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910A -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 - Google Patents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910A
KR20160051910A KR1020140141707A KR20140141707A KR20160051910A KR 20160051910 A KR20160051910 A KR 20160051910A KR 1020140141707 A KR1020140141707 A KR 1020140141707A KR 20140141707 A KR20140141707 A KR 20140141707A KR 20160051910 A KR20160051910 A KR 20160051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ntainer
brown rice
outer contai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14014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1910A/ko
Publication of KR2016005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의 내외측에서 속으로 온수나 마이크로 버블 등이 잘 침투하게 하여 겉과 속의 현미가 골고루 발아시킬 수 있는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iinner container and germinated brown rice apparatus in us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현미의 내외측에서 속으로 온수나 마이크로 버블 등이 잘 침투하게 하여 겉과 속의 현미가 골고루 발아시킬 수 있는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아현미기로서, 예컨대 특허문헌(한국등록실용 제20-0313834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발아현미 제조용 전기가열기는 내부에 가열솥(1)을 구비한 본체(2)와, 이 가열솥(1) 내에 수용되는 내부솥(3) 및 본체(2)의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폐쇄하는 뚜껑(4)으로 구성되고, 본체(2)는 가열솥(1)을 통해 내부솥(2) 내의 온도를 30∼40℃로 가열하는 히터(6) 및 상기 온도를 18∼24시간 지속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히터(6)의 발열온도를 130∼150℃로 상승시켜서 죽을 쑤기 위한 죽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솥(2)은 항균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솥(2) 내에는 하부에 현미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물은 빠져나갈 수 있는 망이 설치되어 있는 농형용기(15)가 더 구비되어 있고, 그 농형용기(15)가 항균성 금속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솥(2)이 항균성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농형용기(15)는 항균성 동 또는 그 합금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살균수와 제균수를 사용하지 않고, 악취가 적은 발아현미를 일반가정에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용 발아현미 제조용 전기가열기는 히터로 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내부솥(3)과 농형용기(15)를 항균성 금속을 사용해야 하고, 이에 따른 재료값이나 무게가 무겁다.
또한, 히터의 가열에 의해서만 온도를 맞추는 보온의 개념이기 때문에 발효시간이 18~24시간으로 거의 이틀이 소요되어, 1대의 전기가열기로 매일 발아현미를 제조해서 먹을 수 없다.
한편, 밀폐구조 형태로 보온을 취하기 때문에, 발아 시 나오는 효소에 의한 냄새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악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농형용기(15)에 담긴 현미에서 망사인 밑면측과 위면에서 온수 등이 그 속으로만 침투되기 때문에, 겉과 속의 침투 차이가 커서 현미 발아가 골고루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13834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깥쪽의 현미와 안쪽의 현미가 골고루 발아 가능하게 한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아현미기용 내용기는, 현미가 담기는 망사형 통체; 상기 망사형 통체의 바닥 중심에서 위로 융기되는 망사형 코어 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아현미기용 내용기에 있어서, 상기 망사형 통체의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아현미기용 내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용기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망사형 통체의 상단에는 내용기 손잡이가 형성되되, 상기 내용기 손잡이는 상기 망사형 통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편과, 상기 외측 연장편의 끝단에서 아래로 향하게 연장되는 하방 연장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용기 손잡이는 상기 외용기 손잡이에 놓인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아현미기는, 바닥에 가열판이 설치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 내에 배치되게 상기 외용기에 지지되는 망사형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외용기가 놓이며, 상기 가열판에 전원을 제공하고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기는 현미가 담기는 망사형 통체와, 상기 망사형 통체의 바닥 중심에서 위로 융기되는 망사형 코어 통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용기가 현미가 담기는 망사형 통체와, 통체의 바닥 중심에서 위로 융기되는 망사형 코어 통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망사형 통체와 코어 통체 사이로 담긴 현미는 안쪽과 바깥쪽 모두로 온수의 침투가 가능하여 골고루 발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망사형 통체의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로 순환 가능하여 발효 시 생성되는 효소의 악취를 더욱 제거하고,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기 때문에 물의 부패를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용기 손잡이가 외용기 손잡이 상에 놓여 지지되기 때문에, 마치 내용기 손잡이와 외용기 손잡이가 하나의 손잡이처럼 보여 깔끔해 보이고, 또한 받쳐 지지되어 내용기가 외용기에 더욱 안정적으로 받쳐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식용 발아현미 제조용 전기가열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발아를 수행할 때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미발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2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본체부를 분리하여 상면 및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뚜껑에서 밑면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미발아기(100)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부(300)와, 이 본체부(300)가 놓여 전원을 공급 제어하는 구동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담기는 외용기(310)와 현미가 담기는 내용기(330), 내용기(33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350)으로 이루어진다.
외용기(310)는 바닥(311), 바닥(311)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측벽(3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313)의 일측 외주면에는 거의 ㄷ자 형상의 외용기 손잡이(314)가 체결 고정되어 있다.
바닥(311)의 상면에는 가열판(370)이 장착되어 있고, 바닥(311)의 하면에는 가열판(370)의 단자(371)가 배치되어 있다.
바닥(311)의 가장자리 하면에는 걸림턱(315)과, 이 걸림턱(315)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감합편(317)이 형성되어 있다.
감합편(317)은 후술된 구동부(500)의 상단 내측에 끼워 맞춰지는 구성이다.
감합편(317)의 일측 예컨대 외용기 손잡이(314)가 있는 쪽에는 도려낸 홈(3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319)은 단자(371)가 구동부(500)의 접속에 맞춰지게 위치를 지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구동부(5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배기홈의 역할도 한다.
가열판(370)은 전기분해용 가열판 또는 히터용 가열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의 가열판(370)은 전기분해용 가열판(370)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분해용 가열판(370)은 메쉬형 전극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국등록특허 제10-0603536호 참조).
전기분해용 가열판(370)은 물에 전류를 흘려 전기분해시키면 30~40℃ 온수를 유지하게 가열하고 이와 동시에 산화 환원반응이 일어나 물의 입자를 살균하고 탈취하는 정화 기능을 행한다.
따라서, 별도의 항균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분해만으로 살균과 탈취를 행하기 때문에 현미 발아에 매우 유용하다.
판을 전기분해로 이용할 경우, 판은 2개 구비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에 +극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에 -극을 연결하여 전원을 부여하면 2개의 판은 전기분해용 극으로 작용한다. 판이 4개인 경우 +, -, +, -극을 연결하여 전기분해용 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판을 가열판으로 이용할 경우, 판의 일단에 +극을 연결하고 타단에 -극을 연결하고, 판이 복수개인 경우 각각의 판의 일단에 +극을, 타단에 -극을 연결하여 사용한다(한국등록특허 제10-0603536호 참조).
내용기(330)는 외용기(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망사형 통체(330)로 이루어진다.
망사형 통체(330)는 깔때기 모양에 가까운 플라스틱 소쿠리로서, 바닥(331)과 측벽(333)으로 이루어진다.
바닥(331)과 측벽(333)에는 다수의 관통공(3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망사형 통체(33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외용기(310)의 측벽(313) 상단(313a)에 놓여 받쳐지는 피받침편(3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망사형 통체(33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측벽(313)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측 끼움편(338)이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내측 끼움편(338)의 길이는 피받침편(335)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되어 있어, 측벽(313) 상단(313a)에 놓여 받쳐지면서 측벽(313)의 상단(313a) 내측에 끼워지게 되어, 안정적으로 지지 된다.
한편, 망사형 통체(330)의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관통공(33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37)은 외용기(310)의 측벽(313)과 망사형 통체(330)의 측벽(331) 사이의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관통공(337)으로 들어와 그 사이로 유동하면서 그 내부 전체로 유동하게 되며, 반대로도 유동하여 관통공(337)을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 순환을 한다.
다른 한편, 망사형 통체(330)의 바닥(331) 중심에는 위로 융기되는 망사형 코어 통체(34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미는 망사형 통체(330)와 망사형 코어 통체(340)에 의해 안팎에서 온도와 수분 조절이 가능하여, 현미 전체가 골고루 발아시키며, 특히 발효시간을 12시간 이내로 짧게 할 수 있다.
망사형 통체(330)의 상단 일측에는 내용기 손잡이(339)가 형성되어 있다.
내용기 손잡이(339)는 망사형 통체(33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편(339a)과, 외측 연장편(339a)의 끝단에서 아래로 향하게 연장되는 하방 연장편(339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내용기 손잡이(339)는 외용기 손잡이(314)에 놓이게 된다.
즉, 외측 연장편(339a)은 외용기 손잡이(314)의 상측 상면에 놓이고, 하방 연장편(339b)은 외용기 손잡이(314)의 측면 상면에 걸쳐지게 된다.
따라서, 내용기 손잡이(339)는 외용기 손잡이(314)와 하나의 손잡이로 인식되면서 더 받쳐지게 되어 내용기(330)가 외용기(310)에 더욱더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뚜껑(350)은 망사형 통체(330)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외부와 내용기 또는 망사형 통체(330)를 서로 통하게 하는 연통라인(3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통라인(351)은 효소에서 나는 악취를 외부와의 순환으로 더욱더 탈취하고, 물의 부패도 막을 수 있는 선순환 역할을 한다.
연통라인(35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350)의 밑면에 형성되는 관통공(353)과, 뚜껑(350)의 상측 테두리의 하면에 형성되어 관통공(353)과 연통되는 연통공(355)으로 이루어진다.
뚜껑(350)은 상판(350a), 상판(350a)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되 오목하게 연장되는 중공 목부(350b)와, 중공 목부(350b)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판(350c)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통공(353)은 하판(350c)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연통공(355)은 중공 목부(350b)의 상측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중공 목부(350b)의 중간쯤에는 걸림턱(357a)이 형성되어, 이 걸림턱(357a)은 망사형 통체(330)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면(357b)에 걸려 안착되게 된다.
한편, 전기분해용 가열판(370)은 물을 가열하면서 마이크로 버블이 생기고, 이 버블은 발효 시 생기는 효소와 만나 거품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밀폐 구조가 아닌 본 실시예의 본체부(300)는 이 거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하판(350c)의 관통공(353)이 거품을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망사형 통체(330)에서 올라오는 거품은 하판(350c)의 관통공(353)을 통과하면서 터지게 된다.
터진 거품은 다시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거품을 차단한다.
이러한 거품의 파쇄를 더욱 유용하게 행하기 위해, 하판(350c)은 위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하는 게 좋다.
돔 구조는 거품이 중심으로 몰리게 하여 터지지 않고 외측으로 빠져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하판(350c)은 중공 목부(350b)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를 세척하기 용이하게 하는 게 좋다.
즉, 하판(350c)의 가장자리 윗면에는 120도 간격으로 록킹편(351c)이 형성되고, 중공 목부(350b)의 하단에는 록킹편(351c)이 출납되는 출납홈(353c)이 형성되고, 출납홈(353c)의 양쪽에는 스토퍼(355c)가 형성되어 있다.
록킹편(351c)이 출납홈(353c)을 통과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 스토퍼(355c)에 걸리면 끼워지게 된다. 반대로 돌려 록킹편(351c)이 출납홈(353c)측에 오면 아래로 당기면 빠지게 된다.
이러한 착탈을 용이하게 위해, 하판(350c)의 중심에는 잡고 돌릴 수 있는 노브(357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분해용 가열판(370)과 외부와의 순환 구조를 취함으로써, 외용기(310), 내용기(330), 뚜껑(350)을 항균성 금속으로 하지 않고 플라스틱으로 사출하여도 물의 살균과 탈취뿐만 아니라 발효시간도 12시간 이내로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구동부(500)는 단자(371)에 전원을 공급하고, PCB(미도시)는 30~40℃의 온수를 유지하면서 12시간 이내 발효되게 전기분해용 가열판(370)을 제어하게 세팅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현미발아기 300 : 본체부
310 : 외용기 311 : 바닥
313 : 측벽 313a : 상단
314 :외용기 손잡이 315 : 걸림턱
317 : 감합편 319 : 도려낸 홈
330 :내용기(망사형 통체) 331 : 바닥
332 : 관통공 333 : 측벽
335 : 피받침편 337 : 관통공
338 : 내측 끼움편 339 : 내용기 손잡이
339a : 외측 연장편 339b : 하방 연장편
340 : 망사형 코어 통체 350 : 뚜껑
350a : 상판 350b : 중공 목부
350c : 하판 351 : 연통라인
351c : 록킹편 353c : 출납홈
355c : 스토퍼 353 : 관통공
355 : 연통공 357a : 걸림턱
357b : 안착면 370 : (전기분해용) 가열판
371 : 단자 500 : 구동부

Claims (4)

  1. 현미가 담기는 망사형 통체;
    상기 망사형 통체의 바닥 중심에서 위로 융기되는 망사형 코어 통체;를 포함하는 현미발아기용 내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사형 통체의 상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는 현미발아기용 내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외주면 일측에는 외용기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망사형 통체의 상단에는 내용기 손잡이가 형성되되,
    상기 내용기 손잡이는 상기 망사형 통체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편과, 상기 외측 연장편의 끝단에서 아래로 향하게 연장되는 하방 연장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용기 손잡이는 상기 외용기 손잡이에 놓이는 현미발아기용 내용기.
  4. 바닥에 가열판이 설치되는 외용기;
    상기 외용기 내에 배치되게 상기 외용기에 지지되는 망사형 내용기;
    상기 내용기를 개폐하는 뚜껑;
    상기 외용기가 놓이며, 상기 가열판에 전원을 제공하고 제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기는 현미가 담기는 망사형 통체와, 상기 망사형 통체의 바닥 중심에서 위로 융기되는 망사형 코어 통체로 이루어진 현미발아기.
KR1020140141707A 2014-10-20 2014-10-20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 KR20160051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707A KR20160051910A (ko) 2014-10-20 2014-10-20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707A KR20160051910A (ko) 2014-10-20 2014-10-20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910A true KR20160051910A (ko) 2016-05-12

Family

ID=56024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707A KR20160051910A (ko) 2014-10-20 2014-10-20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9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74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old growth in the reservoir of a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KR101240111B1 (ko) 온수 세정 변좌
JP4984840B2 (ja) 洗濯機
JP4876876B2 (ja) 洗濯機
KR101738557B1 (ko) 발아현미기
KR20160051910A (ko) 내용기 및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기
KR100730612B1 (ko) 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
JP4770867B2 (ja) 洗濯機
KR20160051909A (ko) 발아현미기
KR20190041113A (ko) 젖병 소독기
CN105435254B (zh) 奶瓶消毒器
CN110464197B (zh) 烹饪器具、烹饪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1212248B1 (en) Container for garbage collection
WO2008062954A1 (en) The prop for hand mixer
JP2001178271A (ja) 発芽玄米製造装置
JP4508907B2 (ja) 食器乾燥機
CN214791044U (zh) 蒸气发生装置和集成灶
CN105770930B (zh) 一种奶瓶消毒器的烘干结构
CN211432785U (zh) 一种餐具消毒设备
KR102115024B1 (ko) 살균수 제조장치
CN213046119U (zh) 一种会客厅用多功能杯架
CN216136381U (zh) 一种多用消毒杀菌装置
CN212940678U (zh) 砧板消毒器
CN202844168U (zh) 一种杀菌消毒器
CN212698447U (zh) 一种智能杀菌筷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