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943A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943A
KR20160049943A KR1020140147792A KR20140147792A KR20160049943A KR 20160049943 A KR20160049943 A KR 20160049943A KR 1020140147792 A KR1020140147792 A KR 1020140147792A KR 20140147792 A KR20140147792 A KR 20140147792A KR 20160049943 A KR20160049943 A KR 2016004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olyvinyl alcohol
film
stretch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8010B1 (en
Inventor
박세정
문병준
장응진
박진용
이남정
이응기
강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47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010B1/en
Publication of KR2016004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er, a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and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er with improved smoothness, the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and th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step of dyeing a dye; a step of cross-link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 dye; a step of starch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a step of cleaning and dry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and a step of planariz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Description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er, a polarizer manufactured using the polarizer, and a polarizer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본 명세서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a polarizer manufactured using the polarizer, and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발광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계 편광자에 접착제 등을 도포시켜 보호필름, 하드코팅층 등의 기능층을 구비한 형태로 사용된다.Th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the like. Currently used polarizing plates are used in the form of functional layers such as protective films and hard coating layers by applying an adhesive to polyvinyl alcohol (PVA) polarizers.

편광판 제조 공정 시 접착제 등을 도포하는 단계 및/또는 기능층을 적층하는 단계에서의 불량 발생은 편광자의 평활도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도포 및/또는 적층 단계에서의 불량 발생은 최종 제품인 편광판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step of applying an adhesive or the like and / or the step of laminating the functional layers in the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is often caused by the smoothness of the polarizer.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coating and / or lamination step may cause degrad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plate as a final product.

이에, 편광자의 평활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research for improving the smoothness of the polarizer is needed.

일본 공개 공보 2003-121644Japanese Laid-Open Publication No. 2003-121644

본 명세서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활도가 개선된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a polarizer manufactured using the polarizer, and a polarizer including the polarizer. More 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er having improved smoothness, a polarizer manufactured using the polarizer, and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염착시키는 단계;Dyes at least one dye of iodine and dichroic dye onto an un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상기 염료를 가교시키는 단계;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the dye;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 및Washing and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상기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 이후에 가열 롤(heating roll)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And planariz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ing a heating roll after the cleaning and drying step,

상기 가열 롤의 온도는 40℃ 내지 80℃인 것인 편광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is 40 ° C to 80 ° C.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또한, 전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자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provides a polariz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polarizer.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은 평활도가 개선된 편광자를 제공한다. A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polarizer with improved smoothnes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광자는 평활도 개선으로 인해 이를 포함하는 전체 편광판의 광특성이 균일화 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polarizer including the polarizer are uniformized due to the improvement in smoothne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는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새로운 층 적층 시 불균일한 적층으로 인한 불량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The polariz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reduce the incidence of defects due to nonuniform lamination on new layer stacking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 중 평탄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각 구성요소의 적층순서를 예시한 것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anarization step in a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illustrate the stacking order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종래의 편광자의 경우, 건조속도, 가이드 롤(guide roll) 초기 원단 두께 편차, 연신 균일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폭방향 두께 편차 및 평활도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평활도가 좋지 않은 편광자의 경우, 보호필름과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하는 공정에서,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로 인해 기포 및 접착제 가교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편광자의 광할 물성이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편광자의 평활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편광자 제조방법 및 평활도가 개선된 편광자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polarizers, thickness deviation and smoothness in the width direction are often not goo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drying speed, initial roll thickness deviation, and stretching uniformity. In the case of a polarizer having poor smoothness, bubbles and adhesive bridges may be generated due to non-uniform application of the adhesive in a process of laminating using a protective film and an adhesive,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polarizer are not uniform .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er capable of improving the smoothness of a polarizer and a polarizer improved in smoothne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염착시키는 단계(이하 '염착 단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염료를 가교시키는 단계(이하 '가교 단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이하 '연신 단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이하 '세정 및 연신 단계'); 및 상기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 이후에 가열 롤(heating roll)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평탄화하는 단계(이하 '평탄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롤의 온도는 40℃ 내지 80℃인 것인 편광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dyeing at least one of iodine and dichroic dy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yeing step ") to an un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the dy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rosslinking step ");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stretching step "); Washing and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leaning and stretching step "); And a step of planariz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ing a heating roll after the cleaning and dry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lanarizing step'),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is 40 ° C to 80 ° C ≪ / RTI >

상기 가열 롤의 온도가 40℃ 이상인 경우, 평활도 개선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며, 가열 롤의 온도가 80℃ 이하인 경우, 편광도의 감소 없이 효과적인 평활도 개선 효과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열 롤의 온도가 80℃ 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편광소자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넘어서게 되어 편광소자의 수축 및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is 40 ° C or higher, the effect of improving smoothness is sufficiently exhibi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is 80 ° C or low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ffective smoothness improving effect is obtained without decreasing the degree of polariz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exceeds 80 캜,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olyvinyl alcohol (PVA) -based polarizing element may be exceeded, and the polarizing element may be shrunk or deformed.

도 1에서는 상기 편광자 제조방법의 순서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조방법은 염착 단계, 가교 단계, 연신 단계, 세정 및 건조 단계, 평탄화 단계 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평탄화 단계 이외에 상기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dure of 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Referring to FIG. 1,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a sequencing step, a crosslinking step, a stretching step, a cleaning and drying step, and a planarizing step. However, the ord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rder other than the flattening step.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은 편광자의 평활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평탄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가열 롤을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평탄화하는 평탄화 단계를 포함한다. 세정 및 건조 단계 전,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단계 이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히팅 롤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 배향에 영향을 주어 편광도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평활도 개선 효과도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anarization step to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polarizer. Specifically, the method includes a planarizing step of planariz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ing a heating roll after the cleaning and drying step. In the case of applying a heating roll to the polyvinyl alcohol film before the washing and drying step, more specifically, before the drying step, the polyvinyl alcohol orientation may be influenced and the polarization degree may be lowered. There is a drawback.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평탄화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가열롤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닙핑 롤(nipping roll)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izing step further comprises a step of pres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heating roll, using a nipping rol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은 200 Kgf 내지 500 Kgf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평탄화 단계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가열롤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서 닙핑 롤(nipping roll)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은 200 Kgf 내지 500 Kgf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sure applied by the nipping roll is 200 Kgf to 500 Kgf.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izing step further comprises a step of pres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by using a nipping roll on a side opposite to a sid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roll, The pressure applied by the roll is 200 Kgf to 500 Kgf.

상기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은 제조 공정 수행시 설비에서 압력계를 확인하여 그 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pressure applied by the nipping roll can be measured by checking the pressure gauge in the equipmen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닙핑 롤(nipping roll)은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압력을 가하여, 히팅 롤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간의 밀착성을 높여 평탄화 단계 수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수치 범위 내인 경우, 전술한 효과가 효율적으로 나타난다. 도 2에서는 평탄화 단계에서 히팅 롤 및 닙핑 롤이 모두 적용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었다.The nipping roll acts to apply pressure. Specifically,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olyvinyl alcohol film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heating roll and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ereby allowing the planarization step to proceed more efficiently. Whe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nipping roll is within the above numerical range,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efficiently exhibited. FIG. 2 shows a case where both the heating roll and the nipping roll are applied in the flattening step.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편광자 제조방법은 편광자 내에 함유된 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닙핑 롤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물을 제거하는 단계(수절 공정) 이후 건조 과정을 거친 후에 수행된다. 이 때, 상기 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닙핑 롤을 이용할 수 있으나, 평탄화 단계에서 닙핑 롤을 사용하는 것과 그 사용 목적 및 효과가 상이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water contained in the polarizer, and the step of pressing using the nipping roll may include removing the water Process) and then after the drying process. At this time, the step of removing the water may use a nipping roll, but the purpose and effect of using the nipping roll in the planarizing step are different from those of using the nipping rol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가열 롤의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다. 가열 롤의 온도의 따라 편광판의 평활도 개선 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 롤의 온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경우, 편광판의 평활도가 더 효율적으로 교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may be between 60 캜 and 80 캜. The smoothness improvement effect of the polarizer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satisfied the above range, the smoothness of the polarizer was more effectively corrected.

이하, 본 명세서의 편광자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ep of 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염착 단계는 요오드 분자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염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요오드 분자 및/또는 이색성 염료 분자는 편광자의 연신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고, 수직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통과시킴으로써, 특정한 진동 방향을 갖는 편광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착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용액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용액이 담긴 처리욕에 함침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 iodine molecule and / or the dichroic dye molecule absorbs light oscillating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er, and the iodine molecule and / or the dichroic dye molecule absorbs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polarized light having a specific vibration direction. At this time, the dye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impregnat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to a treatment bath containing a solution containing an iodine solution and / or a dichroic dye.

이때, 상기 염착 단계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6 중량부 내지 0.2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연신 이후에 제조된 편광자의 투과도가 40.0% 내지 47.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At this time, water is generally used as a solvent for the solution in the step of saponification, but an appropriate amount of an organic solvent having compatibility with water may be added. On the other hand, the iodine and / or dichroic dye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6 part by weight to 0.25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When the dichroic substance such as iodin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produced after stretching may satisfy the range of 40.0% to 47.0%.

한편,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염착 효율의 개선을 위해 요오드화 화합물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오드화 화합물 등의 보조제를 첨가하는 이유는, 요오드의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물에 대한 요오드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요오드와 요오드화 화합물의 배합 비율은 중량기준으로 1:5 내지 1:10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substance, it is preferable to add an auxiliary agent such as iodide compoun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yeing. The auxiliary agent is added in an amount of 0.3 to 2.5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additive such as the iodide compound is added in order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iodine in water because the solubility of iodine in water is low. On the other hand, the compounding ratio of iodine to iodide is preferably 1: 5 to 1:10 by weight.

상기 추가될 수 있는 요오드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요오드화 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iodide compound that may be added includ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titanium iodide, ,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처리욕의 온도로는 25℃ 내지 40℃ 정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욕의 온도가 25℃ 미만인 경우 염착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40℃를 초과하는 경우 요오드의 승화가 많이 일어나 요오드의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th is preferably maintained at about 25 캜 to 40 캜. If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th is lower than 25 ° C, the efficiency of the dyeing may be lowered.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40 ° C, iodine sublimation may occur to increase the amount of iodine.

이때,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처리욕에 침지하는 시간은 30초 내지 120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시간이 30초 미만일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염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20초를 초과할 경우에는 염착이 포화(saturation)되어 더 이상 침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The time for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in the treatment bath is preferably about 30 to 120 seconds. If the immersion time is less than 30 seconds, the polyvinyl alcohol film may not be uniformly dyed. If the immersion time is longer than 120 seconds, the dyeing is saturat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further immerse the film.

한편, 가교 단계는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가 폴리비닐알코올 고분자 매트릭스에 흡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수용액 등이 담겨있는 가교욕에 침적시켜 수행하는 침적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거나 분사하는 도포법 또는 분무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linking step is a step for allowing the iodine and / or dichroic dye to be adsorbed to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matrix, and a deposition method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or the like is generally u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arried out by a coating method or a spraying method in which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is applied or sprayed onto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이때, 상기 가교욕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가교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교제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내에서 가교가 부족하여 수중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가교가 형성되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연신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although water is generally used as a solvent used in the solution of the crosslinking bath, an appropriate amount of an organic solvent having compatibility with water may be added, and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5 to 5.0 wt. . When the crosslinking ag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5 part by weight, the crosslinking in the polyvinyl alcohol film may be insufficient and the strength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may be lowered in water. When the crosslinking agent is more than 5.0 parts by weight, And the stretching property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lowered. Specific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glyoxal, and glutaraldehyde,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가교욕의 온도는 가교제의 양과 연신비에 따라 다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45℃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가교제의 양이 늘어나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사슬의 유동성(mo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온도조건으로 가교욕의 온도를 조절하며, 가교제의 양이 적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조건으로 가교욕의 온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5배 이상의 연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이기 때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연신성 향상을 위해 가교욕의 온도를 45℃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가교욕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시키는 시간은 30초 내지 120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시간이 30초 미만일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가교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120초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교가 포화(saturation)되어 더 이상 침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stretching ratio,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t is generally preferably 45 ° C to 60 ° C. In general, whe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increased,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is controlled at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chain. Whe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small, Adjust the temperature. However, since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stretching 5 times or more,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should be maintained at 45 ° C or more in order to improve the stretchability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On the other hand, the time for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in the crosslinking bath is preferably about 30 to 120 seconds. If the immersion time is less than 30 seconds, the crosslinking may not be uniformly performed on the polyvinyl alcohol film. If the immersion time is longer than 120 seconds, the crosslinking is saturated and there is no need to further immerse.

한편, 연신 단계에서 연신이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고분자 사슬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신 방법은 습식 연신법과 건식 연신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건식 연신법은 다시 롤간(inter-roll) 연신 방법, 가열 롤(heating roll)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텐터(tenter) 연신 방법 등으로, 습식 연신 방법은 텐터 연신 방법, 롤간 연신 방법 등으로 구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retching in the stretching step is for orienting the polymer chai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certain direction. The stretching method can be classified into a wet stretching method and a dry stretching method. The dry stretching method is also called inter- A heating roll stretching method, a compression stretching method, a tenter stretching method and the like. The wet stretching method is classified into a tenter stretching method and a roll-to-roll stretching method.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연신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건식 연신법의 경우 텐터(tenter) 연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식 연신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습식 연신법으로 수행될 경우, 상기 평탄화 단계에 의한 편광자의 평활도 개선 효과가 더욱 효율적으로 나타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e case of the dry stretch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a tenter stretching method,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perform the wet stretching method. When performed by the wet stretching method, the smoothing degree improvement effect of the polarizer by the planarizing step appears more efficientl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연신 단계는 습식 연신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건조속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폭방향 두께 편차 및 편광자의 평활도가 양호하지 않은 문제는 습식 연신법을 거친 편광자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by a wet stretching method. The problem that the thickness dev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moothness of the polarizer are not good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the above-mentioned drying speed is more frequently seen in the polarizer after wet stretching.

이때, 연신 단계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4배 내지 10배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편광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고분자 사슬을 배향시켜야 하는데, 4배 미만의 연신비에서는 사슬의 배향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10배 초과의 연신비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사슬이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ing step stretches the polyvinyl alcohol film at a stretching ratio of 4 to 10 times. In order to impart a polarization performance to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e polymer chai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ust be oriented. In the stretching ratio of less than 4 times, the chain may not be aligned sufficiently. This is because the vinyl alcohol-based film chain can be cut.

이때, 상기 연신은 45℃ 내지 60℃의 연신온도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온도는 가교제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45℃ 미만의 온도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사슬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연신 효율이 감소될 수 있으며, 60℃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연화되어 강도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연신 단계는 상기 염착단계 또는 가교단계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tretching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45 ° C to 60 ° C. The stretching temperatur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45 ° C, the flowability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hain is lowered and the stretching efficiency may be decreased. Whe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higher than 60 ° C, Is softened and the strength can be weakened. Meanwhile, the stretching step may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with or separately from the step of solidifying or crosslinking.

한편, 상기 연신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기재 필름을 적층한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기재 필름을 함께 연신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후자의 두계가 얇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예를 들면, 60㎛ 이하의 PVA 필름)을 연신하는 경우, 연신 과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10㎛ 이하의 박형 PVA 편광자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y a polyvinyl alcohol film alone, or may be performed by laminating a base film on a polyvinyl alcohol film, followed by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 base film together. When the latter polyvinyl alcohol film (for example, a PVA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탆 or less) is stretched, it is used to prevent the polyvinyl alcohol film from breaking in the stretching process. Can be used to produce thin PVA polarizers.

이때, 상기 기재 필름으로는, 20℃ 내지 85℃ 온도 조건하에서 최대 연신 배율이 5배 이상인 고분자 필름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에스테르계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공압출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가 함유된 공중합체 수지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대 연신 배율은 파단이 발생하기 직전의 연신 배율을 의미한다.The base film may be a polymer film having a maximum draw ratio of 5 times or more at a temperature of 20 ° C to 85 ° C. For example, a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 a polyurethane film, a polypropylene film, a polyolefin film, Based film, a low-density polyethylene film, a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low-density polyethylene coextruded film, a copolymer resin film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in high-density polyethylene, an acrylic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a cellulose film . 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drawing magnification means a drawing magnification immediately before a break occurs.

또한, 상기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적층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물 없이 기재 필름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얹어놓는 방식으로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를 공압출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The method of laminating the base film and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base film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laminated via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may be la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a polyvinyl alcohol film is placed on a base film without any other medium. In addition, the resin forming the base film and the resin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may be pneumatically delivered, or may be carried out by coat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on the base film.

한편, 상기 기재 필름은 연신이 완료된 후에 편광자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할 수도 있으나, 제거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 필름은 후술할 편광자 보호 필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film may be removed from the polarizer after the stretching is completed, but the base film may proceed to the next step without being removed. In this case, the base film can be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r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세정 및 건조 단계를 수행한다.Next,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washed and dried.

상기 세정 및 건조 단계는 편광자에 잔류하는 가교 용액을 세척하고, 편광자의 잔존하는 붕산 및 요오드에 의한 외관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편광자의 세정 및 건조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는 편광자를 세정 롤 및 가열 롤을 통과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cleaning and drying step is performed to clean the crosslinking solution remaining in the polarizer and to correct the external strain caused by residual boric acid and iodine of the polarizer and can be carried out by a cleaning and drying method of a polarizer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cleaning and drying step may be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olarizer is passed through the cleaning roll and the heating roll.

다음으로, 상기 평탄화 단계를 수행한다. 평탄화 단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된다. Next, the planarization step is performed. The description of the leveling step is applied as it i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평탄화 단계 이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층을 구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층은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층일 수도 있고, 휘도향상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층일 수도 있으며,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층과 같은 기능성층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an optical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fter the planarizing step. At this time, the optical layer may be a polymer film such as a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film, or may be a functional film layer such as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or a functional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dhesive layer.

상기 광학층은 후경화 형태의 층일 수 있다.The optical layer may be a post-cured type lay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학층은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향상필름,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층, 접착층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layer may be a protective film, a retardation film,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 hard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열 경화형 접착제 및/또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n adhesive, and may be specifically a thermosetting adhesive and / or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하드코팅층이나 자외선(UV) 경화형 접착제의 경우, 편광자 외관 불량의 빈도가 높아,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hard coating layer or an ultraviolet (UV) curing type adhesive, the frequency of polarizer appearance defects is high and 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iciently applied.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편광자 제조방법은 박형 편광자 제조방법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두께 10㎛ 이하의 편광자 제조방법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may be a thin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specifically, a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with a thickness of 10 탆 or les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또한, 전술한 일 실시상태들에 따른 편광자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자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provides a polariz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편광자는 박형 편광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두께 10㎛ 이하의 편광자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larizer may be a thin polarizer, specifically, a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10 mu m or less.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polarizer.

상기 편광판은 편광도가 우수하며, 단체 투과도 및 편광도의 균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단체 투과도의 경우 기존 편차 ±1% 수준에서 ± 0.5% 이내로 될 수 있으며, 편광도의 경우, 기존 편차 ±0.01% 수준에서 ±0.005%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is excellent in the degree of polarization and high in uniformity of transmittance and degree of polarization. In the case of group transmittance, the deviation can be within ± 0.5% at ± 1% of the original deviation, and the deviation can be reduced from ± 0.01% to ± 0.005%.

상기 편광판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자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구성요소 및 적층순서를 가질 수 있다.The polarizer may have components and stacking sequence known in the art, except for including a polariz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king the polariz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100)의 일면에 보호필름(102)이 접착층 또는 점착층(101)을 통하여 적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보면, 도 4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100)의 일면에 보호필름(102) 필름이 접착층 또는 점착층(101)을 통하여 적층될 수 있고, 편광자의 보호필름이 적층되지 않은 면에 하드코팅층(103)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구성요소 및 적층순서는 도 3 및 도 4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protective film 102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100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101. [ 4, a protective film 102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f a polyvinyl alcohol polarizer 100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101, and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er may be laminated And the hard coating layer 103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However,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olariz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order of lamina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3 and 4. FI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또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술한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 플라즈마 패널 및 유기발광 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may be a liquid crystal panel, a plasma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panel.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device (PD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panel and polarizing plate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larizing plates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예를 들어,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없이 채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yp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passive matrix type panel such as a twisted nematic (TN) type, a super twisted nematic (STN) type, a ferroelectic (F) type or a polymer dispersed (PD) type; An active matrix type panel such as a two terminal or a three terminal; A known panel such as an in-plane switching (IPS) panel and a vertical alignment (VA) panel may be used. Further, the other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types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for example, a color filter substrate or an array substrat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tructures known in this field are not limited Can be employed.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Lt; Example 1 >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 (일본합성사(社) M6000) 60㎛를 상온 수조에 30초간 팽윤 시킨 후 이색성 염료(요오드: 요오드화 칼륨=1:10) 4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연신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침지시켜 염착 처리하였다. 이후, 온도 60℃, 붕산 1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상기 필름을 자유단 연신에 의해 종 방향(MD)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습식 연신하였다. 이 후, 요오드화 칼륨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필름을 침지시켜 보색 처리하였다.After swelling 60 占 퐉 of a polyvinyl alcohol (PVA) film (M6000 manufactured by Japan Synthetic Company) in a room temperature water bath for 30 seconds,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4% by weight of a dichroic dye (iodine: potassium iodide = 1:10)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us obtained was immersed and subjected to a dying treatment. Then, the film was subjected to wet stretching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MD) by free end stretch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60% of boric acid at a temperature of 60 캜. Thereafter, the film wa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5%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to perform complementary treatment.

다음으로, 상기 연신된 필름을 80℃ 오븐에서 60초간 건조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자를 40℃ 가열 롤(heating roll)을 통과시켜 평활도를 개선하였다. 이후, 제조된 편광자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합지시킨 후, 자외선 경화를 실시하여 편광판 샘플을 제조하였다.Next, the stretched film was dried in an oven at 80 DEG C for 60 seconds to prepare a polarizer. The prepared polarizer was passed through a 40 ° C heating roll to improve the smoothness. Thereafter,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prepared polarizer and triacetylcellulose (TAC) film, followed by laminating, followed by ultraviolet curing to prepare a polarizing plate sample.

<실시예 2>&Lt; Example 2 >

연신 및 건조 후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300Kgf인 것인 닙핑 롤을 적용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The stretching and drying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tep of applying a nipping roll having a pressure of 300 Kgf by a nipping roll was carried out.

<실시예 3>&Lt; Example 3 >

연신 및 건조 후 가열 롤의 온도를 80℃로 하고,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300Kgf인 것인 닙핑 롤을 적용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The stretching and drying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was changed to 80 캜 and the pressure applied by the nip roll was 300 Kgf.

<실시예 4><Example 4>

연신 및 건조 후 가열 롤의 온도를 80℃로 하고,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400Kgf인 것인 닙핑 롤을 적용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after stretching and drying was set to 80 캜, and a nipping roll having a pressure of 400 Kgf applied by a nipping roll was applied.

<실시예 5>&Lt; Example 5 >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일본합성사(社), NH-26, Tg=80℃)을 물에 용해시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미쯔비시수지사(社), SG-007, Tg=80℃, 150㎛) 상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두께 10㎛의 폴리비닐알코올계 도막이 형성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Polyvinyl alcohol film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NH-26, Tg = 80 占 폚) was dissolved in water to prepare a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The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was coated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Mitsubishi Suzuki SG-007, Tg = 80 캜, 150 탆) and dried to obtain a polarizer having a polyvinyl alcohol coat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탆 .

상기 편광자를 100℃의 온도에서 일축 자유단 연신에 의해 종 방향(MD)으로 5배의 연신 배율로 건식 연신하였다. 연신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두께는 5㎛ 이었다.The polarizer was dry-drawn at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by uniaxial free-end drawing at a temperature of 100 ° C.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after stretching was 5 占 퐉.

이색성 염료(요오드: 요오드화 칼륨=1:10) 4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연신 처리된 필름을 침치시켜 염착 처리하였다. 이후, 붕산 1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필름을 침지시켜 가교 처리하였다. 이후, 요오드화 칼륨 5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필름을 침지시켜 보색 처리하였다.And the stretched film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4% by weight of a dichroic dye (iodine: potassium iodide = 1: 10). Thereafter, the film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by weight of boric acid and crosslinked. Thereafter, the film was dipp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5%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to perform complementary treatment.

다음으로, 필름을 80℃ 오븐에서 60초간 건조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편광소자에 80℃의 가열롤 및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400kgf인 것인 닙핑 롤을 통과시켜 최종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자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픔을 자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경화 후 TAC 필름과 PVA 필름을 박리하여 최종 편광판을 제조하였다.Next, the film was dried in an oven at 80 DEG C for 60 seconds to prepare a polarizer. The polarizing element was passed through a nip roll having a pressure of 400 kgf applied by a heating roll at 80 ° C and a nip roll to produce a final polarizer. The prepared polarizer and triacetylcellulose (TAC) film were laminated using a UV-curable adhesive, and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fter curing, the TAC film and the PVA film were peeled off to produce a final polarizing plate.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연신 및 건조 후 가열 롤의 온도를 2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Excep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after stretching and drying was changed to 25 占 폚.

<비교예 2>&Lt; Comparative Example 2 &

건조 단계 수행 이전에 가열 롤의 온도를 40℃로 하고,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300Kgf인 것인 닙핑 롤을 적용하는 단계를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The procedure of Example 1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was changed to 40 캜 and the pressure applied by the nip roll was 300 Kgf before the drying step.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를 정리하여 하기 표 1로 나타내었다.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are collectively shown in Table 1 below.

평탄화 단계 수행 시점When the planarization step is performed 가열 롤
의 온도
(℃)
Heating roll
Temperature
(° C)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The pressure exerted by the nipping roll 두께 편차Thickness deviation 거칠기
(Ra)
asperity
(Ra)
라인성 불량수Number of line defective 편광자 두께Polarizer thickness Ts
(%)
Ts
(%)
PE
(%)
PE
(%)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편광자 건조 후After Polarizer Drying 25
25
00 1㎛1 탆 353nm353 nm 44 22㎛22 탆 42.642.6 99.999.9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편광자 건조 전Before polarizer drying 4040 300Kgf300Kgf 1㎛1 탆 470nm470 nm 55 22㎛22 탆 43.143.1 99.599.5 실시예 1Example 1 편광자 건조 후After Polarizer Drying 4040 00 0.6㎛0.6 탆 403nm403 nm 44 22㎛22 탆 42.642.6 99.999.9 실시예 2Example 2 편광자 건조 후After Polarizer Drying 4040 300Kgf300Kgf 0.6㎛0.6 탆 83nm83nm 22 22㎛22 탆 42.642.6 99.999.9 실시예 3Example 3 편광자 건조 후After Polarizer Drying 8080 300Kgf300Kgf 0.5㎛0.5 탆 53nm53nm 00 22㎛22 탆 42.542.5 99.999.9 실시예 4Example 4 편광자 건조 후After Polarizer Drying 8080 400Kgf400Kgf 0.5㎛0.5 탆 45nm45nm 00 15㎛15 탆 42.242.2 99.999.9 실시예 5Example 5 편광자 건조 후After Polarizer Drying 8080 400Kgf400Kgf 0.4㎛0.4 탆 43nm43 nm 00 5㎛5 탆 42.542.5 99.999.9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편광자는 평활도가 개선되어 불량률이 낮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5를 비교하면, 히팅 롤의 온도 및/또는 닙핑 롤의 압력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평활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와 실시예 1 내지 5를 비교하면,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평탄화 단계를 수행하여야 평활도 개선 효과가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the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mproved smoothness and a low defect rate. Specifical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and / or the pressure of the nipping roll satisfy the numerical value ran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ison of Comparative Example 1 with Examples 1 to 5 shows that the smoothness improving effect is excellent Comparing Comparative Example 2 with Examples 1 to 5, it can be seen that the smoothness improving effect is effectively exhibited by performing the planarization step after the cleaning and drying steps.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 내지 5를 비교하면, 히팅 롤과 닙핑 롤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평활도 개선 효과가 극대화됨을 알 수 있다.In comparison between Example 1 and Examples 2 to 5, it is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smoothness is maximized when the heating roll and the nipping roll are simultaneously applied.

한편, 실시예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광자는 박형 편광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에 5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는 두께가 약 5㎛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Example 5, the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 thin polarizer. Specifically, the polarizer included in the polarizing plate produced according to Embodiment 5 has a thickness of about 5 탆.

100: 편광자
101: 접착층 또는 점착층
102: 보호필름
103: 하드코팅층
100: Polarizer
101: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102: protective film
103: Hard coating layer

Claims (9)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의 염료를 염착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상기 염료를 가교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 이후에 가열 롤(heating roll)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롤의 온도는 40℃ 내지 80℃인 것인 편광자 제조방법.
Dyes at least one dye of iodine and dichroic dye onto an un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rosslink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the dye;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ashing and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And planariz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ing a heating roll after the cleaning and drying step,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roll is 40 占 폚 to 80 占 폚.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하는 단계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가열 롤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서 닙핑 롤(nipping roll)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narizing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es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ing a nipping rol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contacting the heating rol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닙핑 롤에 의하여 상기 닙핑 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이 200 Kgf 내지 500 K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제조방법.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nip roll by the nip roll is 200 Kgf to 500 Kg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신 단계가 습식 연신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etching step is performed by a wet stretching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단계 이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층을 구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n optical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fter the planarizing step.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향상필름,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층, 접착층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제조방법.The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ptical layer is a protective film, a retardation film,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 hard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or a combination thereof.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편광자.A polarizer produc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청구항 7에 따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A polarizer comprising a polarizer according to claim 7.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청구항 8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isplay panel; And
And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8 attach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KR1020140147792A 2014-10-28 2014-10-28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748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92A KR101748010B1 (en) 2014-10-28 2014-10-28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792A KR101748010B1 (en) 2014-10-28 2014-10-28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943A true KR20160049943A (en) 2016-05-10
KR101748010B1 KR101748010B1 (en) 2017-06-15

Family

ID=5602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792A KR101748010B1 (en) 2014-10-28 2014-10-28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0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4318A (en) * 2016-08-03 2019-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Stacked fil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193A (en) 2008-04-14 2009-11-05 Japan Steel Works Ltd: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JP2012047799A (en) * 2010-08-24 2012-03-08 Nitto Denko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JP6462199B2 (en) * 2012-12-04 2019-01-30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4318A (en) * 2016-08-03 2019-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Stack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010B1 (en)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133B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914355B2 (e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JP6914356B2 (en)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JP6953496B2 (en)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CN108351454B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9040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00102292A (en) Preparing method for polarizer,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20170052991A (en) Polariz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18041113A (en) Polarizer,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KR20100102291A (en) Preparing method for thin polarizer, thi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613596B1 (en) Polarizer, prepa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74801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768754B1 (en) Preparing method for polarizer,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KR101632473B1 (en) Preparing method for polarizer,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JP671259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KR101998094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polarizer,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KR102367035B1 (en) Coating method of high-viscosity coating liquid
KR101997662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polarizer,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polariz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KR101749381B1 (en) Preparing method for polarizer and polarizer produced using the same
KR10195678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KR20170006855A (en) Preparing method for polarizer
TW20240104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TWI669540B (en)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106121A (en)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20150112477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