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504A -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504A
KR20160048504A KR1020140145285A KR20140145285A KR20160048504A KR 20160048504 A KR20160048504 A KR 20160048504A KR 1020140145285 A KR1020140145285 A KR 1020140145285A KR 20140145285 A KR20140145285 A KR 20140145285A KR 20160048504 A KR20160048504 A KR 2016004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active material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activ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032B1 (ko
Inventor
김두헌
조주현
이상민
최정희
최해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0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중에서 주석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주석을 전기폭발시키는 단계와; 전기폭발에 의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음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주석 나노입자 간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활물질 황 및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한 나트륨이차전지를 제조하며, 여기에 이론용량이 높은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적용하여 제조단가는 낮추면서 이론용량은 높은 나트륨이차전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Rechargeable battery S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한 나트륨이차전지에 이론용량이 높은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양산할 수 있는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한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개인휴대 단말장치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전기자동차와 같은 전기자동차의 전원장치로 이차전지(Secondary cell)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차전지 중 현재 리튬이차전지가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데, 이러한 리튬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cell)는 코발트(Co), 니켈(Ni), 리튬(Li) 등의 희소 금속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 이차전지의 수요 증대에 따른 희소 금속의 공급이 염려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전지 재료의 공급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의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해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단가보다 1/6 정도로 저렴한 나트륨이차전지(Sodium secondary cell)가 검토되고 있다. 나트륨이차전지는 공급량이 풍부하고 염가인 재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실용화함으로써 대형 이차전지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트륨이차전지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로써 나트륨(Na)이온을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는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을 각각 포함하는 양극 및 음극과, 나트륨이온을 함유하는 전해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나트륨이차전지는 리튬이차전지의 리튬이온과 마찬가지로 나트륨이온이 전해질을 통해 음극과 양극 사이를 왕복함으로써 전지의 충방전이 일어난다. 음극활물질에 나트륨이온이 도핑되는 것이 충전에 해당하고, 음극활물질로부터 나트륨이온이 이탈되는 것이 방전에 해당한다.
리튬이온전지의 경우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사이클링 성능을 가지는 잠재적인 음극활물질로써 다양한 전이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 주석(Sn)의 경우 일반적인 활물질인 하드카본의 이론용량(~300mAh/g)보다 높은 이론용량(847mAh/g)을 가지기 때문에 주석을 기반으로 하는 주석계복합 음극활물질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주석은 무른 금속으로써 나노입자로 제조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운데, 나트륨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한 나트륨이차전지에 이론용량이 높은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적용한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액체 중에서 주석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주석을 전기폭발시키는 단계와; 전기폭발에 의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음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주석 나노입자 간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활물질 황 및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황은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며, 32S, 33S, 34S 35S, 36S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소재는, 탄소분말,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소프트카본(Soft carbon), 하드카본(Hard carbon), 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변형탄소(Modified carbon) 및 탄소복합소재(Carbon composit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석은 선 또는 막대 형태의 주석 와이어이며, 상기 주석 와이어는 주석, 주석합금 및 주석분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는 수용액 또는 유기용액이며, 상기 유기용액은 알코올 계열의 유기용액인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석을 전기폭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나노입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노입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자연침강, 원심분리 및 필터링 중 어느 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주석 나노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황을 50 내지 150중량부로 혼합하여 Sn-S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Sn-S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탄소재를 20 내지 50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활물질은 상기 주석 나노입자, 상기 황 및 상기 탄소재를 볼 밀링(Ball milling)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액체 중에서 주석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주석을 전기폭발시켜 획득하는 주석 나노입자와; 상기 주석 나노입자 간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황과;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양극과; 액체 중에서 주석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주석을 전기폭발시켜 획득하는 주석 나노입자, 상기 주석 나노입자 간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황 및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재를 갖는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에 대응하는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한 나트륨이차전지를 제조하며, 여기에 이론용량이 높은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적용하여 제조단가는 낮추면서 이론용량은 높은 나트륨이차전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주석을 전기폭발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고전압 펄스전원장치의 고전압 펄스 방전시에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메탄올 및 에탄올을 통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의 FE-SEM 사진이고,
도 5는 메탄올을 통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의 TEM 사진이고,
도 6은 에탄올을 통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의 TEM 사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메탄올을 통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의 충/방전 성능을 확인한 그래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에탄올을 통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의 충/방전 성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주석 와이어(10)를 액체(20)에 함침시킨다(S1).
여기서, 주석 와이어(10)는 주석계 와이어를 뜻하며, 주석, 주석합금 및 주석분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전기폭발에 유리하도록 선 또는 막대 형태의 와이어로 준비한다.
주석 와이어(10)에 전기를 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전극(30) 사이에 주석 와이어를 연결한 후 이를 액체(20)가 채워진 챔버(40)에 함침시킨다. 여기서 액체(20)는 수용액 또는 유기용액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한 액체(20)는 알코올 계열 유기용액으로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30)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주석 와이어(10)를 전기폭발시킨다(S2).
액체(20)에 함침된 전극(30)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순간적인 저항가열에 의해 주석 와이어(10)를 전기폭발시킨다. 주석 와이어(10)를 전기폭발시키면 주석이 기화되면서 나노크기의 주석 나노입자가 액체(20) 내에 분산된다. 이러한 전기폭발은 전극(30)에 고전압 커패시터(50)를 연결하고 이를 스위치(60)로 제어하는데, 커패시터(5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스위치(60) 연결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주석 와이어(10)에 방전시켜 저항 가열에 의한 기화와 응축으로 주석입자를 제조한다.
즉, 주석 와이어(10)가 순간적으로 기화될 때 액체(20) 내에 있기 때문에 바로 응축되어 나노크기의 주석 입자가 생성된다. 따라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시간당 수십 그램 이상의 주석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주석 입자는 액체(20) 중에 분산되어, 대기 중으로 유출되지 않아 나노 입자에 의한 환경 및 인체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연침강, 원심분리, 필터링 등을 통해 액체 중의 입자 크기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액체와 와이어 이외에 투입되는 화학제가 없으므로 부산물 또는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주석의 경우 다른 금속에 비해 무른 금속이기 때문에 밀링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나노크기의 입자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이미 나노크기로 이루어진 시약을 구입하거나, 이를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는 주석의 경우 단가가 높아 대량 생산시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전기폭발 방법은 나노크기의 입자를 만들기 위한 제조 공정 중 매우 단순한 공정에 속하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나노크기의 주석 입자를 대량생산할 수 있다. 또한 액체(20) 중에 나노입자가 분산되기 때문에 자연침강이나 원심분리를 통한 큰 입자 제거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고전압 펄스전원장치의 고전압 펄스방전시에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초기 10kV의 전압에서 스위치 연결 시에 전압이 감소하면서 60kA에 이르는 펄스 전류가 흐름을 알 수 있다. 기화가 일어나는 순간 전압의 순간적인 상승과 함께 전류가 순간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이어서 기화된 기체의 전리에 의한 플라즈마의 형성으로 다시 전류가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수십 마이크로초 이내에 일어나는 기화와 플라즈마 형성 및 소멸은 초기 고전압과 순간적인 고전류에도 불구하고 실제 투입되는 에너지는 주석 기화에너지의 4 내지 6배 정도면 충분하므로 나노입자를 생성하기 위한 에너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주석 나노입자를 황 및 탄소재와 혼합하여 음극활물질을 제조한다(S3).
S2 단계에서 획득한 주석 나노입자를 액체가 남아있지 않도록 건조시킨 다음 황 및 탄소재를 혼합한다. 황은 다른 금속들에 비해 비교적 무른 주석 나노입자가 입자들끼리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섞는 것이고, 탄소재는 황이 절연성을 띄기 때문에 활물질의 도전성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첨가된다.
여기서 황은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며, 32S, 33S, 34S 35S, 36S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재는 탄소분말,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소프트카본(Soft carbon), 하드카본(Hard carbon), 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변형탄소(Modified carbon) 및 탄소복합소재(Carbon composit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주석 나노입자, 황 및 탄소재는 볼 밀링(Ball milling)을 통해 제조되며, 먼저 주석 나노입자와 황을 주석 나노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황을 50 내지 150중량부로 혼합한 후, 주석-황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탄소재는 20 내지 50중량부 혼합한다. 주석 나노입자, 황 및 탄소재를 한번에 혼합할 경우 무른 상태의 주석 나노입자가 탄소재와 엉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석 나노입자와 황을 먼저 혼합하여 주석 나노입자의 뭉침을 방지한 후, 여기에 탄소재를 혼합하여 서로 엉김을 방지한다.
이러한 주석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주석 와이어 전기폭발
직경 1mm, 길이 80mm의 주석 와이어를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의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연결하고, 메탄올과 에탄올에 각각 함침시킨 후, 197㎌ 용량의 커패시터에 10kV의 직류전압을 충전시킨다. 그 후 두 전극을 통해 순간적으로 방전시켜 저항가열에 의해 주석 와이어를 기화시켰다. 메탄올 중에서 제조된 나노입자 크기의 주석은 분산성이 우수하게 제조되었으며, 12시간 정도 자연침강에 의해 쉽게 입자와 액체를 분리할 수 있었다.
이와 다르게 에탄올 중에서 만들어지는 나노입자 크기의 주석은 분산성이 더욱 높아 10일 이상 오랜 기간동안 자연침강되지 않아, 진공오븐에 장시간 보관하여 액체를 건조시켜 분말로 사용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액체로 메탄올과 에탄올을 써서 주석 나노입자를 형성한 것의 FE-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액체로 메탄올을 사용했을 때의 TEM 사진, 도 6은 에탄올을 액체로 사용했을 때의 TEM 사진이다. 여기서 중앙에는 주석 나노입자가 존재하며 주석 나노입자의 외벽에는 탄소층이 얇게 형성된다. 탄소층은 메탄올보다 에탄올의 경우가 더 두껍게 나타나는데, 이는 에탄올이 메탄올보다 지니는 탄소의 수가 많은 것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예상된다. 표면 탄소층에 의해 주석 나노입자의 접촉저항이 감소되나, 탄소층이 너무 두꺼울 경우 나트륨 이온의 충방전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메탄올 액체 하에서 생성되는 주석 나노입자의 탄소층 두께가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2> : 음극활물질 및 전극 제조
먼저 주석 나노입자와 황을 1:1 비율로 섞고, 주석-황 혼합물에 탄소재를 8:2 비율로 섞었다. 이와 같이 섞인 화합물을 유선형 볼 밀링기를 이용하여 아르곤(Ar) 분위기 내에서 300rpm으로 8시간 동안 밀링을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Sn-S-C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바인더를 사용하였으며, 바인더의 용매로 N-메틸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을 사용하였다. 도전재는 슈퍼P카본블랙(Super P carbon black)을 이용하여 Sn-S-C 음극 합제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전극 조성은 활물질:도전재:바인더 = 70:20:10의 중량 비율로 준비하였으며, Thinky mixer를 이용하여 20분간 혼합하였다. 제조한 음극 합제 슬러리를 11㎛ 두께의 구리 호일에 도포하고 60℃에서 12시간 이상 건조시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특성 시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리튬 호일을 상대전극으로 사용하여 반쪽전지(2032 coin type cell)를 조립하였다. 분리막은 Celard 2400을 사용하였고, 전해액은 EC/DMC(1/2 vol.%) + FEC 5%에 1M LiPF6 리튬 염을 용해시킨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였다. 전지 제작의 모든 공정은 Dry room에서 실시하였다.
제조된 전지를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Wonatech 사의 WBCS3000을 사용하여 충/방전 특성과 사이클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온에서 활물질 대비 100mA/g의 전류밀도로 5mV까지 정전류 모드로 충전, 정전압 모드로 전류밀도가 10mA/g이 되도록 일정하게 충전(Lithiation)하였으며, 100mA/g의 전류밀도로 1.5V까지 정전류 모드로 방전(De-lithiation)을 하였다.
이와 같은 특성 시험의 결과는 도 7 및 도 8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메탄올을 액체로 사용하여 주석 나노분말을 생성한 후 이를 음극활물질로 활용한 시험 그래프이고, 도 8은 에탄올을 액체로 사용하여 주석 나노분말을 생성한 후 이를 음극활물질로 활용한 시험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8a는 3번의 사이클을 통해 음극활물질에 이온이 충/방전된 용량을 확인하는 것이며, 도 7b 및 도 8b는 더 많은 충/방전 사이클 횟수에서의 용량 보류율과 방전된 이온수/충전된 이온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columbic efficiency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프에서 주석계 음극 재료는 높은 용량과 용량 유지율 및 columbic efficiency를 갖는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한 나트륨이차전지를 제조하며, 여기에 이론용량이 높은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적용하여 제조단가는 낮추면서 이론용량은 높은 나트륨이차전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10: 주석 와이어
20: 액체
30: 전극
40: 챔버
50: 커패시터
60: 스위치

Claims (11)

  1. 액체 중에서 주석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주석을 전기폭발시키는 단계와; 전기폭발에 의해 생성된 주석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음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주석 나노입자 간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활물질 황 및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은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며,
    32S, 33S, 34S 35S, 36S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재는,
    탄소분말, 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소프트카본(Soft carbon), 하드카본(Hard carbon), 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변형탄소(Modified carbon) 및 탄소복합소재(Carbon composit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은 선 또는 막대 형태의 주석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와이어는 주석, 주석합금 및 주석분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수용액 또는 유기용액이며,
    상기 유기용액은 알코올 계열의 유기용액인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을 전기폭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나노입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노입자를 획득하는 단계는 자연침강, 원심분리 및 필터링 중 어느 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주석 나노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황을 50 내지 150중량부로 혼합하여 Sn-S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Sn-S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탄소재를 20 내지 50중량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상기 주석 나노입자, 상기 황 및 상기 탄소재를 볼 밀링(Ball milling)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10.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에 있어서,
    액체 중에서 주석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주석을 전기폭발시켜 획득하는 주석 나노입자와;
    상기 주석 나노입자 간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활물질 황과;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11.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에 있어서,
    양극과;
    액체 중에서 주석에 고전압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주석을 전기폭발시켜 획득하는 주석 나노입자, 상기 주석 나노입자 간의 뭉침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활물질 황 및 도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재를 갖는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에 대응하는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계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KR1020140145285A 2014-10-24 2014-10-24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KR10220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85A KR102206032B1 (ko) 2014-10-24 2014-10-24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285A KR102206032B1 (ko) 2014-10-24 2014-10-24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04A true KR20160048504A (ko) 2016-05-04
KR102206032B1 KR102206032B1 (ko) 2021-01-20

Family

ID=56022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285A KR102206032B1 (ko) 2014-10-24 2014-10-24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0289A (zh) * 2017-02-07 2018-08-14 万向二三股份公司 一种碳包覆锡基合金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10403886B2 (en) 2016-07-26 2019-09-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nod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anode material
KR20190122953A (ko) 2018-04-23 2019-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962A (ko) * 2010-08-31 2012-03-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나트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79340A (ko) * 2011-01-04 2012-07-12 한국전기연구원 리튬이차전지용 주석계 나노복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20130008870A (ko) * 2011-07-13 2013-01-23 한국과학기술원 주석류 입자를 함유하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962A (ko) * 2010-08-31 2012-03-0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나트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79340A (ko) * 2011-01-04 2012-07-12 한국전기연구원 리튬이차전지용 주석계 나노복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20130008870A (ko) * 2011-07-13 2013-01-23 한국과학기술원 주석류 입자를 함유하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 Xu et 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Porous Carbon/Tin Composite Anodes for Sodium-Ion and Lithium-Ion Batteries", Adv. Energy Mater. 2013, 3, 128-133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3886B2 (en) 2016-07-26 2019-09-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anode materia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anode material
CN108400289A (zh) * 2017-02-07 2018-08-14 万向二三股份公司 一种碳包覆锡基合金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90122953A (ko) 2018-04-23 2019-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032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un et al. High power rechargeable batteries
Zhang et al. A facile synthesis of 3D flower-like NiCo2O4@ MnO2 composites as an anode material for Li-ion batteries
JP6241480B2 (ja) 高分散性グラフ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高分散性グラフェン組成物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
Li et al. The design of a high-energy Li-ion battery using germanium-based anode and LiCoO2 cathode
CN104247105B (zh) 包含多孔硅氧化物‑碳材料复合物的负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
Idris et al. Effects of polypyrrole on the performance of nickel oxide an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US20150044553A1 (en) Cath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rechargeable magnesium battery
CN105355877A (zh) 一种石墨烯-金属氧化物复合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Pseudo-solid-solution CuCo2O4/C nanofibers as excellent anodes for lithium ion batteries
TW201817065A (zh) 負極活性物質、混合負極活性物質材料、及負極活性物質的製造方法
US20130230769A1 (en) Silicon and lithium silicate composite anode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Hou et al. Facile spray-drying/pyrolysis synthesis of intertwined SiO@ CNFs&G composites as superior an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JP201713916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
CN103326010A (zh) 一种纳米硅掺杂复合钛酸锂负极材料的制备方法
Zeng et al. Nano-Sn doped carbon-coated rutile TiO 2 spheres as a high capacity anode for Li-ion battery
Han et al. Core–shell-structured nickel ferrite/onion-like carbon nanocapsules: an anode material with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lithium-ion batteries
JP2019016484A (ja) 全固体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備える全固体電池
CN115842109A (zh) 一种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包和用电装置
Shi et al. Submicron‐sized Sb2O3 with hierarchical structure as high‐performance anodes for Na‐ion storage
Chen et al. High power nano-LiMn2O4 cathode materials with high-rate pulse discharge capability for lithium-ion batteries
KR102206032B1 (ko) 나트륨이차전지용 주석계 음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제조방법 및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나트륨이차전지
Hu et al. Efficient synergy of MOF-derived CoTe2 polyhedron anchoring on CNTs as anode materials for Na-ion storages
KR100753921B1 (ko) 사이클 특성이 개선된 구리상을 함유하는 리튬 이차전지음극용 나노 활물질의 제조방법
CN105336942A (zh) 基于三元正极材料的全密封锂离子蓄电池及其制备方法
CN105449294A (zh) 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