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333A -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 Google Patents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333A
KR20160048333A KR1020140144645A KR20140144645A KR20160048333A KR 20160048333 A KR20160048333 A KR 20160048333A KR 1020140144645 A KR1020140144645 A KR 1020140144645A KR 20140144645 A KR20140144645 A KR 20140144645A KR 20160048333 A KR20160048333 A KR 20160048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layer
block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조
양재원
류성룡
신혜미
Original Assignee
삼성파워텍주식회사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파워텍주식회사,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파워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8333A/ko
Publication of KR20160048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for preventing ice formation or for loosening ice, e.g. special additives to the paving material, resilient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은 열전도도가 높은 전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제1콘크리트층, 상기 제1콘크리트층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외면으로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제1콘크리트층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가 형성된 제2콘크리트층 및 상기 확장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의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삽입되는 투수성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Automatic Snow Removing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현장 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인도 또는 차도에 적설 및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국지성 기습강설 빈발 등의 이상기후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기상청에서는 국지적인 폭설과 불예측성 기습강설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매년 예측이 어려운 기습적인 강설로 인한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동 대처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대부분의 사고는 눈이 내리는 상황이 아닌 결빙이나 서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강설 후 결빙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빙결구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로에 염화칼슘을 뿌리거나 스크레이퍼 등의 제설차를 이용하여 제설작업을 하거나, 해빙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설 또는 해빙 작업에는 막대한 인력, 장비 및 비용이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도로 정비 작업에도 불구하고, 동절기에는 기온 저하에 의해 수시로 도로가 결빙되어 보행자나 자동차의 주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제설작업을 위하여 살포하는 제설제는 주로 염화나트륨(NaCl) 및 염화칼슘(CaCl2)이며, 제설제에 함유된 염소이온은 대기에 노출되는 콘크리트에 동결융해 작용을 받을 시 온도 차이에 따른 열충격(Thermal Shock)으로 조기열화를 촉진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제설제에 의한 반복적인 동결융해 작용에 의해 교통하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도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피해 정도가 심각하며, 이로 인해 표면 스케일링(Surface Scaling), D 균열(D-Line Cracking), 팝-아웃(Pop-Out), 스폴링(Spalling) 등의 피해로 구조물의 내구성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KR2000-0038806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현장 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고, 내부에 구비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인도 또는 차도에 적설 및 결빙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은 열전도도가 높은 전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제1콘크리트층, 상기 제1콘크리트층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외면으로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제1콘크리트층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가 형성된 제2콘크리트층 및 상기 확장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의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삽입되는 투수성블록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콘크리트의 상면은 상기 투수성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콘크리트층 및 상기 제2콘크리트층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콘크리트층은 상기 제1콘크리트층 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은 상기 배관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의 타단은 상기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과 인접한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출구 또는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출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수성블록이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및 제2콘크리트 블록과 결합하는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제2결합돌기 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또는 제2콘크리트 블록이 상기 투수성블록과 결합하는 결합면에는 상기 투수성블록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 또는 2결합홈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 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수성블록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배관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배관 삽입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인도 또는 차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블록화하여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블록화되어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당 블록의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 시 인도 및 차도를 전체적으로 교체하지 않고, 해당 블록만 교체 또는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보수 기간 및 보수 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나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역시 제1콘크리트층, 제2콘크리트층 및 투수성블록으로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모듈 중 파손 또는 이상이 발생한 해당모듈만을 교체 또는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내부에 삽입된 배관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며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 또는 인원이 없어도 자동으로 도로 상에 형성된 적설 또는 결빙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하절기에는 배관으로 저온의 유체를 유동시켜 도로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제1콘크리트블록의 구배, 투수성블록 및 배출공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상에 체류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이 복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블록의 저면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사용양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콘크리트층(100), 배관(200), 제2콘크리트층(300) 및 투수성블록(400)으로 구성된다.
제1콘크리트층(100)은 차도 또는 인도 등의 도로의 상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동절기에 적설 또는 결빙이 발생 시 내부에 삽입된 배관(200)을 유동하는 뜨거운 유체의 열기를 전달 받아 제1콘크리트층(100) 상면의 적설 또는 결빙을 녹이기 위한 장치이다. 이에 따라, 제1콘크리트층(100)은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배관(200)을 유동하는 유체의 열기를 빠르게 상면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콘크리트층(100)의 하면에는 제2콘크리트층(300)과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1결합돌기(110) 또는 제1결합홈(3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콘크리트층(100)의 하면에 복수의 제1결합돌기(110)가 형성되고, 제2콘크리트층(300)의 상면에 제1결합돌기(110)와 대응되는 제1결합홈(320)이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1콘크리트층(100) 및 제2콘크리트층(300)은 제1결합돌기(110) 및 제1결합홈(320)에 의해 상호 체결되기 때문에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되더라도 제1콘크리트층(100)이 제2콘크리트층(300) 위에서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최초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강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제1결합돌기(110)는 제1콘크리트층(100)의 하면에 독립적으로 형성 후, 제2콘크리트층(300)의 제1결합홈(320)에 대응되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로서 제2콘크리트층(300)에 제1결합홈(320)을 형성하고, 제1콘크리트층(100)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 후 제2콘크리트층(300)의 상면에 제1콘크리트층(100)을 타설하게 되면 제2콘크리트층(3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320)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며 제1결합돌기(110)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결합돌기(110) 및 제1결합홈(320)의 형성방법은 사용양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종단면도이다. 제1콘크리트층(100)의 상면은 적설 또는 결빙이 제설 또는 해빙되며 발생하는 유체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제1콘크리트층(100) 내부로 유입되어 제1콘크리트층(100)의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구배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배 각도(θ)를 과장되게 도시하였으나, 실제 사용 시에는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1콘크리트층(100)의 상부를 흐르는 유체가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르는 각도를 산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각도로 구배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구배는 후술하는 투수성블록(400)이 결합되는 일면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투수성블록(400)과 결합되는 일면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경사가 낮아지는 구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관(200)은 제1콘크리트층(100) 내부에 삽입되어 열원(10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양태에 따라 제1콘크리트층(100)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콘크리트층(100)의 전면적에 걸쳐 고른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복수 절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200)의 입구 및 출구는 제1콘크리트층(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일실시예로 배관(200)의 입구 및 출구가 제1콘크리트층(100)의 동일면에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명확한 표현을 위하여 배관(200)의 입구 및 출구가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도시한 것일 뿐, 배관(200)의 입구 및 출구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배관(200)의 입구 및 출구의 방향은 사용양태에 따라 도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상호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2콘크리트층(300)은 제1콘크리트층(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콘크리트층(100)을 지지하고, 배관(200)에서 배출되는 열기가 하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배관(200)을 기준으로 상향 열류량을 최대화하고, 하향 열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제2콘크리트층(300)은 제1콘크리트층(10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콘크리트층(300)의 상면에는 제1콘크리트층(10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제1결합돌기(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결합돌기(110)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이 복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제2콘크리트층(300)은 전체적으로 제1콘크리트층(100)과 동일한 면적을 갖되, 배관(200)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일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310)가 제2콘크리트층(3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이 연속하여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에 구비된 배관(20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배관(500)이 외부로 노출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200)의 상부에 투수성블록(40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2에서는 배관(200)의 입구 및 출구가 동일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콘크리트층(300)의 일측면에만 확장부(310)가 형성되어 있지만, 만약, 배관(200)이 입구 및 출구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는 경우 확장부(310)는 배관(200)의 입구 및 출구가 노출되는 각각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310)의 일측에는 투수성블록(40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유체가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배출공(3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콘크리트층(100)의 상면, 투수성블록(400) 및 배출공(330)을 순차적으로 통해 외부의 유체가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관(200)의 전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 시 확장부(3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투수성블록(4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장부(310)의 상면에는 제2결합돌기(420) 또는 제2결합홈(34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확장부(310)의 상면에 제2결합홈(340)이 형성되고, 투수성블록(400)의 하면에 제2결합돌기(420)가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사용양태에 따라 제2결합돌기(420) 및 제2결합홈(34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투수성블록(400)은 제2콘크리트층(300)의 확장부(310)와 대응되는 면적 및 제1콘크리트층(100)과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확장부(3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투수성블록(400)의 하면에는 제2콘크리트층(300)의 확장부(310)에 형성된 제2결합홈(340)과 대응되도록 제2결합돌기(4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투수성블록(400)은 전술한 제1콘크리트층(100)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블록화된 상태로 제공되어 제2콘크리트층(300)의 확장부(310)에 조립될 수 있으며,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확장부(310) 상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투수성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수성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확장부(310)에 형성된 제2결합홈(340) 내부로 투수성 콘크리트가 유입되며 제2결합돌기(420)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블록(400)의 저면사시도이다. 또한, 투수성블록(400)은 골재의 배합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하방으로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투수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투수성블록(400)의 내면에는 상호 인접한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의 내부에 삽입된 배관(20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배관(500)이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연결배관(500)과 대응되는 형상의 연결배관 삽입홈(4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투수성블록(400)이 연결배관(5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배관(200)을 유동하는 유체는 열손실이 최소화된다.
전술한 구성에서는 제2결합돌기(420) 및 제2결합홈(340)이 각각 제2콘크리트층(300) 및 투수성블록(400)이 접하는 면에 형성되도록 기재하였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1콘크리트층(100) 및 투수성블록(400)이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은 사용하고자 하는 인도 또는 차도의 면적을 계산하여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의 크기를 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사용양태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을 밀착시켜 배치한다. 이때, 제1콘크리트층(100) 및 제2콘크리트층(300)을 우선적으로 배치하고, 투수성블록(400)은 결합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각각의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의 배관(200)을 연결배관(500) 및 열원(1000)의 공급관 및 회수관과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외부로 노출된 연결배관(500)을 보호하고, 연결배관(500)을 유동하는 유체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투수성블록(400)을 결합하여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의 설치를 완료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설치된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은 동절기에 적설 또는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 열원(1000)으로부터 고온의 유체를 공급받아 배관(200)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도록 한다.
배관(200)은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며 발생하는 열기를 제1콘크리트블록으로 전달한다. 이때, 제1콘크리트블록은 제2콘크리트블록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관(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향 열류량을 최대화하고, 하향 열류량을 최소화시켜 열전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200)을 유동하는 고온의 유체의 열전달을 통해 자동으로 제1콘크리트블록 상에 형성된 적설 또는 결빙을 신속하게 녹임으로써, 보행자 또는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적설 또는 결빙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유체는 제1콘크리트블록의 구배를 따라 투수성블록(400) 측으로 유동하고, 투수성블록(400)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한 외부유체는 제2콘크리트층(300)의 확장부(310)에 형성된 배출공(330)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통과하여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10) 상에 외부 유체가 체류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배관(200)을 통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 시킨다.
또한, 하절기에는 인도 또는 차도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배관(200)을 통해 저온의 유체를 통과시켜 인도 또는 차도의 온도를 낮춰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100 ; 제1콘크리트층
110 : 제1결합돌기
200 : 배관
300 : 제2콘크리트층
310 : 확장부
320 : 제1결합홈
330 : 배출공
340 : 제2결합홈
400 : 투수성블록
410 : 연결배관 삽입홈
420 : 제2결합돌기
500 : 연결배관
1000 : 열원
θ : 제1콘크리트층 상면의 구배각도

Claims (8)

  1. 열전도도가 높은 전도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제1콘크리트층;
    상기 제1콘크리트층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외면으로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배관;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상기 제1콘크리트층과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관의 입구 또는 출구가 노출되는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일측면 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확장부가 형성된 제2콘크리트층; 및
    상기 확장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 및 상기 제1콘크리트층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관의 입구 및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삽입되는 투수성블록;
    을 포함하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의 상면은 상기 투수성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는 구배가 형성되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크리트층 및 상기 제2콘크리트층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크리트층은 상기 제1콘크리트층 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은 상기 배관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의 타단은 상기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과 인접한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의 출구 또는 입구에 연결되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출공이 더 형성되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블록이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및 제2콘크리트 블록과 결합하는 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제2결합돌기 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 블록 또는 제2콘크리트 블록이 상기 투수성블록과 결합하는 결합면에는 상기 투수성블록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 또는 2결합홈에 대응되는 제2결합홈 또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블록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배관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배관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KR1020140144645A 2014-10-24 2014-10-24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KR20160048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645A KR20160048333A (ko) 2014-10-24 2014-10-24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645A KR20160048333A (ko) 2014-10-24 2014-10-24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333A true KR20160048333A (ko) 2016-05-04

Family

ID=5602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645A KR20160048333A (ko) 2014-10-24 2014-10-24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83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2840A (zh) * 2020-01-10 2020-05-19 秦帅 一种多功能的街道地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2840A (zh) * 2020-01-10 2020-05-19 秦帅 一种多功能的街道地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3628A (zh) 主动防御道路、桥梁、场道冰雪灾害的设施及其施工方法
KR100955863B1 (ko) 고드름방지 신축이음장치
CN102322012A (zh) 自动融雪、除冰道路
KR101145611B1 (ko)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융설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6619771B2 (ja) 凍結防止液循環装置
KR20160048333A (ko)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KR101727154B1 (ko) 투수성능이 증대된 융설블록
KR101488416B1 (ko) 신재생 지열원을 활용한 시설물의 냉,난방과 도로 융설 병용 시스템
KR200383499Y1 (ko) 도로결빙방지장치 구조
KR100349262B1 (ko)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KR100969985B1 (ko) 지열을 이용한 도로의 노면 결빙 방지장치
KR20160145861A (ko) 프리패브 패널형 자동제설 콘크리트 블록
CN101200867A (zh) 可移动热气源寒冷地区道路路面融雪系统
KR20090129630A (ko) 열풍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 장지 장치
KR100717112B1 (ko) 다기능 도로경계블록
JPH01299903A (ja) 路床面の加温・冷却装置
KR200411543Y1 (ko) 도로 교량의 보행자 미끄럼방지구조
KR200385473Y1 (ko) 결빙 방지용 경계석
KR20110113793A (ko) 포장도로의 융설장치 및 그 설치구간의 도로포장방법.
CN205368905U (zh) 钢混结合轨道梁加热钢管融冰雪装置
CN204059141U (zh) 一种防冻的道路路面
KR101616907B1 (ko) 이중배관식 도로 융설 시스템
KR200317221Y1 (ko) 지면 융설 시스템
KR102665040B1 (ko) 포장도로의 상향열 집중식 융설시스템에서 전기발열선의 연결구조
KR101573386B1 (ko) 도로터널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도로 결빙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