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129A -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타인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타인 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9129A KR20160049129A KR1020140145181A KR20140145181A KR20160049129A KR 20160049129 A KR20160049129 A KR 20160049129A KR 1020140145181 A KR1020140145181 A KR 1020140145181A KR 20140145181 A KR20140145181 A KR 20140145181A KR 20160049129 A KR20160049129 A KR 201600491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ne
- pipe
- combine
- head
- support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 A01D57/02—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using 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의 레이크릴을 연결하는 파이프에 장착되는 타인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인(100)은, 코일상의 헤드(102)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바아부분(104), 상기 헤드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U자형 구조를 가지는 체결부(108), 그리고 체결부(108)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삽입단부(10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0)에 고정되는 채널부재(120)는, 파이프의 후방측에 전면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상부연결부(120A)와, 상기 상부연결부(12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108)를 통한 볼트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체결공(124)이 성형된 지지면(120B), 그리고 상기 지지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아부분(104)이 삽입되도록 전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장공(122)을 구비하는 하부플랜지(120C)로 구성된다. 타인의 바아부분(104)이 삽입되는 장공(122)은, 하부플랜지(120C)에서 지지면(120B)의 하부까지 연장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장공에 의하여 타인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타인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인의 조립 및 고정이 더욱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음과 동시에 타인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도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콤바인용 레이크릴의 타인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은 풀피드형과 하프피드형 콤바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풀피드형 콤바인은, 보통형 콤바인이라고도 불려지는 것으로, 예취된 곡간 전체를 탈곡장치 내부로 제공하여, 탈곡 장치 내부에서의 탈곡처리를 통하여 곡립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프피드형 콤바인은 예취된 곡간의 일부만을 탈곡장치의 내부로 공급하여 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의 콤바인을 말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풀피드형 콤바인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풀피드형 콤바인은, 엔진에서의 동력을 구동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크롤러(crawler) 주행장치(1)와, 상기 주행장치(1)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2),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물을 절단하여 콤바인 내부로 이송시키는 예취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에는, 작업자가 운전을 수행하기 위한 운전부(4)와, 상기 예취부(20)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을 탈곡 및 선별하는 탈곡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곡장치(5)에서 완전히 탈곡되어 배출되는 곡립은 스크류컨베어(31)를 통하여 곡물탱크(6)로 이송되고, 상기 곡물탱크(6) 내부의 곡물은 배출오거(7)를 통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부(20)는 실질적으로 작물의 하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곡간을 탈곡장치(5)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예취부(20)는, 탈곡장치(5)로 곡간을 이송시키는 피더(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피더의 전방에 연결되는 한 쌍의 예취프레임(22)과, 상기 예취프레임(22)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디바이더(23), 그리고 상기 예취프레임(22) 내부에 설치되어 작물을 절단하는 예취날부분(2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예취프레임(22)의 내측부분에는, 상기 예취날부분(24)에 의하여 절단된 곡간을 피더(21)로 이송시키기 위한 예취오거(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예취부(20)는, 상기 프레임(22)의 기단부 측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아암(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레이크릴(27)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예취부(20)는, 피더(21)가 유압실린더(28)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P)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탈곡장치(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일정 구간 조작 가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예취부(20)는 지면에 대하여 요구되는 높이를 유지하면서 예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디바이더(23)는, 재배지에 심어져 있는 작물에 대하여 예취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어 예취될 작물과 예취프레임의 외측에 있어서 예취하지 못하는 작물을 나눌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디바이더(23)에 의하여 예취프레임(22)의 내부로 들어오는 작물은, 상기 레이크릴(27)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예취날부분(24)에 의하여 절단(예취)된다. 그리고 절단된 곡간은, 예취오거(25)에 의하여 그 후방에 위치하는 피더(21)의 입구로 이송된다.
상기 피더(21)의 내부로 이송된 곡간은, 피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어(29)에 의하여 피더의 내부에서 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피더(21)의 후방측에는 탈곡장치(5)가 설치되어 있어서, 피더에 의하여 이송된 곡간 전체가 탈곡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탈곡통(도시 생략)에 의하여 탈곡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탈곡장치(5)에서 완전히 탈곡된 곡립은 스크류컨베어(31)를 통하여 곡물탱크(6)로 이송되고, 상기 곡물탱크(6) 내부의 곡물은 배출오거(7)를 통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오거(7)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3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배출오거(7)는, 곡물탱크(6)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곡물탱크(6) 내에 저장되어 있는 곡립을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제1스크류컨베어(8)와, 상기 제1스크류컨베어(8)에 의하여 반송되는 곡립을 트럭 등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스크류컨베어(9), 그리고 상기 제1스크류컨베어(8)와 제2스크류컨베어(9)를 연결하는 접속부재(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이송스크류컨베어(8)는, 원통상의 외장케이스(8a)와,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이송스크류(8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이송스크류컨베어(9)는, 원통상의 외장케이스(9a)와, 상기 외장케이스(9a)의 내부에 배치되어 곡립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9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재(10)는, 통상의 외장케이스와, 상기 외장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이송스크류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곡립탱크(6)의 하부에는 배출스크류(11)가 설치되어 있고, 곡물탱크(6)의 하부 후단에는 로어케이스(1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배출스크류(11)가 로어케이스(12) 및 곡물탱크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배출스크류(11)의 후단부와 상기 이송스크류(8b)는 베벨기어를 통하여 연결되고, 이송스크류(8b)의 상단부와 접속부재(10) 내부의 이송스크류도 베벨기어를 통하여 연결되며, 접속부재 내부의 이송스크류의 일단부와 이송스크류(9b)의 일단부도 베벨식 연동기구를 통하여 각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엔진에서의 구동력에 의하여 배출스크류(11), 이송스크류(8b), 접속부재(10) 내부의 이송스크류, 그리고 이송스크류(9b)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곡물탱크(6) 내부의 곡립은, 배출스크류(11)의 회전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송스크류(8a)에 의하여 상방으로, 그리고 이송스크류(9b)에 의하여 전방 방향으로 반송되어, 제2스크류컨베어(9)를 통하여 선단측으로 반송되어 배출구(9c)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스크류컨베어(8)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제2스크류컨베어(9)로 구성되는 배출오거(7)는, 그 배출구(9c)를 통하여 곡 물탱크에서의 곡립을 트럭 등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수평면 상에서의 회전 운동 및 유압실린더(C)를 이용한 상하 방향으로의 운동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스크류컨베어(8)를 수직축으로 하여, 제2스크류컨베어(9)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운동 및 제1스크류컨베어(8)를 기준으로 배출구(9c)의 높이가 변화하도록 상하 방향으로의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콤바인과 인접한 차량에 곡립을 반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스크류컨베어(9)는 더욱 외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작업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콤바인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오거(7)는 유압실린더(C)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을 가지는 콤바인에서, 상기 예취부(20)의 레이크릴(27)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67162호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레이크릴(27)의 정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크릴(27)은, 상술한 한 쌍의 지지아암(26)의 선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40)와, 상기 구동축(40)의 좌우단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면에서 볼 때 오각형으로 성형되는 좌우 한 쌍의 릴프레임(41)과, 상기 릴프레임(41)의 정점부분을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원통상의 파이프(42A)와 채널부재(42B)로 구성되는 타인부착바아(4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릴프레임(41) 자체의 구성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타인(45)를 타인부착바아(42)에 부착하는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부재(42B)는, 릴프레임(41)을 연결하는 다섯 개의 파이프(42A)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예를 들면 ㄷ자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파이프(42A)와 채널부재(42B)는 용접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채널부재(42B)는, 각각 수평면을 이루는 상부연결부(70)와 하부플랜지(72), 그리고 상부연결부(70)와 하부플랜지(72)를 서로 연결하는 웨브(71)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70)가 파이프(42A)의 저면에 용접되는 것에 의하여, 타인지지바아(42)가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웨브(71)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타인장착공(71a)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플랜지(72)에는 상기 타인장착공(71a)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개의 슬릿(7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72a)은, 전방이 열려 있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후술하는 타인(45)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타인부착바아(42)에 부착되는 타인(45)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성형되고, 타인헤드(80)와, 상기 헤드에서 하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된 수직부분(8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타인헤드(80)는, 나사부재(73)에 의하여 채널부재(42B)의 웨브(71)에 고정되는 피부착부(80A)와, 가로 방향의 축을 감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코일스프링부(80B)가 상기 피부착부(80A)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분(81)이 상기 슬릿(7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부착부(80A)가 나사부재(73)에 의하여 웨브(71)에 나사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타인(45)이 상기 채널부재(42B)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콤바인의 작업이 시작되면, 상기 레이크릴(27)이 회전하면서 작물을 끌어당기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타인(45)은 반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타인(45)이 받는 반력은 상기 슬릿(72a)의 개방된 부분 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업 시 발생하는 외력, 특히 반복되는 피로 하중에 의하여, 상기 타인(45)은 슬릿(72a)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는 실질적으로 상기 슬릿(72a)의 선단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점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부재(4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채널부재(42B)의 내부에서 타인(45)을 고정시키는 작업은, 실제로 상기 채널부재(42B)의 내부가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더욱 불편하다. 즉, 채널부재의 상부연결부(70)에 의하여 타인(45) 조립을 위한 작업 공간이 더욱 제약을 받게 되는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원통상의 파이프(42A)와 평면상의 상부연결부(70)는 실질적으로 점접촉을 하게 되는데, 비록 그 사이에서 용접된다고 하더라도, 파이프와 상부연결부의 접촉부분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콤바인의 작업 시 받을 수 있는 반력에 대하여 충분한 지지 강도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풀피드형 콤바인에서 상기 레이크릴(27)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의 작물을 잡아당겨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반력이 타인(45) 등에 가해지는 것을 고려하면, 보다 충분한 지지 강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콤바인의 작업 중 발생하는 반력에 의하여 타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인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하면 타인이 장착되는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타인의 조립 및 볼트에 의한 체결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는 타인 지지구조를 제공한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인의 지지하는 채널부재와 파이프 사이에 더욱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타인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콤바인의 레이크릴을 연결하는 다수의 파이프에 타인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코일상의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바아부분, 그리고 상기 헤드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U자형 구조를 가지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타인과; 상기 파이프의 후방측에 전면이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파이프의 전방측에 후면이 용접으로 고정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를 통한 볼트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체결공이 성형된 지지면, 그리고 상기 지지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아부분이 삽입되도록 전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을 구비하는 하부플랜지로 구성되는 채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타인의 체결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삽입단부와, 상기 삽입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면에 성형된 지지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장공은, 하부플랜지에서 상기 지지면의 하부까지 연장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의 바아부분이 일정한 전후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완전히 이탈할 우려는 충분히 해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력의 해소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보다 쉽게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부재 중에서, 파이프와 하부플랜지 사이에는 종래와 같은 상부플랜지가 없는 상태에서 타인을 조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부연결부가 파이프에 용접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채널부재 내부의 공간을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넓은 상태로 확보될 수 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타인의 조립 공정이 보다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연결부 부분을 파이프의 외형에 적어도 일부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와 채널부재를 면접촉으로 확보할 수 있어서,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때 종래의 것에 비하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콤바인의 예취부의 확대도.
도 4는 일반적인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타인 부착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인의 지지구조를 분해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인의 지지구조를 조립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타인의 지지구조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인의 지지구조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콤바인의 예취부의 확대도.
도 4는 일반적인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타인 부착구조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인의 지지구조를 분해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인의 지지구조를 조립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타인의 지지구조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인의 지지구조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
다음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면 부호 100은 타인을 표시하는 것이고, 110은 레이크릴의 정점을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이며, 120은 상기 연결 파이프에 고정되면서, 상기 타인(100)을 고정할 수 있는 타인 지지채널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타인(100)은,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감져지는 헤드부(102)와, 상기 헤드부(102)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바아부분(10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헤드부(102)는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코일 상으로 감겨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바아부분(104)은 실질적으로 상기 헤드부(102)와 일체로 만들어지면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바아부분(104)는, 콤바인의 실제 작업 시 재배지에 심어져 있는 벼 등의 작물을 잡아 당기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바아부분(104)은 코일상의 헤드부(102)의 일단부가 연장되는 것에 의하여 성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코일상의 헤드부(102)의 타단부는 후방으로[후술하는 채널부재(120)의 지지면(120B)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공(126)에 삽입되는 삽입단부(106)를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02)와 삽입단부(106) 사이에는 역U자 형상(또는 하방이 열린 U자 형상)의 체결부(108)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108)는, 후술하는 볼트(B)를 이용하여 타인(100)을 채널부재(120)에 고정하기 위하여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부(108)는 하방이 열린 U자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108)의 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삽입단부(106)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108)를 U자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타인의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방이 열린 U자형으로 성형함으로써, 타인(100)이 설치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는 일정 범위 내에서 공차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공차는 실질적으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체결부(108)는, 고정을 위한 볼트(B)의 헤드(Bh)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U자 형상 또는 역U자 형상이 아니더라도, 일구 굴곡 구간을 형성하여 굴곡진 부분이 볼트(B)의 헤드(Bh)와 지지면(120B)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는 구성이면 체결부(108)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타인(100)이 결합되는 것은, 상술한 파이프(110)에 부착되어 있는 채널부재(120)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채널부재(120)는 파이프(110)의 저면 후방측(타일이 설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파이프 후방)에 고정되는 상부연결부(120A)와, 상기 상부연결부(12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면(120B), 그리고 상기 지지면(120B)에서 수평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플랜지(120C)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하부플랜지(120C)을 수평으로 성형함으로써, 상기 바아부(104)에 의하여 감아져 들어오는 작물이 하부플랜지(120C)의 상부에 있는 부분에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면(120B)에는, 후술하는 볼트(B)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124)과, 상기 체결공(124) 보다는 하방의 위치에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한 지지공(126)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랜지(120C)에는 바아부(104)가 삽입되는 장공(122)이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공(122)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면(120B)과 하부플랜지(120C)에 걸쳐서 성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장공(122)을 지지면(120B)과 하부플랜지(120C)에 걸쳐서 성형함으로써, 타인(100)의 조립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상부연결부(120A)는, 실질적으로 직립항 상태의 지지면(120B)에서 후방 측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있고, 그 전면이 파이프(11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부(120A)은 파이프의 하단부가 아니라, 파이프(110)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할 때 후방 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즉,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부연결부의 외측면이 파이프의 최하단부에 접촉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부연결부가 파이프(110)와 타인(100)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연결부(120A)이 파이프(110)의 후방 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파이프(110)의 최하부와 타인(100) 사이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타인(100)을 상기 채널부재(120)에 고정할 때, 종래의 것에 비하여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조립이 더욱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부연결부(120A)을 파이프(110)의 후방 부분에 용접하는데,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부연결부(120A)의 내측면[지지면(120B)의 전면과 동일한 면]이 파이프(110)에 용접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부연결부(120A)가 지지면(120B)에서 더욱 후방으로 벤딩되어 있음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연결부(120A)가 파이프(110)과 접하는 부분에는 원통상의 파이프에 대응하여 면접촉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성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이 상부연결부(120A)의 일부분을, 파이프(110)의 볼록한 외면에 대응하여 면접촉할 수 있도록 오목한 부분으로 성형함으로써, 양자를 용접할 때 더욱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용접도 훨씬 편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인(100)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타인의 조립에 앞서, 상기 채널부재(120)를 파이프(110)에 용접으로 고정하여, 채널부재(120)가 파이프(110)에 완전히 고정된 후, 타인(100)의 조립이 수행된다.
먼저 타인(100)의 바아부(104)를 장공(122)에 삽입하고, 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타인의 삽입단부(106)를 지지공(126)에 삽입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타인(100)의 체결부(108)는 체결공(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B)가 상기 체결부(108)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공(124)에 나사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타인(100)이 채널부재(120)에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인(100)의 바아부분(104)은 장공(122)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있는 상태임과 동시에, 상기 채널부재(120)의 하부플랜지(120C)는 그 상부와 하부를 완전히 분리하고 있다. 즉, 종래와 같은 슬릿의 경우에는 개방된 단부가 있기 때문에, 그 열린 단부를 통하여 상부와 하부가 서로 연통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플랜지(120C)의 단부가 막힌 장공(122)을 형성하고, 이러한 장공(122)을 통하여 바아부분(104)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장공(122) 속으로 조립된 바아부분(104)은, 콤바인의 작업 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장공(122)을 이탈하는 것을 절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랜지(120C)에 의하여 상하부가 분리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콤바인의 작업 시 작물에서의 검불 등이 채널부재(1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종래의 예를 들면, 하부플랜지에 전방이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된 슬릿을 통하여 검불 등이 걸리거나 감겨서 정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우려는 극히 낮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인(100)의 후단부를 형성하는 삽입단부(106)가 지지지면(126)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바아부분(104)이 장공(1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삽입단부(106)가 지지공(126)에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타인(100)에서 헤드(102)의 양단부가 모두 채널부재(120)에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볼트(B)에 의한 체결력에 더하여, 타인(100)을 채널부재(120)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체결부(108)를 기준으로 하여, 타인(100)의 양단부가 모두 채널부재(120B)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하여 더욱 견고한 지지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채널부재(120)의 상부연결부(120A)의 이면이 파이프(110)의 전방측에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부재(120)의 상부연결부(120A)가 파이프(110)의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파이프(110)와 하부플랜지(120C)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연결부(120A)를 파이프(11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연결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120A)의 전면이 파이프(110)의 후방측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있으며, 제2실시예에서는 상부연결부(120A)의 후면이 파이프(110)의 전방측에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파이프(110)와 하부플랜지(120C) 사이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위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인의 설치를 위한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타인
102 ..... 코일형의 헤드부
104 ..... 바아부분
106 ..... 삽입단부
108 ..... 체결부
110 ..... 파이프
120 ..... 채널부재
120A ..... 상부연결부
120B ...... 지지면
120C ..... 하부플랜지
122 ..... 장공
124 .....체결공
126 ..... 지지공
102 ..... 코일형의 헤드부
104 ..... 바아부분
106 ..... 삽입단부
108 ..... 체결부
110 ..... 파이프
120 ..... 채널부재
120A ..... 상부연결부
120B ...... 지지면
120C ..... 하부플랜지
122 ..... 장공
124 .....체결공
126 ..... 지지공
Claims (3)
- 콤바인의 레이크릴을 연결하는 다수의 파이프(110)에 타인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코일상의 헤드(102)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성형되는 바아부분(104), 그리고 상기 헤드의 타측에서 연결되고 U자형 구조를 가지는 체결부(108)를 구비하는 타인(100)과;
상기 파이프의 후방측에 전면이 고정되거나 파이프의 전방측에 후면이 고정되는 상부연결부(120A)와, 상기 상부연결부(12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체결부(108)를 통한 볼트가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체결공(124)이 성형된 지지면(120B), 그리고 상기 지지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아부분(104)이 삽입되도록 전후방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장공(122)을 구비하는 하부플랜지(120C)로 구성되는 채널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타인 지지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인의 체결부(108)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삽입단부(106)와, 상기 삽입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면(120B)에 성형된 지지공(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콤바인의 타인 지지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22)은, 상기 지지면(120B)의 하부까지 연장 성형된 콤바인의 타인 지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5181A KR20160049129A (ko) | 2014-10-24 | 2014-10-24 |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타인 지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5181A KR20160049129A (ko) | 2014-10-24 | 2014-10-24 |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타인 지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9129A true KR20160049129A (ko) | 2016-05-09 |
Family
ID=5602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5181A KR20160049129A (ko) | 2014-10-24 | 2014-10-24 |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타인 지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4912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72663B2 (en) | 2018-03-01 | 2022-03-15 | Deere & Company | Harvester head reel with extendable bat |
-
2014
- 2014-10-24 KR KR1020140145181A patent/KR201600491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72663B2 (en) | 2018-03-01 | 2022-03-15 | Deere & Company | Harvester head reel with extendable b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92935B2 (en) | Crop header stacked divider pivot linkage | |
US6640527B2 (en) | Center feed finger adjustment mechanism for header | |
KR20160049129A (ko) | 콤바인의 레이크릴의 타인 지지구조 | |
JP6521790B2 (ja) | 収穫機 | |
EP3069595B1 (en) | Header for agricultural harvester equipped with dual cutter bar system | |
US11917947B2 (en) | Threshing cylinder | |
CN104718876A (zh) | 用于单转子分离器的非对称的喂入轮 | |
JP2008054519A (ja) |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 |
KR20160049128A (ko) | 콤바인의 예취부 프레임 어셈블리 | |
JP6833913B2 (ja) | 収穫機 | |
JP2021074008A (ja) | 収穫機 | |
JP2014033670A (ja) | コンバインの刈取部駆動構造 | |
CN113677189B (zh) | 收割机 | |
JP5950854B2 (ja) |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 |
JP7546535B2 (ja) | 収穫機 | |
CN213662500U (zh) | 收割刀、切断装置、收割部以及收割机 | |
JP6650711B2 (ja) | 収穫機 | |
JP7381409B2 (ja) | 収穫機 | |
JP6309869B2 (ja) | 収穫機 | |
CN210053877U (zh) | 联合收割机 | |
JP2019198304A (ja) | 収穫機 | |
US20220338411A1 (en) | Cutting tools for harvesting header dividers, harvesting headers carrying such tools, and related methods | |
JP7266487B2 (ja) | 収穫機 | |
JP6891251B2 (ja) | コンバイン | |
US20210127584A1 (en) | Adjustable stop for feeder house dr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