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204A -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204A
KR20160047204A KR1020140143298A KR20140143298A KR20160047204A KR 20160047204 A KR20160047204 A KR 20160047204A KR 1020140143298 A KR1020140143298 A KR 1020140143298A KR 20140143298 A KR20140143298 A KR 20140143298A KR 20160047204 A KR20160047204 A KR 20160047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apacitance
touch input
input unit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204A/ko
Priority to US14/919,643 priority patent/US9817517B2/en
Publication of KR2016004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장치는, 제1터치입력부, 제2터치입력부, 그리고 상기 제2터치입력부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하며,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제1터치입력부의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TOUCH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전용량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인덕티브 터치센서(Inductive Touch Sensor) 등 임피던스 방식의 터치센서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임피던스 방식의 터치센서는 압력식 터치센서 등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터치감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 화질에 끼치는 영향이 낮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임피던스 방식의 터치센서는 신체 또는 특정 물체가 터치면에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므로,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이거나 손톱으로 터치면을 접촉하는 경우, 인식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인식률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도성 실로 편직되거나, 손가락 끝 부분에 전도성 실이 봉합된 장갑, 전도성을 가지는 골무, 터치펜, 터치봉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위해, 특수 장갑, 특수 골무, 터치 전용 펜 등을 상시 소지해야 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는, 제1터치입력부, 제2터치입력부, 그리고 상기 제2터치입력부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하며,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제1터치입력부의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은, 터치입력수단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정전용량을 토대로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치감도를 토대로, 상기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입력으로부터 터치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하도록 터치감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운행중인 차량 내에서 운전자가 장갑을 끼고 운전하는 경우와 같이, 장갑을 벗어 터치 조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장갑을 착용한 채로 터치 조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에서 터치점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용 터치센서를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block diagram)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에서 터치점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용 터치센서를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100)는, 터치입력부(110), 디스플레이(120), 보정용 터치입력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는 그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입력부(110)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장치이다. 터치입력수단은, 터치동작을 행하는 주체로서, 손가락,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 터치봉, 터치펜, 골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입력부(110)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부(110)는, 터치 발생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touch sensor, 미도시)와 터치제어기(touch controlle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터치패널 등의 형태로 구현되며, 복수의 구동전극 및 복수의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센서는, 구동전극 및 감지전극 간의 교차점에 생성되는 노드 캐패시터의 정전용량 변화에 대응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터치제어기는 이를 수신하여 터치입력을 인지할 수 있다.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입력부(110)가 터치되면, 터치센서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구동전극 및 감지전극 간의 교차점)에서 노드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터치제어기는 터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정전용량 변화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노드를 검출하고, 검출한 노드의 XY 좌표영역을 토대로 터치영역을 획득한다. 또한, 터치영역으로부터 터치점을 획득하고, 터치영역의 좌표 또는 터치점의 좌표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터치점은 정전용량 변화량이 피크(peak)치인 노드 또는 터치영역의 중심점에 대응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정전용량 변화량에 포함된 노이즈가 평균화되어 노이즈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터치입력부(110)는 터치센서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노이즈 저감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터치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장치(100)의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터치입력부(110)와 상호 레이어 구조로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 보정을 위한 터치입력장치로서, 터치영역이나 터치점을 판별하는 대신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정전용량 방식의 보정용 터치센서와, 보정용 터치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용 터치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용 터치센서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한 터치가 발생하면, 각 노드에서 노드 캐패시터의 정전용량 변화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보정용 터치제어기로 출력한다. 보정용 터치제어기는 보정용 터치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보정용 터치센서와 터치입력수단 간의 정전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터치입력수단의 터치조작에 의해 보정용 터치센서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산출한다.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검출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보정용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입력수단의 터치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일면에 보정용 터치센서가 배치되는 푸시버튼(push button)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푸시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압력센서에 의해 터치입력수단이 터치면을 누르는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보정용 터치센서와 터치입력수단 간의 정전용량을 보정용 터치제어기에서 산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정용 터치제어기는, 보정용 터치센서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제어부(150)는 이를 토대로 보정용 터치센서와 터치입력수단 간의 정전용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터치입력부(110)의 터치제어기와,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보정용 터치제어기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터치입력부(110)와 터치제어기를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터치입력부(110)의 터치센서와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보정용 터치센서는 터치제어기의 채널들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위한 별도의 터치제어기를 구현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구비함에 따라 터치장치(100)의 단가 및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터치입력부(110)와 보정용 터치입력부(130)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는 터치입력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입력부(110)는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터치센서의 일부 노드를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로 구동할 수 있다. 즉, 터치입력부(110)의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노드들 중 일부 노드를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노드로 구동하여, 터치보정을 위한 정전용량 산출에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터치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별로 감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감도정보는,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에 대응하며, 터치감도는 터치입력부(110)의 터치제어기에서 터치영역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임계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터치입력부(110)에서 터치영역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이다. 터치입력부(110)는 임계값이 낮을수록 터치영역으로 판별하는 정전용량 변화량이 낮아져 터치감도가 증가한다. 반면에, 터치입력부(110)는 임계값이 높을수록 터치영역으로 판별하는 정전용량 변화량이 높아져 터치감도가 감소한다.
메모리(140)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별로 터치점 보정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에 따라서 터치점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a)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입력부(110)를 터치하는 경우의 터치점의 위치를 나타내고, (b)는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입력부(110)를 터치하는 경우의 터치점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영역의 중심점을 터치점(TP1)으로 사용한다.
한편,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영역의 중심점을 터치점으로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장갑의 두께에 따라서 터치점이 장갑에 의해 가려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정전용량은,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이런 특성에 의해,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 장갑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져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정전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터치입력수단과 터치센서 간의 정전용량에 따라서, 터치점 보정값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점을 보정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으로 터치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장갑을 착용한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정전용량을 토대로 터치점 보정값(ΔTP)를 결정하고, 터치영역의 중심점(TP1)에서 위 방향으로 터치점 보정값(ΔTP)만큼 이동한 지점을 터치점(TP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보면, 메모리(140)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별로 GUI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에 따라서 GUI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입력부(110)를 터치하는 경우의 GUI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입력부(110)를 터치하는 경우의 GUI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GUI에 포함된 동일한 그래픽 객체(OB)를,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a)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b)에, 객체 크기, 객체 배열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그래픽 객체(OB)를 터치하는 경우, 장갑에 의해 그래픽 객체(OB)가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갑을 착용하고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그래픽 객체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그래픽 객체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배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점이 정전용량에 따라서 보정되는 경우, 터치점의 이동에 대응하여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 또한 이동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보면, 그래픽 객체(OB)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인식영역(TA)의 크기 또한,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a)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b)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인식영역(TA)는 그래픽 객체(OB)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반면에,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인식영역 (TA)의 크기는 그래픽 객체(OB)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가 증가하게 된다. 터치감도가 증가하는 경우, 노이즈가 증가하여 터치 정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 오인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터치인식영역(TA)를 그래픽 객체(OB)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정전용량은,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이런 특성에 의해,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 장갑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거리가 멀어져 손가락과 터치센서 간의 정전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에 따라서, 그래픽 객체의 크기, 표시 위치 등 GUI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보면, 제어부(150)는 터치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터치입력부(110)를 통해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GUI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터치보정모드 진입을 판별하고,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함에 따라 터치보정을 위한 정전용량을 검출하도록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에 대한 터치입력수단의 터치동작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됨에 따라,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하여 정전용량을 검출하도록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가 푸시버튼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푸시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하여 정전용량을 검출하도록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가 터치면에 대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압력센서에 의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터치보정모드에 진입하여 정전용량을 검출하도록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검출하면, 이를 토대로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하면, 이를 토대로 터치감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인 터치영역 판별 임계값을 변경하도록 터치입력부(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변경된 임계값은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검출하면, 이를 토대로 터치입력부(110)에 포함된 노이즈 저감 필터의 필터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저감 필터가, 평균값 윈도우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통해 검출된 정전용량을 토대로 평균값 윈도의 윈도우 사이즈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통해 검출한 정전용량이 작을수록,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가변된다. 한편,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가 증가할수록 터치데이터에 포함되는 노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통해 검출한 정전용량이 작을수록, 즉,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가 증가할수록 노이즈 제거 성능을 높이도록, 노이즈 저감 필터의 필터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저감 필터가, 평균값 윈도우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가 증가할수록 윈도우 사이즈를 증가시켜 노이즈 저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가 변경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GUI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5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에 의해 검출된 터치입력수단과 터치센서 간의 정전용량을 토대로, 대응하는 GUI를 메모리(140)로부터 읽어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장치(100)는, 텔레비전, 스마트폰, 노트북, 내비게이션, 태블릿 PC, 차량용 조작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장치(100)를 차량용 조작계에 포함되는 경우,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터치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터치센서를 스티어링 휠에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에 탑승하여 스티어링 휠을 잡는 동작으로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터치센서에 접촉할 수 있어,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시동을 온(On) 하기 전에,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보정하는 과정을 완료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보정하기 위해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장치(100)는 전원이 켜짐에 따라(S100),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기 설정된 디폴트 값으로 설정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터치감도는 터치입력부(110)에서 터치영역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임계값에 의해 결정되며, 임계값이 작을수록 터치감도는 증가한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터치감도의 디폴트 값은 터치장치(100)의 제조 시 설정된 초기값으로서,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터치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가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터치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는 전원이 오프(Off) 되기 전 마지막으로 설정된 터치감도일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보면, 터치장치(100)는 지속적으로 터치보정모드의 진입을 판별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터치장치(10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터치면에 대한 터치입력수단의 터치 유지시간,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외 일체형으로 결합된 푸시버튼의 눌림 상태,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터치면에 대한 압력감지여부를 토대로, 터치보정모드로의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를 통해 터치보정모드로의 진입이 결정되면, 터치장치(100)는 보정용 터치입력부(130)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한다(S130). 즉, 보정용 터치입력부(130)의 보정용 터치센서와 터치입력수단 간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을 획득한다.
터치입력수단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이 획득되면, 터치장치(100)는 이를 토대로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터치입력수단에 맞게 가변한다(S140). 터치감도가 가변됨에 따라, 터치장치(100)는 터치보정모드를 종료하고, 가변된 터치감도를 토대로, 터치영역 및 터치점을 검출한다.
상기 S140 단계에서, 터치장치(100)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이 작을수록,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가변할 수 있다.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가 가변됨에 따라, 터치장치(100)는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GUI를 변경한다(S150).
상기 S150 단계에서, 터치장치(100)는 상기 S140 단계를 통해 획득한 정전용량에 대응하는 GUI를 메모리(140)로부터 읽어오고, 이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하여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GUI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터치장치(100)는 터치감도가 가변됨에 따라, 터치입력부(110)의 노이즈 저감 필터의 필터 특성을 가변할 수 있다(S160).
상기 S160 단계에서, 터치장치(100)는 터치감도가 증가할수록 터치 노이즈 또한 증가하므로, 터치감도가 증가할수록 노이즈 저감 필터의 필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터치장치(100)는 터치장치(100)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상기 S12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할 때마다 터치입력부(110)의 터치감도를 손쉽게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터치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감도를 조정하여 터치인식률을 높이는 경우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터치장치(100)는 손톱이 길어 터치 인식률이 떨어지는 경우, 손가락에 이물질이 묻어 터치 인식률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터치감도를 조정하여 터치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장치(100)는 특히, 차량 운전자가 장갑을 착용하고 운전하는 경우,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터치장치(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부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기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터치장치
110: 터치입력부
120: 디스플레이
130: 보정용 터치입력부
140: 메모리
150: 제어부

Claims (29)

  1. 제1터치입력부,
    제2터치입력부, 그리고
    상기 제2터치입력부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하며,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제1터치입력부의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수단의 터치 유지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입력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터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치입력부는 푸시버튼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터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입력부는,
    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에 대응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센서, 그리고
    상기 전기신호를 토대로, 정전용량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노드를 검출하여 터치영역을 획득하는 터치제어기를 포함하는 터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값을 제어하여 상기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터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기는, 상기 터치영역의 중심점을 터치점으로 검출하고,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터치점을 보정하는 터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기는, 상기 정전용량이 작을수록 상기 터치점이 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터치점을 보정하는 터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점이 보정됨에 따라, 상기 터치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터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터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인식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터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입력부는 터치입력으로부터 노이즈를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감도에 따라서 상기 노이즈 저감 필터의 필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터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파라미터는 평균값 윈도우의 윈도우 사이즈를 포함하는 터치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감도가 증가할수록 노이즈 저감 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필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터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장치는 차량 조작계에 포함되며, 상기 제2터치입력부는 스티어링 휠에 배치되는 터치장치.
  16. 터치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수단의 터치로 인해 발생하는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정전용량을 토대로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터치감도를 토대로, 상기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입력으로부터 터치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수단의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됨에 따라, 터치보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보정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인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입력수단의 터치에 의한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터치보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보정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인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수단의 터치에 의해 푸시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터치보정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보정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을 획득하는 단계인 제어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용량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노드를 검출하여 상기 터치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값을 제어하여 상기 터치감도를 가변하는 단계인 제어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영역의 중심점을 터치점으로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터치점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점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전용량이 작을수록 상기 터치점이 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터치점을 보정하는 단계인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점이 보정됨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에 따라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인식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도에 따라서 상기 터치입력으로부터 노이즈를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 필터의 필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감도가 증가할수록 노이즈 저감 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필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인 제어방법.
  29.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40143298A 2014-10-22 2014-10-22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47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98A KR20160047204A (ko) 2014-10-22 2014-10-22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US14/919,643 US9817517B2 (en) 2014-10-22 2015-10-21 Touch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hat changes the sensitivity of a touch input based on the touch input's capaci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98A KR20160047204A (ko) 2014-10-22 2014-10-22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04A true KR20160047204A (ko) 2016-05-02

Family

ID=5579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298A KR20160047204A (ko) 2014-10-22 2014-10-22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17517B2 (ko)
KR (1) KR201600472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496A (ko) * 2018-01-02 2019-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 센서의 압력값 보상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0817170B2 (en) 2018-03-23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ouch control based steering wheel
KR20220054409A (ko) * 2019-11-19 2022-05-02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센서, 정전 용량 검출 방법, 및 정전 용량 검출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4620A1 (de) * 2013-03-15 2014-09-18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erührungsempfindlichen Bediensystems und Vorrichtung mit einem solchen Bediensystem
JPWO2016051440A1 (ja) * 2014-10-03 2017-04-27 京セラ株式会社 車両及びステアリングユニット
US10152162B1 (en) 2015-05-15 2018-12-11 Apple Inc. Method of optimizing touch detection
WO2017082372A1 (ja) * 2015-11-13 2017-05-1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プログラム及び制御装置
JP2018022318A (ja) * 2016-08-03 2018-02-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入力装置
JP2019016264A (ja) * 2017-07-10 2019-01-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検出装置及び操作検出システム
CN107390935B (zh) * 2017-07-31 2020-07-28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防误触的方法
US10592027B2 (en) 2017-09-11 2020-03-17 Apple Inc. State-based touch threshold
US10775853B2 (en) * 2018-10-16 2020-09-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condary back surface touch sensor for handhel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321A (en) * 1989-08-31 1991-07-30 Otis Elevator Company Capacitive sensing, solid state touch button system
US20050052426A1 (en) * 2003-09-08 2005-03-10 Hagermoser E. Scott Vehicl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164573B2 (en) * 2003-11-26 2012-04-2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interpretation of input from a touch-sensitive input device
JP2007027034A (ja) 2005-07-21 2007-02-01 Calsonic Kansei Corp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イッチ
JP4419992B2 (ja) 2006-07-31 2010-0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US9329719B2 (en) * 2007-03-15 2016-05-03 Apple Inc. Hybrid force sensitive touch devices
JP5792424B2 (ja) * 2009-07-03 2015-10-14 ソニー株式会社 地図情報表示装置、地図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30199B2 (en) * 2009-09-04 2014-05-20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control panel
WO2011129109A1 (ja) 2010-04-13 2011-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US8528117B2 (en) 2010-04-29 2013-09-10 The Echo Design Group, Inc. Gloves for touchscreen use
KR101160758B1 (ko) 2010-06-16 2012-06-28 김정모 터치 포인트
JP5510185B2 (ja) 2010-08-20 2014-06-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229988B1 (ko) 2010-11-05 2013-02-05 김찬희 터치 펜
US9046973B2 (en) * 2011-06-01 2015-06-02 Scriptel Corporation Touch screen system
KR101299790B1 (ko) 2011-09-16 2013-08-23 이준혁 핸드폰 터치스크린용 터치봉
KR101869083B1 (ko) 2011-12-01 2018-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정전 용량식 터치 스크린의 터치 감도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90666A (ko) 2012-02-06 2013-08-14 성두환 장갑용 정전 터치 기구
US9046958B2 (en) * 2012-03-15 2015-06-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er input interpretation and input error mitigation
US9671894B2 (en) * 2012-06-04 2017-06-06 Continental Automotve GmbH Glove detection/adjustment of sensitivity for capacitive sensing button and slider elements
US9337832B2 (en) * 2012-06-06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nd method of adjusting sensitivity therefor
US9778742B2 (en) * 2012-06-12 2017-10-03 Parade Technologies, Ltd. Glove touch detection for touch devices
US20140267132A1 (en) * 2013-03-13 2014-09-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daptive Touch-Signal De-Noising/Filtering to Optimize Touch Performance
KR20140113119A (ko)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9122332B2 (en) * 2013-03-15 2015-09-01 Cellco Partnership Automatic detection for touch through glo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496A (ko) * 2018-01-02 2019-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 센서의 압력값 보상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0817170B2 (en) 2018-03-23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ouch control based steering wheel
KR20220054409A (ko) * 2019-11-19 2022-05-02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센서, 정전 용량 검출 방법, 및 정전 용량 검출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7517B2 (en) 2017-11-14
US20160117043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7204A (ko) 터치장치 및 터치장치의 제어방법
KR101660842B1 (ko) 터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EP3163416B1 (en) Touch-type input device
US201503016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US20120013571A1 (en) Three-dimensional touch sensor
EP2871557B1 (en) Operation device
CN102902404B (zh) 触摸面板
JP6000797B2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56307B1 (ja) 電子機器
EP3182255B1 (en) Touch-type input device
KR2010001232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커서 표시 방법
CN108829278B (zh) 鼠标、鼠标的操控方法和装置
JP5659254B2 (ja) 入力操作受付装置、および閾値調整方法
US10649555B2 (en) Input interface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WO2018193711A1 (ja) タッチセンサ式電子デバイス、及びセンサ制御方法
KR20130078937A (ko)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JP5876207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タッチ検出方法
US20210349554A1 (en)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noise avoidance for resonator pen
JP5679595B2 (ja) 電子機器及び座標判定方法
JP6034281B2 (ja) 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93733B1 (ko) 베젤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CN108427534B (zh) 控制屏幕返回桌面的方法和装置
JP2016115011A (ja) タッチ操作検出装置
US20190025942A1 (en)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2907B1 (ko) 터치 감지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 센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