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516A -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516A
KR20160049516A KR1020160046336A KR20160046336A KR20160049516A KR 20160049516 A KR20160049516 A KR 20160049516A KR 1020160046336 A KR1020160046336 A KR 1020160046336A KR 20160046336 A KR20160046336 A KR 20160046336A KR 20160049516 A KR20160049516 A KR 20160049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ub
user
provid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037B1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0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30/0256User sear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06Q30/0275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온라인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서브 컨텐츠를 계속 제공하도록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또는 제공하는 중간에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브 컨텐츠 제공 단계;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시작한 후 소정의 제1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단계; 사용자가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나머지 부분까지 계속 제공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사용자 선택 단계; 및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을 개시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contents while providing online contents}
본 발명은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온라인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혹은 제공하는 중간에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서브 컨텐츠를 계속 제공하도록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PC)나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크게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들도 다양한 종류 및 내용의 컨텐츠를 제공하며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그런데, 많은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 업체들은 사용자가 별도의 비용 지불 없이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컨텐츠의 제공에 앞서 소정의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를 지급받는 방식의 수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들은 컨텐츠에 앞서 삽입되는 광고를 시청해야만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제공에 앞서 삽입되는 광고를 시청하지 않고 스킵(skip)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다수 시도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5890호(2007. 5. 31. 공개)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시청 여부에 따라서 DMB에서의 광고 방송을 스킵(skip)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유튜브(YouTube) 등의 컨텐츠 제공 업체에서도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동영상 광고를 삽입하면서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광고를 더 이상 시청하지 않고 스킵(skip)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여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서는 각각 유튜브(YouTube)에서의 메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영상 재생 화면 및 광고 영상 재상 중 스킵(skip) 버튼 노출 화면을 보여 주고 있다. 유튜브(YouTube)에서는 도 1의 광고 영상을 약 5초간 보여준 후 도2에서와 같이 스킵(skip) 버튼을 노출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스킵(skip)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광고 영상의 재생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위와 같이 사용자가 광고를 스킵(skip)하는 경우 광고주에게 과금(billing)을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허수의 광고 시청을 일정 부분 배제하여 과금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광고 영상을 멈추고 메인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할 때 매번 스킵(skip) 버튼을 클릭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또한 상기 과금 모델은 스킵(skip) 버튼을 누르지 않은 사용자는 모두 관심있는 사용자로 판별하는 네거티브(negative) 방식으로, 검색 광고(Search Advertisement) 또는 디스플레이 광고(Display Advertisement) 등 대부분의 광고에서 사용자가 관심 컨텐츠를 직접 클릭하도록 하여 산정하는 클릭률(Click Through Ratio, CTR) 등 포지티브(positive) 방식을 사용하여 과금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그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당장 제공받는 것은 꺼리지만 차후에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시켜줄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에게 무작위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서브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등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보다 적절한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다양한 길이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메인 컨텐츠의 길이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로 서브 컨텐츠의 길이를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시청하는 비율이 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광고 과금 비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킵(skip) 버튼을 매번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고, 광고주에게는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광고비를 과금할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킵(skip) 버튼을 매번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고, 광고주에게는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광고비를 과금할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당장 제공받는 것은 꺼리지만 차후에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서브 컨텐츠를 나중에 제공받을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무작위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서브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등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절한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브 컨텐츠의 길이나 종류를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거나, 메인 컨텐츠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또는 제공하는 중간에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브 컨텐츠 제공 단계;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시작한 후 소정의 제1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단계; 사용자가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나머지 부분까지 계속 제공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사용자 선택 단계; 및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컨텐츠 제공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브 컨텐츠를 선정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제공받은 서브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선택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가 지속되는 제2 시간은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 또는 서브 컨텐츠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컨텐츠를 나중에 볼 수 있도록 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때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공 중간에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삽입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때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공이 끝난 후에 상기 서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또는 제공하는 중간에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브 컨텐츠 제공 단계;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컨텐츠 제공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브 컨텐츠의 길이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 또는 중요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컨텐츠의 중요도를 산정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텐츠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에 대한 제공 회수 또는 소정의 사용자의 평가 점수, 소정의 사용자에 대한 유사 컨텐츠에 대한 제공 회수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서브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부로 전달하는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로 상기 컨텐츠 제공부로 전달할 서브 컨텐츠의 내역을 전달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로부터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마지막까지 제공받은 내역을 전달받아, 서브 컨텐츠 입찰자의 입찰 내역을 고려하여 실제 서브 컨텐츠 입찰자에 대한 과금액을 산정하는 구매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또는 제공하는 중간에 상기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마지막까지 계속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또는 제공하는 중간에 상기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마지막까지 계속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서브 컨텐츠를 계속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킵(skip) 버튼을 누르는 등 소정의 액션을 매번 취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고, 서브 컨텐츠 제공자에게는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비용을 과금할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나중에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인 컨텐츠를 제공받은 후 관심이 있는 서브 컨텐츠를 다시 제공받는 등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광고 과금 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브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다음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브 컨텐츠를 선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고, 또한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는 비율을 높여 광고 과금 비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브 컨텐츠의 길이나 종류를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거나, 메인 컨텐츠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는 비율을 높여 광고 과금 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영상 재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영상 재생 중 스킵(skip) 버튼 노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영상 재생 중 광고 이어보기 버튼 노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영상 재생 중 광고 나중에 보기 버튼 노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영상의 길이 선택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광고 컨텐츠를 삽입하면서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광고 컨텐츠를 더 이상 시청하지 않고 스킵(skip)할 수 있는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중단하고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받을 때 마다 매번 스킵(skip) 버튼을 클릭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또한 상기 스킵(skip) 버튼을 누르지 않은 사용자 모두에 대하여 과금하는 네거티브(negative) 방식의 경우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서브 컨텐츠를 계속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킵(skip) 버튼을 매번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고, 서브 컨텐츠 제공자에게는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비용을 과금할 수 있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영상 재생 중 광고 이어보기 버튼 노출 화면의 예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을 도 2와 비교하여 보면, 도 2의 경우에는 광고 이어보기 버튼이 아니라, 스킵(skip) 버튼(보다 정확하게는 Skip Ad>> 버튼)을 노출시키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킵(skip)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만 광고 영상의 재생을 멈추고 메인 컨텐츠의 제공을 시작하게 되는 반면, 도 3의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3초의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사용자가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광고 영상의 재생을 멈추고 메인 컨텐츠의 제공을 시작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반드시 메인 컨텐츠의 제공 전에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메인 컨텐츠의 제공 중간에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또는 메인 컨텐츠의 제공 전에 광고 영상 뿐만 아니라 메인 컨텐츠의 예고 컨텐츠나 기타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별한 기술적 어려움이 없이 적용이 가능하므로 자세하게 다루지는 아니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동작 메커니즘을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도 4의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검토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410),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노출시키는 단계(S420), 소정의 시간 내에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클릭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430),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클릭한 경우 광고 영상을 마지막까지 계속 제공(S440a)하고,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클릭하지 않은 경우 광고 영상의 제공을 중단(S440b)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S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사용자에게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410)에 대하여 검토한다.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에게 광고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광고 영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을 수반하지 않더라도 음성이나 소리 광고 등 광고 컨텐츠도 가능하고, 나아가 메인 컨텐츠에 대한 예고 동영상 등의 관련 컨텐츠 등 다양한 서브 컨텐츠가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통상 개인용 컴퓨터(PC)나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 등 개인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겠으나, 이외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산 기기나 공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등,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마찬가지로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의 전송 방식에 있어서도, 스트리밍(streaming) 등 광고 컨텐츠를 적절하게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본 단계(S4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컨텐츠를 선정함에 있어서는, 다수의 광고 컨텐츠 중 무작위(random)로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제공받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에게 특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좋아요/싫어요 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사용자에게 영화 관련 광고를 제공하면서 좋아요/싫어요 버튼을 노출시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이를 다음 광고 컨텐츠의 선정에 반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사용자에게 소정의 영화 관련 광고를 제공한 후(S510),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좋아요/싫어요 버튼을 노출시키고(S520),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S530의 예), 좋아요/싫어요 버튼 중 어느 버튼을 클릭했는지를 판단(S540)하여, 사용자가 좋아요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는 다음 광고 노출시에 영화 관련 광고를 다시 노출(S550a)시키도록 하고, 사용자가 싫어요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는 다음 광고 노출시에 영화 관련 광고를 제외(S550b)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별로 보다 적절한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시청 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좋아요/싫어요 버튼을 노출시키는 방법 외에, 사용자가 이전의 광고 컨텐츠에 대하여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클릭한 경우와 클릭하지 않은 경우의 내역을 바탕으로 각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노출시키는 단계(S420)에 대하여 검토한다. 광고 영상의 재생이 시작된 후 소정이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광고 영상이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재생되면 사용자는 그 내용을 파악하고, 상기 광고 영상의 나머지 부분을 시청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고 영상의 재생이 시작된 후 적절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노출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누르는지 여부를 살펴, 광고 영상의 재생을 계속할지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어보기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버튼 외에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과 함께 소정의 안내 또는 광고 문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초 후 본 광고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라는 안내 문구라던가, 혹은 현재 재생되고 있는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추가 광고 문구 등을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사용자가 현재 재생되고 있는 광고 영상을 보고 싶기는 하나, 먼저 메인 컨텐츠를 보기를 원하는 경우,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나중에 다시 볼 수 있는 광고 나중에 보기 버튼을 추가로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광고 나중에 보기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바로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광고 나중에 보기 버튼도 반드시 버튼의 형식을 가질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고 나중에 보기 버튼이 도 6에서와 같이 광고 이어보기 버튼과 함께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광고 이어보기 버튼에 앞서 표시되거나, 광고 이어보기 버튼과 함께 버튼이 아닌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되거나, 광고 이어보기 버튼이 확장된 형태로 함께 표시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광고 나중에 보기 버튼을 누른 경우,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때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공 중간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삽입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때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공이 끝난 후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5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중간에 상기 광고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하고,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5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가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소정의 시간 내에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클릭했는지 판단하는 단계(S430)에 대하여 살핀다. 본 단계(S430)에서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내에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클릭했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계속 제공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노출시킬 것인지가 문제될 수 있는데, 종래 기술의 경우 통상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시간 동안 버튼을 노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 시간을 일률적으로 미리 정하여진 소정의 시간으로 고정하는 것보다는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이 지속되는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 메인 컨텐츠의 길이 또는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7의 경우와 유사하게, 메인 컨텐츠의 길이를 1분 미만, 1분 내지 5분, 5분 내지 10분, 10분 이상의 클립(clip)으로 분류하고,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15초, 30초, 30초 이상의 광고로 분류하는 경우를 살펴 본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1분 미만, 1분 내지 5분, 5분 내지 10분, 10분 이상에 대하여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 시간을 각각 3초, 5초, 7초, 8초로 할당하고, 또한 상기 광고 컨텐츠의 길이가 15초, 30초, 30초 이상인 경우에 대하여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 시간을 각각 0초, 1초, 2초로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 시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 시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와 상기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모두 고려하여 각각의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 시간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4분이고, 광고 컨텐츠의 길이가 30초인 경우, 각각의 광고 이어보기 버튼의 노출 시간에 해당하는 5초와 2초의 합인 7초 동안 상기 광고 이어보기 버튼을 노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메인 컨텐츠의 길이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컨텐츠의 길이를 1분 미만, 1분 내지 5분, 5분 내지 10분, 10분 이상의 클립(clip)으로 분류하고,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15초, 30초, 30초 이상의 광고로 분류하는 경우,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와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함께 고려하여,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1분 미만인 경우에는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도록 하고, 1분 내지 5분인 경우에는 15초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며, 5분 내지 10분인 경우에는 30초 광고를 시청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10분 이상의 메인 컨텐츠에 대해서는 30초 이상의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긴 경우, 사용자에게 중요도가 높을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소 길이가 긴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여야 하더라도 이를 용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각 개별 사용자의 광고 컨텐츠 시청 건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므로, 보다 시청 단가(Cost Per View)가 높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1분 미만의 짧은 메인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별도의 광고 컨텐츠 시청이 없이도 메인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메인 컨텐츠의 길이를 고려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메인 컨텐츠의 중요도를 참조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수의 메인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들이 많이 시청하거나 평가 점수가 높은 인기 컨텐츠에 대해서는 다소 길이가 긴 광고 컨텐츠를 선정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용인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는, 특정 사용자가 반복하여 유사 컨텐츠를 제공받는 메인 컨텐츠의 경우도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는 중요도가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광고 컨텐츠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 제공 시스템(800)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 제공 시스템(800)은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810), 서브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서브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로 전달하는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 및 상기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로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로 전달할 서브 컨텐츠의 목록을 전달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로부터 사용자가 서브 컨텐츠를 마지막까지 제공받은 내역을 전달받아, 각 서브 컨텐츠에 대한 서브 컨텐츠 입찰자의 입찰 내역을 고려하여 서브 컨텐츠 입찰자에 대한 실제 과금액을 산정하는 구매 연산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는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마지막까지 계속 제공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매 연산부(830)는 복수의 서브 컨텐츠 입찰자가 입찰한 내역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 컨텐츠의 목록을 선정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제공 전 광고 시스템(800)을 각 부분별로 나누어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컨텐츠 제공부(810)에 대하여 검토한다. 컨텐츠 제공부(810)에서는 사용자에게 플래쉬 플레이어 등을 통하여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공전 또는 중간에 소정의 광고 등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제공부(810)는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로 상기 광고 등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는 사용자가 상기 서브 컨텐츠를 마지막까지 시청한 내역을 구매 연산부(830)로 전달하여 각 광고 등에 대한 실질 과금액을 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는 모바일 단말기 등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백엔드 서비스 서버 등의 여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에 대하여 살핀다.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는 광고 등 서브 컨텐츠 컨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에게 적절한 서브 컨텐츠를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면, 상기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가 10개의 광고 컨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을 때, 상기 구매 연산부(830)에서 입찰 과정을 통하여 선정된 5개의 광고 컨텐츠 목록을 전달해 주게 되고, 이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가 소정의 메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앞서 광고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해오면, 상기 5개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시청 단가(Cost Per View, CPV), 광고비 잔액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광고 컨텐츠를 선정한 후, 이를 컨텐츠 제공부(810)로 전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구매 연산부(830)에 대하여 검토한다. 상기 구매 연산부(830)에서는 광고주 등 서브 컨텐츠 입찰자들의 입찰 결과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서브 컨텐츠의 목록을 결정하고, 이를 상기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로 전달하고, 이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로부터 사용자가 소정의 버튼을 눌러 광고 컨텐츠를 마지막까지 제공받은 내역을 전달받아, 각 서브 컨텐츠에 대한 서브 컨텐츠 입찰자의 입찰 내역을 고려하여 서브 컨텐츠 입찰자에 대한 실제 과금액을 산정하게 된다.
상기 구매 연산부(830)가 광고 입찰을 진행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광고 컨텐츠의 목록을 결정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간단하게 살펴 본다. 먼저, 컨텐츠 제공업체가 1일 동안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일일 단위 광고 제공량이 1,000건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대하여 A사, B사, C사, D사, E사의 5개 업체가 광고 입찰에 참여하였으며, 각 업체가 제공하고자 하는 1일 광고 노출 회수는 각각 300회, 400회, 300회, 200회, 300회이고, 각 업체의 최대 시청 단가(CTR)는 각각 300원, 100원, 200원, 200원, 100원이며, 각 업체의 광고 과금 비율(View Through Ratio, VTR)은 각각 0.5%, 0.8%, 0.6%, 0.5%, 0.7%라고 하자. 이에 따른 상기 5개 업체의 비딩 스코어(=CTR*VTR)은 1.5, 0.8, 1.2, 1.0, 0.7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5개 업체를 비딩 스코어 순으로 정렬해보면, A사, C사, D사, B사, E사의 순서가 된다. 그런데, 상기 컨텐츠 제공업체가 1일 동안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일일 단위 광고 제공량은 1,000건으로 제한되므로, 결국 비딩 스코어에 따라 A사의 300회, C사의 300회, D사의 200회가 사용자에게 노출되게 되고, B사의 경우에는 400회 중 잔여 200회 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A사, C사, D사 및 B사(일부 낙찰)의 광고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매 연산부(830)는 상기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로 A사, C사, D사 및 B사의 낙찰 내용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820)는 상기 낙찰 내역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부(810)로 적절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800 :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시스템
810 : 컨텐츠 제공부
820 : 서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
830 : 구매 연산부

Claims (9)

  1.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또는 제공하는 중간에 소정의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브 컨텐츠 제공 단계;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시작한 후 소정의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계속하면서 화면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단계;
    사용자가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나머지 부분까지 계속 제공한 후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제2 시간 내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해 상기 서브 컨텐츠를 마지막까지 제공받은 내역을 고려혀여 상기 서브 컨텐츠의 입찰자에 대한 과금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 제공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브 컨텐츠를 선정함에 있어,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제공받은 서브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이거나, 메인 컨덴츠에 대한 예고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소정의 안내 또는 광고 문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가 지속되는 제2 시간은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 또는 서브 컨텐츠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텐츠를 나중에 볼 수 있도록 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때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공 중간에 상기 서브 컨텐츠를 삽입하여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컨텐츠의 길이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때에는 상기 메인 컨텐츠의 제공이 끝난 후에 상기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9. 사용자에게 메인 컨텐츠와 서브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 또는 제공하는 중간에 상기 서브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마지막까지 계속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 컨텐츠의 제공을 중단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메인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해 상기 서브 컨텐츠를 마지막까지 제공받은 내역을 고려하여 상기 서브 컨텐츠의 입찰자에 대한 과금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제공 서버.
KR1020160046336A 2016-04-15 2016-04-15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3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36A KR102030037B1 (ko) 2016-04-15 2016-04-15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36A KR102030037B1 (ko) 2016-04-15 2016-04-15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124A Division KR101627355B1 (ko) 2014-05-13 2014-05-13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516A true KR20160049516A (ko) 2016-05-09
KR102030037B1 KR102030037B1 (ko) 2019-10-10

Family

ID=5602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336A KR102030037B1 (ko) 2016-04-15 2016-04-15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0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364A (ko) * 2007-11-30 2008-02-04 주식회사 이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2687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씽크풀 컨텐츠 재생방법
KR20110023615A (ko) * 2009-08-31 2011-03-08 쏠스펙트럼(주) 멀티미디어 컨텐츠 광고 제작 장치 및 멀티미디어 광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364A (ko) * 2007-11-30 2008-02-04 주식회사 이모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2687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씽크풀 컨텐츠 재생방법
KR20110023615A (ko) * 2009-08-31 2011-03-08 쏠스펙트럼(주) 멀티미디어 컨텐츠 광고 제작 장치 및 멀티미디어 광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037B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2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commerce in network broadcasting
US8386304B2 (en) Methods for interactive television and mobile device
JP6262795B2 (ja) ビデオ広告クリエイティブに伴う改善された広告
JP5718420B2 (ja) 標的を定めたビデオ広告
US10299015B1 (en) Time-based content presentation
US9324094B1 (en) Ad skip feature for characterizing advertisement effectiveness
US8661464B2 (en) Targeting in-video advertising
JP5161092B2 (ja) オーディオコンテンツに伴う改善された広告
US8117067B2 (en) Achieving advertising campaign goals
US8832735B2 (en) Processing workflow for recommending media programs
US107357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broadcast advertising
JP5586167B2 (ja) デジタル放送サービスにおける広告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または広告コンテンツ露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671423B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viewing preferences of a user
US88631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video advertising
US200800469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nd synchronizing data streams
US20090313120A1 (en) Goal-Based Front End Buying of Radio Advertisements
US20080040235A1 (en) System for apportioning revenue for media content derived from an online feedback community
CN107820105B (zh) 提供数据对象信息的方法及装置
JP2010524352A (ja) テレビ広告
US11012758B2 (en) Cross-channel digital and IOT advertising triggered by cable TV cue message
KR101627355B1 (ko)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280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pedited delivery of media content
KR102030037B1 (ko) 온라인 컨텐츠 제공시 서브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10090A (ko) 광고주 후원 광고 콘텐츠 운영 시스템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09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26

Effective date: 2019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