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123A -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123A
KR20160051123A KR1020140150578A KR20140150578A KR20160051123A KR 20160051123 A KR20160051123 A KR 20160051123A KR 1020140150578 A KR1020140150578 A KR 1020140150578A KR 20140150578 A KR20140150578 A KR 20140150578A KR 20160051123 A KR20160051123 A KR 20160051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adjusting
driven member
auxiliary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956B1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9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 조정 유닛을 이용하여 마주보고 결합되는 대상물을 정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을 정렬하는 장치는, 제 1대상물 또는 제 2대상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피동부재, 제 1대상물 또는 제 2대상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가정렬된 상태에서 피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둔 채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부재, 고정부재에 끼워지고 피동부재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부재에 대한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하는 위치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APPRATUS FOR ALIGNING TARGET OBJE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대상물을 정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적으로 가정렬되어 있는 대상물이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대상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이프라인 분야의 파이프 용접 작업을 위해 파이프를 정렬하는 작업은 일반적으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수행되므로, 작업자의 숙련된 정도에 따라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가 제대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용접이 수행될 경우가 발생하여 용접 품질이 낮은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근래에 들어서는 정렬작업 수행자의 기술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정렬 정확성과 정렬작업의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를 고안하여 생산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번거롭고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2995호(2011.07.2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치 조정 유닛을 이용하여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대상물 간의 미세하고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상물을 미세하게 정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을 정렬하는 장치는, 제 1대상물 또는 제 2대상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피동부재, 제 1대상물 또는 제 2대상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가정렬된 상태에서 피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둔 채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부재, 고정부재에 끼워지고 피동부재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부재에 대한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 조정부재를 구비하는 위치조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대상물의 중심축이 제 1대상물의 중심축 선에서 어긋나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조정부재를 피동부재에 밀면서 고정부재에 대한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피동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한 쌍의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보조 고정부재 및 보조 고정부재에 끼워지고 위치 조정부재와 수직한 상태에서 피동부재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부재에 대한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위치 조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위치 조정부재는 표면에 관통홀을 축회전하며 관통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보조 위치 조정부재는 표면에 관통홀을 축회전하며 관통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로부터 피동부재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위치 조정부재의 일측에 주행레일이 형성되며, 주행레일에 맞물린 주행기어의 움직임에 의해 위치 조정부재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대상물과 제 2대상물은 두께 및 단면의 지름이 동일한 원통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위치 조정 유닛을 제 1대상물 및 제 2대상물에 해체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물을 정렬하는 장치는 대상물에 구비되는 위치 조정 유닛을 이용하여 마주보는 대상물이 용접에 적합한 형태로 맞닿을 수 있도록 대상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조정 유닛은 대상물에 해체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조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 조정 유닛을 이용하여 반지름이 2m 이상인 대형 원통형 구조물들의 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에 구비되는 위치 조정 유닛이 구비된 대상물 정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에 구비된 상태의 위치 조정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정 유닛이 구비된 대상물에 보조 위치 조정 유닛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위치 조정 유닛이 더 구비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정 부재에 주행기어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은 폭넓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발명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제시되는 하나의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이러한 양상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더하여 또는 이들 양상들이 아닌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에 구비되는 위치 조정 유닛이 구비되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피동부재(100), 고정부재(210, 230) 및 위치 조정부재(310, 330)를 구비하는 위치 조정 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위치 조정 유닛(10)은 피동부재(100), 고정부재(210, 230) 및 위치 조정부재(310, 330)를 한 세트로 포함할 수 있다.
피동부재(100)는 제 1대상물(50) 또는 제 2대상물(5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피동부재(100)는 제 1대상물(50)과 제 2대상물(55)이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10, 230)와 마주 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는 피동부재(100)는 제 1대상물(50)에 구비된 것으로 본다.
여기서 제 1대상물(50) 또는 제 2대상물(55)은 단면의 면적이 큰 실린더, 파이프 등의 대형 대상물 또는 마주보게 맞대는 상황이 필요한 복수의 장치 및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두 개의 원통형 구조물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두 개의 원통형 구조물은 두께 및 단면의 지름이 동일할 수 있다.
제 1대상물(50) 또는 제 2대상물(55)은 가정렬된 상태에서 위치 조정 유닛(1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정렬된 상태란 본 발명에 따라 대상물을 정렬하기 이전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용접을 위한 준비단계에서 임의적으로 원통형 구조물을 서로 맞대어 놓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적으로 정렬을 맞춰놓은 상태의 제 1대상물(50) 또는 제 2대상물(55)을 미세하게 정렬하여 보다 정확한 대상물의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재(210, 230)는 제 1대상물(50) 또는 제 2대상물(55)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고정부재(210, 230)는 제 1대상물 또는 제 2대상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이 가정렬된 상태에서 피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둔 채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피동부재(100)와 고정부재(210, 230)는 서로 다른 대상물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정부재(210, 230)는 제 2대상물(55)에 구비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위치 조정부재(310, 330)는 고정부재(210, 230)를 관통하되 고정부재(210, 23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위치 조정부재(310, 330)는 고정부재(210, 230)에 끼워지고 피동부재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피동부재(100)의 상대적 위치 변경으로 인하여 피동부재(100)가 구비된 제 1대상물(50)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을 하기 위하여 임의로 가정렬된 상태의 두 개의 동일한 원통형 대상물 중 수직방향에서 위쪽에 위치한 제 1대상물(50)이 작업자(미세 조정 유닛이 구비된 대상물과 마주 보고있음)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어긋나있는 경우, 위치 조정부재(310, 330)를 작업자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 1대상물(50)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대상물(50)에 부착된 피동부재(100)에 대하여 제 2대상물(55)에 부착된 고정부재(210, 230)를 작업자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고정부재(210, 230)에 구비된 위치 조정부재(310, 330)를 고정부재(210, 230)를 관통하여 작업자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위치 조정부재(310, 330)의 좌측 방향 이동으로 인하여 위치 조정부재(310, 330)는 피동부재(100)에 접촉하고, 계속된 이동으로 인하여 피동부재(100)도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대상물(50)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미세하게 어긋난 대상물이 맞춤 정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에 구비된 상태의 미세 조정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210, 230)는 피동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210, 230)는 제 2대상물(55)에 구비되며, 작업자에 의해 해체되기 전까지 제 2대상물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피동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재(210, 230)는 작업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한 쌍의 고정부재(210, 2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피동부재(100)가 이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고정부재(210, 230)에 각각 구비된 위치 조정부재(310, 330)의 피동부재(100)에 이격 또는 접촉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해, 위치 조정부재(310, 330)에 접촉되는 피동부재(100)가 위치 조정부재(310, 33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피동부재(100)가 구비된 제 1대상물(50)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2대상물(55)의 중심축이 제 1대상물(50)의 중심축선에서 어긋나면 위치 조정부재(310, 330)를 피동부재(100)에 접촉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제 2대상물의 중심축을 기점으로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갖는 제 1대상물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두 중심축이 일치함으로써 두 개의 마주보는 대상물이 일치하는 형태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정부재(310, 330)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10, 230)의 일측에는 관통홀(410, 430)이 형성되며 위치 조정부재(310, 330)는 표면에 관통홀(410, 430)을 축회전하며 관통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 2대상물에 고정된 고정부재(210, 230)를 관통하며 작업자의 나사를 회전시키는 힘만큼 나사 및 나사에 접촉하는 피동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나사를 회전시키는 힘은 사람의 힘을 이용한 노동력, 모터의 힘을 이용한 전동력 또는 기타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조정 유닛이 구비된 대상물에 보조 미세 조정 유닛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조 미세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보조 미세 조정 유닛은 보조 고정부재(250) 및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고정부재(250)는 기 설치된 대상물을 마주보는 방향에서 고정부재(210, 2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210, 23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 고정부재(250)에 포함된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는 보조 고정부재(250)에 끼워지고 상기 위치 조정부재(310, 330)와 수직한 상태에서 피동부재(100)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부재(250)에 대한 상기 피동부재(100)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피동부재(100)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보조 고정부재(250)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움직이는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기준하면, 보조 고정부재(250)는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는 나사일 수 있다. 즉, 보조 고정부재(250)의 일측에는 보조 관통홀(450)이 형성되며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는 표면에 보조 관통홀(450)을 축회전하며 관통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고정부재(210, 230)의 일측에 구비된 보조 고정부재(250)를 관통하며 작업자의 나사를 회전시키는 힘만큼 나사 및 나사에 접촉하는 피동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대상물(50)이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움직이는 방향이 아닌, 고정부재(210, 230)가 구비된 방향, 즉,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 보조 위치 조정 유닛(10)을 이용하여 재 1대상물을 정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고정부재(250) 방향으로 어긋난 제 1대상물(50)에 대하여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가 제 1대상물(50)에 구비된 피동부재(100)에 접촉하도록 이동함으로써, 피동부재(100) 및 피동부재(100)가 구비된 제 1대상물(5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에 의한 이동으로 인하여, 대상물을 보다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위치 조정 유닛이 더 구비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고정부재(250) 및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는 고정부재(210, 2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항으로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위치 조정부재(310, 330) 및 1개의 보조 위치 조정부재(350)에 의하여 제 2대상물(55)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 1대상물(50)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제 1대상물(50) 및 제 2대상물(55)을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크기가 큰 복수의 대상물을 용접하기 위하여 맞물리는 과정에서, 크레인 등으로 행하여지던 정렬 작업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행하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대상물의 정렬이 가능해질 수 있다. 나아가, 정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 등 부피가 크고 무거운 장비 대신 해체가 가능하며, 부피가 작은 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작업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다양한 정렬 장비로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위치 조정 유닛(10)이 필요한 복수의 대상물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조정 유닛(10)은 해체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위치 조정 유닛(10)의 이용으로 인해, 크레인등으로 임의적으로 가정렬된 상태의 대상물을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으며, 이는 그 후 이루어지는 다양한 작업, 예를 들어 파이프 용접과 같은 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정 부재에 주행기어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조정부재(310, 330)의 일측면에 주행레일(5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행레일(510)은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레일(510)의 홈과 맞물리도록 동일한 간격의 홈을 형성하는 주행기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행기어(530)는 본 발명의 위치 조정 유닛으로부터 이격되고, 중심축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중심축이 고정된 채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주행기어(530)는 모터(미도시) 등 주행기어(530)를 움직이는 힘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으로 인하여 주행기어(530) 주행레일(5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주행기어(520)의 회전력에 의하여 주행레일(510)이 형성된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주행기어(5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주행기어(530)에 대한 주행레일(510)의 맞물림에 의하여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고정부재(210, 230)를 관통하여 피동부재(10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면, 주행기어(5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주행기어(530)에 대한 주행레일(510)의 맞물림에 의하여 위치 조정부재(310, 330)가 고정부재(210, 230)를 관통하여 피동부재(100)에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 제 1대상물
55 : 제 2대상물
10 : 위치 조정 유닛
100 : 피동부재
210, 230 : 고정부재
250 : 보조 고정부재
310, 330 : 위치 조정부재
350 : 보조 위치 조정부재
410, 430 : 관통홀
450 : 보조 관통홀
510 : 주행레일
530 : 주행기어

Claims (8)

  1. 제 1대상물 또는 제 2대상물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피동부재;
    상기 제 1대상물 또는 상기 제 2대상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 1대상물과 상기 제 2대상물이 가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피동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둔 채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피동부재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 조정부재;
    를 구비하는 위치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대상물의 중심축이 상기 제 1대상물의 중심축선에서 어긋나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조정부재를 상기 피동부재에 밀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도록 조정하는,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기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피동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보조 고정부재; 및
    상기 보조 고정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위치 조정부재와 수직한 상태에서 상기 피동부재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피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변경시키는 보조 위치 조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조정부재는 표면에 상기 관통홀을 축회전하며 관통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위치 조정부재는 표면에 상기 관통홀을 축회전하며 관통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재의 일측에 주행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주행레일에 맞물린 주행기어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부재가 이동되는,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상물과 상기 제 2대상물은 두께 및 단면의 지름이 동일한 원통형태인,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위치 조정 유닛을 상기 제 1대상물 및 제 2대상물에 해체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KR1020140150578A 2014-10-31 2014-10-31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KR10163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78A KR101630956B1 (ko) 2014-10-31 2014-10-31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78A KR101630956B1 (ko) 2014-10-31 2014-10-31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123A true KR20160051123A (ko) 2016-05-11
KR101630956B1 KR101630956B1 (ko) 2016-06-15

Family

ID=5602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78A KR101630956B1 (ko) 2014-10-31 2014-10-31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9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770A (ko) * 2002-02-18 2003-08-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사용이 가능한 엘앤지 운반선의 엘앤지 운송 파이프용접시 파이프 정렬 장치
KR100850688B1 (ko) * 2007-03-30 2008-08-07 웰텍 주식회사 강관 맞대기용 정형이음장치
KR101052995B1 (ko) 2011-06-14 2011-07-29 김희영 파이프 라인업 클램핑 장치
KR20130003982U (ko) * 2011-12-23 2013-07-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터 펌프 정렬용 지그
KR20140003772U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단차 조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770A (ko) * 2002-02-18 2003-08-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사용이 가능한 엘앤지 운반선의 엘앤지 운송 파이프용접시 파이프 정렬 장치
KR100850688B1 (ko) * 2007-03-30 2008-08-07 웰텍 주식회사 강관 맞대기용 정형이음장치
KR101052995B1 (ko) 2011-06-14 2011-07-29 김희영 파이프 라인업 클램핑 장치
KR20130003982U (ko) * 2011-12-23 2013-07-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터 펌프 정렬용 지그
KR20140003772U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단차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956B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95519A (en) Xy table
US10864624B2 (en) Device for angularly precise machining of a workpiece by a tool guided on a guide rail
CN105371794A (zh) 调平调心微动工作台
RU2014127517A (ru) Индивидуализированное для пациент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е и ориентирование хирургиче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при размещении проходов
CN105140168A (zh) 承载平台以及晶片厚度检测装置
GB2583422A (en) Movement system for achieving movement of at least a nozzle assembly in an additive manufacturing machine
JP6401299B2 (ja) ハイブリッドアライメント
KR101630956B1 (ko) 대상물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
KR101522721B1 (ko) 척 롤 타입의 파이프 코스타
US9242343B2 (en) Grinding wheel machining device
CN103046474A (zh) 大吨位支座三向位移调整的方法及装置
JP2015215615A (ja) アライメント調節装置
KR102053652B1 (ko) 절단 장치
CN103240641A (zh) 一种三自由度可调的锯刀机构
CN103831646B (zh) 一种铣削加工被动减振夹具
CN104014891A (zh) 一种微细电火花微孔加工锥度调节双导向装置
JP6041682B2 (ja) 立形研削盤
CN105180713A (zh) 基于北斗卫星导航系统的火炮身管测量装置
CN104384723A (zh) 一种用于铜板剪切的激光划线装置
KR20150001151U (ko) 대형 파이프의 조인트부 세팅장치
JP2014044359A (ja) 位置決め装置
CN107882874B (zh) 可拆卸可旋转的导轨式调心装置
CN111102901B (zh) 机床检测装置
KR101417777B1 (ko) 포터블 터닝가공장치
KR101091386B1 (ko) 위치 이동 가능한 샤프트 정렬용 치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