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591A -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591A
KR20160049591A KR1020140146140A KR20140146140A KR20160049591A KR 20160049591 A KR20160049591 A KR 20160049591A KR 1020140146140 A KR1020140146140 A KR 1020140146140A KR 20140146140 A KR20140146140 A KR 20140146140A KR 20160049591 A KR20160049591 A KR 20160049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otation preventing
preventing member
rotation
wor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910B1 (ko
Inventor
고용범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10B1/ko
Priority to CN201520839523.5U priority patent/CN205087002U/zh
Publication of KR2016004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는: 하우징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웜샤프트 조립체가 설치되는 샤프트설치부와, 샤프트설치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러그설치부와, 플러그설치부에 설치되고, 웜샤프트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플러그부재와, 웜샤프트 조립체의 베어링과 플러그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플러그설치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출부에 걸려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방지부재와, 플러그부재와 회전방지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PLUG ASSEMBLY I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웜샤프트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속 센서 및 조향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 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하고, 고속 운행 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하며, 비상 상황에서는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하는 전동 스티어링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 스티어링 장치는 펌프에서 유압을 형성하여 파워를 어시스트(assist)하는 EHPS(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 시스템과, 모터의 회전력으로 조향 파워를 어시스트하는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MDPS 시스템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연결된 웜샤프트(worm shaft)가 스티어링샤프트(steering shaft)와 연결되어 있는 웜휠(worm wheel)을 회전시켜 조향력을 어시스트하게 된다. MDPS는 핸들축 중간부의 컬럼을 회전시키게 되는 C-MDPS(column-MDPS) 방식과, 핸들축 단부의 피니언 기어를 돌리는 P-MDPS(pinion-MDPS)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터의 회전력을 웜샤프트를 통해 웜휠측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웜휠의 반력에 의해 웜샤프트가 모터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러한 웜샤프트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를 설치하고 있다. 통상 플러그는 하우징의 내면부에 나사체결하는 것에 의해 그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웜샤프트에 걸리는 반복적인 축방향 하중에 의해 플러그의 나사체결이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웜샤프트는 강철(steel) 소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은 알루미늄(aluminum)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품간의 열팽창 차이 또한 플러그의 체결이 풀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C-MDPS는 차량의 실내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나, 특히 P-MDPS는 엔진과 근접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어 125℃에 달하는 온도환경에 노출되므로, 열팽창 차이로 인한 플러그 풀림 현상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플러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하고자 플러그의 나사체결부에 고형 본드를 도포하여 하우징에 조립하고 있다. 그러나 플러그를 조립한 후에는, 플러그뿐만 아니라 플러그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MDPS 구성품의 대부분을 하우징으로부터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MDPS 완성품의 성능 시험 시, 그 성능이 기준에 미달되는 경우, 성능 미달의 요인이 되는 일부 구성품만을 교체하거나, 조립 공정상의 오차, 실수, 장비 오작동 등을 보완하기 위해 재조립하고자 하더라도, 하우징으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MDPS 구성품의 대부분을 그대로 폐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5087호(2009.04.09.공개, 발명의 명칭 : 블러그 볼트 일체형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조향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풀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 시에는 하우징으로부터 손상 없이 분해할 수 있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는: 하우징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웜샤프트 조립체가 설치되는 샤프트설치부; 상기 샤프트설치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러그설치부; 상기 플러그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웜샤프트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플러그부재; 상기 웜샤프트 조립체의 베어링과 상기 플러그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설치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출부에 걸려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방지부재; 및 상기 플러그부재와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설치부는, 상기 샤프트설치부의 베어링삽입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재삽입부; 상기 베어링삽입부와 상기 회전방지부재삽입부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하며, 상기 회전방지돌출부가 상기 회전방지부재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재받침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재삽입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재가 설치되는 플러그부재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플러그설치부에 삽입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웜샤프트 조립체의 커플러가 관통되는 간섭방지홀부; 및 상기 본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출부가 삽입되며, 내면부가 상기 회전방지돌출부와 접하여 이동이 구속되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홀부는, 상기 회전방지돌출부와 접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출부와 이격되는 조립용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플러그부재에 형성된 관통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체결되는 체결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재는, 상기 플러그설치부의 내면부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하는 플러그본체부; 및 상기 플러그본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에 의하면, 회전방지부재를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방지돌출부에 걸리도록 설치하고, 플러그부재를 하우징에 나사체결한 후, 연결부재를 회전방지부재와 플러그부재를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플러그부재의 회전을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방지부재 및 연결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부재의 회전이 원천적으로 구속되므로, 웜샤프트에 걸리는 반복적인 축방향 하중,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열팽창 차이 등으로 인해 플러그부재와 하우징간의 나사체결이 풀리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 시에는 연결부재를 회전방지부재와 플러그부재로부터 분리시킨 후, 플러그부재의 나사체결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 손상 없이 이탈시킬 수 있고, 플러그부재에 의해 그 이동이 구속되는 하우징 내부의 구성품 또한 손상 없이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 플러그부재, 회전방지부재를 순차적으로 해제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어, 기존에 플러그부재에 고형 본드를 도포하여 하우징에 조립하던 경우, 하우징의 외부로 구성품을 이탈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불량 발생 시 구성품 대부분을 그대로 폐기하던 것과 비교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부 구성품을 교체하거나 재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원가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의 회전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에 체결홀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의 회전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에 체결홀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1)의 플러그 조립체(9)는 샤프트설치부(10), 플러그설치부(20), 회전방지부재(30), 플러그부재(40), 연결부재(50)를 포함한다.
샤프트설치부(10)는 웜샤프트 조립체(4)가 설치되는 중공의 공간부로, 하우징(2)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샤프트설치부(10)는 하우징(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단부를 통해 웜샤프트 조립체(4)의 유입,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웜샤프트 조립체(4)는 웜샤프트(5), 베어링(6), 커플러(7)를 포함하고, 모터(5)의 회전력을 웜휠(8)측으로 감속하여 전달한다.
베어링(6)은 웜샤프트(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품이다. 베어링(6)으로는 댐핑부시베어링을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웜샤프트(5)의 단부는 커플러(7)와 동축상에 연결되고, 베어링(6)은 커플러(7)의 둘레에 설치된 상태로, 커플러(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의해 웜샤프트(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커플러(7)는 웜샤프트(5)를 모터(3)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하는 부품이다. 커플러(7)의 일측부는 웜샤프트(5)와 연결되고, 타측부는 모터(3)의 회전축에 설치된 모터커플러와 맞물린다. 모터(3)의 회전 구동 시, 모터(3)의 회전력은 커플러(7)를 통해 웜샤프트(5)로 전달된다.
플러그설치부(20)는 회전방지부재(30)와 플러그부재(40)가 설치되는 중공의 공간부로, 샤프트설치부(10)의 단부에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설치부(20)는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 회전방지돌출부(23), 플러그부재삽입부(24)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는 회전방지부재(30)가 설치되는 중공의 공간부로, 샤프트설치부(10) 중 베어링(6)이 설치되는 공간부인 베어링삽입부(13)와 이웃하여 형성된다. 회전방지부재(30)는 베어링(6)보다 확장된 직경을 가지며, 회전방지부재(30)는 회전방지부재(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진다. 즉,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는 샤프트설치부(10)의 베어링삽입부(13)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는 베어링삽입부(13)와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링 형상의 측벽을 이루게 된다. 회전방지부재(30)는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에 설치된 상태에서 그 일측면이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와 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회전방지부재(30) 중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와 접하는 일측을 내측, 플러그부재(40)와 접하는 타측을 외측이라 칭하기로 한다.
회전방지돌출부(23)는 회전방지부재(30)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상에 회전방지부재(3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는 회전방지부재(30)와 접하며, 회전방지돌출부(23)가 회전방지부재(30)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회전방지부재(30)는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에 걸려 그 내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회전방지돌출부(23)에 걸려 그 회전이 구속된다.
플러그부재삽입부(24)는 플러그부재(40)가 설치되는 중공의 공간부로,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와 이웃하여 형성된다. 플러그부재삽입부(24)는 회전방지부재(30)가 플러그부재삽입부(24)를 통과하여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회전방지부재(30)와 동일하거나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회전방지부재(30)는 플러그부재(4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부품으로, 연결부재(50)에 의해 플러그부재(40)와 연결된다. 회전방지부재(30)는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에 설치되어 베어링(6)과 플러그부재(4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방지돌출부(23)에 걸려 그 회전이 구속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부재(30)는 본체부(31), 간섭방지홀부(32), 걸림홀부(33)를 포함한다.
본체부(31)는 링 형상을 가지고 플러그설치부(20)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조립체(9)가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부(31)의 내측면은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와 접하게 되고, 그 외측면은 플러그부재(40)와 접하게 된다.
간섭방지홀부(32)는 회전방지부재(30)를 설치함에 있어서, 웜샤프트 조립체(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중공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간섭방지홀부(32)는 회전방지부재(30)의 중앙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본체부(31)의 내경부를 형성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샤프트 조립체(4)가 샤프트설치부(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방지부재(30)를 설치 시, 커플러(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방지홀부(32)를 관통하게 된다.
걸림홀부(33)는 회전방지돌출부(23)가 끼워지는 부분으로, 본체부(31)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홀부(33)는 복수개가 본체부(31)의 둘레를 따라 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회전방지돌출부(23) 또한 걸림홀부(33)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회전방지부재(30)는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에 설치됨에 있어서, 회전방지돌출부(23)가 걸림홀부(33)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걸림홀부(33)의 내면부는 회전방지돌출부(23)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에서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방지부재(30)에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회전방지돌출부(23)에 걸려 그 회전이 구속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홀부(33)는 걸림부(34)와 조립용이부(35)를 포함하여, 단부측으로 갈수록 원주 방향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진다.
걸림부(34)는 회전방지돌출부(23)와 접하도록 회전방지돌출부(23)에 대응되는 너비, 예를 들어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부분이다. 걸림부(34)의 시계 방향 단부와 반시계 방향 단부는 각각 회전방지돌출부(23)와 접하게 된다.
조립용이부(35)는 걸림홀부(33)에 회전방지돌출부(23)가 끼워지도록 조립함에 있어서, 회전방지돌출부(23) 및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의 내면부와의 마찰 접촉 면적을 보다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회전방지부재(30)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회전방지돌출부(23)가 반경 방향으로 동일한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조립용이부(35)는 걸림부(34)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걸림부(34)의 반경방향 외측부에 걸림부(34)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홀부(33)를 회전방지돌출부(23)에 조립 시, 걸림홀부(33) 중 걸림부(34)는 회전방지돌출부(23)와 양단부가 접하게 되고, 조립용이부(35)는 회전방지돌출부(23)로부터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홀부(33)는 걸림부(34)와 조립용이부(35)를 포함하여 단부측으로 갈수록 원주 방향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걸림홀부(3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방지돌출부(23)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회전방지돌출부(23)와 암수 조립되어 회전방지부재(3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부(31)의 직경이 플러그설치부(20)의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플러그설치부(20)의 내면부에 본체부(31)의 외경부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방지부재(30)는 반경 방향 이동이 구속되어 웜샤프트 조립체(4)와 동축상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부재(30)의 반경 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것은, 걸림홀부(33)를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반경 방향을 포함하는 3방향에서 회전방지돌출부(23)와 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체결홀부(36)는 볼트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50)의 단부가 나사체결되는 부분이다. 회전방지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부(36)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 회전방지부재삽입부(21)상에 삽입 설치된다. 이후, 플러그부재(40)를 플러그삽입부(24)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핑 머신(tapping machine) 등의 장비를 이용해 플러그부재(40)상에 형성된 관통홀부(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부(36)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결홀부(36)는 플러그부재(40)에 형성된 관통홀부(4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플러그부재(40)는 플러그설치부(20)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웜샤프트 조립체(4)와 회전방지부재(30)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부품이다. 플러그부재(40)는 플러그설치부(20)의 내면부에 나사체결된다. 플러그부재(40)는 회전방지부재(30)가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에 밀착되는 깊이까지 플러그설치부(20)상에 나사체결된다.
이때, 회전방지부재(30)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각각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와 플러그부재(40)에 접한 상태로 그 축방향 유동이 구속되며, 회전방지부재받침부(22)와 접하지 않는 내측면의 일부는 웜샤프트 조립체(4)의 베어링(6)과 접하게 된다. 이러한 웜샤프트 조립체(4), 회전방지부재(30), 플러그부재(40)간의 접촉 구조에 의해 웜샤프트 조립체(4)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재(40)는 플러그본체부(41)와 관통홀부(42)를 포함한다.
플러그본체부(41)는 링 형상을 가지고 플러그삽입부(24)의 내면부에 나사체결된다. 관통홀부(42)는 연결부재(50)에 의해 회전방지부재(3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플러그본체부(4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관통홀부(42)는 연결부재(50)의 몸체부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된다.
연결부재(50)는 플러그부재(40)와 회전방지부재(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에 의해 플러그부재(40)와 회전방지부재(30)를 상호 연결하는 부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50)는 헤드부를 가지고, 몸체부의 외주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의 형상을 가진다.
연결부재(50)는 플러그부재(40)에 형성된 관통홀부(42)를 관통하여 회전방지부재(30)에 형성된 체결홀부(36)에 나사체결된다. 플러그부재(40)는 연결부재(50)에 의해, 회전방지돌출부(23)에 걸려 회전이 구속된 상태의 회전방지부재(30)와 연결됨에 따라, 그 회전이 구속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삽입부(24)상에 나사체결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50)는 볼트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5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순한 막대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플러그부재(40)와 회전방지부재(3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1)의 플러그 조립체(9)에 의하면, 회전방지부재(30)를 하우징(2)에 형성된 회전방지돌출부(23)에 걸리도록 설치하고, 플러그부재(40)를 하우징(2)에 나사체결한 후, 연결부재(50)를 회전방지부재(30)와 플러그부재(40)를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플러그부재(40)의 회전을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방지부재(30) 및 연결부재(50)와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부재(40)의 회전이 원천적으로 구속되므로, 웜샤프트(5)에 걸리는 반복적인 축방향 하중,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열팽창 차이 등으로 인해 플러그부재(40)와 하우징(2)간의 나사체결이 풀리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 시에는 연결부재(50)를 회전방지부재(30)와 플러그부재(40)로부터 분리시킨 후, 플러그부재(40)의 나사체결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부재(40)를 하우징(2)으로부터 손상 없이 이탈시킬 수 있고, 플러그부재(40)에 의해 그 이동이 구속되는 하우징(2) 내부의 구성품 또한 손상 없이 하우징(2)의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재(50), 플러그부재(40), 회전방지부재(30)를 순차적으로 해제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2)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어, 기존에 플러그부재(40)에 고형 본드를 도포하여 하우징(2)에 조립하던 경우, 하우징(2)의 외부로 구성품을 이탈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불량 발생 시 구성품 대부분을 그대로 폐기하던 것과 비교해,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부 구성품을 교체하거나 재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원가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 2 : 하우징
3 : 모터 4 : 웜샤프트 조립체
5 : 웜샤프트 6 : 베어링
7 : 커플러 8 : 웜휠
9 : 플러그 조립체 10 : 샤프트설치부
13 : 베어링삽입부 20 : 플러그설치부
21 : 회전방지부재삽입부 22 : 회전방지부재받침부
23 : 회전방지돌출부 24 : 플러그부재삽입부
30 : 회전방지부재 31 : 본체부
32 : 간섭방지홀부 33 : 걸림홀부
34 : 걸림부 35 : 조립용이부
36 : 체결홀부 40 : 플러그부재
41 : 플러그본체부 42 : 관통홀부
50 : 연결부재

Claims (6)

  1. 하우징상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웜샤프트 조립체가 설치되는 샤프트설치부;
    상기 샤프트설치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러그설치부;
    상기 플러그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웜샤프트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플러그부재;
    상기 웜샤프트 조립체의 베어링과 상기 플러그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설치부에 형성된 회전방지돌출부에 걸려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방지부재; 및
    상기 플러그부재와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설치부는,
    상기 샤프트설치부의 베어링삽입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재삽입부;
    상기 베어링삽입부와 상기 회전방지부재삽입부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하며, 상기 회전방지돌출부가 상기 회전방지부재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재받침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재삽입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재가 설치되는 플러그부재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플러그설치부에 삽입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웜샤프트 조립체의 커플러가 관통되는 간섭방지홀부; 및
    상기 본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출부가 삽입되며, 내면부가 상기 회전방지돌출부와 접하여 이동이 구속되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부는,
    상기 회전방지돌출부와 접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상기 걸림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출부와 이격되는 조립용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플러그부재에 형성된 관통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체결되는 체결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재는,
    상기 플러그설치부의 내면부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와 접하는 플러그본체부; 및
    상기 플러그본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KR1020140146140A 2014-10-27 2014-10-27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KR10214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40A KR102149910B1 (ko) 2014-10-27 2014-10-27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CN201520839523.5U CN205087002U (zh) 2014-10-27 2015-10-27 车辆用电动转向装置的塞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40A KR102149910B1 (ko) 2014-10-27 2014-10-27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591A true KR20160049591A (ko) 2016-05-10
KR102149910B1 KR102149910B1 (ko) 2020-09-01

Family

ID=5547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140A KR102149910B1 (ko) 2014-10-27 2014-10-27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9910B1 (ko)
CN (1) CN2050870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462A (zh) * 2020-11-05 2022-05-06 操纵技术Ip控股公司 线性蜗杆和蜗轮组件
CN114435462B (zh) * 2020-11-05 2024-05-24 操纵技术Ip控股公司 线性蜗杆和蜗轮组件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3313A1 (en) * 1998-10-17 2000-04-27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ing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s
JP2003028153A (ja) * 2001-07-18 2003-01-29 Koyo Seiko Co Ltd 電動式動力舵取装置
KR20040068650A (ko) * 2003-01-27 2004-08-02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웜축 유격흡수구조
KR20110096816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30004628A (ko) * 2011-07-04 2013-01-14 남양공업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용 웜샤프트 댐퍼구조체
JP2013091345A (ja) * 2011-10-24 2013-05-16 Show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83324A (ko) * 2012-01-12 2013-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WO2014087080A2 (fr) * 2012-12-03 2014-06-12 Jtekt Europe Réducteur à engrenage avec bouchon d'étanchéité assurant le maintien axial d'un ressort de rattrapage du jeu d'engrènement
KR101423949B1 (ko) * 2013-09-02 2014-08-0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3313A1 (en) * 1998-10-17 2000-04-27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ing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s
JP2003028153A (ja) * 2001-07-18 2003-01-29 Koyo Seiko Co Ltd 電動式動力舵取装置
KR20040068650A (ko) * 2003-01-27 2004-08-02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웜축 유격흡수구조
KR20110096816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30004628A (ko) * 2011-07-04 2013-01-14 남양공업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용 웜샤프트 댐퍼구조체
JP2013091345A (ja) * 2011-10-24 2013-05-16 Showa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83324A (ko) * 2012-01-12 2013-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WO2014087080A2 (fr) * 2012-12-03 2014-06-12 Jtekt Europe Réducteur à engrenage avec bouchon d'étanchéité assurant le maintien axial d'un ressort de rattrapage du jeu d'engrènement
KR101423949B1 (ko) * 2013-09-02 2014-08-0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462A (zh) * 2020-11-05 2022-05-06 操纵技术Ip控股公司 线性蜗杆和蜗轮组件
CN114435462B (zh) * 2020-11-05 2024-05-24 操纵技术Ip控股公司 线性蜗杆和蜗轮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087002U (zh) 2016-03-16
KR102149910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75368A1 (en) Steering apparatus
CN111776067B (zh) 扭矩传感器模块和包括该扭矩传感器模块的转向角度感测装置
JPWO2010116537A1 (ja) シャフト結合構造
US20180065656A1 (en) Damping coupler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apparatus
EP2562438B1 (en) Shaft coupling structure and steering system
JP5213646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WO2012137720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EP3318467A1 (en) Steering system
US10196082B2 (en) Power steering apparatus
US9096258B2 (en) Gearbox assembly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s
US20120043156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978322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594854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323994B2 (en) Torque Sensors
EP3214340A1 (en) Worm reducer and electrically driven assist device
KR20160049591A (ko)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플러그 조립체
CN108284870B (zh) 用于车辆的转向柱
JP201422704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601379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494020B2 (en) Power steering for a vehicle
KR20130034711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결합 구조체
KR102577631B1 (ko) 회전부재와 하우징의 결합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96575B1 (ko)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 결합장치
CN208165092U (zh) 转向器输入端的安装结构总成、转向器总成及车辆
KR100848488B1 (ko)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