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895B1 -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895B1
KR101517895B1 KR1020130037579A KR20130037579A KR101517895B1 KR 101517895 B1 KR101517895 B1 KR 101517895B1 KR 1020130037579 A KR1020130037579 A KR 1020130037579A KR 20130037579 A KR20130037579 A KR 20130037579A KR 101517895 B1 KR101517895 B1 KR 10151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terminal
application
related data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166A (ko
Inventor
최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3003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895B1/ko
Priority to US14/245,577 priority patent/US9483492B2/en
Publication of KR2014012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4Details of searching files based on file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TERMINAL AND METHOD PROVIDING APPLICATION-RELATED DATA}
본 발명은 단말기 내 파일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세스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단말기 내 필요한 파일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실행 및 저장 등,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기능, 문서 기능, 동영상 기능 등이 단말기에 통합됨으로써, 단말기는 이미지파일, 문서파일, 동영상파일 등을 생성 및 저장하거나 통신망을 통해 다운받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어, 단말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파일이 저장되고, 저장되는 파일들이 단말기의 여러 공간에 분산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단말기에 저장된 여러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내에 파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단말기를 PC와 연결하여 PC를 이용해 단말기 내 파일을 관리한다. 예컨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PC 로 복사하고자 하는 경우, USB를 연결하고, 복사하려는 파일의 위치를 찾아 PC로 복사하게 된다.
도1은 종래방식에 따라 단말기와 PC를 USB연결한 경우, PC 및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PC를 단말기와 연결하고,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들을 PC상에서 탐색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파일 및 폴더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PC상에서 단말기내에 저장된 파일 중 필요한 파일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단말기에 저장된 폴더나 파일을 PC로 복사하려고 하는 경우, PC-단말기 연결방식에 따른 프로토콜에 따라 지정된 폴더 및 파일만 접근할 수 있다. 도1을 보면, USB연결에 대한 프로토콜에 따라 지정된 수많은 폴더와 파일이 단말기에 대한 외부 드라이브의 창(1000)에 나타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폴더나 파일이 단말기내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검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작년 여름에 찍은 사진을 PC에 복사하려는 경우, 해당 이미지파일이 저장되는 경로를 외우고 있거나 하나하나 폴더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단말기의 파일 관리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임의의 특정 폴더가 생성되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가 파일 및 폴더 기반으로 접근하는 컴퓨터와 달리 주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바, 사용자 입장에서 각 폴더의 출처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가 파일 관리자를 통해서 시스템 구동에 영향을 끼치는 특정 폴더를 실수로 삭제하여 단말기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즉, 단말기에 저장된 다양한 폴더 및 파일들이 단말기 내에서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것인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패키지매니저(Package Manger)를 통해 "/system/Application" 또는 "/data/application"에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apk 형태로 저장되며 이와 함께 설치관련 파일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파일들이 생성되며 저장될 수 있다(예컨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생성한 사진파일).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다양한 파일들이 단말기에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일들은 저장되는 위치도 다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에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는 파일들만을 패키지매니저에서 관리되고, 지정된 영역 이외 다른 부분에 저장되는 파일에 대하여는 별도로 관리가 이루어 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파일에 대한 세부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저장영역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여 방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중에서 필요한 파일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찾을 수 있는 단말기 및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단말기내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들을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그룹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내 모든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는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관련 데이터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관련 데이터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시, 타 디바이스에서 접근 가능한 폴더 및 파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폴더 및 파일만을 보이도록 하여 필요한 파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단말기 내 파일들을 그룹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관리와 함께 단말기내 모든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다.
도1은 종래방식에 따라 단말기와 PC를 USB연결한 경우, PC 및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 내 필요한 파일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결된 타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4a 및 도4b는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데이터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타 디바이스 및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그룹화부에 의해 그룹화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7은 도6의 APP2의 파일 및 폴더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 내 필요한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 내 필요한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 내 필요한 파일을 제공하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100)는 연결부(110), 동기화부(120), 관계정보 생성부(130) 및 그룹화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전부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 일부 구성이 제외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연결된 타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연결부(110)는 타 디바이스(2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서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범용직렬버스(USB)를 통해서 연결부(110)가 타 디바이스(200)와 연결되고 USB를 통한 MTP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타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전자책, 노트북, 및 데스크탑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에서는 타 디바이스(200)가 PC(개인용 컴퓨터)인 경우를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3에서, 타 디바이스(200)의 화면에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외부 드라이브(G드라이브(G:\))가 탐색창(1000)에 나타난다. 사용자는 타 디바이스(200)에 표시된 G드라이브를 통해 단말기(100)에 저장된 파일 및 폴더를 탐색, 복사, 이동, 삭제 및 수정할 수 있다.
두 장치간의 연결 및 파일 시스템 공유에 있어서, 단말기(100)와 타 디바이스(200)가 연결되면 두 장치간에 전송 프로토콜 세팅이 수행된다. 그리고 타 디바이스(200)는 연결방식에 따른 프로토콜을 기초로 단말기(100)에 저장된 파일 및 폴더에 접근할 수 있다. 연결방식에 기반한 연결 프로토콜에 따라 두 장치간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 및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연결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서 타 디바이스에서 접근할 수 있는 파일의 범위가 다르다.
동기화부(120)는 연결부(110)가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관련 데이터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기화부(120)는 임시 스토리지(121)를 가질 수 있다. 임시 스토리지(121)는 단말기(100) 내에 데이터(파일 및 폴더등)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공간으로서, 폴더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임시 스토리지(121)는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에 따라서 생성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의 연결이 시작되면 임시 스토리지가 생성되고, 상기 연결이 종료되면 임시 스토리지가 사라질 수 있다.
동기화부(120)는 임시 스토리지(121)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관련 데이터를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 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동기화부(120)는 단말기(100) 내에 임시 스토리지(121)에 상기 관련 데이터를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부(120)는 상기 단말기(100)에 기 설정된 마운트(mounted)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마운트 폴더를 해제하고, 상기 임시 스토리지를 기본 마운트 폴더로 전환할 수도 있다. 마운트 폴더는 단말기(100)가 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타 디바이스에서 단말기의 최상위 폴더로 나타나는 폴더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마운트 폴더는 연결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서와 같이 정리되지 않은 수 많은 폴더를 포함하는 폴더가 마운트 폴더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에게 필요한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만을 제공하기 위해, 동기화부(120)는 임시 스토리지(121)를 단말기(100)의 기본 마운트 폴더로 전환할 수 있다.
임시 스토리지(121)가 기본 마운트 폴더로 설정되면, 타 디바이스(200)에서 단말기(100)에 대한 탐색을 시작하는 경우, 임시 스토리지가 최상위 폴더로 나타난다. 도3의 탐색창(1000)에서 "TEMP"폴더(1001)는 임시 스토리지(101)를 나타내는 폴더이다.
또한, 도3과 같이 G드라이브의 루트(최상위 폴더)에 "TEMP"폴더가 존재하지 않고, "TEMP"폴더의 하위 내용이 G드라이브의 루트에 표시될 수도 있다. 임시 스토리지(121)가 기본 마운트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도3의 탐색창(1000)에는 "TEMP"폴더 이외의 다양한 폴더가 존재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내 실행 중이거나,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 생성파일, 로그파일 및 폴더가 될 수 있다. 또한 관련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상에 표시된 파일 또는 폴더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또는 폴더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된 파일은 실행파일, 이미지파일, 음악파일, 동영상파일, 플래시파일 및 문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파일일 수 있다.
동기화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단말기(100) 내의 파일 매니저를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폴더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4a 및 도4b는 동기화부(120)가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4a에서, 사용자가 음악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 "Music Player"의 아이콘(11a)을 터치하면, 상기 터치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어플리케이션 액세스부(102)는 "Music Player"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도4b를 참조하면, 파일 매니저를 통해, "Sdcard"폴더에 포함되는 "Music Player"폴더(11b)가 나타난다. "Music Player"폴더(11b)는 "Music Player"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으로써 생성된 폴더로서, "Music Player"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한 주요 음악 파일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Music Player"폴더(11b)를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 액세스부(120)는 선택된 폴더에 액세스 할 수 있다. "Music Player"폴더(11b)가 액세스 되면, 폴더(11b)의 하위 폴더 및 파일이 파일 매니저에 표시될 것이다. 여기서, 파일 매니저는 단말기(100)에 저장된 파일 및 폴더를 탐색할 수 있는 일종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위에서는 음악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액세스부의 기능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음악을 재생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에 포함되며 파일 매니저를 통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접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부의 기능에 포함된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데이터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타 디바이스(200) 및 단말기(100)의 구성도이다. 동기화부(120)는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관련 데이터를 상기 임시 스토리지에 생성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원(original) 파일과 동기화된 다른 파일(관련 데이터)이 임시 스토리지에 생성될 수 있다.
관련 데이터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임시 스토리지에 제공되는 데이터로서, 리눅스® 심볼릭 링크 디렉토리 또는 파일(Symbolic Link Directory or File)로 볼 수 있으며, 단말기에 저장된 원본 파일과 동기화된 가상의 파일 및 폴더이다. 예컨대, "data/application/AAcamera"에 포함된 "AAcamera.dat"라는 원 파일과 동기화된 가상의 동기 파일이 임시 스토리지(temp/AAcamera.dat)에 생성된다. 사용자는 임시 스토리지에 생성된 관련 데이터를 조작하여 원 파일의 복사, 이동, 삭제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액세스된 경우, 동기화부(120)는 액세스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100)에 처음 설치됨으로써 생성된 폴더(AA카메라라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data/application/AAcamera"라는 폴더가 단말기에 생성된다)의 하위 폴더 및 파일과 동기화된 폴더 및 파일(관련 데이터)을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할 수도 있다.
도5a의 단말기(100)는 도4a의 "Music Player"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음악 목록이 표시된 화면을 보여준다. "Love song"(1a), "Yesterday"(2a), "Tell me"(3a)라는 음악 파일이 리스트로 단말기(100)에 표시되면, 동기화부(120)는 리스트에 나타난 각 음악파일과 동기화된 관련 데이터를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한다.
타 디바이스(200)의 임시 스토리지를 나타내는 창(1001)을 통해서,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된 관련 데이터가 나타난다. 즉 동기화부(120)는 음악파일(1a)에 대응하는 관련 데이터(1b), 음악파일(2a)에 대응하는 관련 데이터(2b), 및 음악파일(3a)에 대응하는 관련 데이터(3b)를 생성한다.
도5b의 단말기(100)는 도4b의 "Music Player"폴더(11b)가 액세스된 경우, 그 하위 폴더 및 파일이 표시된 화면을 보여준다. "Music Player"폴더(11b)의 하위폴더로 "Old Pops"폴더(4a)가 존재하며, 음악 파일 "Love song" 음악 파일(5a) 및 "Tell me" 음악파일(6a)가 포함된다. 이 경우, 동기화부(120)는 단말기(100)에 표시된 폴더 및 파일(4a, 5a, 6a)에 각각 대응하는 관련 데이터(4b, 5b, 6b)를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시 스토리지(101)에 생성된 관련 데이터(1b, 2b, 3b) 또는 (4b, 5b, 6b)를 복사, 이동, 삭제, 수정등을 수행하여, 단말기(100) 내 원 파일 및 폴더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기화부(130)는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되는 관련 데이터의 시간순서 또는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각기 다른 하위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을 통해 파일 1 및 2를 확인하고, 이어서, 어플리케이션 2를 통해 파일 3 및 4를 확인한 경우, 관련 데이터 생성부(130)는 파일 1및 파일2를 임시 스토리지(121)내 폴더1에 생성하고, 파일 3 및 파일4를 폴더 1과 별개인 폴더2에 생성할 수도 있다.
음악 리스트의 많은 음악파일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음악파일을 검색 중인 경우, 단말기(100)에 표시된 모든 파일 또는 폴더의 관련 데이터를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하는 것이 불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화부(130)는, 단말기(100)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음악파일에 대한 관련 데이터만을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5b에서, 사용자가 음악파일 "Tell me(6a)"만을 선택한 경우, 타 디바이스(200)에는 음악파일"Tell me(6a)"의 관련 데이터(6b)만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관계정보 생성부(130) 및 그룹화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계정보 생성부(130)는 단말기(100)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파일 및 폴더, 및 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파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계정보 생성부(1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파일 및 폴더의 경로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10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모든 파일 및 폴더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으로써 생성된 폴더 내에 생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컨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캐시파일, 커런트파일 등은 동일한 상위폴더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관계정보 생성부(130)는 단말기(100)에 저장된 모든 파일들을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시킨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관계정보 생성부(130)는 단말기(100) 내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변경 및 삭제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 및 상기 단말기가 미디어 스캐닝을 수행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재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또는 폴더에 변경이 있으면, 관계정보 생성부는 관계정보를 다시 생성하여, 관계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변경 및 삭제되는 경우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업데이트 되는 경우 및 삭제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문서, 사진, 동영상, 소리 파일 등이 생성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미디어 스캐닝을 수행한 경우는 단말기가 타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었다가 연결 해제된 경우 및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그룹화부에 의해 그룹화된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1(이하에서는 "APP1"이라 한다)에 관련된 "Cache"폴더(71), "Files"폴더(72) 및 "Current"파일(73)이 APP1을 기준으로 그룹화되었다.
도6과 같이, "Cache"폴더(71)의 최상위 폴더는 "data"폴더이고, "Files"폴더(72)의 최상위 폴더는 "system"폴더이고, "Current"파일(73)의 최상위 폴더는 "mnt"폴더로서, APP1에 관련된 각 폴더는 각기 다른 최상위 폴더에 저장되었으나, APP1을 기준으로 그룹화 되었다.
즉,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 생성부(130)가 APP1과 관련된 파일 및 폴더의 경로정보를 수집 및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하고, 그룹화부(140)가 이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APP1을 기준으로 파일 및 폴더를 그룹화함으로써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들의 그룹화가 수행될 수 있다.
도6에서, 어플리케이션2(이하에서는 "APP2"라 한다)도 APP1과 마찬가지로, APP2와 관련된 파일(83) 및 폴더들(81,82)가 그룹화되어 나타난다. 다만, APP2 는 "Image"폴더(84)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APP2가 사진을 촬영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Image"폴더(84)는 APP2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이미지 파일들이 저장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화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그룹화된 파일 및 폴더를 해당 파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폴더의 종류는 폴더에 포함되는 파일들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파일의 종류는 일반파일, 캐시파일,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문서파일 및 보안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도6의 APP2의 파일 및 폴더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7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자(APP MANAGER, 800)는 단말기(1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기준으로 단말기(100)에 저장된 파일 및 폴더를 관리하는 일종의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자(80)를 통해, 단말기(100)에 저장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모든 파일 및 폴더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APP2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로 "pic01", "pic02" 및 "pic03"이 "Image"폴더에 포함되어있다. 사용자가 "pic01" 및 "pic02"파일의 삭제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체크박스(81, 82)를 체크하고, "Delete(83)"버튼을 선택하여 체크된 파일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가 관계정보 생성부(130) 및 그룹화부(140)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100)의 동기화부(120)는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이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단위를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단위에 포함되는 파일 및 폴더의 관련 데이터를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가 타 디바이스(200)과 연결된 상태에서 APP2(어플리케이션 단위)가 액세스 되면, 동기화부(120)는 "Cache"폴더(81), "Files"폴더(82), "Current"파일(83) 및 "Image"폴더(84)의 관련 데이터를 임시 스토리지(101)에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타 디바이스(200)를 통해 APP2에 관련된 모든 파일 및 폴더를 한번에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동기화부(130)는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원 데이터 중에서,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음악파일 및 문서파일 중 적어도 하나와 동기화된 관련 데이터를 임시 스토리지(121)에 생성할 수 있다. 실제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술한 이미지파일 등을 검색하기 위해 타 디바이스(200)와 단말기(100)를 연결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고,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관련된 시스템 파일 등을 검색하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관련 데이터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련 데이터 관리부는 타 디바이스(2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임시 스토리지에 생성된 관련 데이터가 복사, 이동 및 삭제되는 경우, 상기 원 데이터도 동일하게 복사, 이동 및 삭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관련 데이터 관리부는 관련 데이터의 원 데이터가, 다른 어플리케이션, 단말기의 시스템 유지 및 보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경우, 상기 관련 데이터의 이동 또는 삭제 전에, 사용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련된 파일이나 시스템의 유지 및 보안에 필수적인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삭제하는 것은 단말기(100)의 실행에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중요 파일들의 이동 및 삭제에 대하여는 사용자에게 재차 확인 받는 것이 필요하다.
도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S30)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관련 데이터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 네트워크의 경우 범용직렬버스(USB)를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임시 스토리지를 생성하는 단계(S30)는 단말기에 기 설정된 마운트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마운트 폴더의 마운트 기능을 해제하고, 생성된 임시 스토리지를 기본 마운트 폴더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 디바이스를 통해 단말기의 내부 파일을 탐색하는 경우, 임시 스토리지가 최상위 폴더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단계(S40)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 또는 단말기 내의 파일 매니저등을 통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폴더에 액세스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 매니저는 단말기내 파일 및 폴더를 탐색하기 위한 일종의 파일 관리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폴더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에 설치됨으로써 생성된 폴더로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등과 관련된 주요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원(original) 데이터와 동기화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 데이터는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말기 상에 표시된 파일 또는 폴더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 데이터는 파일 매니저등을 통해서, 단말기 상에 표시된 파일 또는 폴더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또는 폴더일 수 있다. 단말기에 표시된 파일은 실행파일, 이미지파일, 음악파일, 동영상파일, 플래시파일 및 문서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 및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그룹화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에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 이름,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파일 및 폴더, 및 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파일 및 폴더의 관계에 대한 정보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모든 파일 및 폴더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는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변경 및 삭제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 및 상기 단말기가 미디어 스캐닝을 수행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또는 폴더의 변경사항이 있거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예컨대,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또는 MTP연결 후 해제된 경우 등)에 상기 관계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그룹화하는 단계(S20)는 그룹화된 파일을 파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되는 파일의 종류는 일반파일, 캐시파일,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문서파일 및 보안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화된 어플리케이션 단위 내에서 파일들이 종류에 따라 분류됨으로써, 파일의 종류에 따라 선별적인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간편해질 수 있다.
즉, 상기 관계정보 생성 및 그룹화는 단말기(100)가 타 디바이스(200)와 연결 시에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 전에 미리 수행될 수 있는 것이고, 연결 된 후에도, 계속적으로 재수행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3에 관련된 이미지파일을 검색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3의 하위폴더에 종류별로 미리 이미지폴더 또는 파일이 분류되므로, 동기화부는 이미지파일에 대한 관련 데이터만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련 데이터를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단계(S40)는 액세스된 어플리케이션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단위를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단위에 포함되는 파일 및 폴더의 관련 데이터를 상기 임시 스토리지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내의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그룹화되면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데이터로의 접근 경로가 단순화되어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S90)는 원 데이터 중에서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음악파일 및 문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동기화된 관련 데이터를 상기 임시 스토리지에 생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관련 데이터가 다른 어플리케이션, 단말기 시스템 유지, 및 보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데이터인 경우, 상기 관련 데이터의 이동 또는 삭제 전에,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단말기 내에 임시 스토리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관련 데이터를 상기 임시 스토리지로 이동 또는 복사하고, 상기 임시 스토리지에 이동 또는 복사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타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단말기에 기 설정된 마운트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마운트 폴더를 해제하고, 상기 임시 스토리지를 기본 마운트 폴더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내 실행 중이거나,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 생성파일, 로그파일 및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상에 표시된 파일 또는 폴더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또는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파일은,
    실행파일, 이미지파일, 음악파일, 동영상파일, 플래시파일 및 문서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8. 단말기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 이름,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파일 및 폴더, 및 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파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하는 관계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상기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관련 데이터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변경 및 삭제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 및 상기 단말기가 미디어 스캐닝을 수행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부는,
    상기 그룹화된 파일을 파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되,
    상기 파일의 종류는 일반파일, 캐시파일,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문서파일 및 보안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 유지 및 보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경우, 상기 관련 데이터의 이동 또는 삭제 전에,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관련 데이터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12.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관련 데이터를 단말기 내에 구비된 임시 스토리지로 이동 또는 복사하고, 상기 임시 스토리지에 이동 또는 복사된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타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기 설정된 마운트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마운트 폴더를 해제하고, 상기 임시 스토리지를 기본 마운트 폴더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내 실행 중이거나,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파일, 생성파일, 로그파일 및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상에 표시된 파일 또는 폴더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또는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파일은,
    실행파일, 이미지파일, 음악파일, 동영상파일, 플래시파일 및 문서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19. 단말기에 저장된 각 어플리케이션 이름, 상기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파일 및 폴더, 및 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파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와 타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타 디바이스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연결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관련 데이터를 상기 타 디바이스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변경 및 삭제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 및 상기 단말기가 미디어 스캐닝을 수행한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파일 관계정보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화된 파일을 파일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되,
    상기 파일의 종류는 일반파일, 캐시파일,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문서파일 및 보안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12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의 시스템 유지 및 보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경우, 상기 관련 데이터의 이동 또는 삭제 전에,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30037579A 2013-04-05 2013-04-05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KR101517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579A KR101517895B1 (ko) 2013-04-05 2013-04-05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US14/245,577 US9483492B2 (en) 2013-04-05 2014-04-04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related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579A KR101517895B1 (ko) 2013-04-05 2013-04-05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166A KR20140121166A (ko) 2014-10-15
KR101517895B1 true KR101517895B1 (ko) 2015-05-08

Family

ID=5165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579A KR101517895B1 (ko) 2013-04-05 2013-04-05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83492B2 (ko)
KR (1) KR101517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6595B (zh) * 2013-04-08 2016-06-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应用程序管理方法、装置、服务器及终端设备
KR102354769B1 (ko) * 2014-10-29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536961A (zh) * 2014-11-04 2015-04-22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本地媒体文件的扫描方法及系统
CN105824827A (zh) * 2015-01-06 2016-08-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文件路径的存储和本地文件的访问方法及装置
CN104794205A (zh) * 2015-04-26 2015-07-22 韩东 一种教学文件上传方法和系统
CN104951388B (zh) * 2015-06-04 2017-10-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文件夹信息的方法及装置
JP2017004114A (ja) * 2015-06-05 2017-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削除方法
CN105138604A (zh) * 2015-08-07 2015-12-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6557338B (zh) * 2015-09-28 2020-07-17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确定目录路径与应用程序包关联度的方法、装置及服务器
CN107463524A (zh) * 2016-06-06 2017-12-12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访问数据的方法及相关设备
CN109359091B (zh) * 2018-09-26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管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34364B2 (en) 2019-12-16 2022-05-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yered composite boot device and file system for operating system booting in file system virtualization environments
US11200205B2 (en) * 2020-01-31 2021-12-14 EMC IP Holding Company LLC Displaying an alert and options when deleting a file that is associated with a sequence of files
US11199948B2 (en) 2020-01-31 2021-12-14 EMC IP Holding Company LLC Displaying a sequence and files associated with the sequence having a missing file
US20210382739A1 (en) * 2020-06-04 2021-12-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tially Privileged Lightweight Virtualization Environments
KR102395671B1 (ko) * 2020-06-22 2022-05-0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관리 폴더를 이용하여 개선된 파일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45B1 (ko) 2004-05-26 2009-10-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미디어 아이템들의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컴퓨터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2820B2 (en) * 2004-05-03 2009-03-1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property retrieval of stored objects
KR20090047136A (ko) 2007-11-07 2009-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일 동기화 방법
US8136085B2 (en) * 2008-01-29 2012-03-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hared platform or software resource for coupled computing devices
US20100042580A1 (en) * 2008-08-14 2010-02-18 Chih-Hung Cheng Method of for a Host to Access an Object Stored in a Multimedia Device Supported by MTP
KR101596038B1 (ko) 2009-02-13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시스템
GB2471483A (en) * 2009-06-30 2011-01-05 Nokia Corp Data type selection based on channel type
US9195473B2 (en) * 2012-04-05 2015-11-24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sharing an internal storag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a host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same
CN102981990B (zh) * 2012-11-09 2015-07-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采用Android平台终端设备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45B1 (ko) 2004-05-26 2009-10-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미디어 아이템들의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컴퓨터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166A (ko) 2014-10-15
US9483492B2 (en) 2016-11-01
US20140304313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895B1 (ko)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US11093336B2 (en) Browsing data stored in a backup format
US20210209056A1 (en) Search filtered file system using secondary storage, including multi-dimensional indexing and searching of archived files
CN109117425B (zh) 用于数字资产同步的方法、系统和介质
US104966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recently modified data
KR102128139B1 (ko) 플레이스홀더에 의한 파일 관리 기법
KR101602584B1 (ko) 복수-소스 복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4895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olving conflicts between revisions to a distributed virtual file system
US10397319B2 (en) Server-side selective synchronization
KR102128138B1 (ko) 플레이스홀더에 의한 하이드레이션 및 디하이드레이션 기법
US20110295798A1 (en) Mobile mirror drive and remote access system
US20140172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uting environment delivery service with offline operations
US20150120763A1 (en) Filtering content using synchronization data
US8627033B2 (en) Storage device migration and redirection
JP5886447B2 (ja) ロケーション非依存のファイル
JP2016529599A (ja) コンテンツクリップボードの同期
WO2013148096A1 (en) Informaton management of mobile device data
JP2016505964A (ja) オンラインストレージシステムでのデータ同期化に関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ミングインタフェース
WO2015013348A1 (en) Virtual synchronization with on-demand data delivery
KR102064696B1 (ko) 공유 콘텐츠 항목의 저장소 제약된 동기화
EP35250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stantaneous file transfer
US9852139B1 (en) Directory partitioning with concurrent directory access
WO2018194862A1 (en) File directory synchronization
JP551152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