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403A - 냉장고 제상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제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403A
KR20160048403A KR1020140144985A KR20140144985A KR20160048403A KR 20160048403 A KR20160048403 A KR 20160048403A KR 1020140144985 A KR1020140144985 A KR 1020140144985A KR 20140144985 A KR20140144985 A KR 20140144985A KR 20160048403 A KR20160048403 A KR 2016004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hamber
defrosting
duct
stora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상호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4014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8403A/ko
Publication of KR2016004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제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작동시키면서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단계를 포함하여, 제상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서 제상을 신속하게 하는 동시에 잔빙까지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제상방법{Defrosting method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제상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작동시키면서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단계를 포함하는 제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이하, 냉장고라 한다)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고, 증발기 및 저장실 주변에 별도로 마련되는 히터와 저장실 내부 공기 사이의 열전달을 통하여 저장실에 수납되는 저장물을 필요에 따라 숙성 또는 저온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기이다.
냉장고는 냉각방식에 따라 저장공간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파이프 형태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직접 냉각방식과, 저장실의 일측에 냉각핀을 구비한 증발기와 송풍팬을 장착하고 송풍팬을 구동하여 저장실에 냉기를 냉기유로를 거쳐 공급하는 간접 냉각방식으로 구분된다. 한편, 최근에는 직냉식 저장실과 간냉식 저장실을 혼합 적용하는 혼합형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4420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접냉각방식의 저장실이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제2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덕트를 각각 구비하고, 증발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송풍팬에서 흡입 및 송풍하여 제1,제2냉기덕트를 통해 제1,제2저장실에 각각 공급한다.
이때, 제1,제2냉기덕트에는 제1,제2댐퍼를 각각 구비하여 제1,제2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량을 각각 조절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냉장고는 제상시 자연 대류를 통한 수동적인 제상방식을 통해 제상한다. 따라서, 제상속도가 느리며, 제상후에도 잔빙이 남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1844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04420호 한국특허출원 제2013-004144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상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서 제상을 신속하게 하는 동시에 잔빙까지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 제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제상방법은,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작동시키면서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상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닫고, 제상히터를 작동시키는 선제상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상단계에서 상기 토출구를 열고, 상기 선제상단계에서, 제1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와, 제1저장실과 독립된 온도로 유지되는 제2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구를 닫고, 상기 제상단계에서, 상기 제1,2저장실 중 높은 온도로 제어되는 저장실의 토출구를 열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은 냉각되며,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보다 높은 온도로 제어되고, 상기 제1저장실에는 김치가 보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 제상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작동시키면서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단계를 포함하여, 제상히터에 의해 데워진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서 제상을 신속하게 하는 동시에 잔빙까지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상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닫고, 제상히터를 작동시키는 선제상단계를 더 포함하여, 1차적으로 자연 대류를 통해 제상하여, 제상시에도 저장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상단계에서 상기 토출구를 열고, 상기 선제상단계에서, 제1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와, 제1저장실과 독립된 온도로 유지되는 제2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구를 닫고, 상기 제상단계에서, 상기 제1,2저장실 중 높은 온도로 제어되는 저장실의 토출구를 열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은 냉각되어, 제상을 효과적으로 하는 동시에 낮은 온도로 제어되는 저장실의 온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보다 높은 온도로 제어되어, 자연대류가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에는 김치가 보관되어, 김치를 더욱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 측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덕트어셈블리에서 후방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덕트어셈블리의 전방패널과 브라켓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덕트어셈블리 정면도.
도 5는 도 2의 덕트어셈블리 후방패널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덕트어셈블리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덕트어셈블리 배면 결합사시도.
도 8은 도 2의 덕트어셈블리의 송풍팬과 후방패널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 측단면 개략도.(자연대류에 의한 제상)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 측단면 개략도.(강제대류에 의한 제상)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제1저장실(110)과 상기 제1저장실(110)과 분리되는 제2저장실(120)을 포함하는 냉장고 본체(100);와, 상기 제1저장실(110) 또는 상기 제2저장실(1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덕트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어셈블리는 제1저장실(11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덕트(206);와, 제2저장실(1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덕트(207);와, 상기 제1저장실(110)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입구(2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덕트(206)와 상기 제2덕트(207)가 하나의 패널에 형성된다.
냉장고 본체(100)는 제1저장실(110)과, 제1저장실(110)과 분리된 제2저장실(120)을 포함하는 저장실을 포함한다. 냉장고 본체(100)는 측면과 바닥면과 상면과 후면(101)을 포함하여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저장실(120)은 제1저장실(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 사이에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을 독립된 온도로 각각 유지할 수 있도록 분리판(130)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두 공간은 분리된다.
냉장고 본체(100)에는 도어 등에 각 저장실의 모드(냉동, 냉장, 생동, 김치보관모드 등)를 각각 별도로 변경할 수 있는 입력부(버튼 또는 터치 패널 등)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각 저장실은 각각 다른 온도로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은 하나의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거나 각각 개별 도어를 구비하여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증발기(미도시)는 간냉방식으로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을 냉각시킨다. 즉, 상기 증발기는 하나의 증발기로 두개 이상의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제1저장실(110) 또는 제2저장실(1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덕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덕트어셈블리는 냉장고 본체(100)의 후면(101)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어셈블리는 제1저장실(110)에 연결되어 제1저장실(11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덕트(206)와, 제1덕트(206)를 열거나 닫는 제1댐퍼(240)와, 제2저장실(120)에 연결되어 제2저장실(1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덕트(207)와, 제2덕트(207)를 열거나 닫는 제2댐퍼(260)와, 상기 증발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냉기)를 제1덕트(206) 또는 제2덕트(207)로 이송하고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250)을 포함한다. 송풍팬(250) 하나로 제1덕트(206) 및 제2덕트(207)를 통해 냉기를 공급하여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을 냉각시킨다.
상기 덕트어셈블리는 제1전방패널(210)과 제1전방패널(2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전방패널(220)을 포함하는 전방패널과, 제2전방패널(2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패널(230)을 포함하는 판형상의 패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널이 3개의 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패널이 하나의 판형상의 패널만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덕트(206)와 상기 제2덕트(207)가 하나의 상기 패널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덕트의 설치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될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제2전방패널(220)은 제1전방패널(210)의 후방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제1전방패널(210) 및 제2전방패널(220)에는 상부에 제1저장실(110)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201)가 형성되고, 제1저장실(1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1토출구(201)의 하부 양측에는 제1저장실(110)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1흡입구(203)가 형성되고, 양측의 제1흡입구(203) 사이의 하부에 제2저장실(120)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구(202)가 형성되고, 제2토출구(202)의 하부에 제2저장실(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2저장실(120)의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입구(214)가 형성된다.
제1흡입구(203)는 분리판(130) 상부에 배치된다.
제2토출구(202)는 두개가 형성되며, 두개의 제2토출구(202)는 제2저장실(120)의 상부 및 중간 부분에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전방패널(2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및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1측벽(212)이 형성된다.
제1측벽(212)에는 상기 덕트어셈블리가 냉장고 본체(100)의 내벽에 설치되도록 체결부재(211)가 형성된다. 체결부재(211)는 돌출된 후크로 형성된다.
체결부재(211)는 제1전방패널(210)의 상부 및 측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1측벽(212)에는 제1전방패널(210)과 후방패널(230)을 결합시키는 체결공(213)이 형성된다. 체결공(213)은 제1전방패널(210)의 양측에만 배치된다.
체결부재(211)와 체결공(213)은 교대로 배치된다.
제1전방패널(210)의 전방에는 제2토출구(202)를 둘러싸는 가이드돌출부(215)가 형성된다.
또한, 제1전방패널(210)의 전방에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에 각각 배치되는 온도센서안착홈(216)이 형성된다. 온도센서안착홈(216)에는 일측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제1전방패널(210)과 제2전방패널(220) 사이로 전선등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이 냉기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전기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제1전방패널(210) 하부에는 그릴형상으로 제2흡입구(214)가 형성된다.
제2전방패널(220)도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전방패널(220)은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어 단열효과를 줄 수 있다.
제1댐퍼(240)는 제1토출구(201) 하부에 배치된다.
제2전방패널(220) 배면에는 제2댐퍼(260)가 설치 및 안착되도록 안착홈(229)이 형성된다.
제2댐퍼(260)는 제2토출구(202)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전방패널(220)의 배면에는 제1덕트(206)와, 제2덕트(207)와 제3덕트(208)가 형성된다. 각 덕트의 배면(적어도 한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덕트의 배면은 후방패널(230)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1덕트(206)는 제1토출구(201)와 제1댐퍼(240) 사이에 형성된다.
제2덕트(207)는 제2댐퍼(260)와 제2토출구(20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전방패널의 제2전방패널(220)과 후방패널(230) 사이에는 제1가이드리브(223)가 배치된다.
제1가이드리브(223)는 상기 제1흡입(203)구와 상기 제2토출구(202) 사이에 배치되어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여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의 냉기가 혼합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의 온도를 독립적이며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전방패널(220)의 배면에는 제2덕트(207)를 둘러싸는 제1가이드리브(223)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가이드리브(223)의 하부에는 양측 사이간격이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부는 하부에 배치되는 제2토출구(202)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테이퍼부에 의해 제2덕트(207) 내부에 형성되는 물이 제2덕트(207) 하부에 효과적으로 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덕트는 상기 패널의 평탄한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브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제3덕트(208)는 제1흡입구(203)와 제2흡입구(214)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3덕트(208)는 제1흡입구(203)와 제2흡입구(214)에 각각 연통되어, 제1흡입구(203)와 제2흡입구(214)를 연결한다. 제3덕트(208)는 제1가이드리브(223)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리브(223)에 의해서 제2덕트(207)와 제3덕트(208)는 분리된다.
제2전방패널(220)의 배면의 하부 양측에는 가로리브와, 상기 가로리브 일측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리브(224)가 돌출형성되어, 보유공간부(228)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리브(224)의 상단은 제1가이드리브(223)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갭이 형성된다. 상기 갭을 통해 제1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기가 유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223)와 제2가이드리브(224) 사이로 제1흡입구(203)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여 양쪽 제2가이드리브(224)를 통해 가이드되어 제2흡입구(214) 중간 상부(204)로 안내된다.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게 되는데 합류되는 제2흡입구(214)가 제1흡입구(203)의 하부에 배치되어 냉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냉기 유로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유동되는 공기가 받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224)는 제2전방패널(220)의 제2측벽(225)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가이드리브(224)와 제2측벽(225) 사이에 보유공간부(228)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유공간부(228)는 제1흡입구(203)와 제2흡입구(214) 사이에 제3덕트(208)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보유공간부(228)는 제1흡입구(203)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흡입구(214)와 제3덕트(208)를 연결하는 연통구는 중심부에 배치되어 제1흡입구(203)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러한 보유공간부(228)로 인해, 제1흡입구(203)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보유공간부(228)에 보유된다. 따라서, 송풍팬(250)이 정지되었을 때 제1흡입구(20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흡입구(214)로 바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송풍팬(250) 정지시 제1저장실(110)의 냉기가 제2저장실(12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저장실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전방패널(220)의 좌우폭은 제1전방패널(210)의 양측 제1측벽(212) 사이간격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전방패널(220)의 양 제2측벽(225)과 제1측벽(212) 사이에는 공간부(205)가 형성된다.
후방패널(23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가장자리에 제3측벽(231)이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후방패널(230)은 제3측벽(231)의 내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내벽(239)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전방패널(220) 및 후방패널(230)의 하단은 제2흡입구(214)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3측벽(231)에는 체결공(213)에 삽입되는 체결부(233)가 후크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내벽(239)은 공간부(205)에 삽입되어 상기 덕트어셈블리의 조립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
후방패널(230)의 전방에는 송풍팬(250)을 원주방향을 따라 둘러싸는 케이싱부(238)가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후방패널(230)의 전방에는 송풍팬(250)의 측면 테두리를 둘러싸는 케이싱(238)이 형성되어 송풍팬(250)이 안착되는 송풍팬안착홈이 형성된다. 후방패널(230)에는 케이싱(238) 외측에 배치되도록 송풍팬(2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송풍팬체결부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부(238)에는 제1저장실(11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1냉기토출구(238a)가 형성되고, 제1냉기토출구(238a)와 이격되게 제2저장실(120)에 냉기를 공급하는 제2냉기토출구(238b)가 형성된다.
제1냉기토출구(238a)는 제2냉기토출구(238b)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송풍팬(250) 상부에 제1냉기토출구(238a)가 배치되고 하부에 제2냉기토출구(238b)가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싱부(238)는 송풍팬(2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냉기토출구(238a)와 제2냉기토출구(238b)는 중심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송풍팬(2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냉기토출구(238a)의 중심이 제2냉기토출구(238b)의 중심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송풍팬(250)의 회전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케이싱부(238)에는 제1냉기토출구(238a)의 양측에 배치되는 면 중 송풍팬(250)이 작동할 때 송풍되는 공기와 마주하는 면(좌측)에 제1공간부(238c')가 형성되도록 제1확경굴곡부(238c)가 형성된다. 제1확경굴곡부(238c)는 제1냉기토출구(238a)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확경굴곡부(238c)는 제1냉기토출구(238a)의 입구 좌측에 배치된다.
케이싱부(238)에서 제1확경굴곡부(238c)와 연결되는 부분(238d)이 맞닿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확경굴곡부(238c)는 상부인 제1냉기토출구(238a)를 향할수록 직경이 더 커진다. 제1확경굴곡부(238c)는 송풍팬(250) 직경의 3배~3.1배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확경굴곡부(238c)의 중심각(b)은 25도~25.5도가 되도록 하여, 냉기의 역류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송풍팬(250) 중심선에서부터 제1확경굴곡부(238c)의 상단까지의 각도(a)는 27도~27.5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부(238)에서 제1확경굴곡부(238c)의 하단에 연결되는 부분(238d)은 제2냉기토출구(238b)로 향할수록(하부로 향할수록) 송풍팬(250)의 끝단과의 사이간격(방사방향)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케이싱부(238)에는 제2냉기토출구(238b)의 양측에 배치되는 면 중 송풍팬(250)이 작동할 때 송풍되는 공기와 마주하는 면(우측)에 제2공간부(238f')가 형성되도록 제2확경굴곡부(238f)가 형성된다. 제2확경굴곡부(238f)는 제2냉기토출구(238b)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제2확경굴곡부(238f)는 제2냉기토출구(238b)의 입구 우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2확경굴곡부(238a, 238f)로 인해 제1,2냉기토출구(238a, 238b)에 냉기 토출시 냉기가 역류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케이싱부(238)에서 제2확경굴곡부(238f)의 상단에 연결되는 부분(238e)은 제1냉기토출구(238a)로 향할수록(상부로 향할수록) 송풍팬(250)과의 사이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제2확경굴곡부(238f)와 연결되는 부분(238e)이 맞닿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더욱 원활하게 제1냉기토출구(238a)와 제2냉기토출구(238b)로 냉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후방패널(230)에는 송풍팬(250)을 둘러싸는 케이싱부(238)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흡입공(23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흡입공(235)의 직경은 송풍팬(250) 직경의 0.7배~0.73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패널(230)에서 송풍팬(250)의 후방에 배치되는 부분(238g)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굴곡지게(구의 일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냉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후방패널(230)의 전방에는 제1,2가이드리브(223, 224)가 삽입되는 삽입홈(236)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236)으로 인해 제1,2저장실(110,120)의 냉기가 혼합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후방패널(230)의 전방에는 제1,2댐퍼(240, 260)가 안착되는 댐퍼안착홈(234)이 형성된다. 후방패널(230)의 전방에는 상부에서부터 제1댐퍼(240), 송풍팬(250), 제2댐퍼(26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즉, 제1댐퍼(240)와 제2댐퍼(260) 사이에 송풍팬(250)이 배치된다.
이러한 삽입홈(236) 및 댐퍼안착홈(234)으로 인해 조립이 용이해진다.
나아가, 후방패널(230)에는 제2덕트(207) 및 제3덕트(208)에 연통되도록 배수공(237)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공(237)을 통해 각 덕트에 형성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후방패널(23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3측벽(231) 및 송풍팬(250)의 중간 및 상부에 배치되는 분리벽(232)으로 인해 제4덕트(209)가 형성된다. 제4덕트(209)는 제1흡입구(203) 및 제2흡입구(21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부로 상승시켜서 송풍팬(250)으로 공급한다.
제4덕트(209)의 개방된 부분인 후방은 냉장고 본체(100)의 후면(101)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4덕트(209)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공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상승된 흡입공기를 상기 덕트어셈블리의 후방과 냉장고 본체(100)의 후면(101) 사이로 이송하여 제1,2저장실(110, 120)과 최대한 이격시켜서 냉각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제4덕트(209) 내부에 상기 증발기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는 후방패널(230)과 냉장고 본체(100)의 후면(101)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증발기는 후방패널(230)의 배면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저장실(12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4덕트(209)를 통해 이송되는 흡입공기는 흡입공(235)을 통과하여 송풍팬(250)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댐퍼의 상세한 구조 및 도시는 종래기술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 중 더 낮은 목표온도를 갖는 저장실에 상시로 냉기를 공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제1댐퍼(240)와 제2댐퍼(260)를 제어하여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 중 더 낮은 목표온도를 갖는 저장실에 상시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 등을 통해 제1저장실(110)의 목표온도(-4℃)가 제2저장실(120)의 목표온도(3℃)보다 낮게 모드를 변경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댐퍼(240)는 항시 오픈 상태로 하여 제1덕트(206)를 상시 열림 상태로 하여 냉기가 지속적으로 제1덕트(206)를 통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더 높은 목표온도를 갖는 제2저장실(120)에 연결된 제2댐퍼(260)는 온도 기동 조건에 따라 오픈하거나 닫아서 제2덕트(207)를 열어놓거나 닫는다.
상기 온도 기동 조건은 각 저장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값이 목표온도보다 높으면 저장실에 연결된 해당 덕트를 열고, 감지된 온도값이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해당 덕트를 닫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냉장고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 제어방법은 제1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110)과 동일한 증발기를 통해 냉각되는 제2저장실(120) 중 더 낮은 목표온도를 갖는 저장실을 판단하는 단계와, 더 낮은 목표온도를 갖는 저장실에 상시로 냉기를 공급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등을 통해 입력된 모드에 따라 각 저장실의 목표온도를 비교하여 더 낮은 목표온도를 갖는 저장실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더 낮은 목표온도를 갖는 제1저장실(110)에 연결된 제1덕트(206)에 설치된 제1댐퍼(240)를 항시 오픈상태로 제어하여 제1저장실(110)에 상시로 냉기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댐퍼(260)를 오픈 또는 닫아서 더 높은 목표온도를 갖는 제2저장실(120)에 연결된 제2덕트(207)를 온도 기동 조건에 따라 열어놓거나 닫는다.
이로 인해, 냉매 유로를 단순화 및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는 동시에 각 저장실을 냉동, 냉장, 김치보관모드 등과 같이 다양한 모드로 변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저장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냉장고 제상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에서 냉장고를 작동하는 중에 제상을 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과 같은 제상방법을 통해 제상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 제상방법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250)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상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닫고, 제상히터(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선제상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제상단계에서는 제1저장실(110)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201)와, 제1저장실(110)과 독립된 온도로 유지되는 제2저장실(120)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구(202)를 닫는다. 상기 제어부는 제1,2댐퍼(240, 260)를 닫아서 제1,2토출구(201, 202)를 닫아서, 제상열이 제1,2저장실(110, 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연대류를 통해 제상한다. 상기 선제상단계에서는 송풍팬(250)은 정지상태이다.
제2저장실(120)은 제1저장실(110)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제2저장실(12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선제상단계에서 자연대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고, 온도에 민감한 김치가 보관되는 제1저장실(110)에 제상열이 유입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상기 제상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토출구(201)는 닫은 상태에서, 제상종료 5분전에 제1,2저장실(110, 120) 중 높은 온도로 제어되는 저장실인 제2저장실(120)의 제2토출구(202)를 제2댐퍼(260)를 통해 열고, 송풍팬(250)을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상시 공기는 제2흡입구(214)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E)를 통과한 후에 제2토출구(202)를 통해 토출되어 강제대류된다.
제2토출구(202)는 상기 증발기(E)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저장실(110)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강제대류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 끝단까지 남아있는 잔빙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냉장고 본체 110 : 제1저장실
120 : 제2저장실 130 : 분리벽
240 : 제1댐퍼 260 : 제2댐퍼
206 : 제1덕트 207 : 제2덕트

Claims (6)

  1.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작동시키면서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단계 이전에,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닫고, 제상히터를 작동시키는 선제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상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단계에서 상기 토출구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상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제상단계에서, 제1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와, 제1저장실과 독립된 온도로 유지되는 제2저장실에 냉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구를 닫고,
    상기 제상단계에서, 상기 제1,2저장실 중 높은 온도로 제어되는 저장실의 토출구를 열고,
    상기 증발기에 의해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상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보다 높은 온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상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실에는 김치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상방법.
KR1020140144985A 2014-10-24 2014-10-24 냉장고 제상방법 KR20160048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985A KR20160048403A (ko) 2014-10-24 2014-10-24 냉장고 제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985A KR20160048403A (ko) 2014-10-24 2014-10-24 냉장고 제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03A true KR20160048403A (ko) 2016-05-04

Family

ID=5602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985A KR20160048403A (ko) 2014-10-24 2014-10-24 냉장고 제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84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563A (ko) * 2018-09-18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563A (ko) * 2018-09-18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448B1 (ko) 냉장고
US20200284493A1 (en) Refrigerator
JP6131116B2 (ja) 冷蔵庫
US10408527B2 (en) Refrigerator
WO2015035886A1 (zh) 冰箱
JP5313857B2 (ja) 冷蔵庫
JP3576813B2 (ja) 冷蔵庫の冷気供給構造及び冷気供給制御方法
KR102200538B1 (ko) 덕트어셈블리 및 냉장고
KR20160023129A (ko) 덕트어셈블리 및 냉장고
KR101640599B1 (ko)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
KR20150045796A (ko) 김치냉장고
KR20160048403A (ko) 냉장고 제상방법
KR102200537B1 (ko) 덕트어셈블리 및 냉장고
KR20160023124A (ko) 냉장고 제어방법 및 냉장고
KR20190019428A (ko) 냉장고
KR20110136917A (ko) 냉장고
KR101640600B1 (ko)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
KR102227754B1 (ko) 냉장고
KR20160023126A (ko) 냉장고 제어방법 및 냉장고
KR20160023125A (ko) 냉장고 제어방법 및 냉장고
JPH11270956A (ja) 冷蔵庫
JP2015014435A (ja) 冷蔵庫
KR20140124115A (ko) 냉장고
KR101189933B1 (ko)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제상 장치
KR980010285A (ko) 분리형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