시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정착편의 외면과 나사결합하여 편체 및 마디에 결합력을 발생하고 가장 큰 외경을 갖는 단일의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는 길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철근은 길이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철근 외면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체에는,
    상기 정착편 및 정착부의 일측과 면접촉하도록 가공된 한 쌍의 곡면과,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편체가 정착부 및 정착편에 대하여 길이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게 하는 걸림부와,
    상기 마디를 내부에 수용하는 마디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곡면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거리는 철근의 마디 간격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편의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곡면 중 어느 하나의 곡면과 면접촉하여 한 쌍의 편체가 서로 멀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이탈방지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정착부의 일측에는 나머지 곡면과 면접촉하여 한 쌍의 편체의 이격 거리를 제한하는 이격방지곡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편과 정착부의 외면 일측에는,
    공구 일측이 끼워지고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결합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KR1020150160249A 2015-11-16 2015-11-16 철근정착장치 KR10170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49A KR101708475B1 (ko) 2015-11-16 2015-11-16 철근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249A KR101708475B1 (ko) 2015-11-16 2015-11-16 철근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455A true KR20160052455A (ko) 2016-05-12
KR101708475B1 KR101708475B1 (ko) 2017-02-21

Family

ID=5602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249A KR101708475B1 (ko) 2015-11-16 2015-11-16 철근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7386A (zh) * 2017-10-16 2019-04-23 韩国建设技术研究院 具有能够分离的螺栓的锚固楔及用其锚固预应力筋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317A (ja) * 1994-04-15 1995-10-27 D B S:Kk 鉄筋連結具及び鉄筋連結方法
KR20010067955A (ko) * 2001-04-10 2001-07-13 김순수 철근이음쇠
KR100760009B1 (ko) * 2006-05-04 2007-09-19 삼양기전(주) 철근연결장치
KR20130125697A (ko) * 2012-05-09 2013-11-19 에스피씨이 주식회사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용 정착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317A (ja) * 1994-04-15 1995-10-27 D B S:Kk 鉄筋連結具及び鉄筋連結方法
KR20010067955A (ko) * 2001-04-10 2001-07-13 김순수 철근이음쇠
KR100760009B1 (ko) * 2006-05-04 2007-09-19 삼양기전(주) 철근연결장치
KR20130125697A (ko) * 2012-05-09 2013-11-19 에스피씨이 주식회사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용 정착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7386A (zh) * 2017-10-16 2019-04-23 韩国建设技术研究院 具有能够分离的螺栓的锚固楔及用其锚固预应力筋的方法
CN109667386B (zh) * 2017-10-16 2021-03-12 韩国建设技术研究院 具有能够分离的螺栓的锚固楔及用其锚固预应力筋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475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146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856949B1 (ko) 철근 이음 장치
KR20190067964A (ko) 구조용 커플러
KR101708477B1 (ko) 철근연결구
KR101708475B1 (ko) 철근정착장치
JP2008144823A (ja) スリーブホルダ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200223657Y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102341669B1 (ko) 소성변형 유도형 철근연결구
KR101650946B1 (ko) 나선철근용 철근정착장치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JP5619497B2 (ja) 互いに直交するよう配向された2つの要素の強制固定用装置
KR101997169B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JP2016204911A (ja) 鉄筋交差部締結金具
KR100404425B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20150025315A (ko) 철근 연결 장치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JP2009002076A (ja) ねじ鉄筋用取付具
KR100462291B1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200356201Y1 (ko) 철근 연결구
KR101805132B1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KR20050095968A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2036035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