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336A -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336A
KR20160050336A KR1020140148262A KR20140148262A KR20160050336A KR 20160050336 A KR20160050336 A KR 20160050336A KR 1020140148262 A KR1020140148262 A KR 1020140148262A KR 20140148262 A KR20140148262 A KR 20140148262A KR 20160050336 A KR20160050336 A KR 20160050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setting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769B1 (ko
Inventor
이정근
이장우
이혜원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769B1/ko
Priority to EP15853906.4A priority patent/EP3213174B1/en
Priority to US14/926,209 priority patent/US10845974B2/en
Priority to PCT/KR2015/011507 priority patent/WO2016068622A1/en
Priority to CN201580058599.7A priority patent/CN107148611B/zh
Publication of KR20160050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29Authenticate client device independently of the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본 단말장치는,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중 단말장치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는 조작 입력부, 선택받은 UI 설정을 기초로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단말장치의 설정 및 데이터를 손쉽게 새로운 단말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장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연결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최근에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다양한 UI 설정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기능 및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단말장치의 각종 설정을 변경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정을 해 놓은 단말장치를 사용하다가, 다른 단말장치로 교체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기능 및 자신의 취향에 따른 설정을 새로운 단말장치에서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편, 최근의 단말장치는 초기 설정 단계(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구매하고 최초 부팅한 상황)에서, 다양한 설정을 사용자에게 일괄적으로 선택받는 UI 화면을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설정은 인터넷 연결, 인증 패턴 설정 등과 같은 신규 단말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1차적인 설정에 불과할 뿐, 사용자의 필요한 기능 및 자신의 취향을 반영하기 위한 설정은 아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단말장치에서도 기존의 단말장치에서 설치한 기능을 설정 또는 설치하고, 기존의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옮기는 작업을 일일이 수동으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피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단말장치의 설정 및 데이터를 손쉽게 새로운 단말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중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선택받은 UI 설정을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UI 항목 각각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적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장치 설정 정보,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신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된 장치 설정 정보, 컨텐츠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해서만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정보 단위로 그룹화하여 리스트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장치에서 전달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 이력에 대응되는 환영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최초 언어 설정을 받는 경우, 상기 UI 정보의 수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가 반영된 기능 소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I 정보는, 락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락 스크린의 잠금 방식 정보, 홈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상기 홈 스크린 상의 애플리케이션 배치 정보, 상기 홈 스크린 상의 위젯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중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될 UI 설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UI 설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상기 단말장치가 사용자로부터의 최초 부팅 후 초기 설정 상태인 경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UI 설정을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UI 항목 각각에 대한 타 단말장치의 적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조작 입력부, 및, 상기 선택받은 UI 항목이 상기 타 단말장치에서도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상기 타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중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UI 설정을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구 단말장치의 설정 및 데이터를 신규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3은 도 1의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30은 도 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간단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간단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300)은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단말장치(200)(또는 구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기설정된 UI가 적용된 단말장치이다. 그리고 제2 단말장치(20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기설치되어 있거나, 다양한 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말장치(200)는 설정된 UI 정보를 다른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에 제2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UI에 대한 정보(또는 UI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장치(200)는 UI 정보와 함께, 장치 설정 정보, 컨텐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등을 제1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UI 정보는 제2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락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락 스크린의 잠금 방식 정보, 락 스크린의 위젯 정보, 홈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홈 스크린 상의 애플리케이션 배치 정보, 홈 스크린 상의 위젯 배치 정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제2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명칭,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수신할 수 있는 URL 주소 정보,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 데이터 정보(예를 들어,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전화 번호 정보, 헬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건강 정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장치 설정 정보는, 계정 정보, 무선 통신 접속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컨텐츠는, 동영상 파일, 그림 파일(또는 사진 파일), 음원 파일(ex mp3), 문서 파일 등일 수 있다.
제1 단말장치(100)(또는 신규 단말장치)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UI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UI 정보로 기초로 제1 단말장치(100)의 UI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한 UI 정보에 기초로 제1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UI 설정 중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할 UI 설정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장치(100)는 선택받은 UI 설정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의 UI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설정 옵션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300)은 제2 단말장치(200)에 설정되어 있는 UI를 새로운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자신이 사용하던 환경과 동일한 상태로 새로운 단말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 동작은 다양한 항목에 대한 간단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만으로 수행되는바, 사용자의 의사에 보다 부합하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가 다른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정보를 제공하느냐, 반대로 정보를 수신하느냐의 차이일 뿐,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단말장치(200)도 제1 단말장치(100)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제1 단말장치(100)에 제2 단말장치(200)의 UI가 설정되면, 이후에 제1 단말장치(100)는 또 다른 새로운 단말장치에 자신의 UI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단말장치(100)가 하나의 제2 단말장치(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1 단말장치(100)는 복수의 제2 단말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말장치의 UI 설정 및/또는 각종 데이터를 하나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장치(200) 역시 복수의 제1 단말장치(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단말장치의 설정 및/또는 각종 데이터를 복수의 단말장치에 공통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 단말장치(100)가 사용자에게서 최초 전원 온(즉, 언어 설정과 같은 초기 설정 단계 또는 단말장치의 공장 초기화상태에서의 최초 부팅된 상태)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술한 시점이 아닌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 단말장치가 동일한 기종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는 서로 상이한 기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 설치할 수 있는 디지털 TV일 수 있으며, 제1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동일한 종류인 경우에도 동작하는 운영체제는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인 경우에도 다른 버전일 수 있다.
그리고 구현시에는 각 장치들이 직접 연결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라우터 및 다른 장치(예를 들어, 공유기, 클라우드 서버 등)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각 장치들은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유선의 방식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단말장치(100)가 제2 단말장치(200)에 UI 설정 중 제2 단말장치에 적용될 설정을 선택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이와 같은 선택은 제2 단말장치(200) 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14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 단말장치(200)에서 새로운 단말장치(100)로 사용자 설정 및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먼저, 제1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전원 온 될 수 있다(S201). 이때, 제1 단말장치(100)는 표시할 언어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할 언어를 선택받으면, 제1 단말장치(100)는 선택받은 언어를 기본 언어로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UI 동기화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타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UI를 신규 단말장치(100)에 설정하는 동작을 UI 동기화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UI 동기화는 UI 설정만을 동기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각종 설정도 동기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UI 설정뿐만 아니라,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장치 설정 등에 대해서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UI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선택받으면, 타 단말장치(200)에 대한 정보 접근의 권한을 얻기 위하여,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202). 이와 같은 요청은 NFC 태그 동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NFC 태그 동작에 의하여 제2 단말장치(2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체제의 특정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말장치(200)에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NFC 태그 동작에 의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파일 또는 상기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주소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요청(예를 들어, NFC 태그)을 받은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와 P2P 무선 연결을 위한 무선 연결 접속 정보(예를 들어, WiFi direct 연결 정보)(또는 무선 연결 설정 정보)와 제2 단말장치(200)의 인증 방식에 대한 정보(또는 인증 방식 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203).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무선 연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단말장치(200)와 P2P 무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얻기 위한 인증을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UI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204). 구체적으로, 최근에 단말장치는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고 있는데,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의 인증방식을 알지못하는바, 제2 단말장치(200)는 인증을 요청하는 제1 단말장치(100)에 자신의 장치에서의 인증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는 전달된 인증 방식에 따른 UI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장치(200)의 인증 방식이 패턴 입력 방식이면, 제1 단말장치(100)는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인증을 위한 UI 화면은 제2 단말장치(200)에서의 인증을 위한 UI 화면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장치(200)의 인증 방식이 숫자키 입력 방식이면, 제1 단말장치(100)는 숫자키를 입력받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증 방식이 생체 정보(예를 들어, 지문)를 이용하는 방식이면, 제1 단말장치(100)는 생체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제1 단말장치(100)에 생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 없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증은 제2 단말장치(2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에서 직접 인증을 수행하여야 함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장치(100)에서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전달하여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205). 이러한 인증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장치(200)는 전달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제2 단말장치(200)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 있는 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S206).
인증 결과, 권한 있는 사용자의 요청이면, 제2 단말장치(2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기설정된 UI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S207). 이때, 제2 단말장치(2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기저장된 컨텐츠 및/또는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등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UI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제2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또는 동기화 항목)을 표시하고,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될 UI 항목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S208). 여기서 동기화 항목은 UI 항목보다 넓은 의미의 항목으로, 동기화 항목은 UI 항목들, 컨텐츠 항목, 애플리케이션 항목, 장치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적용될 선택받은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선택된 UI 항목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S209, S210).
이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는 선택받은 UI 항목에 대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UI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 중에 제1 단말장치(100)는 제1 단말장치(100)의 기능을 설명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보는 제2 단말장치(200)에 기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신규 단말장치(100)의 사용을 환영하는 환영 메시지를 플래이백 형태로 재생할 수 있다(S212). 여기서 플레이백은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는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경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2 단말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에서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2 단말장치(200)에서 직접 인증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단말장치(100)가 최초 전원 온된 경우에, UI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최초 전원 온된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시점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이후에, 제1 단말장치의 기능을 소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제1 단말장치의 기능 소개는 데이터의 수신 과정에 병행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UI 동기화는 애플리케이션이 수행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가 수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의 최초 구동 시에 UI 동기화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UI 동기화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호환성을 위하여 구형의 단말장치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하여 상술한 UI 동기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조작 입력부(130), 저장부(140), 영상 생성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100)는 스마트 폰, 노트북, PMP, MP3 player, 스마트 TV, 웨어러블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상술한 도 1에서의 제1 단말장치로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단말장치로도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말장치(100)의 각 구성이 상술한 제1 단말장치의 기능 및 제2 단말장치의 기능 모두를 지원하는 것으로 기술하나, 제1 단말장치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제2 단말장치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단말장치(100)를 외부 장치(구체적으로, 타 단말장치와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단말장치(100) 주변의 타 단말장치(200)를 검색할 수 있으며, 타 단말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무선 연결 접속 정보의 수신 또는 무선 연결 접속 정보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타 단말장치(200)의 검색 및 선택은, 하나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와 NFC 태그 동작을 통하여 타 단말장치(200)의 검색 및 선택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더욱 빠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NFC 통신과 다른 무선 연결을 타 단말장치(200)와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NFC 통신을 통하여 타 단말장치(200)와의 P2P 통신을 위한 무선 연결 접속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 Mac 주소 등)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연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타 단말장치(200)와 P2P 무선 연결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선 연결된 타 단말장치(2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에 대한 인증을 위한 일련의 정보(인증 방식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가 도 1의 타 단말장치(200)로 동작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에 인증 방식 정보를 전송하거나, 타 단말장치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U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UI 정보는 타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락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락 스크린에 표시되는 위젯 정보, 락 스크린의 잠금 방식 정보, 홈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홈 스크린 상의 애플리케이션 배치 정보, 홈 스크린 상의 위젯 배치 정보, 홈 스크린의 레이 아웃 정보 등일 수 있다. 반대로, 단말장치(100)가 도 1의 타 단말장치로 동작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할 조작 입력부(130)에서 선택받은 UI 항목이 타 단말장치(200)에서도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타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장치 설정 정보, 컨텐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등도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장치(100)가 도 1의 타 단말장치(200)로 동작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기저장된 장치 설정 정보, 컨텐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다른 타 단말장치(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장치 설정 정보는, 제2 단말장치(200)에서 사용하는 계정 정보, 무선 연결 접속 정보(예를 들어, 와이파이 설정, 기접속 이력이 있는 AP 정보, 해당 AP에 접속하기 위한 정도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는,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 그림 파일(또는 사진 파일), 음원 파일(ex mp3), 문서 파일(ex, pdf 파일) 등과 같은 제2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제2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명칭,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수신할 수 있는 URL 주소 정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 데이터 정보(예를 들어, 전화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전화 번호 정보, SM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수신된 SMS 데이터, 일정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스케줄 정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타 단말장치(200)에 스트리밍 하거나,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UI 항목을 선택받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해당 UI 항목과 관련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직접 UI 항목에 대응되는 화면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와 P2P 방식으로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P2P 연결 방식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등의 데이터도 수신받을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정보로서,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타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URL 정보를 수신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해당 URL을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UI 설정을 타 단말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선택받은 UI 설정에 대응되는 UI 컨텐츠를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있다.
예를 들어, UI 항목의 예로 락 스크린의 경우, UI 설정에 락 스크린의 예시 프리뷰 이미지만 미리 제1 단말장치(100)로 전달되었다가, 사용자가 제2 단말장치(200)의 락 스크린을 제1 단말장치(100)에도 적용하겠다고 선택하면,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에 락 스크린 이미지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UI 정보와 UI 컨텐츠가 별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UI 정보에 UI 컨텐츠가 포함되어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전달되는 UI 정보에 락 스크린 이미지가 포함되어 전달되고, 제1 단말장치(100)에서는 수신된 UI 정보에 포함된 락 스크린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타 단말장치(200)의 락 스크린을 제1 단말장치(100)에도 적용하겠다고 선택하면, 미리 수신된 락 스크린 이미지를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적용하지 않겠다고 하면, 제1 단말장치(100)는 미리 수신한 락 스크린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 지원하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LCD, CRT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조작 입력부(13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단말장치(100)가 동작할 언어 상태를 설정받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UI 화면은 제1 단말장치(100)가 해당 사용자로부터 최초 전원 온 되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본 실시 예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받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도 4와 같은 UI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본 실시 예와 같은 UI 동기화의 지행 여부 및 동기화 방식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UI 동기화를 수행할 장치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에 대한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에서 제공된 인증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인증 방식 정보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단말장치(200)에 패턴 방식의 인증 방식이 설정되어 있으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타 단말장치(200)에 숫자키 방식의 인증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숫자키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인증을 위한 화면은 타 단말장치(200)에서 인증을 받기 위한 화면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계정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장치(100)가 클라우드 서버에 백업된 타 단말장치(200)와 UI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복수의 UI 항목을 일괄적으로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상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스트리밍 받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 항목을 선택받기 위한 화면은 제1 단말장치(100)가 UI 정보를 수신하여 직접 생성할 수도 있지만, 타 단말장치(200)에서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타 단말장치(200)에서 생성되는 화면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1 단말장치(100)에 제공되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제공된 스트리밍 방식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에 기저장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에 기저장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정보 단위로 그룹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 그룹을 저장 위치, 사용 빈도, 컨텐츠 종류 등에 기초하여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의 컨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문서 파일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빈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동기화될 대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따라 동기화할 대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송될 데이터 크기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설정 동기화(또는 신규 장치 초기화)의 진행 사항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UI 항목뿐만 아니라, 타 단말장치(200)에 기저장된 컨텐츠에 대해서도 신규 단말장치(100)로 옮기는 경우, 데이터의 송수신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는 UI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데이터 송수신 진행 사항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단말장치(100)의 기능을 소개하는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 소개 화면은 제조사에서 제공한 일반적인 UI 화면일 수 있으나, 구현시에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화면에 타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 내용이 반영된 UI 화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장치(100)에 신규 카메라 기능이 소개하는 경우, 해당 카메라 기능을 설명하는데 활용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제2 단말장치(200)에서 촬상된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장치(100)에 신규 음악 재생 기능을 소개하는 경우, 해당 음악 재생 기능을 설명하는데 활용되는 음악 컨텐츠를 제2 단말장치(200)에 기저장된 mp3 파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환영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UI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면, UI 동기화가 완료되었음을 환영 메시지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환영 메시지는 신규 기기의 사용을 환영한다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 단말장치(200)에서의 사용자 이력에 대응되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단말장치(200)에서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많이 수행한 이력이 있으면,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진 촬영을 좋아하는 ○○○씨 환영합니다. "와 같은 환영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 설정된 UI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UI 동기화에 따라 설정된 UI 화면(예를 들어, 락 스크린 화면, 홈 스크린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도 1의 타 단말장치(200)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타 단말장치(200)로 전송될 컨텐츠 및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기설정된 정보 단위로 컨텐츠나 애플리케이션을 그룹화하여 표시하거나, 재생 빈도 또는 실행 빈도 등을 고려하여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조작 입력부(130)는 단말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 입력부(130)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장치(100)의 전원 온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30)는 타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UI 중 단말장치(100)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130)는 타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 중 신규 단말장치(200)로 이동할 컨텐츠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도 1의 타 단말장치로 동작하는 경우, 조작 입력부(130)는 단말장치(100)에 설정된 UI 중 타 단말장치(200)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을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응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UI 정보, 장치 설정 정보,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이력 정보는 기저장된 컨텐츠 각각에 대한 재생 빈도,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빈도 등의 정보이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생성부(150)는 디스플레이부(12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생성부(150)는 타 단말장치(20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 단말장치(200)로 스트리밍될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타 단말장치(200)로 스트리밍되는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20)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최초 부팅되어 초기 설정 단계로 진입되면, 사용자로부터 구동 언어를 선택받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와 같은 UI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으로 선택되면, 타 단말장치(200)에 설정된 UI 중 단말장치(100)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도록 디스플레이부(120) 및 조작 입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선택받은 UI 설정을 기초로 단말장치(100)의 UI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의 초기 구동 시점(즉, 초기 설정 단계)에 기존의 사용자가 사용하던 단말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UI 환경의 단절 없이 기존의 UI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새로운 단말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단말장치(100)에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애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포함된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단말장치(10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애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URL 주소에 접속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시에 이용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캐쉬 파일, 백업 데이터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설치된 신규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부(160)는 상기 데이터를 신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도 1의 타 단말장치(200)로 기능하는 경우, 타 단말장치로부터 UI 정보의 전달을 요청받으면, 제어부(160)는 단말장치(100)에 설정된 UI에 대한 정보가 UI 정보로 전달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현시에는 단말장치(100)에 설정된 UI 화면을 타 단말장치(200)에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단말장치(100)에 복수의 UI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화면이 생성되고, 생성된 화면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타 단말장치(200)에 제공되도록 영상 생성부(15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타 단말장치의 UI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아 UI 설정할 수 있는바, 새로운 단말장치에서도 종래 단말장치와 동일한 UI 환경으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UI 동기화는 다양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 동작만으로 수행되는바, 손쉽게 사용자 의도에 부합하는 UI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타 단말장치와 P2P 방식으로 연결되어 직접 동기화 데이터를 수신하는바, 빠르게 UI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신규 단말장치의 저장 공간이 충분하다면, 전달되는 데이터 양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영상 생성부(150)와 제어부(16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영상 생성부(150)의 기능과 제어부(160)의 기능을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장치(100)가 타 단말장치로부터 직접 UI 정보 및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타 단말장치의 각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백업해 놓은 경우, 단말장치(100)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UI 정보 및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30은 도 3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의 다양한 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UI 동기화의 진행 여부, UI 동기화 방식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퀵 스타트 영역(410), 클로닝 영역(420) 및 사용자 선택 영역(430)을 포함한다.
퀵 스타트 영역(410)(quick start)은 UI 동기화 없이 바로 단말장치를 시작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최초 언어 설정 이후, 별도의 설정 없이 홈 화면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백업이나 설정을 자유롭게 하는 모드를 선택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퀵 스타트 영역(420)을 선택하면, 도 5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클로닝 영역(420)(cloning Switch)은 클로닝 모드로 UI 동기화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여기서 클로닝 모드는 구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항목 모두를 동일하게 신규 단말장치에 전용하는 UI 동기화 모드이다. 이와 같은 클로닝 모드가 선택되면, 동기화될 장치가 선택된 이후에, 별도의 항목 선택 동작 없이 바로 UI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모든 UI 항목이 그대로 적용된다고 기술하였지만, 구현 단말장치와 신형 단말장치가 다른 운영체제 및/또는 다른 버전으로 동작하는 경우, 호환성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 단말장치에 설정된 UI가 신규 단말장치에 적용될 수 없는 경우에, 이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기화가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상술한 클로닝 모드는, 전달되는 단말장치에서 구동될 수 없는 것이라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클로닝 모드는 신규 단말장치와 호환되는 UI 설정 및 데이터 모두가 전달되는 모드이다.
사용자 선택 영역(430)(Essential Switch)은 사용자 선택 모드로 UI 동기화를 수행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여기서, 사용자 선택 모드는, 구 단말장치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 중 사용자가 신규 단말장치에 적용될 항목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UI 동기화 모드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선택 모드가 선택되면, 동기화될 장치가 선택된 이후에, 동기화될 UI 항목을 선택받기 위한 도 11 내지 도 20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클로닝 영역(420) 및 사용자 선택 영역(430)이 선택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UI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인바, UI 동기화를 위한 대상을 선택받기 위한 도 6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퀵 스타트 영역(410)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단말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홈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제조사에서 디폴트로 설정한 UI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UI 동기화를 수행할 대상 장치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00)은 제1 장치 영역(610), 제2 장치 영역(620) 및 제3 장치 영역(630)을 포함한다.
제1 장치 영역(610)은 동일한 종류의 타 단말장치를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다. 제1 장치 영역(610)이 선택되면, 단말장치(100)와 UI 동기화를 수행할 타 단말장치를 선택 및 무선 연결을 위한 도 7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장치 영역(620)은 다른 종류의 타 단말장치를 선택받기 위한 영역이다. 제2 장치 영역(620)이 선택되면, 단말장치(100)와 UI 동기화를 수행할 타 단말장치를 선택 및 무선 연결을 위한 도 7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장치 영역(630)은 클라우드 서버에 기저장된 단말장치의 백업 정보와 UI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제3 장치 영역(630)이 선택되면, 클라우드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도 10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UI 동기화를 수행할 장치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00)은 타 단말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연결을 위한 매뉴얼 정보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타 단말장치의 NFC를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는 타 단말장치의 NFC를 활성화하고, 타 단말장치를 신규 단말장치에 NFC 태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NFC 태그에 기초하여 타 단말장치(200)와 단말장치(100)는 인증 방식 정보 및 무선 연결 접속 정보가 교류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보안 이슈가 상당하며, 개인 단말장치에도 보안이 설정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단말장치에서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및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타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인증은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첫번째는 신규 단말장치에서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고, 두 번째는 구 단말장치에서 인증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첫번째 인증 방식을 설명하고, 도 9를 참조하여 두 번째 인증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단말장치(100)는 NFC 태그된 제2 단말장치(200)에 인증 방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제2 단말장치(200)는 타 단말장치(100)로부터 인증을 요청받음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22)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허락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22)의 표시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접속을 허락받은 후에,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에 제2 단말장치(200)의 인증 방식을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방식을 통지받은 제1 단말장치(100)는 통지받은 인증 방식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12)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장치(200)의 인증 방식이 패턴 방식이면, 제1 단말장치(100)는 패턴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12)을 통하여, 사용자 패턴(813)을 입력받으면, 제1 단말장치(100)는 입력받은 사용자 패턴을 인증 키로서 제2 단말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키를 전달받은 제2 단말장치(200)는 기저장된 내부 인증 키와 전달받은 인증 키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전달된 인증 키가 기저장된 인증 키와 동일하면,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의 접속 요청이 권한 있는 장치의 접속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에 인증되었음을 알리고,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200)는 각각 무선 연결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단말장치(100)에서 제2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 키를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2 단말장치가 직접 인증 키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 단말장치에 대한 인증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단말장치(100)는 NFC 태그된 제2 단말장치(200)에 기기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기기 연결을 요청받은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인증을 요청받음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22)을 표시하여,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허락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허락받은 경우, 제2 단말장치(200)의 사용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23)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23)을 통하여 인증 키를 입력받으면, 제2 단말장치(200)는 입력받은 인증 키와 기저장된 인증 키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제1 단말장치(100)의 접속 요청이 권한 있는 장치의 접속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장치(200)는 제1 단말장치(100)에 연결이 되었음을 알리며,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200)는 각각 무선 연결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인증 방식의 예로 패턴 입력 방식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일정 자리 수의 숫자 키의 입력, 비밀 번호의 입력 등과 같은 키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생체 정보(예를 들어, 지문, 홍채, 정맥)를 이용한 인증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제3 장치 영역이 선택되면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00)은 타 단말장치(200)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항목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00)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대한 접속 인증을 수행하고,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대상으로 UI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단말장치에 적용될 UI를 단말장치에서 표시된 화면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는 타 단말장치의 UI 항목을 시뮬레이션 방식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100)은 시뮬레이션된 타 단말장치의 화면을 표시하는 시뮬레이션 영역(1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방식이란, 타 단말장치(200)에서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을 타 단말장치(200)가 아닌 단말장치(100)에서 표시하는 것으로, 단말장치는 전달되는 UI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타 단말장치(200)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달되는 화면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 영역(1110)은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 영역(1110)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다른 UI 항목의 UI 화면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항목이 홈 스크린인 경우, 도 12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200)은 제1 영역(1210), 제2 영역(1220), 제3 영역(1230)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10)은 제2 영역(1220)에 표시되는 UI 항목의 이름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2 영역(1220)이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바, 제1 영역(1210)은 홈 스크린 영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제2 영역(1220)은 제2 단말장치(200)에 적용된 UI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1220)은 제2 단말장치(200)에서 제공된 UI 정보에 기초하여 UI 이미지를 렌더링하여 표시하거나, 제2 단말장치(200)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영역(1230)은 UI 항목의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제3 영역(1230)이 선택되면, 제1 영역(1210) 및 제2 영역(1220)에 표시되는 이름 및 이미지는 다른 항목 및 다른 항목 이미지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와 같은 실시 예는 타 단말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할 필요가 없는 바,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단말장치의 액정이 깨지거나 고장 난 경우에, 사용자는 새로운 단말장치에서 종래 단말장치의 UI 이미지를 확인하여, 신규 단말장치에 적용할 UI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12의 제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다른 UI 항목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10)은 락 스크린의 예이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20)은 홈 스크린의 예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10)은 락 스크린이라는 UI 항목을 표시하는 영역(1311)과 제2 단말장치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표시하는 영역(1312)을 포함한다.
한편, 도 1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10)은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기설정된 패턴을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단말장치(200)의 락 스크린 UI 항목을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한 경우,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와 동일한 잠금 화면 및 잠금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로 신규 단말장치(100)에서 별도의 인증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구 단말장치(200)에서의 인증 설정은 신규 단말장치(100)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20)은 홈 스크린이라는 UI 항목을 표시하는 영역(1321) 및 제2 단말장치에 설정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영역(13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단말장치(200)의 홈 스크린 UI 항목을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한 경우,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와 동일한 홈 스크린 배경 화면, 동일한 홈 위젯, 애플리케이션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단말장치에 적용될 UI를 타 단말장치에서 표시된 화면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단말장치(100)는 기설정되어 있는 UI 항목을 표시하는 영역(210)과 제1 단말장치(100)에 해당 항목을 전송하는 선택 영역(22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선택 영역(220)을 통하여, 현재 제2 단말장치(200)에 표시된 UI 항목의 제1 단말장치(100)에서의 적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영역(220)을 선택하면, 제1 단말장치(220)는 현재 UI 항목에 대한 프리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및 해상도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단말장치(100)에서 표시되는 프리뷰 화면을 통하여 제2 단말장치(200)의 UI 항목에 대한 적용 여부를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2 단말장치(200)에서 전송할 UI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UI 항목에 대한 프리뷰 화면에 제1 단말장치(100) 측에서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자동으로 제2 단말장치(200)에 표시되는 UI 항목에 대응되는 UI 이미지가 자동으로 제1 단말장치(10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단말장치(100)에 표시된 화면을 확인하고, 표시되는 UI 항목을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5는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500)은 타 단말장치(200)에서 전달될 컨텐츠의 개수를 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500)은 예를 들어, 사진 영역(1510), 뮤직 영역(1520), 비디오 영역(1530)과 같은 컨텐츠 종류별 전달될 컨텐츠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진 영역(1510)은 타 단말장치(200)에서 전달될 사진 파일의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동기화할 사진 파일을 별도로 선택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타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사진 파일의 총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사진 영역(1510)을 선택하여, 전달할 사진 파일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진 영역(1510)을 선택한 경우, 도 16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뮤직 영역(1520)은 타 단말장치(200)에서 전달될 음원 파일의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사용자가 동기화할 음원 파일을 별도로 선택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타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음원 파일의 총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뮤직 여역(1520)을 선택하여, 전달할 음원 파일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뮤직 영역(1520)을 선택한 경우, 도 17 또는 도 18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비디오 영역(1520)은 타 단말장치(200)에서 전달될 비디오 파일의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으로, 사용자가 동기화할 비디오 파일을 별도로 선택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타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비디오 파일의 총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비디오 영역(1530)을 선택하여, 전달할 비디오 파일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비디오 영역(1530)을 선택한 경우, 도 19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도시함에 있어서, 전달될 컨텐츠의 종류로, 사진 파일, 비디오 파일, 음원 파일만을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PDF, XPS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EPUB과 같은 이북 파일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주소 및 SMS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로서 UI 동기화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주소 및 SMS 데이터는 상술한 컨텐츠 항목과 같은 동기화 항목으로서 처리될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5의 사진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600)은 선택된 사진 파일의 정보를 표시하는 요약 영역(1610), 다수의 항목 영역(1620, 1630)을 포함한다.
요약 영역(1610)은 동기화될 사진 파일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다수의 항목 영역(1620, 1630)은 복수의 사진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그룹화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진은 직접 생성한 사진 또는 메일과 SNS을 통해 다운로드된 사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직접 촬상된 사진은 촬상된 장소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다운로드된 사진은 사진을 취득한 애플리케이션별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는 직접 찍은 사진만을 동기화하고자 할 수 있으며, 직접 찍은 사진 중 특정 장소에서 찍은 사진만을 동기화하고자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사진을 기설정된 단위로 복수의 그룹화하고, 각 그룹을 상술한 항목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두 개의 항목 영역만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두 개 이상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항목은 하부에 복수의 서브 항목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항목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항목의 하부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5의 뮤직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700)은 선택된 음원 파일의 정보를 표시하는 요약 영역(1710, 1810), 다수의 항목 영역(1720, 1730)을 포함한다.
요약 영역(1710)은 동기화될 음원 파일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한편, 요약 영역(1710)은 도 17과 같이 단순히 개수 정보만을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 18과 같이 선택된 음원 파일을 장르별 시기적으로 분류하여 도시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수의 항목 영역(1720, 1730, 1820, 1830)은 복수의 음원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그룹화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음원은 아티스트별로 구분되거나, 앨범/장르/비트/발매시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특정 아티스트의 음원만을 전달하거나, 특정 장르만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음원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복수의 그룹화하고, 각 그룹을 상술한 항목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의 비디오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900)은 선택된 비디오 파일의 정보를 표시하는 요약 영역(1910), 다수의 항목 영역(1920, 1930, 1940)을 포함한다.
요약 영역(1910)은 동기화될 비디오 파일 개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다수의 항목 영역(1620, 1630)은 복수의 비디오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그룹화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디오 파일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비디오 파일이거나 영화와 같은 내려받은 파일로 구분되거나, 영화의 경우 장르별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생성한 비디오만을 동기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비디오 파일을 기설정된 단위로 복수의 그룹화하고, 각 그룹을 상술한 항목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현시에는 상기 그룹을 복수의 서브 그룹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를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가 동기화하고 싶은 컨텐츠만을 취사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종래의 경험을 정리하고, 정리된 경험 중 필요한 경험만을 새로운 장치로 백업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0은 타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000)은 타 단말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사용 빈도에 따라 복수의 영역(2000, 2010, 2030)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단순 리스트로 표시하지 않고, 사용 빈도에 따라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새로운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 빈도로 정렬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이용하여, 제1 단말장치(100)에 적용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 완료 영역(2040)을 선택하면, 제2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은 제1 단말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장치(20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파일이 있으면, 설치 파일을 제1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장치(20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파일을 기초로 설치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설치 파일을 제1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장치(20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대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RL 정보를 제1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설치 파일 자체를 수신하는 제1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반면에 URL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에, 제1 단말장치(100)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설치 파일을 취득하고, 취득된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장치(200)에 선택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부가 정보(예를 들어,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전화 번호 정보, SMS 애플리케이션의 송수신 SMS 데이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진행 경과 정보,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이력 데이터) 등도 제2 단말장치(200)에서 제1 단말장치(100)로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1은 동기화될 대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100)은 동기화될 대상에 대한 요약 영역(2110) 및 동기화 시작 영역(2120)을 포함한다.
요약 영역(2110)은 UI 동기화가 수행될 항목 및 각 항목의 데이터 크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동기화 시작 영역(2120)은 앞서 선택받은 데이터에 대한 실제 전송 시작 명령을 입력받은 영역이다. 동기화 시작 영역(2120)을 선택받으면, 제1 단말장치(100)는 제2 단말장치(200)로 부터 앞선 과정에서 선택받은 항목들을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1 단말장치(100)는 제1 단말장치(100)의 신규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규 기능의 표시를 제2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2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단말장치의 기능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22는 구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규 단말장치(100)의 기능을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구 단말장치(100)에 자전거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새로운 단말장치(100)의 운동 기능을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220)은 구 단말장치(200)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자전거 화면을 이용하여 새로운 단말장치의 운동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도 23은 구 단말장치에 설치된 UI 화면을 이용하여 신규 기능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신규 단말장치(100)의 방수 기능을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320)은 구 단말장치(200)의 홈 화면(2310)을 방수 기능을 설명하는 화면에 반영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24는 구 단말장치에 설치된 음원 컨텐츠 이용하여 신규 기능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신규 단말장치(100)의 신규 음향 기능을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320)은 구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음원 컨텐츠를 이용하여, 신규 음향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신규 단말장치의 음원 재생과 관계없는 새로운 기능을 설명하면서, 구 단말장치(200)에서 높은 빈도로 재생된 음원 파일을 BGM으로 재생될 수도 있다.
도 25는 구 단말장치에 설치된 비디오 컨텐츠 이용하여 신규 기능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신규 단말장치(100)의 미러링 기능을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520)은 신규 미러링 기능을 구 단말장치(200)에 저장된 비디오 컨텐츠의 화면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는 환영 메시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600)은 UI 동기화가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시지는 전달된 컨텐츠 의 이력 정보가 고려된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장치(200)에서 사용자가 음원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빈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600)은 재생 빈도가 높은 음원을 재생하면서, "음악을 좋아하는 ○○○씨 반갑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전달된 파일에 다양한 장소에서 촬영한 사진 파일이 많은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700)은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파일 중 하나를 표시하면서, "여행을 좋아하는 ○○○씨 반갑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단편적인 하나의 화면으로 환영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수의 화면으로 구성된 환영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영 메시지는 플래이백이라고 불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제2 단말장치(200)에서 제공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악 앨범(2810, 2820, 2910, 2920), 사진(2830, 2930), 연락처(2840, 2850, 2940, 2950) 정보 등을 일련의 동영상으로 표시하여, 제2 단말장치에서의 사용 경험을 요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이 디지털 TV에 적용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최초 디지털 TV에 전원 온 되면, 최초 구동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10, 302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TV와 UI 동기화를 수행할 장치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3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할 단말장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말장치의 정보를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4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애플리케이션 등 중 디지털 TV에 적용할 항목들을 선택받는다(3050, 3060).
디지털 TV에 설정된 항목의 선택이 완료되어, 단말장치로부터 선택된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전달되는 중에, 디지털 TV는 새로운 기능을 사용자에게 소개할 수 있다(3070). 그리고 UI 동기화가 완료되면, 디지털 TV는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환영 메시지(3080, 309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간단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먼저,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한다(S3110). 여기서, UI 정보는 락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락 스크린의 위젯 정보, 락 스크린의 잠금 방식 정보, 홈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홈 스크린 상의 애플리케이션 배치 정보, 상기 홈 스크린 상의 위젯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표시한다(S3120). 그리고, 표시된 UI 항목 각각에 대한 단말장치의 적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3130). 구체적으로, 타 단말장치에 설정되거나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중 단말장치에 전달되어 저장 또는 설정될 데이터들을 항목별로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화면을 통하여, 단말장치에 전달되어 저장 또는 설정될 데이터들을 항목별로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의 동기화 항목들은 상술한 UI 항목들,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장치 설정 정보 들일 수 있다.
그리고 선택받은 UI 설정을 기초로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한다(S3140). 구체적으로, 선택받은 UI 항목에 대응한 UI 컨텐츠를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UI 컨텐츠를 단말장치에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각종 UI 및 컨텐츠를 손쉽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기존의 장치에서 사용하던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새로운 단말장치에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 동작은 다양한 항목에 대한 간단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만으로 수행되는바, 사용자의 의사에 보다 부합하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1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2는 도 1의 제2 단말장치 측에서 제1 단말장치에 설치된 UI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UI 항목을 제1 단말장치 측에 제공하는 실시 예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S3210). 구체적으로, 단말장치에 설정되거나 저장된 UI 설정 및/또는 컨텐츠 중 타 단말장치에 전달될 데이터들을 항목별로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의 동기화 항목들은 상술한 UI 항목들,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장치 설정 정보 들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UI 항목 각각에 대한 타 단말장치의 적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S3220).
그리고 선택받은 UI 항목이 타 단말장치에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타 단말장치로 전달한다(S3230).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타 단말장치에 장치에 설정된 UI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기존의 장치에서 사용하던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새로운 단말장치에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 동작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종래 장치 측에서 수행되는바,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1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운영체제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간단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먼저, 신규 단말장치의 언어를 설정받는다(S3310).
그리고 UI 동기화의 적용 여부를 선택받는다(S3320).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여 UI 동기화 적용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퀵 스타트를 선택한 경우, 추가적인 동작 없이 UI 설정 동작은 종료될 수 있다.
반면에, UI 동기화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타 단말장치와의 연결이 수행된다(S3330). 구체적으로, NFC 태그를 통하여 무선 연결 접속 정보가 전달되고, 두 단말장치는 P2P 방식으로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연결이 확립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UI 동기화 대상을 항목 단위로 선택받을 수 있다(S3340).
그리고 이러한 선택동작이 완료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수신되고, 이 과정에서 단말장치의 신규 기능에 대한 소개가 수행될 수 있다(S3350).
그리고 모든 UI 동기화가 완료되면, 이전 경험을 요약하여 표시하고(S3360), 사용자 인식을 확인하면(S3370), UI 동기화가 완료된 단말장치의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각종 UI 및 컨텐츠를 손쉽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기존의 장치에서 사용하던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새로운 단말장치에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설치 동작은 다양한 항목에 대한 간단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만으로 수행되는바, 사용자의 의사에 보다 부합하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1과 같은 제어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네트워크 시스템 100: 단말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조작 입력부 140: 저장부
150: 영상 생성부 160: 제어부
200: 타 단말장치

Claims (16)

  1. 단말장치에 있어서,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중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는 조작 입력부;
    상기 선택받은 UI 설정을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UI 항목 각각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적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장치 설정 정보,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및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신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수신된 장치 설정 정보, 컨텐츠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장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표시된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해서만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정보 단위로 그룹화하여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장치에서 전달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 이력에 대응되는 환영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최초 언어 설정을 받는 경우, 상기 UI 정보의 수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가 반영된 기능 소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는,
    락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락 스크린의 잠금 방식 정보, 홈 스크린의 배경 화면 정보, 상기 홈 스크린 상의 애플리케이션 배치 정보, 상기 홈 스크린 상의 위젯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단말장치에 있어서,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중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될 UI 설정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UI 설정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14.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사용자로부터의 최초 부팅 후 초기 설정 상태인 경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UI 설정을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15. 타 단말장치와 연결 가능한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설정된 복수의 UI 항목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UI 항목 각각에 대한 타 단말장치의 적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조작 입력부; 및
    상기 선택받은 UI 항목이 상기 타 단말장치에서도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상기 타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16.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UI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 단말장치에 설정된 UI 중 상기 단말장치에 적용될 UI 설정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UI 설정을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의 UI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40148262A 2014-10-29 2014-10-29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262A KR102354769B1 (ko) 2014-10-29 2014-10-29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5853906.4A EP3213174B1 (en) 2014-10-29 2015-10-29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4/926,209 US10845974B2 (en) 2014-10-29 2015-10-29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PCT/KR2015/011507 WO2016068622A1 (en) 2014-10-29 2015-10-29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201580058599.7A CN107148611B (zh) 2014-10-29 2015-10-29 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262A KR102354769B1 (ko) 2014-10-29 2014-10-29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336A true KR20160050336A (ko) 2016-05-11
KR102354769B1 KR102354769B1 (ko) 2022-01-25

Family

ID=5585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262A KR102354769B1 (ko) 2014-10-29 2014-10-29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45974B2 (ko)
EP (1) EP3213174B1 (ko)
KR (1) KR102354769B1 (ko)
CN (1) CN107148611B (ko)
WO (1) WO201606862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984B1 (ko) * 2023-02-22 2023-06-13 최준석 발레공연 시뮬레이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541986B1 (ko) * 2023-02-22 2023-06-13 최준석 발레공연 시뮬레이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WO2024162683A1 (ko) * 2023-01-31 2024-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화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20110252349A1 (en) 2010-04-07 2011-10-13 Imran Chaudhri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15065402A1 (en) 2013-10-30 2015-05-07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Displaying relevant use interface objects
DE212015000213U1 (de) 2014-09-02 2017-05-02 Apple Inc. Multidimensionale Objektneuordnung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DK201670595A1 (en) *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KR102707426B1 (ko) 2016-08-22 2024-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E102017218120A1 (de) * 2017-10-11 2019-04-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haptischen Rückmeldung an einen Bediener einer berührungssensitiven Anzeigeeinrichtung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US11252274B2 (en) * 2019-09-30 2022-02-15 Snap Inc. Messaging application sticker extensions
JP7399817B2 (ja) * 2020-08-11 2023-12-18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作業機械
CN114885063B (zh) * 2022-05-30 2023-04-04 北京拙河科技有限公司 一种身份认证方法与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7930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팬택 Nfc 단말기 및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US20150350151A1 (en) * 2011-07-27 2015-12-03 Ricoh Co., Ltd. Generating a Conversation in a Social Network Based on Mixed Media Object Contex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8144B2 (en) * 2002-08-30 2011-06-07 Boss Logic, Ll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reciprocal exchange of data
KR100772875B1 (ko) 2006-05-22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선호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장치및 그 방법
KR20100049474A (ko) 2008-11-03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디바이스로 이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09352A (ko) 2009-03-31 201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연결을 통한 기기 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590357B1 (ko) * 2009-06-16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및 휴대 단말기 싱크 시스템
RU2500087C2 (ru) * 2009-08-21 2013-11-27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л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тносительно интерактивных операций
US8606889B2 (en) 2010-01-21 2013-12-10 Microsoft Corporation Roaming application settings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WO2012046890A1 (ko) * 2010-10-06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303834A1 (en) * 2010-10-07 2012-11-29 Stellatus, LLC Seamless digital streaming over different device types
US20180032997A1 (en) * 2012-10-09 2018-02-01 George A. Gord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to prompt an action by a platform in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WO2013061156A2 (en) * 2011-10-27 2013-05-02 Cell Rox, Ltd.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personas on mobile technology platforms
KR101822463B1 (ko) 2013-01-21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517895B1 (ko) 2013-04-05 2015-05-08 주식회사 팬택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KR102085181B1 (ko) * 2013-10-23 202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9185062B1 (en) * 2014-05-31 2015-11-10 Apple Inc. Message user interfaces for capture and transmittal of media and location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0151A1 (en) * 2011-07-27 2015-12-03 Ricoh Co., Ltd. Generating a Conversation in a Social Network Based on Mixed Media Object Context
KR20130027930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팬택 Nfc 단말기 및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62683A1 (ko) * 2023-01-31 2024-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화면 표시 방법
KR102541984B1 (ko) * 2023-02-22 2023-06-13 최준석 발레공연 시뮬레이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541986B1 (ko) * 2023-02-22 2023-06-13 최준석 발레공연 시뮬레이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3174B1 (en) 2020-03-04
CN107148611B (zh) 2021-09-03
WO2016068622A1 (en) 2016-05-06
US10845974B2 (en) 2020-11-24
EP3213174A1 (en) 2017-09-06
KR102354769B1 (ko) 2022-01-25
US20160124626A1 (en) 2016-05-05
EP3213174A4 (en) 2017-10-11
CN107148611A (zh)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769B1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70401A1 (en) Conversion of text relating to media content and media extension apps
EP2843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creen mirroring
EP3629564B1 (en) Screen lock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TWI538499B (zh) 通用環境擴展器、發送機及其通用環境擴展器系統
US9628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KR102039028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JP4040619B2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出力システム
MX2015001986A (es) Procedimientos y dispositivos para el control de terminales.
WO2012136165A1 (zh) 实现共享信息的方法、用户设备和服务器以及装置
JP201850678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共有するための技術
JP2016527595A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間におけるデバイス関連付けデータの同期化
JP6273667B2 (ja)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システム及び画像投影方法
US2016035993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070249A1 (en) Display system and reproduction control method
WO2013027248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同期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37404B (zh) 用于呈现媒体内容的方法、系统和介质
US9554278B2 (en) Relay apparatus, relay method, relay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5768451B2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0178424B2 (en)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hannels and content to terminal devices
KR101797522B1 (ko) 믹스 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77764B1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3968B1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727919B2 (ja) 設定方法、設定プログラム及び電化製品
US201501134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