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099A - Guard Rail - Google Patents

Guard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099A
KR20160050099A KR1020140145230A KR20140145230A KR20160050099A KR 20160050099 A KR20160050099 A KR 20160050099A KR 1020140145230 A KR1020140145230 A KR 1020140145230A KR 20140145230 A KR20140145230 A KR 20140145230A KR 20160050099 A KR20160050099 A KR 20160050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rail
fastened
bol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원
서창원
남민균
장대영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장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장대영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099A/en
Publication of KR2016005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0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fence with a closed cross-section capable of easy bolt connections, with an improved appearance by hiding fastening holes with an advantage of preventing corrosion. The guard fence comprises a plurality of posts vertically standing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with at least two blockouts connected to each pos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ard rail connected to the blockout. The post has a hollow elliptical cross-section with varied thicknesses, where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have the highest thickness with gradually reducing the thickness along the two lateral surfaces. The guard rail is fastened to an adjacent guard rai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sleeve rail inserted inside the guard rail.

Description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Guard Rail}{Guard Rail} A protective fence having a closed end face for easy bolt tightening.

본 발명은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럭아웃이 결합되고, 각각의 블럭아웃에 가드레일이 결합되되, 상기 지주는 두께를 달리하는 중공형 타원 단면을 지니며, 전면과 후면이 가장 두껍고, 양 측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드레일은 내부에 삽입되는 슬리브레일에 너트 홀더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인 결속이 가능한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fence having a closed end face to which bolts are easily fastened, more specifically, at least two block outs are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and guard rails are coupled to the respective block outs, Wherein the guard rail is formed with a nut holder on a sleeve rail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uard rail and is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rotective fence having a closed end face for easy fastening of bolts.

일반적으로 방호 울타리는 자동차 도로나 교량에 있어서, 정상 경로를 이탈한 차량이 대향 차로나 보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의 경계부나 중앙분리대 및 교량의 난간에 방호책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을 지칭한다.Generally, a guarded fence is used as a barrier for the safety of traffic on the border of a road, a median of a road, and a bridge on a bridge, so as to prevent a vehicle deviating from a normal route from entering a car or a sidewalk. Refers to the structure to be installed.

상기 방호 울타리는 차량의 충돌시 소성변형을 통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 및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정상적인 주행경로를 벗어난 차량을 다시 정상 주행방향으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tective fence absorbs impact energy through plastic deformation during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occupant and damage to the vehicle, and returning the vehicle, which has departed from the normal traveling route, back to the normal traveling direction.

상기한 방호 울타리는 그 목적에 따라서, 가요성 방호 울타리와 강성 방호 울타리로 분류할 수 있다. 가요성 방호 울타리는 방호 울타리 자체의 소성 변형을 유도하여,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강성 방호 울타리는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추락이나 승월을 방지토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above-described protective fences can be classified into flexible protective fences and rigid protective fences according to their purposes. The purpose of the flexible protective fence is to induce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protection fence itself and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energy, and the rigid protection fence is intended to arrange the concrete blocks continuously to prevent the falling or rising / falling of the fence .

한편, 상기 가요성 방호 울타리의 대표적인 예는 가드레일을 지주와 결합한 형상의 가드레일형 방호 울타리이며, 가드레일형 방호 울타리는 가드레일의 형상과 결합 방식에 따라 개단면형 방호 울타리와 폐단면형 방호 울타리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a typical example of the flexible protective fence is a guard rail type guard fence in which the guard rail is combined with the support, and the guard rail type guard fence is formed by the open end type guard fence and the closed end side guard It can be classified as a fence.

개단면형 가드레일은 가드레일의 단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것으로, 가드레일 내측에서 지주와 체결이 가능한 바, 체결구를 숨길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체결구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강성이 약하여 단면을 크게 형성하거나, 빔의 재료를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The open end type guard rail has an opening portion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e guard rail. The guardrail can be fastened to the support in the inside of the guard rail. Since the fastener can be hidden, the appearance is good and the corrosion of the fastener can be prevented.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made large or the material of the beam is made thick.

이에 반하여 폐단면형 가드레일은 가드레일의 단면이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가드레일의 단면을 작게 형성하여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체결구가 필연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는바, 외관이 조잡하고, 체결구가 부식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osed end surface guardrail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losed curve in the end surface of the guard rail. Even if the end surface of the guardrail is made small, sufficient rigidity can be secured. However, the fastener must necessaril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uter appearance is coarse and the fastener is corroded.

한편, 가드레일용 지주는 완전한 대칭의 원형 단면 지주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모든 방향의 충돌에 동일하게 거동하는바,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이 요구되는 전방과 후방을 보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guardrail pillars generally use a completely symmetrical circular cross-section, but they behave in the same way in collision in all directions, and there is a limit in reinforc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which require a relatively strong rigidity.

폐단면형 가드레일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8546호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이드레일"(2010. 04. 27. 공개)이 등록된 바 있다.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closed-end surface type guard rails,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78546 entitled " Safety Guide Rails for Convenient Protection and Construction of Vehicles "(published on Apr. 27, 2010) has been registered.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은 폐곡선 단면을 제공하고, 내부에 V형 지지대를 제공하여 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상부고정판이 외부로 드러나고, 볼트헤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미려하지 못하였으며, 가드레일의 단면을 제작하기가 어려워 제작비가 증가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Although the above prior art document provides a closed curve section and provides a V-shaped support in the inside to secure rigidity, the upper fixing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bolt hea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It is difficult to produce the film.

또한, 가드레일을 길이방향으로 결속함에 있어서, 고정판과 볼트를 이용함에 따라, 외관이 조잡해지고, 체결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in using the fixing plate and the bolt to tighten the guard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becomes rough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asily corrod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폐단면형 방호 울타리의 장점을 확보하면서도 가드레일 내측에서 지주와 체결이 가능한 바, 체결구를 숨길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체결구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지주의 단면 형상을 통해 충돌차량의 걸림현상을 방지함과 함께 지주의 강성을 보강하고, 가드레일 연결부의 체결부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부식을 예방할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한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fence that can securely secure the advantages of a closed end fe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of the collision vehicle throug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to prevent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guardrail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exposed and to provide excellent appearance, And to provide a security fence having a closed end face with which bolt fastening is eas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A)는, 복수의 지주(100)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지주(100)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블럭아웃(200)이 결합되며, 상기 블럭아웃(200)에 가드레일(30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방호 울타리(A)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는 두께를 달리하는 중공형 타원 단면을 지니되, 전면과 후면이 가장 두껍고, 양 측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드레일(300)은 내부에 삽입되는 슬리브레일(400)을 매개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가드레일(300)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guard fence (A) having a closed end face with which a bolt can be easily fast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llars (100) Wherein at least two block outs 200 are coupl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ard rail 300 is coupled to the block out 200. The strut 100 may have a thickness And the guard rail 300 is formed so as to be gradually thinner toward both sides thereof, and the guard rail 300 is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sleeve rail 400 inserted therein And is coupled to the guard rail (300).

또한, 상기 슬리브레일(400)은 내부에 너트 홀더(410)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 홀더(410)에 체결너트(N400)가 구비되고, 체결볼트(B400)가 상기 가드레일(300) 및 슬리브레일(400)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N40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nut nut 410 is formed in the sleeve rail 400 and a nut N400 is fastened to the nut holder 410. A fastening bolt B400 is fastened to the guard rail 300 and the sleeve 300, And is fastened to the coupling nut (N400) through the rail (400).

또한, 상기 블럭아웃(200)은 지주(100)를 감싸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210)와 가드레일(300)이 체결되는 플랜지부(220)를 지니되, 체결볼트(B200)가 상기 지주(100) 및 원호부(210)를 관통하여 체결너트(N20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out 200 includes a circular arc portion 210 formed in an arc shape to surround the column 100 and a flange portion 220 to which the guard rail 300 is coupled. And is fastened to the coupling nut (N200) through the support (100) and the circular arc part (210).

또한, 상기 블럭아웃(200)은 원호부(210)와 플랜지부(220) 사이에 적어도 한 쌍의 연결편(230)이 구비되어 공간부(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ou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air of connecting pieces 230 is provided between the arc portion 210 and the flange portion 220 to form the space portion 240.

또한, 상기 가드레일(300)은 폐곡선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되, 후면에 볼트머리 구비홈(310)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머리 구비홈(310)에 가드레일 체결볼트(B300)의 볼트머리(B31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B300)가 상기 블럭아웃(200)을 관통하여 체결너트(N30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ard rail 300 is formed to have a closed cross section and a bolt headed groove 31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guard rail 300. The bolt head of the guard rail fastening bolt B300 And the fastening bolt B300 passes through the blockout 200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N300.

또한, 상기 가드레일(300)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머리 구비홈(310)에 와셔홈(311)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드레일 체결볼트(B300)의 볼트와셔(B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ard rail 300 is formed with concave grooves 320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washer grooves 311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bolt head groove 310 so that the guard rail fastening bolts And a bolt washer B320 of a bolt B300.

또한, 최상부에 구비된 가드레일(300)은 지주(100)의 상부를 덮도록 후면으로 커버부(33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ard rail 300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3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surface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00.

그리고 슬리브레일(400)은 상기 가드레일(30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폐곡선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에 밀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eeve rail 400 is formed so as to have a closed cross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d surface of the guard rail 300, and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guard rail 300.

상기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는 지주가 두께를 달리하는 중공형 타원 단면을 지니되, 전면과 후면이 가장 두껍고, 양 측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충돌차량의 걸림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지주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The protection fence having the closed end has a hollow elliptical cross section with a different thickness of the strut,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thickest and gradually thin toward both sides, thereby preventing the collision of the collided vehicl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can be reinforced.

또한, 슬리브레일의 내부에 너트 홀더가 형성되되, 상기 너트 홀더에 체결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가 상기 가드레일 및 슬리브레일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와 체결되는 바, 체결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체결구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 nut holder is formed inside the sleeve rail, and a fastening nut is provided in the nut holder. The fastening bolt passes through the guard rail and the sleeve rail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This is nice and can prevent corrosion of fasteners.

나아가, 상기 너트 홀더에 체결너트가 구비되어 체결볼트의 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Furtherm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fastening bolt is provided in the nut holder so that the fastening bolt can be easily installed.

한편, 블럭아웃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소성변형을 통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pace is formed in the block-out, and the impact can be effectively absorbed through the plastic deformation.

또한, 가드레일이 폐곡선 단면으로 형성되어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the guard rail can be formed in a closed curve section so that sufficient rigidity can be ensured while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또한, 가드레일의 내부에 볼트머리 구비홈 및 와셔홈이 형성되어, 폐곡선 단면의 장점을 확보하면서도 가드레일 내측에서 지주와 체결이 가능한 바, 체결구를 숨길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체결구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lt head groove and the washer groove are formed inside the guard rail, it is possible to engage with the support in the inside of the guard rail while securing the merit of the closed curve, and it is possible to hide the fastener, Can be prevented.

나아가, 최상부에 구비된 가드레일은 지주의 상부를 덮도록 후면으로 커버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지주 상부를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착석할 수 있어 휴식의 장소를 제공하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Further, the guard rail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has an additional advantage that the cover portion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surface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can be made beautiful and the pedestrian can be sea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울타리의 블럭아웃과 지주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울타리의 블럭아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울타리의 블럭아웃과 가드레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울타리의 가드레일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 울타리의 가드레일과 슬리브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ard fence having a closed end face to which bolts are easily fast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out and a stalk of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out of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out and a guard rail of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uard rail of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uard rail and a sleeve rail of a securi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주(100)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지주(100)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럭아웃(200)이 결합되며, 상기 블럭아웃(200)에 가드레일(300)이 결합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pillars 100 are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a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nd each of the pillars 100 has a closed end face At least two block-outs 200 are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ard-rail 300 is coupled to the block-outs 200.

한편, 상기 지주(100)는 두께를 달리하는 중공형 타원 단면을 지니되, 전면과 후면이 가장 두껍고, 양 측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The strut 100 has a hollow elliptical cross section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nd the front and rear faces are thickest and gradually thinner toward both sides.

이때, 본 발명의 전면은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도로측에 면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후면은 도로의 반대측에 면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facing the road side around the guard rail, and the rear surface is defined as a direction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road.

종래의 일반적인 지주는 완전한 대칭의 원형 단면으로 제작되어, 휨하중에 대한 최적의 단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각형 지주에 비하여 걸림현상(snagging)을 비교적 줄일 수 있었으나, 모든 방향의 충돌에 동일하게 거동하는바,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이 요구되는 전방과 후방을 보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Conventional general columns are made of a perfectly symmetrical circular cross section, which can provide an optimal cross-section for the flexural load, and snagging can be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a rectangular column, but the same behavior , There was a limit in reinforc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where relatively strong rigidity is required.

이에 지주(100)의 전후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차량의 충돌시 상대적으로 강한 전후면 지주부의 강성에 의하여 차량이 지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지주가 아닌 가드레일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100 can be made thick so that the vehicl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by the rigidity of the relatively strong front and rear support portions at the time of collision of the vehicle, .

이때, 상기 지주(100)의 장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단축이 양 측방향에 배치되도록 구비하여, 차량과 접하는 지주의 표면적을 감소시키면, 보다 효과적으로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struts 100 is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minor axis is arranged in both the lateral directions, if the surface area of the strut contacting the vehicle is reduced, the lock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한편, 상기 가드레일(300)은 내부에 삽입되는 슬리브레일(400)을 매개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가드레일(300)과 결속되되, 상기 슬리브레일(400)은 내부에 너트 홀더(410)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 홀더(410)에 체결너트(N400)가 구비되고, 체결볼트(B400)가 상기 가드레일(300) 및 슬리브레일(400)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N400)와 체결된다.The guard rail 300 is coupled to the guard rail 300 which is adjacent to the guard rail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ia the sleeve rail 400 inserted into the guard rail 300. The sleeve rail 400 has a nut holder 410 formed therein The nut holder 41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nut N400 and a fastening bolt B400 passes through the guard rail 300 and the sleeve rail 400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N400.

가드레일을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함에 있어서, 슬리브레일을 이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방식이다. 하지만, 종래의 슬리브레일을 체결함에 있어서, 체결구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관이 조잡해지고,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forming the guard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ommon practice to use the sleeve rails. However, when fastening the conventional sleeve ra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ppearance becomes rough and easily corroded.

이에, 슬리브레일(400)의 내부에 너트 홀더(410)를 구비하여 체결구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체결구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technical advantage in that the nut holder 410 is provided in the sleeve rail 400 to prevent the fastener from being exposed, and thus the appearance is good, and corrosion of the fastener can be prevented.

나아가, 상기 너트 홀더(410)에 체결너트(N400)가 구비되어 체결볼트(B400)의 시공이 용이한 추가적 이점이 있다.Further, the nut holder 41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nut N400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fastening bolt B400.

이때, 상기 너트 홀더(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플레이트(411)에 너트가 구비되는 안착부(412)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플레이트(411)의 양 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413)가 형성되어, 슬리브레일(400)의 양 단부에 걸리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너트 홀더(410)를 정확한 위치에 구비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nut holder 410 may have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412 having a nut on the holder plate 4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lder plate 411 may have bent portions 413 bent at both ends of the holder plate 411 so as to b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sleeve rail 400. Thus, the nut holder 410 can be provided at an accurate position.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아웃(200)은 지주(100)를 감싸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210)와 가드레일(300)이 체결되는 플랜지부(220)를 지니되, 체결볼트(B200)가 상기 지주(100) 및 원호부(210)를 관통하여 체결너트(N200)와 체결될 수 있다.2, the block-out 200 includes an arc portion 210 formed in an arc shape to surround the column 100 and a flange portion 220 to which the guard rail 300 is coupled. The fastening bolt B200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N200 through the strut 100 and the circular arc part 210. [

상기한 바와 같이 지주(10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원호부(210)도 이에 대응되도록 타원형 원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랜지부(220)는 후술할 체결볼트(B300)가 관통되어, 상기 가드레일(300)과 체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t 100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the arc portion 210 is also preferably formed in an elliptic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arc portion 210. The flange portion 220 is formed in a shape that the fastening bolt B300 And is fastened to the guard rail 300.

상기 원호부(210)에 개방부를 형성하는 것은 지주(100)에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상대적으로 강성이 요구되는 플랜지부(220)의 두께를 원호부(210) 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portion of the circular arc portion 210 is formed to secure the workability by fitting the column 100 into the column 100.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220, It is preferable to form it thick.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아웃(200)은 원호부(210)와 플랜지부(220) 사이에 한 쌍의 연결편(230)이 구비되어 공간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3, the blockout 200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pieces 230 between the arcuate portion 210 and the flange portion 220 to form the space portion 240. Referring to FIG.

이로써, 상기 블럭아웃(200)에 공간부(240)가 형성되어, 블럭아웃(200)의 소성변형을 통해 차량충돌에 따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pace portion 240 is formed in the block-out 200, and the impact due to the vehicle collision can be effectively absorbed through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block-out 200.

한편, 하나의 지주(100)에 결속되는 다수의 블럭아웃(200) 중에서, 최상부에 구비된 블럭아웃(200)은 차량의 충돌에 따른 걸림현상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바, 지주(100)와 가드레일(300) 간의 거리를 줄여, 공간부(240)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blockout 200 provid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blockouts 200 connected to one strut 100 is relatively free from the collision due to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effective not to form the space portion 240. [0064]

반면, 하부에 구비된 블럭아웃(200)은 지주(100)와 가드레일(300) 간의 거리를 최대한 확보하여, 한 쌍의 연결편(230)을 형성하고, 공간부(240)를 마련하여 차량의 충돌시 소성변형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block-out 20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can secure a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100 and the guard rail 300 to form a pair of connecting pieces 230, It is desirable to induce plastic deformation during impact.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300)은 폐곡선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드레일(300)의 단면을 폐곡선 단면으로 형성시,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guard rail 300 may have a closed curve. When the end surface of the guard rail 300 is formed into a closed cur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sufficient rigidity can be ensured while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하지만, 폐곡선형 단면은 체결구가 필연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는바, 외관이 조잡하고, 체결구가 부식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closed curve type cross section, the fastener must necessarily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ppearance may be coarse and the fastener may be corroded.

이에 본 발명은 가드레일(300)의 후면에 볼트머리 구비홈(310)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머리 구비홈(310)에 가드레일 체결볼트(B300)의 볼트머리(B31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B300)가 상기 블럭아웃(200)을 관통하여 체결너트(N300)와 체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head groove 31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a guard rail 300 and a bolt head B310 of a guard rail fastening bolt B300 is provided in the bolt head groove 310, The fastening bolts B300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s N300 through the block-outs.

이로써, 가드레일(300)의 폐곡선형 단면의 장점을 확보하면서도 가드레일(300) 내측에서 지주(100)와 체결이 가능한 바, 체결구를 숨길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체결구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tighten the support 100 with the inner side of the guard rail 300 while securing the advantages of the closed curve-shaped cross section of the guard rail 300, so that the fastener can be hidden, .

또한, 상기 가드레일(300)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홈(320)을 통하여 가드레일(300)의 단면력을 확보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uard rail 300 may have a concave groove 320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The sectional strength of the guard rail 300 can be secured through the concave groove 320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또한, 상기 볼트머리 구비홈(310)에 와셔홈(311)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드레일 체결볼트(B300)의 볼트와셔(B3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washer groove 311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bolt head groove 310 and the bolt washer B320 of the guard rail fastening bolt B300 may be provided.

상기 체결볼트(B300)의 볼트와셔(B32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트머리(B31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충분한 조임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bolt washer B320 of the fastening bolt B300 is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and functions to disper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lt head B310 so that sufficient tightening force can be applied.

이에, 볼트머리 구비홈(310)에 와셔홈(311)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와셔(B32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볼트와셔(B320)의 이점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the washer groove 311 is formed in the bolt head groove 310 so that the bolt washer B320 can be provided, so that the advantages of the bolt washer B320 can be secured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Can be obtaine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에 구비된 가드레일(300)은 지주(100)의 상부를 덮도록 후면으로 커버부(33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guard rail 300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330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00.

상기 커버부(330)는 지주(100)의 상부를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상기 커버부(330)에 착석할 수 있어 휴식의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ver part 330 can make the upper part of the pillars 100 look nice and the pedestrian can sit on the cover part 330 and provide a resting place.

또한, 상기 커버부(330)는 외측 후방으로 단면력을 크게 향상시켜, 휨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330 has an additional advantage that the sectional force can be greatly increased toward the outside rear side,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bending deformation can be ensured.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레일(400)은 상기 가드레일(30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폐곡선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에 밀착 삽입될 수 있다.6, the sleeve rail 400 may have a closed cross-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d surface of the guard rail 300, and may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guard rail 300. Referring to FIG.

상기 슬리브레일(400)과 가드레일(300) 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면, 충격에 의한 국부적인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가드레일(300)의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해져, 충분한 충격력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바, 슬리브레일(400)과 가드레일(300) 사이에 불요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단면의 형상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sleeve rail 400 and the guard rail 300, a local plastic deformation due to the impact is generate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guard rail 300 is structurally weak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s of the cross-sec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an unnecessary space is not formed between the sleeve rail 400 and the guard rail 3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A)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far as it can be practiced by various persons skilled in the art.

A:방호 울타리 100:지주
200:블럭아웃 210:원호부
220:플랜지부 230:연결편
240:공간부 B200,B300,B400:체결볼트
N200,N300,N400:체결너트 B310:볼트머리
B320:볼트와셔 300:가드레일
310:볼트머리 구비홈 311:와셔홈
320:오목홈 330:커버부
400:슬리브레일 410:너트 홀더
411:홀더 플레이트 412:안착부
413:걸림부
A: Protected fence 100: Holding
200: Block-out 210:
220: flange portion 230: connecting piece
240: space portion B200, B300, B400: fastening bolt
N200, N300, N400: Fastening nut B310: Bolt head
B320: Bolt washer 300: Guard rail
310: Bolt head bearing groove 311: Washer groove
320: concave groove 330: cover part
400: Sleeve rail 410: Nut holder
411: holder plate 412: seat part
413:

Claims (8)

복수의 지주(100)가 일정 간격으로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지주(100)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블럭아웃(200)이 결합되며, 상기 블럭아웃(200)에 가드레일(30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방호 울타리(A)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는 두께를 달리하는 중공형 타원 단면을 지니되, 전면과 후면이 가장 두껍고, 양 측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드레일(300)은 내부에 삽입되는 슬리브레일(400)을 매개로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가드레일(300)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A plurality of pillars 100 are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nd at least two block-outs 200 are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s 100, and the guard-rail 300 (A), wherein the barrier fence (A)
The strut 100 has a hollow elliptical cross-section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nd the front and rear faces are thickest and gradually thinner toward both si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ard rail (300) is bound to the guard rail (300)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ia the sleeve rail (400) inserted into the guard rail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레일(400)은 내부에 너트 홀더(410)가 구비되어, 상기 너트 홀더(410)에 체결너트(N400)가 구비되고, 체결볼트(B400)가 상기 가드레일(300) 및 슬리브레일(400)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N40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eeve rail 400 is provided with a nut holder 410 and a nut N400 is fastened to the nut holder 410. A fastening bolt B400 is fastened to the guard rail 300 and the sleeve rail 300 400) and is fastened to the coupling nut (N4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아웃(200)은 지주(100)를 감싸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210)와 가드레일(300)이 체결되는 플랜지부(220)를 지니되, 체결볼트(B200)가 상기 지주(100) 및 원호부(210)를 관통하여 체결너트(N20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out 200 has an arcuate portion 210 formed in an arc shape to surround the support 100 and a flange portion 220 to which the guardrail 300 is fastened and a fastening bolt B200 is fastened to the support 100 and the arc portion 210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N2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아웃(200)은 원호부(210)와 플랜지부(220) 사이에 적어도 한 쌍의 연결편(230)이 구비되어 공간부(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pair of connecting pieces (230) is provided between the circular arc part (210) and the flange part (220) to form the space part (2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300)은 폐곡선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되, 후면에 볼트머리 구비홈(310)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머리 구비홈(310)에 가드레일 체결볼트(B300)의 볼트머리(B31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B300)가 상기 블럭아웃(200)을 관통하여 체결너트(N30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lt head B310 of the guard rail fastening bolt B300 is fastened to the bolt headed groove 310. The bolt head B310 of the guard rail fastening bolt B300 is inserted into the bolt head groove 310, , And the fastening bolt (B3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N300) through the block-out (20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300)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오목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머리 구비홈(310)에 와셔홈(311)이 일체로 형성되어, 가드레일 체결볼트(B300)의 볼트와셔(B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uard rail 300 is formed with a concave groove 320 conca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its front surface and a washer groove 311 is integrally formed in the bolt head groove 310. The guard rail fastening bolt B300,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washer (B320) of the bolt washer (B320) is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최상부에 구비된 가드레일(300)은 지주(100)의 상부를 덮도록 후면으로 커버부(33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6.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guard rail (300)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330) extending rearwardly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t (100).
제5항에 있어서,
슬리브레일(400)은 상기 가드레일(300)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폐곡선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드레일(300)에 밀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leeve rail (400) is formed to have a closed cross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an end surface of the guard rail (300), and is closely inserted into the guard rail (300).
KR1020140145230A 2014-10-24 2014-10-24 Guard Rail KR201600500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30A KR20160050099A (en) 2014-10-24 2014-10-24 Guard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30A KR20160050099A (en) 2014-10-24 2014-10-24 Guard 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099A true KR20160050099A (en) 2016-05-11

Family

ID=5602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230A KR20160050099A (en) 2014-10-24 2014-10-24 Guard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0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51B1 (en) Landfill type median strip
JP7008869B2 (en) Vertical members for vehicle restraint systems
US20130248791A1 (en)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160050099A (en) Guard Rail
JP2015045162A (en) Guard fence
KR20170121760A (en) Guard Rail
KR100949450B1 (en) Anchor type median strip
GB2512118A (en)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390596Y1 (en) Guardrail construction having an anti-fall and shock absorbing function
KR101001199B1 (en) Safety barrier comprised of hybrid material
KR101406423B1 (en) Guard beam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KR20160049136A (en) Median Guard Rail
KR20110063605A (en) Hand rail for bridge
KR101513695B1 (en) Multi-Stage Shock Absorbing Guard Rail
KR20170021724A (en) Vehicle guard fence for bridge
JP6733933B2 (en) Vehicle restraint structure for bridge landslide
KR20160027702A (en) Rail frame for guardrailes
KR20110057410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fence
DE202012102548U1 (en) Road safety guard rail system
JP3013917B2 (en) Protective fence
JP3114681U (en) Protective fence
JP4875972B2 (en) Protective fence
KR101732464B1 (en) Guard rail for vehicle
JP3580620B2 (en) Protective fence
KR20170021720A (en) Vehicle guard fence for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