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571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571A
KR20160048571A KR1020140145498A KR20140145498A KR20160048571A KR 20160048571 A KR20160048571 A KR 20160048571A KR 1020140145498 A KR1020140145498 A KR 1020140145498A KR 20140145498 A KR20140145498 A KR 20140145498A KR 20160048571 A KR20160048571 A KR 20160048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information
area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3675B1 (en
Inventor
김동우
진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75B1/en
Publication of KR2016004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5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head-up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roles of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with a single display unit by integrating display units of the dashboard and the head-up display.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integrated head-up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driving information such as a speed, a driving distance, and RPM as optical image information; a semi-transparent mirror which reflects part of the optical imag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in a first direction and refracts part of the optical image information in a second direction; a concave mirror which reverses the image reflected in the first direction, reflects the image in a third direction, enlarges the reflected image, and displays the result in the view of a driver at the front of a vehicle; a concave lens which reverses the refracted image and enlarges the size of the image; and a spread screen on which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concave lens is display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0001]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통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applied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accommodating both a dash panel and a head-up display.

운전 중 운전자의 안전을 제공하고 차량 주행정보와 주변상황 정보를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해주는 매체로 개발중인 여러 시스템 중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 HUD)가 주목받고 있다. A head up display (HUD) among various systems under developmen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medium for providing driver safety while driving and transmitt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driver effectively.

헤드 업 디스플레이(이하 'HUD'라고 함)란, 차량이나 항공기 주행 중 운전자 정면, 즉 운전자의 주 시야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차량 주행 정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A head-up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HUD") is a system that provide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or other information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driver's front view lin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or an aircraft.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앞 유리창의 운전자의 주 시야선에 계기판의 정보(속력, 주행거리, RPM 등)를 나타나게 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쉽게 주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도로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도 중요한 주행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The head-up display of the vehicle displays the information (speed, mileage, RPM, etc.) of the instrument panel on the driver's main visual field of the windshiel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grasp the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refore, the driver can make safe driving by recognizing important driving information without taking his eyes off the road.

종래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경우, 계기판을 표시하기 위한 광원 외 따로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표시부를 구비하여 앞 유리창에 영상 정보를 표시하여 왔다. 그로 인하여, 별도의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전력의 낭비를 초래한다.In driving a conventional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a display unit for head-up display is provided besides a light source for displaying the instrument panel to display image information on the windshield. Therefore, the provision of the separate display unit causes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 waste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표시부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표시부로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통합형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head-up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both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as one display unit by integrating the display unit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ead-up displa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속력, 주행거리, RPM 등의 주행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표시부로부터 표시된 광 형태의 영상 정보의 일부는 운전석과 반대 방향으로 반사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 2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투명 거울, 반사된 영상을 반전시키고, 차량 전면 유리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반사된 영상이 확대되어 차량 전면 유리에 맺히게 하여 영상 정보가 운전자의 시야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오목 거울, 상기 굴절된 영상을 반전시키고,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는 오목 렌즈, 및 오목 렌즈를 통과한 영상을 투과시켜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확산 스크린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mileage, RPM, and the like; And the other part is refrac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reflected image is reversed, the reflection image is ref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and the reflected image is enlarged to be formed on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A concave lens for inverting the refracted image and enlarging the size of the image, and a diffusion screen for transmitting an image passed through the concave lens to display it to the driver.

하나의 표시부만으로 계기판 및 HUD를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소비 전력이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implement both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UD by only one display unit,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display various types of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driver's sel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반전된 영상 정보 형태의 하나의 예이다.
도 2b는 도2a와 같이 표시된 영상 정보가 실제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2 차단막을 더 구비한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2 영역을 구비한 표시부를 포함한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 1, 2 차단막이 고정되고 제 1, 2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 정보를 변환할 수 있는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표시부의 제 1, 2 영역에서 다양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n example of the inverted image information forma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shows a form in which image information displayed as shown in FIG. 2A is recognized by an actual driver.
3 shows a dash panel and a head-up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blocking fil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dash panel including a display section having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a head-up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shows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device in which first and second blocking films are fixed and imag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can be conver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various pieces of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of the display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속력, 주행거리, RPM 등의 주행 정보가 영상 정보로 표시되는 표시부(1),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 정보의 일부는 운전석 방향으로 굴절하고, 다른 일부는 운전석 반대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투명 거울(2), 상기 운전석 방향으로 굴절된 영상 정보를 반전시키고, 계기판에 표시되기 알맞은 크기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오목 렌즈(3), 상기 영상 정보가 투사되어 표시되는 확산 스크린(4) 및 상기 운전석 반대 방향으로 반사된 영상 정보를 반전시키고, 차량의 전면 유리창(7)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창(7)에 상기 반사된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오목 거울(5)을 포함한다.1 shows one embodiment of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ead-up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display unit 1 in which travel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mileage, and RPM is displayed as image information, a part of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fracted in the driver's seat direction, A translucent mirror 2 for reflecting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er's seat, a concave lens 3 for inverting the image information refracted in the driver's seat direction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reflected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front windshield 7 of the vehicle by reversing the image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diffusion screen 4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er's seat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indshield 7 of the vehicle And a concave mirror 5.

상기 오목 거울(5)은 곡률,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반사된 영상 정보가 차량의 전면 유리창(7)에 운전자가 확인하기 좋은 위치 및 크기로 맺히도록 한다.The concave mirror 5 adjusts the curvature, size, and position so that the reflected image information is formed in a position and size suitable for the driver to see on the front window 7 of the vehicle.

마찬가지로, 상기 오목 렌즈(3) 또한 곡률,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영상 정보가 알맞은 위치 및 크기로 상기 확산 스크린(4)을 통과하여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Likewise, the concave lens 3 also adjusts its curvature, size and position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passes through the diffusion screen 4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size so that the image can be seen by the driver.

상기 반투명 거울(2)은, 예를 들어, 휘도 향상 필름(Advanced Polarizing Conversion Film : APCF)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은 빛의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를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상 정보의 투과 및 반사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을 제작하는 데 유리하다.The semi-transparent mirror 2 can be manufactured using, for example, an Advanced Polarizing Conversion Film (APCF). Since th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transmits a part of light and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it is advantageous to fabricate the semi-transparent mirror by adjust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ratios of the image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표시부(1)만으로도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모두 구현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표시 장치만 구비하면 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력 낭비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quire only one display device,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manufacturing cost since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ead-up display can all be realized by only one display section 1 through the above- .

도 2a는 표시부(1)에서 표시되는 상하 반전된 영상을 도시한 예이고, 도 2b는 상기 상하 반전된 영상이 오목 거울(5) 및 오목 렌즈(3)를 통과하며 운전자가 인식하게 되는 영상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2A shows an example of a vertically inverte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and FIG. 2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ertically inverted image passes through the concave mirror 5 and the concave lens 3, FI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1)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는 오목 렌즈(3) 및 오목 거울(5)을 통과하면서 상이 반전되므로, 상기 표시부(1)에 표시될 때에는 도2a 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반전된 형태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2a에서는 상하가 반전된 형태만을 예로 들었지만, 오목 거울 및 오목 렌즈(3)의 특성에 따라 표시부에는 여러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is inver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cave lens 3 and the concave mirror 5, so that wh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zable by the driver is displayed. In FIG. 2A, only the shape in which the upside and downside are inverted is exemplified. Howev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ave mirror and the concave lens 3, the display portion may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HUD는 차량 전면 유리창(7)에 운전자의 시야상에 주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오목 거울(5)을 통하여 차량 전면 유리로 입사되는 광원 형태의 영상 정보는 대부분이 차량 유리를 통과하고 적은 양만이 전면 차량 유리창(7)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의 시야로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정도의 밝기를 가진 HUD 구현을 위해서는 고휘도의 표시부가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UD allows driv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vehicle front window 7 on the driver ' s field of view. However, most of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light source incident on the vehicle front glass through the concave mirror 5 passes through the vehicle glass, and only a small amount of the image information is reflected by the front window glass window 7 and directed to the driver's field of view. Therefore, a high-brightness display unit is required for HUD implementation with a brightness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반면, 계기판 방향으로 굴절되는 영상 정보는 직접 운전자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에 더하여서, 상기 굴절되는 영상 정보는 차량 내부에서부터 나오는 것으로서, 암실에서 빛이 나오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므로, 낮은 휘도만으로도 효과적으로 계기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information which is ref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trument panel is directly directed to the driver. In addition, since the refracted image information is emitted from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refracted image information has the same effect as light emitted from the dark room, so that the instrument panel information can be effectively displayed with low luminance.

따라서, 반투명 거울(2)을 설계할 때에는 반투명 거울(2)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으로서의 영상 정보량이 상기 반투명 거울에 의하여 굴절되는 빛으로서의 영상 정보량에 비해 더 크게 설계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designing the semitransparent mirror 2, the amount of image information as light reflected by the semitransparent mirror 2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amount of image information as light refracted by the semi-transparent mirror, have.

예를 들면, 표시부에서 4000Nit의 밝기로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계기판 방향으로 굴절되는 영상은 그 밝기가 800Nit정도만 되어도 운전자가 충분히 인식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반투명 거울(2)에 의하여 투과되는 영상정보는 20% 정도만 되어도 충분하며, 나머지 약 80%의 영상정보는 상기 반투명 거울(2)에 의하여 반사되어 HUD를 표시하는 데에 이용되도록 상기 반투명 거울(2)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mage is displayed with brightness of 4000 Nit on the display unit, the driver can sufficiently recognize the image ref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trument panel even if the brightness is about 800 Nit. Therefore, only about 20% of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ranslucent mirror 2 may be sufficient, and the remaining about 80% of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reflected by the translucent mirror 2 to be used for displaying the HUD, The transparency of the mirror 2 can be adjus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차단막(6)을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2개의 차단막(6a, 6b) 및 상기 차단막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롤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FIG.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shielding film 6. Referring to FIG. 3,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barrier membranes 6a and 6b designed to be movable and a moving means (not shown) capable of moving the barrier membranes, for example, a roller .

상기 2 개의 차단막은 금속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광 차단 부재로 형성된다.The two barrier films are formed of a light blocking member capable of blocking light composed of a metal or an organic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만을 표시하도록 구동되거나(이하 '계기판 표시 모드'), 헤드 업 디스플레이만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동되거나(이하 'HUD 표시 모드'), 계기판과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모두 표시하도록 구동('이하 동시 표시 모드')될 수 있다. The dashboard and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to display only the dash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shboard display mode') or may be driven to display only the head- And a head-up disp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imultaneous display mode ").

계기판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 1 차단막(6a)은, 상기 반투명 거울(2)과 오목 거울(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반투명 거울(5)로부터 반사된 영상 정보가 상기 오목 거울(5)로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한다.I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mode, the first blocking film 6a is disposed between the semitransparent mirror 2 and the concave mirror 5 so that image information reflected from the semitransparent mirror 5 is moved to the concave mirror 5 .

반면, HUD 표시 모드 또는 동시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 1 차단막(6a)은, 상기 영상 정보가 반사되는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하여 정상적으로 차량 앞유리에 상기 영상 정보가 맺히도록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UD display mode or the simultaneous display mode, the first blocking film 6a moves so as to deviate from the path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is reflected,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normally form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제 2 차단막(6b)은 상기 HUD 표시 모드에서 영상 정보를 차단한다.The second blocking film 6b blocks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HUD display mode.

즉, 상기 HUD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 2 차단막(6b)은, 상기 오목 렌즈(3)와 확산 스크린(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오목 렌즈(3)를 통과한 영상 정보가 상기 확산 스크린(4)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오목 렌즈(3)를 통과한 영상 정보를 볼 수 없다. That is, in the HUD display mode, the second blocking film 6b is disposed between the concave lens 3 and the diffusion screen 4 so that image informa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cave lens 3 passes through the diffusion screen 4 ) Of the route. Therefore, the driver can not see the image information passed through the concave lens 3.

또한 상기 계기판 표시 모드 및 동시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 2 차단막(6b)은, 상기 영상 정보가 확산 스크린(4)으로 이동하는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하며,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확산 스크린(4)을 통과한 영상 정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Also, i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mode and the simultaneous display mode, the second blocking film 6b moves so as to deviate from the path that the image information moves to the diffusion screen 4,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계기판 표시 모드, HUD, 모드 및 동시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계기판 표시 모드에서는 제 1 차단막(6a)이 반투명 거울(2)과 오목 거울(5)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반투명 거울(2)로부터 반사된 영상 정보를 차단하고, 상기 HUD 모드에서는 제 2 차단막(6b)이 오목 렌즈(3)와 확산 스크린(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오목 렌즈(3)를 통과한 영상 정보를 차단하며, 상기 동시 표시 모드에서는 제 1 차단막(6a) 및 제 2 차단막(6b)이 모두 영상 정보의 경로와 상관없는 위치로 이동하여 계기판 및 HUD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ead-up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in any one of a dash display mode, a HUD, a mode and a simultaneous display mode. In the instrument panel display mode, The second shielding film 6b is positioned between the translucent mirror 2 and the concave mirror 5 to block image information reflected from the semitransparent mirror 2 and in the HUD mode the concave lens 3 and the diffusion screen 4) to block image informa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cave lens (3). In the simultaneous display mode,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films (6a, 6b) Move so that the dashboard and the HUD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4 shows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1b)으로 구분된 표시부(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ead-up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 display section 1 divided into a first area 1a and a second area 1b that display different image information .

제 1 영역(1a)에서 표시되는 제 1 영상 정보와, 제 2 영역(1b)에서 표시되는 제 2 영상정보는, 반투명 거울을 통하여 운전석 방향으로 굴절되는 동시에, 상기 반투명 거울을 통하여 운전석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된다. The first imag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a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b are ref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through a semi-transparent mirror, .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차단막(6a)은 반투명 거울과 오목 거울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2 차단막(6b)은 오목 렌즈와 확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first blocking film 6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ranslucent mirror and the concave mirror,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6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cave lens and the diffusion screen.

상기 제 1 차단막(6a)은 반투명 거울을 통하여 반사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정보 중 차단하고자 하는 영상정보가 반사되어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blocking layer 6a may move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reflected through the semitransparent mirror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to be blocked is reflected and positioned on a moving path.

예를 들어, 제 1 영상정보를 차량 전면 유리에 표시하고자 한다면,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차단막(6a)은 상기 제 2 영상정보가 반투명 거울을 통하여 오목 거울로 입사되는 경로 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영상정보를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shielding film 6a is positioned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s incident on the concave mirror through the translucent mirror, 2 You can block video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 2 차단막은 오목 렌즈를 통하여 굴절되는 제 1 및 제 2 영상정보 중 차단하고자 하는 영상정보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locking layer may be mov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which are refracted through the concave lens, are located on a path along which the image information to be blocked moves.

예를 들어, 제 1 영상정보를 계기판에 표시하고자 한다면, 상기 제 2 차단막은 상기 제 2 영상정보가 오목 렌즈를 통하여 굴절되어 확산 스크린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the second shielding film may be moved so that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s refracted through the concave lens and positioned on a path for moving to the diffusion screen.

또한, 상기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차단막이 모두 하나의 영상정보를 차단하고, 제 1 또는 제 2 영상정보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films block one image information and display only the first or second image information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운전자는 전면 유리와 계기판에서 서로 같은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영상 정보의 표시 방식을 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check the same image information on the windshield and the instrument panel, and can check different image information, so that the display method of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fre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iver's choice .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dashboard and a head-up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및 제 2 차단막(6a, 6b)을 고정시키고, 표시부(1)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위치를 변환시켜 이전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x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films 6a and 6b and to convert the position at which the display unit 1 displays the video information, Is obtained.

도 5에 따르면, 제 1 차단막(6a)은 제 2 영역(1b)으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차단시키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제 2 차단막(6b)은 제 1 영역(1a)으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차단시키도록 고정되어 있지만, 제 1 차단막(6a)이 제 1 영역(1a)으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차단하고, 제 2 차단막(6b)이 제 2 영역(1b)으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차단하도록 설계되어도 무방하다.5, the first blocking layer 6a is fixed to block imag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gion 1b, and the second blocking layer 6b blocks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gion 1a. The first shielding film 6a may be designed to block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6b to block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egion 1b .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영상 정보를 차단할 경우, 차량 전면 유리창(7)에는 제 1 영역(1a)으로부터의 영상 정보만 표시되며, 확산 스크린을 통하여는 제 2 영역(1b)으로부터의 영상 정보만 표시된다.5, only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first area 1a is displayed in the vehicle front windshield 7, and only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area 1b is displayed through the diffusion screen Is displayed.

도 5b는 상기 표시부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1b)에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5B shows an example of selectively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in the first area 1a and the second area 1b of the display unit.

도 5b와 같이 상기 표시부의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1b)은 제 1 및 제 2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first area 1a and the second area 1b of the display unit may selectively display the first and second image information.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1b)에 제 1 영상 정보 또는 제 2 영상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제 1 영역에 제 2 영상 정보를, 제 2 영역에 제 1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등 상기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주 특징으로 한다.In other words, the display unit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first image information or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simultaneously in the first area 1a and the second area 1b, 2 image information, and the first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그에 더하여, 도 5b의 (f) 및 (g)와 같이, 제 1 영역(1a) 또는 제 2 영역(1b) 중의 한 영역이 오프 구동하도록 하면, HUD 모드 또는 계기판 모드로만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rive only in the HUD mode or the instrument panel mode if one of the first region 1a and the second region 1b is driven off as shown in (f) and (g) of FIG. 5b.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차단막을 이동시킬 이동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HUD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of im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river's choice without having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blocking film,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r the lik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표시부 1a, 1b : 제 1 , 2 영역
2 : 투명 거울 3 : 오목 렌즈
4 : 확산 스크린 5. 오목 거울
6a, 6b : 제 1, 2 차단막 7 : 차량 전면 유리창
1: display portions 1a and 1b: first and second regions
2: transparent mirror 3: concave lens
4: diffusion screen 5. concave mirror
6a, 6b: first and second blocking films 7: vehicle front windshield

Claims (6)

속력, 주행거리, RPM 등의 주행 정보가 광 형태의 영상 정보로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로부터 표시된 광 형태의 영상 정보의 일부는 제 1 방향으로 반사하고, 일부는 제 2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투명 거울,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사된 영상을 반전시키고, 제 3 방향으로 반사하여 상기 반사된 영상이 확대되어 차량 전면 유리의 운전자의 시야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오목 거울,
상기 굴절된 영상을 반전시키고,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는 오목 렌즈, 및
상기 오목 렌즈를 통과한 영상을 투과하여 상기 영상이 운전자에게 표시되도록 하는 확산 스크린을 포함하는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ortion in which driving information such as speed, mileage, and RPM is displayed as optical image information,
Wherein a part of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ptical form displayed from the display unit is a translucent mirror for reflect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for refracting in the second direction,
A concave mirror for inverting the image reflec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flecting the image in the third direction so that the reflected image is enlarged to be displayed on the field of view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windshield,
A concave lens for inverting the refracted image and enlarging the size of the image, and
And a diffusing screen through which the image passed through the concave lens is transmitted to display the image to the driver.
청구항 1 에서,
상기 반투명 거울과 상기 오목 거울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가능한 제 1 차단막, 및
상기 반투명 거울과 상기 오목 렌즈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가능한 제 2 차단막을 더 포함하고,
HUD 모드 구동시에는 상기 제 2 차단막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굴절된 영상의 진행 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방향으로 굴절된 영상이 운전자의 시야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며,
계기판 표시 모드 구동시에는 상기 제 1 차단막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사된 영상의 진행 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사된 영상이 운전자의 시야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 표시 모드 구동시에는 상기 제 1 차단막 및 제 2 차단막이 상기 반사 및 굴절된 영상의 진행 경로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차단막 및 제 2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A movable first blocking film formed between the semi-transparent mirror and the concave mirror, and
Further comprising a movable second blocking film formed between the translucent mirror and the concave lens,
The second shielding film is positioned on the path of the image refracted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image refracted in the second direction is not displayed in the field of view of the driver,
The first shielding film is position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image reflecte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image reflected in the first direction is not displayed in the field of view of the driv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films are not locat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reflected and refracted image,
Further comprising moving means for moving the first blocking film and the second blocking film.
청구항 2 에서,
상기 표시부는, 제 1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단막은,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영상의 표시 경로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영상 정보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차단막은,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굴절된 영상의 표시 경로상으로 이동하여 제 1 영역의 영상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2,
Wherein the display section includes a first area for displaying the first running information as an image and a second area for displaying the second running information as an image,
The first blocking layer may move on a display path of an image reflected from the second area to block image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Wherein the second blocking layer moves on a display path of an image refracted from the first area to block image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청구항 3 에서,
상기 제 1 차단막은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영상의 진행 경로 또는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영상의 진행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 2 차단막은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굴절된 영상의 진행 경로 또는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굴절된 영상의 진행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3,
Wherein the first blocking layer is selectively position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image reflected from the first area or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image reflected from the second area,
Wherein the second blocking film is selectively positione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image refracted from the first area or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image refracted from the second area.
청구항 3 에서,
상기 제 1 영역에는 제 1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2 영역에는 제 2 영상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영상 정보 및 제 2 영상 정보는 동일한 영상 정보이거나 서로 다른 영상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상 정보가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제 1 영상 정보가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 중 하나가 오프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3,
The first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e first image information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may be the same image information or different image information,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the first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Wherein on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off-driven.
청구항 1 에서,
상기 반투명 거울에 의하여 상가 제 1 방향으로 반사되는 영상 정보량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굴절되는 영상 정보량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판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image information reflected by the translucent mirror in the first direction is higher than the amount of image information that is refracted in the second direction.
KR1020140145498A 2014-10-24 2014-10-24 Display Device KR102253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498A KR102253675B1 (en) 2014-10-24 2014-10-2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498A KR102253675B1 (en) 2014-10-24 2014-10-24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71A true KR20160048571A (en) 2016-05-04
KR102253675B1 KR102253675B1 (en) 2021-05-20

Family

ID=5602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498A KR102253675B1 (en) 2014-10-24 2014-10-24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1681A (en) * 2016-08-22 2017-01-11 石惠卿 Image display method of head-mounted display
WO2023237308A1 (en) * 2022-06-09 2023-12-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rojec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360A (en) * 1992-03-11 1993-10-05 Yazaki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H07144558A (en) * 1993-11-22 1995-06-06 Kansei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05153811A (en) * 2003-11-28 2005-06-16 Nippon Seiki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JP2014028593A (en) * 2012-07-31 2014-02-13 Jvc Kenwood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360A (en) * 1992-03-11 1993-10-05 Yazaki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H07144558A (en) * 1993-11-22 1995-06-06 Kansei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05153811A (en) * 2003-11-28 2005-06-16 Nippon Seiki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JP2014028593A (en) * 2012-07-31 2014-02-13 Jvc Kenwood Corp Display device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1681A (en) * 2016-08-22 2017-01-11 石惠卿 Image display method of head-mounted display
WO2023237308A1 (en) * 2022-06-09 2023-12-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rojec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75B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27967B (en) Head-up display device
JP6603883B2 (en) Head-up display and mobile body equipped with head-up display
JP6473895B2 (en) Head-up display and mobile body equipped with head-up display
US10859826B2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15159523A1 (en) Heads-up display and moving body equipped with heads-up display
JP5172436B2 (en)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and moving body using the same
JP2010256867A (en) Head-up display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50123878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150236302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JP2024025797A (en) display device
WO2017061016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17146337A (en) Aerial graphic display device
JP2012108470A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12176548A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s
JP2011180177A (en) Head-up display apparatus
KR102253675B1 (en) Display Device
US11187911B2 (en) Projection display with representation in multiple display planes
JP2017187528A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15045936A1 (en) Display device
JP2005082103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23533991A (en) Head blind zone perspective virtu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convex lens/concave mirror
JP616796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17149354A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20189258A1 (en)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20170087590A (en) Combiner for head up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